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645B1 -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645B1
KR101840645B1 KR1020160014156A KR20160014156A KR101840645B1 KR 101840645 B1 KR101840645 B1 KR 101840645B1 KR 1020160014156 A KR1020160014156 A KR 1020160014156A KR 20160014156 A KR20160014156 A KR 20160014156A KR 101840645 B1 KR101840645 B1 KR 10184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hargeable battery
battery
plate
space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900A (ko
Inventor
서동혁
Original Assignee
서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혁 filed Critical 서동혁
Priority to KR102016001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6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01M2/103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팩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에 있어서, 직류전원 어댑터와 USB케이블을 포함하는 직류전원 연결부재와, 상면과 좌,우측면이 개방되고, 후면에 충전용 배터리를 한쪽 면을 안정되게밀착 지지하는 받침 턱이 마련되면서, 바닥면으로 다양한 크기의 충전용 배터리를 수용하는 연장공간으로 마련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크기에 연동하여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공간을 연장하는 길이조절용 확장패널이 구비된 배터리 고정판과, 상기 길이조절용 확장패널은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의 내부 실린더 공간을 왕래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연장된 수용공간으로 구비되는 확장판과, 상기 확장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공간으로 구비되는 안착판과, 상기 확장판 및 안착판의 전,후 이동을 고장력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유도하는 피스톤수단을 포함하며, 전단부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끼워 고정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 상기 USB케이블을 통해 내부에 입출력 전기신호와 각종 통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또는 단속하는 입출력포트가 구비되며, 바닥면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 및 충전하는 수용공간으로 마련되면서, 상기 입출력포트를 통해 별도의 외부 전자기기와 통전되는 전기패널이 내장된 내부 바닥면에 길이방향의 실린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 공간에 길이조절용 확장패널의 길이조절을 단속하는 탄성재질의 로킹핀이 마련되고, 배면 바닥에 상기 로킹핀 단속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로킹핀 제어버튼을 더 포함하는 직류전원 입출력부 및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의 삽입홈에 대응되는 끝단면으로 마련되면서 크기가 다른 충전용 배터리의 접속단자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통전용 접점판을 가진 슬라이드 통전스위치가 형성되되, 상기 통전용 접점판의 통전유무를 체크하는 접점표시램프, 배터리의 충전 진행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램프가 구비되는 통전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전용 접점판은, 통전용 접점핀과 일체로 형성되되, 가압력에 의해 양 끝단이 내측방향으로 수축력이 인가되는 판스프링 클램프와, 상기 판스프링 클램프의 양끝단이 충전용 배터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EXTERNAL BATTERY PACK OF PORTABLE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와 용량을 가진 배터리의 충전과 보관이 가능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와 간편하게 연결하여 출력전원으로 사용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를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범용 직렬 버스(이하 'USB'라고 함) 케이블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고속의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고, 충전 및 작동을 위한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USB는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에 맞도록 설계된 다양한 표준규격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일시적인 충전시켜 공급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은 등록특허공보 제10-1567048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조하는 각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가 제공됨에 따라 해당 기기(즉, 휴대용 전화기)에만 사용할 수 있을 뿐 다른 기기를 구동시키거나 기기 내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데 사용할 수 없는 호환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은 충전용 배터리(리듐 폴리머배터리)의 분리가 불가능한 밀폐된 구조로 있어 배터리와 함께 외장배터리 팩을 모두 폐기하여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고, 나아가 배터리의 분리가 가능한 외장형 배터리 팩의 경우에도 배터리의 소형화와 슬림화가 가속화되어 배터리의 크기와 규격이 다른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각 개인의 가정에 방치되어 폐기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상존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048호 (2015년11월20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한 통전용 접점판을 가진 슬라이드 통전스위치 구조와,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패널이 구비된 배터리 고정판의 구조에 의해, 다양한 크기와 용량을 가진 배터리의 충전과 보관이 가능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와 간편하게 연결하여 출력전원으로 사용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방치되고 폐기되는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구조에 의해, 폐자원의 재활용과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팩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에 있어서, 직류전원 어댑터와 USB케이블을 포함하는 직류전원 연결부재와, 상면과 좌,우측면이 개방되고, 후면에 충전용 배터리를 한쪽 면을 안정되게밀착 지지하는 받침 턱이 마련되면서, 바닥면으로 다양한 크기의 충전용 배터리를 수용하는 연장공간으로 마련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크기에 연동하여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공간을 연장하는 길이조절용 확장패널이 구비된 배터리 고정판과, 상기 길이조절용 확장패널은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의 내부 실린더 공간을 왕래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연장된 수용공간으로 구비되는 확장판과, 상기 확장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공간으로 구비되는 안착판과, 상기 확장판 및 안착판의 전,후 이동을 고장력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유도하는 피스톤 수단을 포함하며, 전단부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끼워 고정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 상기 USB케이블을 통해 내부에 입출력 전기신호와 각종 통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 또는 단속하는 입출력포트가 구비되며, 바닥면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 및 충전하는 수용공간으로 마련되면서, 상기 입출력포트를 통해 별도의 외부 전자기기와 통전되는 전기패널이 내장된 내부 바닥면에 길이방향의 실린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 공간에 길이조절용 확장패널의 길이조절을 단속하는 탄성재질의 로킹핀이 마련되고, 배면 바닥에 상기 로킹핀 단속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로킹핀 제어버튼을 더 포함하는 직류전원 입출력부 및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의 삽입홈에 대응되는 끝단면으로 마련되면서 크기가 다른 충전용 배터리의 접속단자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통전용 접점판을 가진 슬라이드 통전스위치가 형성되되, 상기 통전용 접점판의 통전유무를 체크하는 접점표시램프, 배터리의 충전 진행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램프가 구비되는 통전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전용 접점판은, 통전용 접점핀과 일체로 형성되되, 가압력에 의해 양 끝단이 내측방향으로 수축력이 인가되는 판스프링 클램프와, 상기 판스프링 클램프의 양끝단이 충전용 배터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확장패널이 구비된 배터리 고정판의 구조에 의해, 다양한 크기와 용량을 가진 배터리의 충전과 보관이 가능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와 간편하게 연결하여 출력전원으로 사용가능한 매우 유익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각 제조사별 또는 해당 제품마다 크기나 규격이 맞지 않아 방치되거나 폐기되는 여러 종류로 된 충전용 배터리(B)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여 폐자원의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폐기되는 충전용 배터리(B)에 의한 환경오염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는 매우 큰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고정판과 직류전원 입출력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통전상태 표시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용 배터리와 접점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확장판의 개방상태와 밀폐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고정판과 직류전원 입출력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통전상태 표시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용 배터리와 접점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확장판의 개방상태와 밀폐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팩은, 직류전원 연결부재(100)와, 직류전원 입출력부(200)와, 배터리 고정판(300)과, 통전상태표시수단(400)의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전원 연결부재(100)는 직류전원 어댑터(110)와 USB케이블(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직류전원 연결부재(100)는 직류전원 또는 교류전원을 사용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로 형성되는 직류전원 어댑터(110)와, 후술하는 직류전원 입출력부(200)의 입출력포트(220)에 연결되는 제1 접속부재(121)와, 외부 전자기기(A)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속부재(122)로 구성되는 USB케이블(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직류전원 연결부재(100)는 직류전원 어댑터(110)와 USB케이블(120)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거나,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진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 및 충전하는 수용공간으로 마련된 전단부에 충전용 배터리를 끼워 고정하는 삽입홈(210)이 형성되어 있고, 외 측면에는 상기 USB케이블(120)의 제1 접속부재(121)와 결합되어 직류전원의 입출력신호와 각종 통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 또는 단속하는 입출력포트(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직류전원의 입출력신호를 상기 입출력포트(220)와 후술하는 통전상태표시수단(400)의 통전용 접점판()으로 제공하는 전기패널(230)이 내장되어 있고, 내부 바닥면에 후술하는 길이조절용 확장패널(320)의 확장판(321)이 내부로 왕래하는 길이방향의 실린더 공간(240)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200)는 상기 입출력포트(220)에 끼워 결합되는 상기 USB케이블(120)의 제1 접속부재(121)와 제2 접속부재(122) 및 전기패널(230)과 연결된 통전용 접점판(410)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A)와 충전용 배터리(B)는 직류전원의 입출력신호를 상호 전달하는 구조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200)의 내부 실린더 공간(240)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조절용 확장패널(320)의 확장판(321)이 실린더 공간(240)의 내부로 왕래하면서 충전용 배터리(B)의 수용공간을 연장되게 확장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실린더 공간(240)의 내부에는 상기 확장판(321)이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확장판(321)의 좌우 진행을 단속하는 탄성재질의 로킹핀(241)이 부가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200)의 배면 바닥에는 상기 로킹핀(241)의 가압단속 또는 가압해제를 제어하는 로킹핀 제어버튼(250)이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200)에는 상기 로킹핀 제어버튼(250)의 조작에 의하여, 내부 실린더 공간(240)을 왕래하는 확장판(321)의 길이를 충전용 배터리(B)의 길이에 맞도록 조절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고정판(3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과 좌,우측면이 개방되고, 후면에 충전용 배터리(B)의 한쪽 면을 안정되게 밀착 지지하는 받침 턱(310)이 마련되고, 바닥면으로 다양한 크기의 충전용 배터리(B)를 수용 연장공간으로 사용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B)의 크기에 연동하여 충전용 배터리(B)의 수용공간을 연장하는 길이조절용 확장패널(320)이 구비된다.
즉, 배터리 고정판(300)은 후면에 형성시킨 받침 턱(310)을 기준으로 좌,우측면이 개방되고 길이조절용 확장패널(320)로 구성되는 확장판(321)의 길이조절에 의해 크기와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형태의 충전용 배터리(B)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용 확장패널(320)은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의 내부 실린더 공간(240)을 왕래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B)의 연장된 수용공간으로 구비되는 확장판(321)과, 상기 확장판(32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B)의 수용공간으로 구비되는 안착판(322)과, 상기 확장판(321) 및 안착판(322)의 전,후 이동을 고 장력 스프링 복원력으로 유도하는 피스톤수단(323)이 포함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길이 조절용 확장판(321)은 상기 실린더 공간(240)의 내부로 왕래하면서 충전용 배터리(B)의 크기와 길이에 맞는 배터리 고정판(300)을 제공하게 되고, 안치판(322)은 충전용 배터리(B)의 표준 수용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고 장력 스프링이 내장된 피스톤수단(323)을 내부로 수용하여 전술한 확장판(322)의 좌우 이동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수단(323)은 고 장력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충전용 배터리(B)를 배터리 고정판(300)에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상태표시수단(40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200)의 삽입홈(210)에 대응되는 끝단면과, 상기 배터리 고정판(300)의 상단면의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통전상태표시수단(400)은 상기 배터리 고정판(300)의 상단면에 안치되는 충전용 배터리(B)의 접속단자면에 대응되는 통전용 접점판(410)을 가진 슬라이드 통전스위치(420)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B)의 접속 단자면과 상기 통전용 접점판(410)의 통전유무를 체크하는 접점표시램프(430) 및 충전용 배터리(B)의 충전 진행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램프(440)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용 접점판(4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용 배터리(B)가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200)의 삽입홈(210)에 대응되는 끝단면으로 끼워 삽입되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B)의 접속단자면이 통전용 접점핀(411)을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통전용 접점핀(411)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통전용 접점판(410)과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 클램프(412)로 전달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 클램프(412)는 양 끝단이 내측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되어 상기 삽입홈(210)에 끼워 삽입된 충전용 배터리(B)의 이동을 방지 할 수 있는 고정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 통전스위치(420)는 통전용 접점판(410)의 좌우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된다. 즉, 크기가 다른 충전용 배터리(B)가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200)의 삽입홈(210)에 안치될 때, 도 6a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용 배터리(B)의 접속단자면에 대응되는 위치로 통전용 접점판(410)의 좌우 이동을 수행하게 되어, 각 제조사별로 호환성이 없는 충전용 배터리(B)의 크기와 용량에 관계없이 여러 종류의 충전용 배터리(B)를 선택적으로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가 휴대폰을 변경하는 경우, 각 제조사별 또는 해당 제품마다 규격이 맞지 않아 방치되거나 폐기되는 여러 종류로 된 충전용 배터리(B)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여 폐자원의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폐기되는 충전용 배터리(B)에 의한 환경오염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는 매우 큰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통전스위치(420)에는 충전용 배터리(B)의 접속단자면과 통전용 접점핀(411)의 통전여부를 체크하는 접점표시램프(430)와, 충전용 배터리(B)의 충전 진행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램프(440)가 더 마련된다. 즉, 상기 접점표시램프(430) 및 상기 충전량 표시램프(440)를 통해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200)의 삽입홈(210)에 안치되는 충전용 배터리(B)의 접속단자면과 접촉되는 슬라이드 통전스위치(420)의 통전용 접점판(411)이 정확하게 접속되어 직류전원의 공급과 입출력신호의 교류 및 충전용 배터리(B)의 충전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직류전원 연결부재
110 : 직류전원 어댑터 120 : USB케이블
121 : 제1 접속부재 122 : 제2 접속부재
200 : 직류전원 입출력부
210 : 삽입홈 220 : 입출력 포트
230 : 전기 패널
240 : 실린더 공간 241 : 로킹 핀
250 : 로킹핀 제어버튼
300 : 배터리 고정판
310 : 받침턱 320 : 길이조절용 확장패널
321 : 확장판 322 : 안치판
323 : 피스톤 수단
400 : 통전상태 표시수단
410 : 통전용 접점판
411 : 통전용 접점핀 412 : 판스프링 클램프
420 : 슬라이드 통전 스위치
430 : 접점표시램프 440 : 충전량 표시램프
A : 외부 전자기기 B : 충전용 배터리

Claims (5)

  1.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에 있어서, 직류전원 어댑터와 USB케이블을 포함하는 직류전원 연결부재;
    상면과 좌,우측면이 개방되고, 후면에 충전용 배터리를 한쪽 면을 안정되게밀착 지지하는 받침 턱이 마련되면서, 바닥면으로 다양한 크기의 충전용 배터리를 수용하는 연장공간으로 마련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크기에 연동하여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공간을 연장하는 길이조절용 확장패널이 구비된 배터리 고정판;
    상기 길이조절용 확장패널은,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의 내부 실린더 공간을 왕래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연장된 수용공간으로 구비되는 확장판과, 상기 확장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공간으로 구비되는 안착판과, 상기 확장판 및 안착판의 전,후 이동을 고장력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유도하는 피스톤수단을 포함하며,
    전단부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끼워 고정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 상기 USB케이블을 통해 내부에 입출력 전기신호와 각종 통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또는 단속하는 입출력포트가 구비되며, 바닥면으로 다양한 크기를 가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수용 및 충전하는 수용공간으로 마련되면서, 상기 입출력포트를 통해 별도의 외부 전자기기와 통전되는 전기패널이 내장된 내부 바닥면에 길이방향의 실린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 공간에 길이조절용 확장패널의 길이조절을 단속하는 탄성재질의 로킹핀이 마련되고, 배면 바닥에 상기 로킹핀 단속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로킹핀 제어버튼을 더 포함하는 직류전원 입출력부; 및
    상기 직류전원 입출력부의 삽입홈에 대응되는 끝단면으로 마련되면서 크기가 다른 충전용 배터리의 접속단자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통전용 접점판을 가진 슬라이드 통전스위치가 형성되되, 상기 통전용 접점판의 통전유무를 체크하는 접점표시램프, 배터리의 충전 진행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램프가 구비되는 통전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전용 접점판은,
    통전용 접점핀과 일체로 형성되되, 가압력에 의해 양 끝단이 내측방향으로 수축력이 인가되는 판스프링 클램프와, 상기 판스프링 클램프의 양끝단이 충전용 배터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14156A 2016-02-04 2016-02-04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KR10184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56A KR101840645B1 (ko) 2016-02-04 2016-02-04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56A KR101840645B1 (ko) 2016-02-04 2016-02-04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900A KR20170092900A (ko) 2017-08-14
KR101840645B1 true KR101840645B1 (ko) 2018-03-21

Family

ID=6014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56A KR101840645B1 (ko) 2016-02-04 2016-02-04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1257B (zh) * 2020-12-16 2023-01-10 北方特种能源集团有限公司西安庆华公司 一种火箭弹用可伸缩式热电池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450A (ja) * 2006-08-07 2008-02-21 Canon Inc 充電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450A (ja) * 2006-08-07 2008-02-21 Canon Inc 充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900A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8723A2 (en) Power feeding control apparatus
EP1726410A2 (en) Power tool
US20190267758A1 (en)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US10061351B2 (en) Portable user device
US10687678B2 (en) Power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a battery charger and safety switch
CN101351905A (zh) 用于电池热交换的方法和设备
US20200370751A1 (en) Portable ignition controller
KR20130079314A (ko) 만능 배터리 충전기
US6923688B1 (en) Charging interface
CN101615703A (zh) 充电装置
US8531156B2 (en) Battery charger with retractable contacts
KR20180088045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US8174236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KR10184064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KR20180061775A (ko)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
US10594352B2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US7556514B1 (en) Electrical power supply device, and connector
US7402979B1 (en) Charger contact with protective actuator
KR20180061776A (ko)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JP2014207121A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
US20120009453A1 (en) Battery receptacle
CN102544896B (zh) 一种连接器
US5959434A (en) Mechanical charging selection apparatus
WO1999012244A1 (en) Combination battery charger and power source with dual-plug assembly for electrically powered devices
KR2017009289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