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063B1 -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063B1
KR100798063B1 KR1020010054558A KR20010054558A KR100798063B1 KR 100798063 B1 KR100798063 B1 KR 100798063B1 KR 1020010054558 A KR1020010054558 A KR 1020010054558A KR 20010054558 A KR20010054558 A KR 20010054558A KR 100798063 B1 KR100798063 B1 KR 10079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rane
crane hook
support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1064A (ko
Inventor
최석종
양석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5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0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중기 후크에 있어서, 상기 기중기 후크를 지지 및 보호하고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91)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회전을 조정하는 회전조정부(92)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동작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하는 브레이크 제동부(93)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후크에 줄걸이를 하여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게 하는 후크부(94)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중기 후크의 중량물을 줄걸이 하여 권상, 권하 및 이동 시에 줄걸이 된 중량물이 중량물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자가 요구한 적정한 각도 위치를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후크, 크레인, 주권

Description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f crane hook}
도 1은 종래 기중기 후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의 완성도 및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와이어 로프 23 : 레일 축
15 : 기중기 작업자 25 : 후크 머리부
32 : 사이드 프레임 33 : 원판 프레임
35 : 고정 받침 축 40 : 후크 걸이부
91 : 동력공급부 92 : 회전조정부
93 : 브레이크 제공부 94 : 후크부
100 : 조임 판 115 : 고정 지지 판
105, 145, 170 : 베벨 기어 110 : 볼트
120 : 전선 135, 155, 190 : 피스톤 바
160, 200 : 스프링 140, 210 : 베어링
165, 180 : 원통 지지대 130, 185 : 전 자석
204 : 브레이크 링
본 발명은 기중기 후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중기 후크의 중량물을 줄걸이 하여 권상, 권하 및 이동 시에 줄걸이 된 중량물이 중량물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자가 요구한 적정한 각도 위치를 맞추기에 적당하도록 한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기는 동력을 사용하여 무거운 짐을 매달아 올리고, 이것은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계 장치의 총칭으로서, 크레인, 이동식 기중기, 데릭(Derrick), 양화(揚貨) 장치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중기 후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래서 기중기의 후크 걸이부(40)에 중량물(55)을 와이어 로프(45)로 줄걸이 하여 권상, 권하 및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권상, 권하 및 이동 시에 중량물(55)의 중심 균형이 한쪽으로 편심 되는 경우, 주변 환경에 따라 후크 걸이부(40)와 함께 회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크 머리부(25)는 나사가 형성되고 가운데 베어링(37)이 끼워져 있어 외부에서 고정 받침 축(35)이 감싸 고정하여 작업자(60)의 손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중량물의 부피가 크거나 길면 운반물은 주변기기 등에 부딪쳐서 충격을 주게 되며 각종 설비 사고를 발생시키게 되고, 작업자의 충돌 및 협착사고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지면에서 접촉된 상태일 경우에는 중량물(55)의 균형과 회전 여부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후크를 권상하여 물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되는 순간부터 중량물(55)의 방향이 틀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고공에서 틀어진 물체를 돌리고자 하면 작업자(60)의 높이로 후크를 권하하여 중량물(55)을 잡고 인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 1명이서 할 수 있는 물체(55)가 있는가 하면, 작업자 2, 3명이 함께 해야 하는 중량물(55)도 있다. 특히 인력으로 회전시키는 도중 정지시키고자 할 위치를 맞출 때 정확하게 멈추게 하기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작업자(60)의 힘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수동적인 회전 멈춤을 위해 작업자의 체력 소모가 과다하게 되고, 작업자의 어깨 및 허리에 부상 위험이 존재하고 있게 된다.
또한 작업특성상 중량물(55)을 끼움 또는 조립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 좁은 공간에서 홈을 맞출 때 작업자가 돌려서 회전 방향을 유지하는 비정상적인 작업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정상적인 작업 방식에 의해 기중기 운전자(15) 및 작업자(60)가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게 되고, 작업이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중기 후크의 회전을 자동으로 조종하고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는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중기의 후크의 중량물을 줄걸이 하여 작업자로부터 높은 위치의 권상 시 이송도중 후크 회전 방향을 자유롭게 조종하여 요구한 위치 각도로 조종할 수 있고, 각도의 조종 방향을 고정 해주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기중기 후크의 조종 위치에서의 작업이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시킬 수 있는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는,
기중기 후크에 있어서, 상기 기중기 후크를 지지 및 보호하고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회전을 조정하는 회전조정부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동작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하는 브레이크 제동부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후크에 줄걸이를 하여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게 하는 후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의 완성도 및 상세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중기 후크에 있어서, 상기 기중기 후크를 지지 및 보호하고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91)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회전을 조정하는 회전조정부(92)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동작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하는 브레이 크 제동부(93)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후크에 줄걸이를 하여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게 하는 후크부(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동력공급부(91)는, 원형 형태로 가운데 홀이 뚫어져 상기 기중기 후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원판 프레임(33)과; 양쪽 끝부분에 나사가 있어서 베벨 기어(105)의 가운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원판 프레임(33)에 끼워져 원형 모양의 가운데 홀 측에 암나사 형태로 된 조임 판(100)이 회전 조립된 레일 축(23)과; 상기 베벨 기어(105)의 가운데 롤러에 걸어서 상하 작동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와이어 로프(10)와; 상기 레일축(23)의 양쪽 끝부분에 조여서 이탈을 막아주는 조임판(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회전조절부(92)는, 레이디 얼 타입의 베어링(140)이 가운데 홀에 조립된 측면/하면의 베벨 기어(145)(170)와; 상기 베어링(140)의 안쪽에 암나사형태로 나사가 있어 원기둥의 형태인 피스톤 바(135)의 앞부분에 수나사로 도어 베어링에 연결하고, 전선코일로 감아 원통 지지대(125) 내부에 설치된 원판 모양의 전자석(130)과; 상기 원통 지지대(125)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 바(135)와; 사이드 프레임(32)에 용접하여 상기 원통 지지대(125)와 접촉하여 고정볼트(110)로 고정 설치된 고정 지지판(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브레이크 제동부(93)는, 원형 모양으로 구성되고, 원형의 크기는 고정 받침 축(195)의 원통형 외부 보다 약간 크게 하고, 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브레이크링(204)과; 상기 브레이크링(204)에 내부에 부착되고 유리섬유와 철의 합성 재질로 이루어진 라이너(205)와; 상기 브레이크링(204)의 일측면 외부에 고리모양 형태로 걸어주는 스프링(200)과; 상기 스트링(200)과 연결되는 고정 지지대(202)와; 상기 브레이크링(204)의 타측면의 외부에 있는 홀에 원기둥 형태인 앞부분이 연결되도록 나사로 이루어진 피스톤 바(190)와; 상기 피스톤 바(190)와 전자석(185)이 내부에 설치된 원통 지지대(180)와; 상기 원통 지지대(180)와 접촉하여 고정볼트로 고정 설치된 고정 지지판(1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후크부(94)는, 나사산으로 형성된 후크 머리부(25)와; 상기 후크 머리부(25)가 가운데 구멍을 통과하도록 한 지지프레임(225)과; 상기 지지프레임(225)의 하부에 원통형의 모양으로 연결된 전원연결코드(220)와; 상기 후크 머리부(25)와 연결되어 줄걸이에 의해 중량물이 이송되도록 하는 후크걸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기중기 후크의 회전을 자동으로 조종하고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도 2의 분해도에서 회전기능의 전체를 지지 및 보호하는 원판 프레임(33)은 원형 형태의 가운데 구멍이 있으며, 사이드 프레임(32) 직사각형의 모양의 상부에 연결하여 용접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25)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양쪽 끝부분에 용접되어 가운데 구멍이 뚫어져 있다.
후크 걸이부(40)는 갈고리 모양의 양쪽으로 구부린 상태에 지지프레임(225)의 가운데 구멍을 통과하고, 통과된 후크 머리부(25)는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조립되는 레디얼 베어링 타입의 베어링(210)과 원통형으로 한 몸체로 끼워지는 고정 받침 축(195)이 있다. 또한 외부면이 깔뚜기 모양이고 가운데 구멍에 나사가 있어 고정 받침 축(195)의 상부측에 함께 연결되어 후크 머리부(25) 나사에 조립되는 베벨 기어(170)로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제동부(93)의 브레이크링(204)은 원형 모양의 두께를 갖고, 그 두께는 20mm 정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링(204)의 원형의 크기는 고정 받침 축(195)의 원통형 외부 보다 약간 크게 하고, 재질은 취성 보다는 연성이 약간 있는 재질로 한다.
또한 브레이크링(204)의 내부에 유리섬유와 철을 합성해서 만든 라이너(205)를 부착 설치하고, 브레이크링(204)의 좌측 외부에 고리모양 형태에 스프링(200)을 걸어주고, 스프링(200)과 연결되는 고정 지지대(202)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링(204)의 오른 쪽에는 홀이 있어 원기둥 형태인 앞부분에 연결하는 나사로 된 피스톤 바(190)와 연결된다. 또한 전선 코일로 감아 원판 모양인 전자석(185)을 원통 지지대(180)의 내부 끝에 설치하고, 전선(181)과 연결된 피스톤 바(190) 또한 내부에 조립한다. 고정지지판(175)은 사이드 프레임(32)에 용접하고, 원통 지지대(180)와 고정 볼트(110)로 부착한 다음 고정한다.
동력공급부(91)에서 베벨 기어(105)는 가운데 구멍에 베어링(80)이 조립되어 있으며, 레일 축(23)은 양쪽 끝 부분에 나사가 있어 베벨 기어(105)의 가운데 홀을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원판 프레임(33)을 홀에 끼운 다음 원형 모양의 가운데 홀측에 암나사 형태로 된 조임 판(100)을 회전시켜 조립한다.
또한 회전조정부(92)의 베벨 기어(145)는 가운데 홀 있어 레이디 얼 타입의 베어링(140)이 조립되어 있으며, 베어링 안쪽에 암나사 형태로 된 나사가 있어 원기둥의 형태인 피스톤 바(135)의 앞부분에 수나사로 된 도어 베어링에 연결한다. 그리고 전선코일로 감아 원판 모양의 전자석(130)을 원통 지지대(125)의 내부에 설치한다. 또한 피스톤 바(135)가 원통 지지대(125)의 내부에서 1/2만큼 들어가 설치되도록 하고, 고정 지지판(115)은 사이드 프레임(32)에 용접하여 원통 지지대(125)와 접촉되도록 하여 고정볼트(110)로 고정 설치한다.
베벨 기어(145)의 가운데 베어링(140)이 장착된 피스톤 바(155)의 앞부분에 나사볼트에 연결하고, 스프링(160)은 원통 지지대(165)의 내부에 설치하여 피스톤 바(155)도 1/2 만큼 들어가 조립되도록 한다. 고정지지 판(115) 또한 용접하여 연결한 다음 고정 볼트(110)를 조립한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225)의 하부에 원통형의 모양인 전원 연결 코드(220)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치(315)(318)는 기중기 운전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중기 후크의 전체 설비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와이어 로프(10)는 레일축(23)이 모든 힘을 받고 있으며, 조임판(100)은 레일축(23) 양쪽 끝 부분에 조여서 이탈을 막아주고 있다.
와이어 로프(10)는 베벨 기어(105)의 가운데 롤러에 걸어서 상하로 작동되면 베벨 기어(105)는 회전운동을 한다.
이때 베벨 기어(145)는 중앙 위치에 설치된 동력전달과 동력을 해제하는 기 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베벨 기어(145)가 하부 축에 설치된 베벨 기어(170)를 회전시킨다.
또한 고정지지 판(115)은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원통 지지대(165)는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160)과 피스톤 바(155)가 중간정도 투입되어 장착된 것을 잡아주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프링(160)은 피스톤 바(155)와 연결되어 피스톤 바(155)를 잡아당기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피스톤 바(155)는 베벨 기어(145)의 가운데 구멍에 조립된 베어링(140)과 결합하여 전, 후진과 직선운동 및 베벨 기어(145) 중심을 잡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베어링(140)은 베벨 기어(145)가 회전할 때 피스톤 바(155)는 회전하지 않고 분리로써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베어링(140)은 측면 베벨 기어(145)가 다른 베벨 기어(105)(170)와 이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비슷한 원리로써, 고정지지 판(115)은 원통 지지대(125)를 이탈 및 고정 시켜주고, 원통 지지대(125)의 내부에 전자석 코일(130)이 장착되어 원통 지지 대(125)의 구멍에 전선(120)과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공급을 받도록 한다.
전자석코일(130)은 피스톤 바(135)와 50mm 정도 이격 되어 있어 전원 공급 시 전자석 코일(130)이 자석의 원리에 따라 잡아 당기어 붙게 한다. 이때 피스톤 바(135)는 원통 지지대(125)에 절반 정도 투입되어 전, 후진 및 직선왕복 운동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베어링(140)이 베벨 기어(145)에 조립된 상태에서 피스톤 바(135)와 결합되어 측면 베벨 기어(145)를 잡아당기어 다른 베벨 기어(105)(170) 와 결합하여 회전 기능을 전달하는 중간 역할을 하게 된다.
중량물(55) 및 후크 걸이부(4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베벨 기어(170)는 회전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데, 이러한 동력 전달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고정 받침 축(195)은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하부 내부에 끼워져 있는 베어링(210)이 후크 머리부(25)를 통과하여 조립된 후 지지프레임(225)과 마찰을 최소화하여 중량물(55)의 무게를 감당하여 원활하게 회전하게 한다.
그리고 베벨 기어(170)의 가운데 구멍에 나사산에 후크 머리부(25)와 고정 받침 축(195)을 돌려서 조립한 후 베벨 기어(145)가 회전하게 되면 동력 회전을 받는 베벨 기어(170)는 회전하여 후크 걸이부(40)를 회전시켜 주는 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후크의 회전 방향 조정 및 각도의 변화를 잡아 고정하는 브레이크측의 기능으로써, 고정 지지대(202)는 스프링(200)의 움직이는 힘의 변화를 잡아 주는 고정 지지대(202)이다. 또한 스프링(200)은 고정 지지대(202)와 연결된다. 또한 스프링(200)은 브레이크 링 고리부(204)와 걸어서 브레이크 링(204)이 받침 축(195)과 이격될 상태 만큼 잡아 당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브레이크 링(204)은 제동장치의 받침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제동 라이너(205)는 고정받침 축(195)의 외부 면과 접촉하여 미끄러짐을 잡아 준다.
피스톤 바(190)는 왕복 직선운동 한다.
전자석 코일(185)은 전원 공급 받아 피스톤 바(190)를 잡아 당기고, 전원을 해제할 때 떨어지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원의 온, 오프는 브레이크 스위치(318)에 의해 수행된다.
원통 지지대(180)는 피스톤 바(190)와 전자석 코일(185)을 보호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후크의 지지와 각종 설비를 보호하는 지지프레임(225)과 사이드프레임(32) 및 원판프레임(33)이 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프레임 하단에 있는 전원 연결 코드(220)는 롤 교체용 통 및 각종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기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중기 후크의 중량물을 줄걸이 하여 권상, 권하 및 이동 시에 줄걸이 된 중량물이 중량물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자가 요구한 적정한 각도 위치를 맞추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는 기중기의 후크의 중량물을 줄걸이 하여 작업자로부터 높은 위치의 권상 시 이송도중 후크 회전 방향을 자유롭게 조종하여 요구한 위치 각도로 조종할 수 있고, 각도의 조종 방향을 고정 해주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기중기 후크의 조종 위치에서의 작업이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천정 기중기의 후크 걸이부(40)에 걸어서 운반물(55)을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 후크 걸이부(40)의 중량물(55)이 지면으로부터 권상시 중심 균형의 편심으로 인한 회전되어 작업자(60)의 수작업으로 잡거나 회전시키는 것을 해소하는 베벨 기어(105,145,170)가 회전하여 기중기 운전자(15)의 스위치(315)(318)의 조작으로 각도 방향을 변화 할 수 있도록 자동화 하였고, 또한 작업자(60)가 맞추고자 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하고자 할 때 각도의 변화 방지를 막아 주는 고정 브레이크 제동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작업자(60)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주변 기기 설비에 중량물(55)이 틀어져서 부딪치는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5)

  1. 기중기 후크에 있어서,
    상기 기중기 후크를 지지 및 보호하고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91)와;
    원형 형태로 가운데 홀이 뚫어져 상기 기중기 후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원판 프레임(33)과;
    상기 기중기 후크의 회전을 조정하는 회전조정부(92)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동작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하는 브레이크 제동부(93)와;
    상기 기중기 후크의 후크에 줄걸이를 하여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게 하는 후크부(94)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공급부(91)는,
    원형 형태로 가운데 홀이 뚫어져 상기 기중기 후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원판 프레임(33)과;
    양쪽 끝부분에 나사가 있어서 베벨 기어(105)의 가운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원판 프레임(33)에 끼워져 원형 모양의 가운데 홀 측에 암나사 형태로 된 조임 판(100)이 회전 조립된 레일 축(23)과;
    상기 베벨 기어(105)의 가운데 롤러에 걸어서 상하 작동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와이어 로프(10)와;
    상기 레일축(23)의 양쪽 끝부분에 조여서 이탈을 막아주는 조임판(100)을 구비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부(92)는,
    레이디 얼 타입의 베어링(140)이 가운데 홀에 조립된 측면/하면의 베벨 기어(145)(170)와;
    상기 베어링(140)의 안쪽에 암나사형태로 나사가 있어 원기둥의 형태인 피스톤 바(135)의 앞부분에 수나사로 도어 베어링에 연결하고, 전선코일로 감아 원통 지지대(125) 내부에 설치된 원판 모양의 전자석(130)과;
    상기 원통 지지대(125)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 바(135)와;
    사이드 프레임(32)에 용접하여 상기 원통 지지대(125)와 접촉하여 고정볼트(110)로 고정 설치된 고정 지지판(11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동부(93)는,
    원형 모양으로 구성되고, 원형의 크기는 고정 받침 축(195)의 원통형 외부 보다 약간 크게 하고, 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브레이크링(204)과;
    상기 브레이크링(204)에 내부에 부착되고 유리섬유와 철의 합성 재질로 이루어진 라이너(205)와;
    상기 브레이크링(204)의 일측면 외부에 고리모양 형태로 걸어주는 스프링(200)과;
    상기 스프링(200)과 연결되는 고정 지지대(202)와;
    상기 브레이크링(204)의 타측면의 외부에 있는 홀에 원기둥 형태인 앞부분이 연결되도록 나사로 이루어진 피스톤 바(190)와;
    상기 피스톤 바(190)와 전자석(185)이 내부에 설치된 원통 지지대(180)와;
    상기 원통 지지대(180)와 접촉하여 고정볼트로 고정 설치된 고정 지지판(17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94)는,
    나사산으로 형성된 후크 머리부(25)와;
    상기 후크 머리부(25)가 가운데 구멍을 통과하도록 한 지지프레임(225)과;
    상기 지지프레임(225)의 하부에 원통형의 모양으로 연결된 전원연결코드(220)와;
    상기 후크 머리부(25)와 연결되어 줄걸이에 의해 중량물이 이송되도록 하는 후크걸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KR1020010054558A 2001-09-05 2001-09-05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KR10079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558A KR100798063B1 (ko) 2001-09-05 2001-09-05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558A KR100798063B1 (ko) 2001-09-05 2001-09-05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064A KR20030021064A (ko) 2003-03-12
KR100798063B1 true KR100798063B1 (ko) 2008-01-28

Family

ID=2772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558A KR100798063B1 (ko) 2001-09-05 2001-09-05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549B1 (ko) * 2013-07-02 2015-02-26 현대위아 주식회사 크레인용 후크장치
CN107826967A (zh) * 2017-11-22 2018-03-23 无锡市新华起重工具有限公司 自旋转吊钩
CN115286122A (zh) * 2022-06-23 2022-11-04 南通佳景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疗设备用嵌入水循环回路的杀菌除垢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8083U (ja) * 1982-12-03 1984-06-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レ−ンのフツク回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8083U (ja) * 1982-12-03 1984-06-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レ−ンのフツク回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064A (ko) 200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9537B (en) Electric hoist
US20130320686A1 (en) Magnetic lifting device
US10737919B2 (en) Hoisting and lowering device
JPH0351295A (ja) ロープ式起重機用のエネルギー自動供給式機械化荷物回転装置
US7226038B1 (en) Load arrestor, lifting system and method
KR100798063B1 (ko) 기중기 후크의 제어장치
CN213445941U (zh) 一种悬吊架安全保护装置
CN102826443B (zh) 吊装翻转器
KR101903021B1 (ko) 휴대용 호이스트 장치
US6082793A (en) Thread-on collared yoke for power riser pipes
CN217756662U (zh) 一种垂直孔洞空间载人升降装置
US4576363A (en) Lever-operated hoist or puller
KR20150125169A (ko)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CN212403315U (zh) 用于葫芦吊机的防斜拉装置
JPH061585A (ja) 軸受箱付きロールの自動玉掛吊具
CN211867519U (zh) 一种龙头抛丸机上料装置
JP3171729B2 (ja) パネル吊り下げ具
CN207957600U (zh) 一种新型冶金起重机起升机构
CN219807682U (zh) 一种工业工程的输送起吊设备
CN214167158U (zh) 一种盾构机用环链电动葫芦吊装
JPS5854461Y2 (ja) 重量物反転装置
CN209758911U (zh) 一种钢丝绳电动葫芦
CN215854556U (zh) 一种用于单磁盘吊车电缆的固定装置
CN218320372U (zh) 路桥施工用辅助吊架
CN212712468U (zh) 一种高层吊运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