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390B1 -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390B1
KR100797390B1 KR1020060095563A KR20060095563A KR100797390B1 KR 100797390 B1 KR100797390 B1 KR 100797390B1 KR 1020060095563 A KR1020060095563 A KR 1020060095563A KR 20060095563 A KR20060095563 A KR 20060095563A KR 100797390 B1 KR100797390 B1 KR 100797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reproduction
audio data
portable digi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최인용
서정일
장대영
홍진우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95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11B20/1023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wherein an asynchronous, free-running clock is used; Interpolation of sampl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향, 재생 속도를 사용자 요구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악을 믹싱하거나 효과를 부여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연출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 저장구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하되, 오디오 재생 수단에서 재생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속도와 다음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일치(비트 매칭)시켜,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 제어 수단; 상기 오디오 재생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저장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의 일정 구간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레코딩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등에 이용됨.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재생 속도, 재생 방향, 템포, 비트 매칭, 레코딩, 음악 연출, 오디오 데이터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ve Music Presentation in the Mobile Digital Audio Play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1 실시예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2 실시예 예시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3 실시예 예시도,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4 실시예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오디오 재생부 120: 유저 인터페이스부
130: 오디오 재생 제어부 140: 레코딩부
150: 네트워크 처리부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향, 재생 속도를 사용자 요구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악을 믹싱하거나 효과를 부여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연출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힙합 등 댄스 음악의 유행으로 인하여 젊은 세대들은 클럽에서 댄스 음악 문화에 익숙해져 있다. 일반인들은 힙합 댄스, 클럽 등과 같은 대중문화의 전파로 오디오 믹싱과 스크래치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있다. 이전에는 클럽 등에서 전문 DJ 들만이 턴테이블과 아날로그 비닐 레코드판을 이용하여 오디오 믹싱을 했었다. 요즘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오디오 제어를 통해 자신만의 음악적 느낌을 살리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기기의 멀티미디어화에 따라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 여러 기능이 접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용 오디오 재생 장치에는 MP 3 재생 기능을 갖추고 있는 휴대 전화기가 대표적이다. 최근 시장에 출시되는 거의 모든 휴대 전화기에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재생 기능에 덧붙여 부가 효과를 담으려고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보급으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인터랙티브한 음악 감상을 원하게 되었다.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 재생 기술은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 여러 가지 악기 소리 등과 같은 사운드 효과음을 함께 믹싱하고 있다. 다시 말해,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효과 키 입력에 대응되는 사운드 효과음 데이터들을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고 현재 재생 중인 음악 데이터와 사운드 효과음 데이터들을 믹싱하여 재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운드 효과음 데이터들은 자신만의 코러스나 멜로디 데이터, 또는 각종 악기의 단음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음악 데이터를 감상하면서 느낀 즉흥적인 감흥을 여러 가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사운드 효과음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할 때 느끼는 즐거움을 더욱 배가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오디오 데이터와 사운드 효과음 데이터들을 믹싱하여 재생하지만, 현재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믹싱하고자 하는 별도의 효과음 음원을 오디오 재생 장치 내에 가지고 있지 않다면 별도 의 효과음을 생성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향, 재생 속도를 사용자 요구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악을 믹싱하거나 효과를 부여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연출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 저장구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하되, 오디오 재생 수단에서 재생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속도와 다음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일치(비트 매칭)시켜,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 제어 수단; 상기 오디오 재생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저장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의 일정 구간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레코딩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 또는 저장구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하되, 현재 재생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속도와 다음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일치(비트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변경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 및 상기 요청받은 저장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의 일정 구간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서버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제어 장치는 오디오 재생부(110), 유저 인터페이스부(120),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 레코딩부(140), 및 네트워크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의 재생과 관련된 재생 요청 정보(예를 들어, 재생 방향, 재생 속도)를 입력받는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재생 요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원형 터치휠과 일자형 터치 슬라이더, 버튼, 스위치, 휠버튼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입력받은 재생 요청 정보를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 레코딩부(140), 또는 네트워크 처리부(150)로 전달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는 현재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준다.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정보는 오디오 재생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것이다.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정보에는 오디오 데이터의 제목, 재생 방향, 재생 속도가 포함된다. 여기서, 재생 속도는 BPM(Beat Per Minute)으로 표시된다. 이는 사용자에게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재생 요청 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요청한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온다. 이어서,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변환하고 오디오 재생부(110)로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의 변환 과정은 사용자의 요청에 맞는 재생 방향 또는 재생 속도로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향 설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분석한 결과에 따라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한다. 이때, 역방향으로 재생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재생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재생 순서를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여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순방향의 재생을 역방향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1, 2, 3, 4, 5의 순서로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5, 4, 3, 2, 1의 순서로 오디오 재생부(110)에 로딩하여 역방향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한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 설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현재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의 재생 속도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인 오디오의 재생 속도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의 드럼 등과 같은 타악기 소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타악기 소리가 일정 시간 동안 가지는 주기성을 분석하여 재생 속도를 파악한다. 그리고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이러한 재생 속도의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조절하여 재생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재생 중인 곡과 다음 재생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곡의 비트 매칭(Beat Matching)을 이용하여 두 개의 오디오 데이터를 연결한다. 즉,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오디오 재생 속도의 분석/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재생 중인 곡의 뒷부분과 다음 재생할 곡의 앞부분을 비트 매칭하여 재생한다. 이는 클럽 DJ가 플레이리스트 재생 시에 곡들을 연결해서 재생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비트 매칭은 서로 다른 두 곡의 일정 부분 동안의 드럼 박자를 일치시켜 동시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레코딩부(14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의 레코딩 요청 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러면 레코딩부(140)는 오 디오 재생부(110)로부터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요청하는 일정 구간을 선택하여 저장한다.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wav 등의 오디오 파일 형태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가 포함하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때, 레코딩부(14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 오디오에 대한 저작권을 고려하여 최대 10초로 그 저장 가능 시간을 제한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레코딩부(140)는 전술한 원형 터치패드, 버튼, 스위치, 또는 휠버튼 이외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레코딩 버튼을 구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레코딩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러면 레코딩부(140)는 입력받은 시점부터 레코딩 구간을 설정하고 다시 사용자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구간 설정이 끝나는 지점까지 오디오 재생부(11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렇게 구간 설정을 통하여 얻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원하는 길이만큼만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될 수도 있고 반복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구간 설정을 통해 따로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에 의해 임의의 시점에 효과음으로서 현재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와 함께 재생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150)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처리부(150)는 연결한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샘플, 특정 곡의 일정 구간을 담은 루프 등)을 다운로드받아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네트워크 처리부(150)는 별도로 마련된 전용 서버를 활용하여 저작권 문제가 없는 특정 악기 샘플이나 오디오 데이터의 루프를 다운로드받는다.
상기 오디오 재생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아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즉, 오디오 재생부(11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그리고 오디오 재생부(110)는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 또는 두 개까지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부(110)는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로부터 서로 다른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재생부(110)는 동시에 전달되고 있는 서로 다른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인식하여 두 개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두 개의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는 경우는 두 개의 오디오 데이터가 동시에 재생되는 경우와,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된 이후 임의의 시간 간격을 두고 다른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의 오디오 재생 기능(210), 오디오 재생 제어 기능(220), 레코딩 기능(230), 네트워크 처리 기능(240)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면,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재생부(110)로 로딩된다(201, 202). 그리고 오디오 재생부(110)는 로딩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 재생 방향에 맞게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203).
그리고 오디오 재생 제어 기능(220)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조그 플레이 또는 스크래치를 이용하여 현재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의 재생 방향의 변경을 요청한다(221). 그러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의 전후 방향을 감지하고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재생 방향을 변경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한다(222).
이어서, 재생 속도 조절 기능(224)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재생 속도의 조절을 요청한다. 그러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의 재생 속도를 검출하고(223)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재생 속도를 조절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재생부로 전달한다(224).
이어서, 레코딩 기능(230)을 살펴보면, 유저 인터페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의 일정 구간을 저장하도록 구간 설정 신호를 입력받아 레코딩부로 전달한다(231). 그러면 레코딩부(14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전달받은 구간 설정 신호에 따라 레코딩을 수행하여 구간 설정된 부분의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232). 이후, 레코딩부(14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한 사용자 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오디오 재생부(110)로 단일 재생(233) 또는 반복 재생하도록(234)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기능(240)을 살펴보면, 네트워크 처리부(150)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하여 서버와 연결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처리부(150)는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샘플(242), 특정 곡의 일정 구간을 담은 루프(241) 등)를 다운로드받는다. 네트워크 처리부(150)는 다운로드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하거나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메모리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2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재생 방향, 재생 속도, 또는 저장 구간을 요청받는다(302).
이후,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요청받은 재생 방향 정보, 재생 속도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하여(304) 변경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한다.
그러면 오디오 재생부(110)는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306). 그리고 레코딩부(14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요청받은 저장 구간에 맞게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일정 구간을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한다(308).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1 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는 원형 터치패드, 터치 슬라이더, 인디케이터, 스크린, 토글 버튼, 및 레코딩 버튼을 구비한다.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오디오가 재생되는 경우에, 인디케이터(indicator)는 오디오 재생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향 정보와 재생 속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즉, 인디케이터는 원형 터치패드에 백라이트(back light)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향과 재생 속도를 원형으로 돌면서 표시한다. 인디케이터는 원형 터치패드 가운데를 중심으로 오디오 재생이 순방향인 경우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 속도를 오디오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BPM에 맞춰서 회전한다.
또한, 사용자는 원형 터치패드 상의 인디케이터를 터치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순간적으로 멈출 수도 있다. 그리고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원형 터치패드 상의 인디케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되는 방향에 맞는 재생 방향 제어 신호를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그러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가 회전 방향에 맞게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여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하고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인디케이터를 빠르게 앞뒤로 움직이면, 사용자 는 이러한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이용하여 전문 DJ들이 하는 스크래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원형 터치패드에서 손을 떼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와 재생 방향에 맞게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된다.
또한, 사용자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레코딩 버튼을 이용하여 현재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레코딩 버튼을 눌러서 현재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의 일정 구간을 선택하면 레코딩부(140)는 오디오 재생부(11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아 메모리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원형 터치패드의 인디케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 버튼을 누르는 순간부터 계속 구간을 표시하고 다시 레코딩 버튼을 눌러 구간 설정이 끝나는 지점까지 표시한다. 그리고 레코딩부(140)는 구간 설정된 부분의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구간 설정을 통하여 얻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길이만큼만 재생할 수도 있고 반복적인 재생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구간 설정을 통해 따로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임의 시점에 효과음으로서 현재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와 함께 재생되도록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2 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는 버튼이나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에 3개의 클릭 가능한 버튼(버튼 A, 버튼 B, 버튼 C)을 구비한다. 버튼 A는 순방향으로 재생하거나 재생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이용되고, 버튼 B는 역방향으로 재생하거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에 이용되고, 버튼 C는 토글 버튼으로 버튼 A와 버튼 B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우선, 버튼 A와 버튼 B의 설정이 재생 방향의 변경일 경우에, 사용자가 버튼 A를 누르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순방향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하여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버튼 A를 누르게 되면 순방향으로 재생이 이루어지는데, 버튼 누르기 전 상태가 순방향 재생 상태라면 아무 변화가 없고, 역방향으로 재생하는 중이었다면 버튼 A를 눌러 순방향 재생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 A를 누르고 있으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오디오 데이터를 순방향으로 재생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버튼 B를 누르면 역방향으로 재생이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는 버튼 A와 버튼 B를 번갈아 가면서 연속적으로 누르면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앞뒤 방향으로 빠르게 재생시키는 스크래치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20)가 버튼이나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전술한 대로 버튼 C를 한번 누르면 스크래치 기능으로 동작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재생 속도 조절 기능으로 동작한다. 이때, 재생 속도 조절 기능이 활성화되면, 버튼 A는 재생 속도 증가 기능으로, 버튼 B는 재생 속도 감소 기능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오디오에 대해서 레코딩 버튼을 누르면, 레코딩부(140)는 레코딩 버튼을 구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레 코딩 버튼을 누르는 순간부터 손을 떼는 순간까지의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3 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부(120)가 스위치로 구현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만약, 사용자가 스위치를 A방향으로 놓으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입력받은 A방향 신호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하여 순방향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위치를 B방향으로 놓으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입력받은 B방향 신호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역순으로 오디오 재생부(110)로 전달하여 역방향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A방향 또는 B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빠르게 움직이면, 오디오 재생 제어부(130)는 일정 구간을 왕복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여 현재 재생되는 오디오가 스크래치되어 오디오 재생부(110)에서 재생된다.
또한, 버튼 C와 레코딩 버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레코딩 기능과 토글 기능 시에 이용된다.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4 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부(120)가 휠버튼으로 구현된 경우에 사용자는 정 가운데 위치에 걸리도록 제작되어 있는 휠을 이용하여 그 정 가운데 위치를 중심으로 A, B 방향으로 빠르게 휠을 움직임으로써 스크래치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C 버튼과 레코딩 버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레코딩 기능과 토글 기능 시에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향, 재생 속도를 사용자 요구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악을 믹싱하거나 효과를 부여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 인터페이스와 이를 통한 인터랙션을 부여하면 청취자가 능동적으로 오디오 재생 및 제어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본인만의 독창적인 음 악을 연출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 저장구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하되, 오디오 재생 수단에서 재생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속도와 다음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일치(비트 매칭)시켜,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 제어 수단;
    상기 오디오 재생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저장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의 일정 구간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레코딩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처리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3. 삭제
  4.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 또는 저장구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재생방향 정보, 재생속도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하되, 현재 재생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속도와 다음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일치(비트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변경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 및
    상기 요청받은 저장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재생중인 오디오 데이터의 일정 구간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서버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방법.
  6. 삭제
KR1020060095563A 2006-09-29 2006-09-29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그 방법 KR100797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563A KR100797390B1 (ko) 2006-09-29 2006-09-29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563A KR100797390B1 (ko) 2006-09-29 2006-09-29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390B1 true KR100797390B1 (ko) 2008-01-28

Family

ID=3921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563A KR100797390B1 (ko) 2006-09-29 2006-09-29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1308A (zh) * 2013-10-18 2014-02-12 上海山景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音乐播放系统及方法
KR20220061922A (ko) * 2016-02-17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재생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691A (ko) * 2001-03-02 2002-09-13 블루텍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방법과 이를 적용한 기록매체 및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KR20040009937A (ko) * 2002-07-2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출력 장치
KR20050080331A (ko) * 2004-02-09 200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별 사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39232A (ko) * 2004-11-02 2006-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오디오기기의 녹음파일 저장/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691A (ko) * 2001-03-02 2002-09-13 블루텍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방법과 이를 적용한 기록매체 및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KR20040009937A (ko) * 2002-07-2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출력 장치
KR20050080331A (ko) * 2004-02-09 200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별 사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39232A (ko) * 2004-11-02 2006-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오디오기기의 녹음파일 저장/재생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1308A (zh) * 2013-10-18 2014-02-12 上海山景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音乐播放系统及方法
KR20220061922A (ko) * 2016-02-17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재생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633785B1 (ko) * 2016-02-17 202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재생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US11941415B2 (en) 2016-02-17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playback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63066A1 (en) Computer peripheral device
US58249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nd simultaneously playing predefined musical sequences using visual display and input device such as joystick or keyboard
US7078609B2 (en) Interactive digital music recorder and player
JP2003536106A (ja) 対話型マルチメディア装置
US20020118848A1 (en) Device using analog controls to mix compressed digital audio data
WO2006114998A1 (ja) 音楽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および音楽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10531464A (ja) 電子装置を用いて複数のソングを自動的にビートミックス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8004690A1 (fr) Dispositif portatif de production d'accords, programme d'ordinateur et support d'enregistrement
US7164906B2 (en) System and method of music generation
KR201100401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110029867A1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WO2017028686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200909377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08533643A (ja) ディスクジョッキー機能が内蔵された携帯コンピュータ装置
US201301390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remixing
JP2004233698A (ja) 音楽支援装置、音楽支援サーバ、音楽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97390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음악 연출 장치 및그 방법
JP584238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装置
JP2001272977A (ja) 楽音制御装置、楽音制御方法及び同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486941B2 (ja) 聴衆に唱和をうながす気分を楽しむカラオケ装置
WO2022101977A1 (ja) 音響機器、音響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66922A (ja) 楽曲演奏装置
JP6474292B2 (ja) カラオケ装置
EP16796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sic generation
JP2580863B2 (ja) 楽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