KR100799891B1 - 직류기기 - Google Patents

직류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891B1
KR100799891B1 KR1020070110435A KR20070110435A KR100799891B1 KR 100799891 B1 KR100799891 B1 KR 100799891B1 KR 1020070110435 A KR1020070110435 A KR 1020070110435A KR 20070110435 A KR20070110435 A KR 20070110435A KR 100799891 B1 KR100799891 B1 KR 100799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ug
upper case
power
plate
plu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희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07011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기기로부터 전원플러그를 착탈하도록 구성하여 각 국가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극봉을 채용한 전원 플러그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직류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필요 전원을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기 위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되어 전원플러그의 입력전원을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체와, 전원 플러그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전원 플러그 플레이트의 자유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부를 구비한 상부케이스와; 공지 형상의 전원플러그 와 결합되고, 이 전원플러그의 입력전원을 상부케이스의 전극체에 전달하는 도체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체결부와 연동하여 체결되고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푸쉬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레일부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어댑터, 충전기, 직류기기

Description

직류기기 {Direct-Current Machine OR adapter}
본 발명은 전원코드 없이 벽 콘센트에 직접적으로 꽂아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 사용하는 어댑터, 충전기 등과 같은 직류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국가별로 규격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는 전원플러그를 필요에 따라 한 손으로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류기기를 새로 구입할 필요가 없이 호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직류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주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 또는 건전지를 주전원으로 하는 소형기기에 있어서는 장기간 여행할 경우 비용절감을 위해 주로 충전용 건전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충전기를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충전기 및 어댑터(이하 '직류기기'라 함)는 통상 공급전원의 전압크기에 관계없이 필요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프리 볼테이지 형태로서, 벽체 또는 적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 받기 위한 전원플러그가 직류기기에 구비되는데, 대부분의 직류기기는 비교적 소형인 관계로 대부분 전극봉이 함침된 전원 플러그를 일체로 사출하여 분해되지 않도록 제조하여 왔다
통상 앞서 개시한 충전기나 어댑터와 같은 직류기기는 충전할 때나 전자기기에 필요 전원을 공급하는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기에 어느 국가에서도 규제 받지 않고 사용할 수는 있지만, 그러나 문제는 직류기기와 일체로 사출되는 전원플러그의 전극봉이 국가 별로 규격과 형식을 각기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직류기기에 이르기까지 국가 상호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결국, 이것은 해당 국가에 맞는 규격의 전극봉을 직류기기에 적용하여 일체로 제조하므로서, 예컨대, 직류기기와 일체로 사출된 전원 플러그의 전극봉이 대한민국에서 규정한 규격으로 제조된 것이라면 이는 대한민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다른 국가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러그의 전극봉이 다른 국가의 콘센트와 규격이 맞지 않아 사용할 수가 없다.
그러할 때마다 사용자는 별도로 해당 국가에서 규격하고 있는 전극봉이 채용된 직류기기를 새롭게 구입해야 한다는 것이고, 그로인한 별매의 경제적 부담도 가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이 최근에 특허등록출원 제2007-59095호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한 바 있다.
이에 기술된 선출원 발명은 직류기기본체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부에 국가마다 규정하고 있는 규격의 전극봉을 갖는 전원플러그 본체를 끼워 안착하여 이 전원플러그 본체의 전극봉과 일체로 연장되는 전극접촉단자가 직류기기본체의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탄성전극편에 감합되는 구조에 의해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통전되는 감합의 반대 방향으로 전원 플러그 본체를 돌려 직류기기 본체와 해체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 구성은 전원플러그 본체와 직류기기 본체가 회전 돌림식으로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전원플러그 본체만 교환이 가능하여 국가간에 호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장점은 있으나, 직류기기 본체의 유입홈에 감아 결착하는 전원플러그 본체의 걸림돌기가 전원플러그 본체를 이루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 및 선행기술의 회전 돌림식 착탈 구조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직류기기 본체로부터 플러그 본체를 한 손으로 착탈 할 수 있고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직류기기 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필요 전원을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기 위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되어 전원플러그의 입력전원을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체와, 전원 플러그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전원 플러그 플레이트의 자유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부를 구비한 상부케이스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부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상호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과; 공지 형상의 전원플러그 와 결합되고, 이 전원플러그의 입력전원을 상부케이스의 전극체에 전달하는 도체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체결부와 연동하여 체결되고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푸쉬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레일부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의 도체는 전원플러그 몸체의 전극봉 및 접지극과 결합되는 리벳구조에 의해 전원 플러그 몸체와 전원플러그 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부케이스의 전극체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접점구간을 형성하되, 그 접점구간이 도체가 접면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갖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극체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에서 이루고 있는 도체의 간격과 일치하게 배열 구성하되, 양단을 절곡하여 상부케이스의 삽지구에 조립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부케이스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부케이스의 체결부는 개구된 일측에 복수의 걸림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상부케이스와 접합되어 일측의 걸림구만 상하 유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벌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손으로도 서로 필연적인 관계에 있는 직류기기와 전원플러그를 필요에 따라 결합과 탈거를 슬라이딩식으로 가능하게 구성하여 각 국가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극봉을 적용한 전원플러그를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국가 간에 이동한 상태에서도 직류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각 국가에 맞는 전원플러그를 구비하는 것만으로도 직류기기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별도로 직류기기에 이르기까지 새로이 구입해야하는 불편과 함께 경제적 손실도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으로 직류기기와 전원플러그를 착탈하는 구조라 하더라도 전기적으로 이루어지는 통전상태와 함께 견고한 결합력을 가지게 되어 어떠한 충격에도 견고성이 확보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에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기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분리 구성도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류기기는 단락별로 분리하면, 크게 하부케이스(100)와, 인쇄회로기판(200)과, 상부케이스(300)와 전원플러그플레이트(400) 및 인쇄회로기판에서 변환 처리된 전원을 외부기기에 송전하기 위한 연결잭(500)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하부케이스(100)는 상부케이스(300)와 함께 각기 나사탭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101)(301)를 서로 대향하게 입설하고, 그 사이에 인쇄회로기판(200)을 적층한 후 상부케이스(300)의 관통구(302)를 통해 나사(303)로 체결하여 상부케이스(30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납땜면과 상부케이스(300)의 후술하는 전극체(306)간에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250)을 더 설치 구성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출력부측에는 변환 처리된 전원을 외부기기에 송전하기 위한 연결잭(5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잭(500)은 상,하부케이스(300)(100)의 일측 에 형성된 반원 고정구(102)(304)에 의해 결합지지된다.
상기에서 절연판(250)의 고정은 상부케이스(300)의 배면 벽판((절곡부분)에 적어도 4방향에서 협지할 수 있도록 끼움홈을 형성하여 이 끼움홈에 끼우는 방법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케이스(300)(100)의 각 반원고정구(102)(304) 양측에는 각각 걸림돌기(305)와 걸림홈(103)을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에 의해 상,하부케이스(300)(100)의 나사(303)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준다.
한편, 상기한 상부케이스(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410)로부터의 입력전원을 인쇄회로기판(2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체(306)와, 전원 플러그 플레이트(400)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부(307)와, 상기 전원 플러그 플레이트의 자유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부(30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전극체(30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전원플러그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접점구간(315)을 형성하되, 그 접점구간이 도체(402)와 접면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갖도록 판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반발력의 형태는 접점구간(315)에 걸쳐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도 체(402)와 잘 접촉될 수 있도록 볼록한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가 상부케이스(300)의 가이드부(307)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될 때, 도체(402)의 저면부가 전극체(306)의 접점구간(315)에 맞닿은 상태로 전진 이동하게 되면서 전극체(306)의 볼록한 접점구간(315)을 하부케이스(100)측 방향으로 압축되어 긴밀한 통전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전극체(306)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에서 이루고 있는 도체(402)의 간격과 일치하게 배열 구성하고, 이 전극체(306)의 각 양단을 절곡하여 상부케이스(300)에 형성된 삽지구(309)에 탄지시켜 삽지구(309)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가이드부(30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300)의 양단에 형성되어 적어도 일측에서 끼워지고 빠지도록 하는 격자형태의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격자형태의 슬리이딩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스(300)의 가이드부(307)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를 안내하여 끼워지고 빠지는 이동구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부케이스(300)의 이동구간 끝에는 전원플러그플레이트(400)의 전진(결합)을 제한하는 스토퍼(310)가 더 구성된다.
이때 스토퍼(310)에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가 도착 완료되면,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도체(402)는 상부케이스(300)의 전극체(306)의 접점구간(315) 중 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상부케이스(300)의 체결부(308)는 일측이 상부케이스(300)와 접합되는 타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복수의 걸림구(320)를 돌출 형성하되, 그 걸림구(320)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푸쉬부(401)에 의해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도록 연동 구성된다.
상기에서 연동 체결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저면에 푸쉬부(401)의 양측으로 상부케이스(300)의 걸림구(320)와 동일한 구조의 걸림구(402)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체결구조는 상부케이스(300)의 가이드부(307)에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가 진입할 때 상부케이스(300)와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각 걸림구(320)(402)의 경사면이 서로 접면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체결부(308)를 하부케이스(100)측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서 체결부(308)는 전원플러그플레이트(400)가 있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갖게 된다.
이후, 최종 진입이 완료되면 하부케이스(100) 방향으로 밀리었던 체결부(308)가 반발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걸림구(402)와 상부케이스(300)의 걸림구(320)는 서로 엇갈리는 후크걸이식으로 체결된다.
한편,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는 도 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국 가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극봉(420)이 채용된 전원플러그(410)와, 이 전원플러그(410)의 입력전원을 상부케이스(300)의 전극체(306)에 전달하는 도체(405)와,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체결부(308)와 연동하여 체결되고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푸쉬부(401)와,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가이드부(307)를 따라 자유 이동하는 레일부(415)와,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걸림구(320)와 대응하는 걸림구(4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푸쉬부(4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300)의 체결부(308)의 일측면이 접면된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일측면을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에 접면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전원플러그(410)는 각 국가별로 규정하고 있는 전극봉(420)을 채용하여 사출한 구성이나, 이는 각 국가별로 채택하고 있는 콘센트의 형식에 준하도록 전극봉(420)의 구조 및 전극봉 상호간의 간격을 달리하도록 구성된다.
각 국가별로 채택하고 있는 콘센트의 형식에 맞도록 설계된 전극봉(420)의 구조 및 전극봉 상호간의 간격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2와 같은 형태의 전원 플러그(410)는 한국 및 유럽에서 채택하고 있는 규격의 전극봉(420)을 채용한 것이고, 도 6의 전극봉(455)은 일본에서 실시하고 있는 일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전극봉은 도 2와 같은 형태로 전원플러그(410)를 형성하여 전원플 러그 플레이트(40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또는 별도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을 사출하여 전원플러그(410)의 전극봉(420) 단부에 리베팅 구조를 갖는 도체(405)를 압착하는 방법으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와 전원플러그(410)를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극봉을 납작한 형태를 취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455)의 일부를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에 관통시킨다음 그 단부를 절곡하여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배면에 접면토록 하여 도체(405)와 리베팅 결합하거나 또는 사출 성형할 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에 전극봉을 함침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상부케이스(300)의 가이드부(307)를 따라 자유 이동하는 레일부(415)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걸쳐 푸쉬부(401)의 면보다 낮게 단턱되어 상부케이스(300)에 형성된 가이드부(307)의 슬라이드구조에 잘 적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200)을 하부케이스 (100)에 내장한 후, 상부케이스(300)의 관통구(302)를 통해 나사(303)를 체결하는 과정에 의해 직류기기의 본체를 이루는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30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국가에 맞는 전극봉에 채용된 도 2 또는 도 6의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를 선택하여 상부케이스(300)의 가이드부(307)에 끼운 다음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를 밀어주게 되면, 레일부(415)가 가이드부(307) 에 안내되어 이동하게 되면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단부가 상부케이스(300)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310)에서 멈추게 된다.
이때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가 상부케이스(300)의 스토퍼(310)측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배면에 설치된 도체(405)는 상부케이스(300)의 전극체(306)와 접동하게 되면서 볼록한 구조의 전극체(306)를 인쇄회로기판(200)측으로 압축시켜 전기적인 통전관계를 긴밀하게 유지시켜 준다.
이와 동시에,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구(402)는 그 경사면이 상부케이스(300)의 체결부(308)에 형성된 걸림구(320)의 경사면과 섭동되면서 상부케이스(300)의 체결부(308)를 하부케이스(100)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섭동관계가 해제되는 시점에 이르게 되면 하부케이스(100)측 방향으로 밀리었던 상부케이스(300)의 체결부(308)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상부케이스(300)의 걸림구(320)와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걸림구(402)가 결착된다.
상기와 같이 결착된 상태에서는 각 걸림구(320)(402)의 걸림턱이 서로 마주 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며, 이는 가이드부(307)에 끼워져 있는 레일부(415)에 의해서도 긴밀한 결합관계를 유지시켜 준다.
다음은 상부케이스(300)에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를 교체하고자 탈거시키는 과정이다.
즉,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에 형성되어 있는 푸쉬부(401)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면서 밀게 되면, 푸쉬부(401)가 밑으로 내려가 면서 일측이 접면되어 있는 상부케이스(300)의 체결부(308)를 하부케이스(100)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체결부(308)의 걸림구(320)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걸림구(402)와 대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밑으로 빠지게 되어 쉽게 탈거가 이루어지는 전환상태에 있게 되고, 미는 힘에 의해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는 상부케이스(300)에서 쉽게 탈거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직류기기로서,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일실시예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부케이스와 전원플러그 플레이트간에 이루어지는 슬리이딩식 결합구조 역시 동일한 개념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직류기기는 일실시예의 직류기기가 갖고 있지 아니하는 구성만 설명한다.
즉, 상부케이스(600)는 그 양단에 가이드부(601)와 탈착부(602)를 형성하고, 전원플러그 플레이트(700)는 그 양측에 후크걸이부(701)를 형성하고, 이 후크걸이부(701)의 전 후에 각각의 레일편(702,703)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 구성의 작용관계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700)의 양 선단에 형성된 레일편(702)을 상부케이스(600)의 가이드부(601)에 끼운 다음, 내측 방향으로 밀게 되면, 후크걸이부(701)가 가이드부(601)에 접동되면서 내측으로 압축되고, 이 압축은 상부케이스(600)의 탈착부(602)에서 해제되면서 후크걸이부(701)의 걸림턱(704)이 가이드부(601)를 이루는 벽체에 착지되어 전원플러그 플레이트(700)가 상부케이스(600)와 결합된다.
이와는 반대로 탈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케이스(600)의 탈착부(602)에 위치하고 있는 후크걸이부(701)를 내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가이드부(601)의 벽체에 착지된 걸림턱(704)이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700)를 잡아 당기면 상부케이스(600)에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700)가 쉽게 탈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기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기기의 분리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상부케이스와 전원플러그 플레이트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전극체와 도체의 통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2의 푸쉬부와 체결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케이스 101 : 보강리브
102 : 고정구 103 : 걸림홈
200 : 인쇄회로기판 250 : 절연판
300, 600 : 상부케이스 301 : 보강리브
302 : 관통구 303 : 나사
304 : 반원고정구 305 : 걸림돌기
306 : 전극체 307,601 : 가이드부
308 : 체결부 309 : 삽지구
310 : 스토퍼 315 : 접점구간
320, 402 : 걸림구
400, 450, 700 : 전원플러그 플레이트
401 : 푸쉬부 405 : 도체
410 : 전원플러그 415 : 레일부
420 : 전극봉 455 : 전극봉
602 : 탈착부 701 : 후크걸이부
702, 703 : 레일편 704 : 걸림턱

Claims (6)

  1.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필요 전원을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200)을 내장하기 위한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결합되어 전원플러그(410)의 입력전원을 인쇄회로기판(2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체(306)와, 전원 플러그 플레이트(400)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부(307)와, 상기 전원 플러그 플레이트(400)의 자유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부(308)를 구비한 상부케이스(3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00)과 상부케이스(300)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상호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250)과;
    공지 형상의 전원플러그(410)와 결합되고, 이 전원플러그(410)의 입력전원을 상부케이스(300)의 전극체(306)에 전달하는 도체(405)와,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체결부(308)와 연동하여 체결되고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푸쉬부(401)와,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가이드부(307)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레일부(415)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도체(405)는 리벳구조를 형성하여 전원플러그(410)의 전극봉 및 접지극과 결합되고 전원 플러그(410)와 전원플러그 플레이 트(400)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300)의 전극체(306)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접점구간(315)을 형성하되, 그 접점구간(315)이 도체(405)가 접면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갖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전극체(306)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에서 이루고 있는 도체(405)의 간격과 일치하게 배열 구성하되, 양단을 절곡하여 상부케이스(300)의 삽지구(309)에 조립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300)는 전원플러그 플레이트(400)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31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300)의 체결부(308)는 개구된 일측에 복수의 걸림구(320)를 형성하고, 타측에 상부케이스(300)와 접합되어 일측의 걸림구(320)만 상하 유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KR1020070110435A 2007-10-31 2007-10-31 직류기기 KR10079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35A KR100799891B1 (ko) 2007-10-31 2007-10-31 직류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35A KR100799891B1 (ko) 2007-10-31 2007-10-31 직류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891B1 true KR100799891B1 (ko) 2008-02-05

Family

ID=3934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435A KR100799891B1 (ko) 2007-10-31 2007-10-31 직류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8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876U (ko) * 1993-07-28 1995-02-18 전원 플러그
KR950028762U (ko) * 1994-03-29 1995-10-20 김중신 110v/220v 자동 전압 절환이 가능한 아답터
KR19980020066U (ko) * 1996-10-09 1998-07-15 황은규 Ac/dc변환 아답터용 보조플러그의 착탈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876U (ko) * 1993-07-28 1995-02-18 전원 플러그
KR950028762U (ko) * 1994-03-29 1995-10-20 김중신 110v/220v 자동 전압 절환이 가능한 아답터
KR19980020066U (ko) * 1996-10-09 1998-07-15 황은규 Ac/dc변환 아답터용 보조플러그의 착탈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734B2 (en) Power tool with battery power supply
US7654838B1 (en) Universal-conversion power cable
KR101214847B1 (ko)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CN107181115B (zh) 自由更换插头的电源插座
US9484682B2 (en) USB socket
US7705706B2 (en) Plug with replaceable fuse
KR20120030426A (ko) 연결가능한 전기 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KR100799891B1 (ko) 직류기기
KR20090021047A (ko)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KR102510834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접속 기구
KR101568151B1 (ko) 퓨즈 홀더
KR20110100490A (ko) 원터치 분리가능한 전기플러그
JP5041911B2 (ja) プラグ引き抜き工具
EP3896801A1 (en) Power plug retention clip
KR20160142688A (ko) 복합 콘센트
KR100799890B1 (ko)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CN107196164B (zh) 转接器、光源装置和照明设备
KR200419225Y1 (ko)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20090006705U (ko) 터미널탈거공구
KR10184064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KR200409086Y1 (ko) 전원 공급장치
KR101869761B1 (ko)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CN212412248U (zh) 对插式接线装置和带有对插式接线装置的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