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890B1 -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890B1
KR100799890B1 KR1020070059095A KR20070059095A KR100799890B1 KR 100799890 B1 KR100799890 B1 KR 100799890B1 KR 1020070059095 A KR1020070059095 A KR 1020070059095A KR 20070059095 A KR20070059095 A KR 20070059095A KR 100799890 B1 KR100799890 B1 KR 10079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ain body
power plug
piec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희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07005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코드 없이 벽 콘센트에 직접적으로 꽂아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 사용하는 어댑터, 충전기 등과 같은 직류기기의 전원 플러그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전원플러그의 상용전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봉이 국가 별로 규격을 각기 다르게 규정하고 있어 플러그의 전극봉이 다른 국가의 콘센트와 규격이 맞지 않아 사용할 수 없도록 됨으로써 별도로 직류기기를 새로이 구입해야 한다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원코드 없이 벽 콘센트에 직접적으로 꽂아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 사용하는 어댑터 또는 충전기 등과 같은 직류기기본체에 있어서, 상기 직류기기본체(10)에 수용공간부(11)를 형성하여 이 수용공간부(11)에 국가마다 규정하고 있는 규격의 전극봉(21')(22')을 갖는 전원플러그 본체(20)를 안착하여 이 전원플러그 본체(20)의 전극봉(21')(22')과 일체로 연장되는 전극접촉단자(21)(22)가 직류기기본체(10)의 인쇄회로기판(15)에 고정되는 탄성전극편(30)에 결합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를 제공하여, 서로 필연적인 관계에 있는 직류기기와 전원플러그를 필요에 따라 결합과 탈거가 가능하게 구성하여 각 국가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극봉을 적용한 전원플러그를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국가간에 이동한 상태에서도 직류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각 국가에 맞는 전원플러그를 구비하는 것만으로도 직류기기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별도로 직류기기에 이르기까지 새로이 구입해야하는 불편과 함께 경제적 손실도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전원플러그. 직류기기. 어뎁터, 충전기

Description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CONSTRUCTION IN PLUG PUT AND EXTRACT OF DIRECT CURRENT FIXTURE}
도 1은 종래에 의한 직류기기의 전원 플러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기기본체와 전원 플러그본체의 분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기기본체와 전원 플러그본체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전극편의 일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전극편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전극편의 동작설명을 위한 평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전극편의 동작설명을 위한 정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기기본체와 전원 플러그본체의 결합과정을 설명 하기 위한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직류기기본체 11 : 수용공간부
12, 12a : 유입홈 및 걸림홈 13 : 장공구
15 : 인쇄회로기판 20 : 전원플러그본체
21,22 : 전극접촉단자 21',22' : 전극봉
21a : 결착홈 21b : 착지편
23,23a : 걸림돌기 및 입설편 24 : 접지봉접촉단자
30 : 탄성전극편 31 : 전극체
32 : 협지부 33 : 개구부
34 : 납땜부 35 : 절개부
36 : 탄성안내편자 40 : 고정편
41 : 관통구
본 발명은 전원코드 없이 벽 콘센트에 직접적으로 꽂아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 사용하는 어댑터, 충전기 등과 같은 직류기기의 전원 플러그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국가별로 규격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는 전원플러그를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류기기를 새로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한 직류기기의 전원 플러그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주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 또는 건전지를 주전원으로 하는 소형 기기에 있어서는 장기간 여행할 경우 비용절감을 위해 주로 충전용 건전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충전기를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래의 충전기 및 어댑터(이하 '직류기기'라 함)는 공급전원의 전압크기에 관계없이 필요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프리 볼테이지 형태로서, 도 1에 도시한 일예와 같이, 벽체 또는 적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 받기 위한 전원플러그가 직류기기에 구비되는데, 대부분의 직류기기(1)는 비교적 소형인 관계로 대부분 전극봉(3)이 함침된 전원 플러그(2)를 일체로 사출하여 분해되지 않도록 제조되거나, 또는 직류기기(1)에 별도의 전원 플러그(2)를 전원선(도면부호 미표시)으로 연결하여 이 역시 분해되지 않도록 제조하여 왔다.
통상 앞서 개시한 충전기, 어댑터와 같은 직류기기는 충전할 때나 전자기기에 필요 전원을 공급하는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기에 어느 국가에서도 규제 받지 않고 사용할 수는 있지만, 그러나 문제는 전원플러그의 상용전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봉이 국가 별로 규격을 각기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는데 있다.
한 일예로, 도 1에 도시한 직류기기(1)와 일체로 사출된 전원 플러그(2)의 전극봉(3)이 대한민국에서 규정한 규격으로 제작된 것이라면 이는 대한민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다른 국가에서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러그의 전극봉이 다른 국가의 콘센트와 규격이 맞지 않아 사용할 수 없도록 됨으로써 별도로 직류기기를 새로이 구입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직류기기와 전원플러그를 착탈되게 구성하고, 직류기기에 각 국가별로 대응하는 규격의 전극봉이 적용된 전원플러그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직류기기를 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부가적인 목적은 전원코드가 없이 전원플러그와 직류기기가 견고하게 체결되고, 필요에 따라 분리가 용이한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를 제공함에도 있다.
상기에서 '세계적으로 사용'이라 함은 예컨대, A국가에서 구입한 직류기기를 다른 B, C, D국가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A ~ D'는 각각의 국가 명을 의미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반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전원코드 없이 벽 콘센트에 직접적으로 꽂아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 사용하는 어댑터 또는 충전기 등과 같은 직류기기본체에 있어서, 상기 직류기기본체(10)에 수용공간부(11)를 형성하여 이 수용공간부(11)에 국가마다 규정하고 있는 규격의 전극봉(21')(22')을 갖는 전원플러그 본체(20)를 안착하여 이 전원플러그 본체(20)의 전극봉(21')(22')과 일체로 연장되는 전극접촉단자(21)(22)가 직류기기본체(10)의 인쇄회로기판(15)에 고정되는 탄성전극편(30)에 결합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기기본체와 전원 플러그본체의 분리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기기본체와 전원 플러그본체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10은 충전기 또는 어댑터에 해당하는 직류기기본체이고, 20은 전원플러그 본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직류기기본체(10)는 전면에 전원플러그본체(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11)와, 이 수용공간부(11)의 전면에 전원플러그의 본체(20)에 형성된 걸림돌기(23)를 감아 결착하는 복수의 유입홈(12) 및 전원플러그 본체(20)의 전극접촉단자(21)(22) 및 접지접촉단자(24)가 관통되는 3개의 장공구(13)가 형성된다.
또한, 직류기기본체(10)의 내부에는 직류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인쇄회로기판(15)이 고정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5)에는 상기 전극접촉단자(21)(22) 및 접지접촉단자(24)를 협지하는 3개의 탄성전극편(30)이 납땜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전원플러그본체(20)는 일측으로 도시 생략된 콘센트에 꽂는 전극봉(21')(22')과, 접지편(2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으로는 상기 전극봉(21')(22')과 일체로 연결되고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전극접촉단자(21)(22) 및 접지접촉단자(24)와, 상기 직류기기본체(10)의 유입홈(12)에 감아 결착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3)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전극봉(21')(22')과 일체로 연결되는 전극접촉단자(21)(22)는 공통적으로 탄성전극편(30)의 협지부(32)에 최종 안착되는 결착홈(21a)과, 상기 탄성전극편(30)의 절개부(35)를 따라 삽착되는 착지편(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복수개의 걸림돌기(23)는 격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기(23)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된 유입홈(12)에 삽입한 후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체결되고 반대로 돌릴 경우에는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3)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된 유입홈(12)은 입구가 비교적 넓게 형성하여 걸림돌기(23)의 입출을 자유롭게 하고, 이 유입홈(12)은 직류기기본체(10)의 전면 벽체 내부로 갈수록 비교적 길게 걸림홈(12a)을 형성하여 걸림돌기(23)의 이동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걸림돌기(23)와 유입홈(12)은 서로 상응하는 개수로 구성되며, 이들의 상호간에는 돌려서 끼워 고정되고 반대로 돌려서 다시 해체되는 구조이어 걸림돌기(23)의 입설편(23a)과 유입홈(12)의 걸림홈(12a) 역시 원호를 형성하는데 적합하도록 하는 원의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15)에 고정되는 상기한 3개의 탄성 전극편(30)은 공통적으로 이와 상응하는 개수로 구성되는 장공구(13)와 함께 이 역시 전원플러그본체(20)가 직류기기본체(10)에서 돌려 끼우고 반대로 돌려 해체시키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원호선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3개의 탄성전극편(30)은 도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적으로 상기 전극접촉단자(21)을 수용하여 협지하는 전극체(31)와, 이 전극체(31)의 양측을 연장하여 적어도 복수로 절곡하여 상기 전극접촉단자(21)의 결착홈(21a)을 협지하는 협지부(32)와, 상기 전극접촉단자(21)의 결착홈(21a)이 인입시에 벌어지고 이 결착홈(21a)이 협지부(32)에 안착시에는 다시 복원되는 개구부(33)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5)에 탄성전극편(30)을 접속 고정하기 위한 납땜부(34)와, 상기 전극접촉단자(21)의 단부에 형성된 착지편(21b)의 이동로로 제공되면서 이 착지편(21b)을 전극체(31)와 탄성안내편자(36) 사이에서 압착하는 절개부(35)와, 상기 전극접촉단자(21)의 착지편(21b)과 맞닿은 상태로 각 전극접촉단자(21)를 협지부(32)측으로 가이드하는 탄성안내편자(36)를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탄성전극편(30)은 전극체(31)를 정점으로 하여 개구부(33)가 내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며, 또한 탄성안내편자(36)는 전극접촉단자(21)가 인입되는 방향(상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전극봉(21')(22')은 각 국가마다 규격을 달리하고 있으므로 각 국가마다 규정하고 있는 규격(굵기, 길이, 구조)으로 구성하되, 이와 일체로 연결된 전극접촉단자(21)(22) 및 접지접촉단자(24)는 각 국가마다 특별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므로 도면에 도시하고 전술에서 설명한 구조(굵기, 길이 무관) 그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전극편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탄성전극편(30)은 인쇄회로기판(15)에 납땜 고정이 아니라, 별도의 나사(도면부호 미표시)를 통해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납땜부(35)의 대체로 고정편935)과, 이 고정편(40)에 관통구(41)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직류기기본체(10)와 전원플러그(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들을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직류기기본체(10)의 수용공간부(11)에 형성된 각 장공구(13)와 유입홈(12)에 전원플러그본체(20)의 전극접촉단자(21)(22)와 접지접촉단자(24) 및 4개의 걸림돌기(23)를 맞추어 밀면서 전원플러그본체(2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전극접촉단자(21)(22)와 접지접촉단자(24)는 직류기기본체(10)의 각 장공구(13)를 통과하여 내부의 인쇄회로기판(15)에 납땜 고정되어 있는 탄성전극편(30)의 탄성안내편자(36)의 끝단을 밀게 되면서 이 탄성안내편자(36)를 따라 전극체(31)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진압되는 전극접촉단자(2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결착홈(21a)이 탄성전극편(30)의 개구부(33)를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협지부(32)에 안착되고 이 협지부(32)에 결착홈(21a)이 안착시에는 상기 개구부(33)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고 있으므로 전극접촉단자(21)(22)의 결착홈(21a)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탄성전극편(30)의 탄성안내편자(36) 역시 항상 상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서 전극접촉단자(21)(22)의 착지편(21b)을 더욱 긴밀하게 탄지하게 되어 전원플러그본체920)의 전원공급라인(전극봉,전극접촉단자 및 탄성전극편)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5)에 전원공급이 잘 통전될 수 있도록 보다 긴밀하게 탄지하게 된다.
그리고 전극접촉단자(21)(22)의 착지편(21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극체(31)의 절개부(35)를 따라 진입하게 되면서 최종의 위치에 착지하게 되며, 이때 최종의 위치에 착지된 상태에서의 전극접촉단자(21)(22)는 착지편(21b)이 전극체(31)의 양 날개와 탄성안내편자(36)의 사이에 걸림하게 되어 전원플러그본체(20)가 직류기기본체(10)에 보다 긴밀하게 접촉되어 어떠한 충격이 있더라도 견고한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전원플러그본체(20)로부터 직류기기본체(10)에 전원공급의 통전상태를 이루는 결합과정과 동시에 전원플러그본체(20)의 각 걸림돌기(23)는 도 8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류기기본체(10)의 유입홈(12)에 진입시킨 후 전원플러그본체(2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전원플러그본체(20)의 입설편(23a)이 직류기기본체(10)의 전면벽체내에 형성된 걸림홈(12a)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도 8의 (c)와 같은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23)가 직류기기본체(10)의 걸림홈(12a)의 최종 위치까지 진입된 상태에서는 전원플러그본체(20)의 후면(걸림돌기(23)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 직류기기본체(10)의 수용공간부(11)에 형성된 전면과 밀착되면서 전원플러그본체(20)가 직류기기본체(10)에 유격 발생함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전원플러그본체(20)의 걸림돌기(23)가 직류기기본체(10)의 전면 벽두께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2a)의 최종 위치에서 긴밀하게 접 촉하고 있는 관계로 어떠한 충격을 가하더라도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결합관계에서 전원플러그본체(20)의 입설편(23a)의 길이와 직류기기본체(10)의 유입홈(12)의 길이는 거의 일치하게 형성되며, 또한 전원플러그본체(20)의 걸림돌기(23)가 이동하는 길이인, 직류기기본체(10)의 유입홈(12)에서 걸림홈(12a)의 종착점에 이르기까지 길이와 전극접촉단자(21)의 결착홈(21a)이 탄성전극편(30)의 협지부(32)에 탄착되는 지점까지의 길이는 동일하게 구성하고, 상기 전극접촉단자(21)를 진입 안내하는 탄성안내편자(36) 역시 전극접촉단자(21)가 이동 안내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연장하여 구성하되, 전극접촉단자(21)이 회동되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직류기기본체(10)와 전원플러그본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탈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결합과정의 역순으로 전원플러그본체(20)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전원플러그본체(20)의 전극접촉단자(21)(22)는 직류기기본체(10)내 탄성전극편(30)의 협지부(32)와 절개부(35)에 안착되어 있던 전극접촉단자(21)(22)의 각 결착홈(21a)과 착지편(21b)이 전극체(31)의 개구부(33)를 밀게 되면서 절개부(35) 및 탄성안내편자(36)을 따라 회동되어 장공구(13)를 통해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원플러그본체(20)의 각 걸림돌기(23)는 공통적으로 직류기기본체(10)의 걸림홈(12a)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걸림홈(12a)의 이동로를 따라 회동되면서 유입홈(12)의 위치에서 인출이 가능하게 되어 직류기기본체(10)로부터 전원플러그본체(20)가 탈거된다.
이와 같이 직류기기본체(10)로부터 전원플러그본체(20)가 탈거된 상태에서는 탄성전극편(30)의 개구부(33)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복원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탄성안내편자(36)는 전극접촉단자(21)가 있는 상방향으로 복원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에 의하면, 서로 필연적인 관계에 있는 직류기기와 전원플러그를 필요에 따라 결합과 탈거가 가능하게 구성하여 각 국가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극봉을 적용한 전원플러그를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국가간에 이동한 상태에서도 직류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각 국가에 맞는 전원플러그를 구비하는 것만으로도 직류기기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별도로 직류기기에 이르기까지 새로이 구입해야하는 불편과 함께 경제적 손실도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으로 직류기기와 전원플러그를 착탈하는 구조라 하더라도 전기적으로 이루어지는 통전상태와 함께 견고한 결합력을 가지게 되고 이를 걸림돌기 및 걸림홈을 통해서도 2차적으로 결합력을 갖게 됨으로써 어떠한 충격에도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전원코드 없이 벽 콘센트에 직접적으로 꽂아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 사용하는 어댑터 또는 충전기 등과 같은 직류기기본체에 있어서,
    상기 직류기기본체(10)에 수용공간부(11)를 형성하여 이 수용공간부(11)에 국가마다 규정하고 있는 규격의 전극봉(21')(22')을 갖는 전원플러그 본체(20)를 안착하여 이 전원플러그 본체(20)의 전극봉(21')(22')과 일체로 연장되는 전극접촉단자(21)(22)가 직류기기본체(10)의 인쇄회로기판(15)에 고정되는 탄성전극편(30)에 결합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류기기본체(10)에는 전원플러그본체(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11)와, 이 수용공간부(11)의 전면에 전원플러그 본체(20)에 형성된 걸림돌기(23)를 감아 결착하는 복수의 유입홈(12) 및 전원플러그 본체(20)의 전극접촉단자(21)(22) 및 접지접촉단자(24)가 관통되는 3개의 장공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5)에 상기 전극접촉단자(21)(22) 및 접지접촉단자(24)를 협지하는 3개의 탄성전극편(30)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 본체(20)는 콘센트에 꽂는 전극봉(21')(22')과, 접지편(2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으로는 상기 전극봉(21')(22')과 일체로 연결되고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전극접촉단자(21)(22) 및 접지접촉단자(24)와, 상기 직류기기본체(10)의 유입홈(12)에 감아 결착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3)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 본체(20)의 전극봉(21')(22')과 일체로 연결되는 전극접촉단자(21)(22)는 공통적으로 탄성전극편(30)의 협지부(32)에 최종 안착되는 결착홈(21a)과, 상기 탄성전극편(30)의 절개부(35)를 따라 삽착되는 착지편(2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 본체(20)의 복수개의 걸림돌기(23)는 격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기(23)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된 유입홈(12)에 삽입한 후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체결되고 반대로 돌릴 경우에는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 탄성전극편(30)은 전극접촉단자(21)을 수용하여 협지하는 전극체(31)와, 이 전극체(31)의 양측을 연장하여 적어도 복수로 절곡하여 상기 전극접촉단자(21)의 결착홈(21a)을 협지하는 협지부(32)와, 상기 전극접촉단자(21)의 결착홈(21a)이 인입시에 벌어지고 이 결착홈(21a)이 협지부(32)에 안착시에는 다시 복원되는 개구부(33)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5)에 탄성전극편(30)을 접속 고정하기 위한 납땜부(34)와, 상기 전극접촉단자(21)의 단부에 형성된 착지편(21b)의 이동로로 제공되고 이 착지편(21b)을 전극체(31)와 탄성안내편자(36)사이에서 압착하는 절개부(35)와, 상기 전극접촉단자(21)의 착지편(21b)과 맞닿은 상태로 각 전극접촉단자(21)를 협지부(32)측으로 가이드하는 탄성안내편자(36)를 일체로 구성하여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탄성전극편(30)의 전극체(31)를 정점으로 하는 개구부(33)는 내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며, 탄성안내편자(36)는 전극접촉단자(21)가 인입되는 방향(상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KR1020070059095A 2007-06-15 2007-06-15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KR100799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95A KR100799890B1 (ko) 2007-06-15 2007-06-15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95A KR100799890B1 (ko) 2007-06-15 2007-06-15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890B1 true KR100799890B1 (ko) 2008-02-11

Family

ID=3934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095A KR100799890B1 (ko) 2007-06-15 2007-06-15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88B1 (ko) * 2013-11-14 2014-04-17 박희복 플러그형 직류전원장치 제조방법 및 그 결합구조
KR101963977B1 (ko) * 2017-11-10 2019-04-01 주식회사 워터세이빙 멀티콘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8964A (en) 1998-03-17 1999-12-07 Ipr Industries, Ltd. Portable appliance charging system
KR200212538Y1 (ko) 2000-08-22 2001-02-15 치우-솬 리 간이 멀티타입 암수형 커넥터
JP2004335352A (ja) 2003-05-09 2004-11-25 Izutsu Seisakusho:Kk アダプタープラグ
US7223126B2 (en) 2003-08-21 2007-05-29 Helms-Man Industrial Co., Ltd. Plug device with a plug adap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8964A (en) 1998-03-17 1999-12-07 Ipr Industries, Ltd. Portable appliance charging system
KR200212538Y1 (ko) 2000-08-22 2001-02-15 치우-솬 리 간이 멀티타입 암수형 커넥터
JP2004335352A (ja) 2003-05-09 2004-11-25 Izutsu Seisakusho:Kk アダプタープラグ
US7223126B2 (en) 2003-08-21 2007-05-29 Helms-Man Industrial Co., Ltd. Plug device with a plug adap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88B1 (ko) * 2013-11-14 2014-04-17 박희복 플러그형 직류전원장치 제조방법 및 그 결합구조
KR101963977B1 (ko) * 2017-11-10 2019-04-01 주식회사 워터세이빙 멀티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6522B (zh) 電池組和組裝電池組的方法
US9484682B2 (en) USB socket
US5540596A (en) Electric plug for supplying current to electric appliances
US11864720B2 (en) Rechargeable battery for powering a vacuum cleaner
CN103262348A (zh) 用于接线装置的端子结构
US8398428B2 (en) Reel for minimizing unreeled cable length
EP2876986B1 (en) Housing, bobbin, and electronic device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US9385548B2 (en) Charger with replaceable plug
KR100799890B1 (ko)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JPH06233874A (ja) 電気器具
JP2010027246A (ja) 直流コンセント
JP5319473B2 (ja) 差込接続器
US11431224B2 (en) Power and home tools
JP2010067458A (ja) 直流コンセント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セント装置
EP3349318A1 (en) Surge protection device base
CN105449409A (zh) 连接器基座、连接器组件及应用连接器组件的网络设备
CN220586609U (zh) 美容仪
KR20140118640A (ko) 차단기가 일체로 결합된 콘센트
CN219892485U (zh) 收缩数据线充电模块及插座
JP2010073351A (ja) 配線装置
JP2010129232A (ja) 防水コンセント
CN212412248U (zh) 对插式接线装置和带有对插式接线装置的灯具
CN109950445B (zh) 电池盒装配方法
JP2004031088A (ja) 配線用差込接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