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228B1 -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228B1
KR100798228B1 KR1020060129957A KR20060129957A KR100798228B1 KR 100798228 B1 KR100798228 B1 KR 100798228B1 KR 1020060129957 A KR1020060129957 A KR 1020060129957A KR 20060129957 A KR20060129957 A KR 20060129957A KR 100798228 B1 KR100798228 B1 KR 100798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structure
door
safety device
horizontal beams
entran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권
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29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구조물 출입문의 내측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세로빔과; 상기 세로빔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격 설치되며, 지하구조물 출입문 또는 지하구조물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빔과; 상기 세로빔과 상기 고정빔을 가로질러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세로빔 및 상기 고정빔을 지지하는 상부, 하부 가로빔과; 상기 상부, 하부 가로빔과 연결되며, 출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출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하여 출입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INSTALLED ON ENTRY DOOR FOR UNDERGROUND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가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되고, 이 지하구조물 출입문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지하구조물 출입문이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가 전개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3 : 지하구조물 출입문
5, 7 : 고정체 6 : 지하구조물
10: 세로빔 20 : 고정빔
31, 32 : 상부 가로빔 41, 42 : 하부 가로빔
50 : 손잡이부 51 : 상부 길이 조절부
52 : 하부 길이 조절부 53, 54 : 연결부
55, 56, 57 : 손잡이 60 : 위치 결정 고리
65 : 걸림부 75 : 사다리
85 : 표지판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구조물을 출입하는 출입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지하구조물에 출입하는 출입자는 출입구에 설치된 사다리가 출입구까지 있음으로 인해 출입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파지할 손잡이가 없어서 아래로 추락하여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출입자가 지하구조물 출입문을 열고 내부에 사다리형 손잡이를 설치한 후 내려가거나 설치된 막대를 잡고 내려가곤 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설치상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구조물에 부착된 것이 아니어서 손잡이를 잘못 설치할 경우 아래로 떨어뜨려 아래 있는 사람이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하여 출입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지하구조물 출입문의 내측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세로빔과; 상기 세로빔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격 설치되며, 지하구조물 출입문 또는 지하구조물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빔과; 상기 세로빔과 상기 고정빔을 가로질러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세로빔 및 상기 고정빔을 지지하는 상부, 하부 가로빔과; 상기 상부, 하부 가로빔과 연결되며, 출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부, 하부 가로빔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길이 조절되기 위한 상부 길이 조절부 및 하부 길이 조절부와; 상기 각 길이 조절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를 가로질러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하구조물 출입문의 외측면에는 구조물의 걸림부에 걸려 상기 지하구조물 출입문의 개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고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가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되고, 이 지하구조물 출입문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지하구조물 출입문이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가 전개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가 전개된 상 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는 지하구조물 출입문(3)의 내측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세로빔(10)과, 세로빔(10)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격 설치되어 지하구조물 출입문(3) 또는 지하구조물 벽체(15)에 고정되는 고정빔(20)과, 세로빔(10)과 고정빔(20)을 가로질러 상하로 배치되어 세로빔(10) 및 고정빔(20)을 지지하는 상부 가로빔(31, 32) 및 하부 가로빔(41, 42)과, 상부 가로빔(31, 32) 및 하부 가로빔(41, 42)과 연결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출입문(3)의 내측면에 손잡이부(50)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 지하구조물 내부로 출입자가 출입하기 위해 손잡이부(5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용이하고, 손잡이부를 실수로 떨어뜨려 아래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지하구조물 벽체(1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2)를 통해 출입자가 오르락 내리락 하는 사다리(75)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지하구조물 출입문(3)은 지하구조물의 출입구(2)를 회동 개폐하며, 이를 위해 지하 구조물 출입문(3)의 후방은 구조물에 출입문 회전부(80)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지하구조물 출입문(3)의 외측면에는 지하구조물(6)의 걸림부(65)에 걸려 지하구조물 출입문(3)의 개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고리(6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를 전개할 때 지하구조물 출입문(3)이 과다하게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로빔(10)의 하단은 지하구조물 출입문(3)과 힌지부(70)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데, 이 때 힌지부(70)는 지하구조물 출입문(3)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축 지지체(71)와, 각 단부가 축 지지체(71)와 세로빔(10)에 결합된 힌지축(72)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는 세로빔(10)이 힌지축(72)을 중심으로 도 2상태에서 P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3과 같이 전개될 수 있다.
고정빔(20)은 도 2과 같이 아직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하구조물 출입문(3)의 내측면에 마련된 고정체(5)에 고정핀(13)으로 고정되고, 도 3과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는 지하구조물 벽체(15)에 마련된 고정체(7)에 고정핀(23)으로 고정되어 유동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는 폭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어 출입구(2)의 크기에 맞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손잡이부(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50)는 상부 가로빔(31, 32) 및 하부 가로빔(41, 42)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길이 조절되기 위한 상부 길이 조절부(51) 및 하부 길이 조절부(52)와, 각 길이 조절부(51, 52)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53, 54)와, 한 쌍의 연결부(53, 54)를 가로질러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손잡이(55, 56, 57)로 구성된다. 즉, 손잡이부(50)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의 상부 가로빔(31, 32) 및 하부 가로빔(41, 42)이 도 4의 화살표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출입구(2)가 작은 작업공간에서는 폭 길이를 작게 조절하고 출입구(2)가 큰 작업공간에서는 폭 길이를 크게 조절함으로써, 작업 환경에 따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 다.
여기서, 상부 가로빔(31, 32), 하부 가로빔(41, 42), 각 길이 조절부(51, 52)는 복수의 길이 조절공이 형성된 앵글 타입으로 마련되어 볼트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라면 어느 것이어도 좋다.
한편, 손잡이부(50)에는 공사중임 등을 보행자가 차량에 알리기 위한 표지판(85)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작업자가 지하구조물 출입문(3)이 개방된 상태로 작업중일 때, 보행자나 운전자가 표지판(85)을 통해 공사중임을 쉽게 알아볼 수 있어, 보행자나 차량이 추락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는 도 4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는 출입구(2)과 외부를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하므로, 별도로 차단막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의 작동 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소에 지하구조물 출입문(3)이 폐쇄된 상태는 도 1과 같다. 즉, 평소에는 지하구조물 벽체(15)에 사다리(75)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는 지하구조물 출입문(3)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은 고정빔(20)이 지하구조물 출입문(3)의 내측면에 마련된 고정체(5)에 고정핀(13)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후, 지하구조물 출입문(3)을 출입문 회전부(80)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시켜 개방하면 도 2와 같다. 이 때,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는 도 1과 같이 지 하구조물 출입문(3)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위치 결정 고리(60)를 걸림부(65)에 걸림 유지시켜 지하구조물 출입문(3)이 더 이상 개방되거나 닫히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킨다.
다음,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1)를 전개하기 위해, 작업자는 고정핀(13)을 해제하여 세로빔(10)을 힌지축(72)을 중심으로 P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고정빔(20)을 지하구조물 벽체(15)에 형성된 고정체(7)에 고정핀(23)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전개를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표지판은 손잡이부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별도로 작업자가 필요할 때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하여 출입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폭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 공간에 맞게 호환 가능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4)

  1. 지하구조물 출입문의 내측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세로빔과;
    상기 세로빔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격 설치되며, 지하구조물 출입문 또는 지하구조물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빔과;
    상기 세로빔과 상기 고정빔을 가로질러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세로빔 및 상기 고정빔을 지지하는 상부, 하부 가로빔과;
    상기 상부, 하부 가로빔과 연결되며, 출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부, 하부 가로빔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길이 조절되기 위한 상부 길이 조절부 및 하부 길이 조절부와; 상기 각 길이 조절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를 가로질러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구조물 출입문의 외측면에는 구조물의 걸림부에 걸려 상기 지하구조물 출입문의 개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고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KR1020060129957A 2006-12-19 2006-12-19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KR100798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957A KR100798228B1 (ko) 2006-12-19 2006-12-19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957A KR100798228B1 (ko) 2006-12-19 2006-12-19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228B1 true KR100798228B1 (ko) 2008-01-24

Family

ID=3921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957A KR100798228B1 (ko) 2006-12-19 2006-12-19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70B1 (ko) 2014-09-04 2015-02-12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자동식 안전 맨홀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440Y1 (ko) * 2001-12-14 2002-03-16 파이오니아메탈(주) 지하구조물 점검용 사다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440Y1 (ko) * 2001-12-14 2002-03-16 파이오니아메탈(주) 지하구조물 점검용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70B1 (ko) 2014-09-04 2015-02-12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자동식 안전 맨홀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0979B1 (en) Step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tree harvester having leveling system
US8579081B2 (en) Remote controlled overhead ladder system
KR101501899B1 (ko) 작업발판용 해치
KR20120095190A (ko)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KR100798228B1 (ko)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KR101819485B1 (ko) 폴딩도어 경첩
KR101756054B1 (ko)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KR101332599B1 (ko) 차수장치
KR101730169B1 (ko) 접이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맨홀구조
KR200268448Y1 (ko) 지하구조물 점검용사다리
KR20140002151U (ko) 고정식 사다리의 개폐장치
JP6410690B2 (ja) 落下防止網付き防護柵
KR101213125B1 (ko) 수직구 내에서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출입장치
KR20080036571A (ko) 절첩식 무빙 도어 장치
KR200358573Y1 (ko) 맨홀 내부 손잡이용 안전사다리
GB2404413A (en) Gate assembly
KR102642670B1 (ko)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2441598B1 (ko) 화재 대피 사다리용 설치박스
KR102441597B1 (ko) 화재 대피용 사다리 장치
JP2012166945A (ja) 高所作業車
JP2008100838A (ja) 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用ゴンドラ装置
KR200338198Y1 (ko) 접이식 완강기 지지대
KR101092743B1 (ko) 궤도식 굴삭기용 접이식 주행레버
KR20090012331U (ko) 맨홀 안전커버
JPH0967992A (ja) 間口閉鎖装置および梯子の横部材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