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495B1 -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495B1
KR100796495B1 KR1020020015961A KR20020015961A KR100796495B1 KR 100796495 B1 KR100796495 B1 KR 100796495B1 KR 1020020015961 A KR1020020015961 A KR 1020020015961A KR 20020015961 A KR20020015961 A KR 20020015961A KR 100796495 B1 KR100796495 B1 KR 10079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display panel
panel
bracket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069A (ko
Inventor
이갑재
추헌전
어지흠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4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의 크기에 따라 빠른 대응이 가능한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장을 형성하며 패널이 인입출되도록 정면이 개구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내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인입되는 패널의 양단부가 안착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패널의 크기에 따라 소정간격을 두어 다수개의 멈춤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패널의 크기에 따라 수납부재의 너비를 조절하며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재의 멈춤홀에 의해 정지되는 회동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를 제공한다.
평판표시, 패널, 수납박스

Description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Storage box for flat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a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4b는 도 4a의 동작도.
도 5는 도 2의 저면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패널 10: 몸체부
11: 개구 20: 수납부재
21: 전방수납판 22: 후방수납판
23: 연결판 30: 고정부재
30a: 멈춤홀 30b: 가이드홀
31: 상부고정브라켓 32: 하부고정브라켓
40: 회동부재 41: 상부회동브라켓
42: 하부회동브라켓 51: 록킹바
52: 탄성부재 60: 연결바
70: 이동방지수단 71: 파지판
71a: 파지홈 72: 파지봉
80: 스톱퍼
본 발명은 공정라인 내 이동 또는 외부 출하를 위해 사용되는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크기에 따라 모드교체가 원터치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는, 글라스재질의 평판표시용 패널을 외부로 안전하게 출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을 형성하며 패널(P, panel)의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정면이 개구(1a)된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인입되는 패널이 안착되는 수납부(2)와, 상기 몸체부의 개구를 열고 닫는 덮개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납부(2)는, 상기 몸체부(1)의 내측 상/하면에 각각 상응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3개의 가이드부재(2a)와, 상기 패널(P)의 크기에 따라 상기 어느 한 가이드부재(2a)의 홈에 삽입 장착되는 수납판(2b)과, 상기 수납판이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나사(2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출하를 위해 우선 상기 패널(P)의 크기에 맞게 상기 수납판(2b)을 상기 3개의 가이드부재(2a) 중 어느 한 가이드부재에 삽입한 후 나사(2c) 체결하 고, 출하전, 상기 패널(P)을 상기 몸체부(1)의 개구(1a)를 통해 상기 수납판(2b)에 안착시킨 후 상기 덮개부를 닫아 패널의 인입공정을 마치고 외부로 출하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는, 패널(P)의 크기에 따라 빠른 대응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공정라인에서 양산되어 나오는 패널(P)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패널의 크기에 맞게 수납판(2b)을 3개의 가이드부재(2a) 중 어느 한 가이드부재에 삽입하는 공정과, 이후 상기 수납판(2b)을 상기 가이드부재(2a)에 나사(2c)체결하는 공정등의 후속공정이 더 추가됨에 따라, 양산된 패널(P)이 수납박스에 인입되는 시간이 길어져 출하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널의 크기에 따라 빠른 대응이 가능한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장을 형성하며 패널이 인입출되도록 정면이 개구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내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인입되는 패널의 양단부가 안착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패널의 크기에 따라 소정간격을 두어 다수개의 멈춤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패널의 크기에 따라 수납부재 간의 너비를 조절하며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재의 멈춤홀에 의해 정지되는 회동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a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동작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저면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을 형성하며 패널(P)이 인입출되도록 정면이 개구(11)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내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인입되는 패널(P)의 양단부가 안착되는 수납부재(20)와, 상기 몸체부(10)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패널(P)의 크기에 따라 소정간격을 두어 다수개의 멈춤홀(30a)이 형성된 고정부재(30)와, 상기 수납부재(20)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1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패널(P)의 크기에 따라 수납부재(20)간의 좌/우측 너비를 조절하며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재(30)의 멈춤홀(30a)에 의해 정지되는 회동부재(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멈춤홀(30a)을 잇는 가이드홀(30b)이 더 형성되는 상부고정브라켓(31)과,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패널(P)의 크기에 따라 소정간격을 두어 다수개의 멈춤홀(30a)만이 형성되는 하부고정브라켓(32)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 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고정브라켓(32)에도 상기 상부고정브라켓(31)과 동일하게 가이드홀(30b)이 더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상기 상/하부고정브라켓(31, 32)을 형상적으로 구분시키지 않음에 따라, 상/하부고정브라켓 장착시 상부고정브라켓(31)에 하부고정브라켓(32)을 장착시켜도 되므로 조립작업이 수월해지고, 상/하부고정브라켓 양산시 하나의 금형으로 양산이 가능하게 되어 비용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40)는, 상기 상부고정브라켓(31)의 저면측에 위치되는 상부회동브라켓(41)과, 상기 하부고정브라켓(32)의 평면측에 위치되는 하부회동브라켓(42)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부재(20)를 고르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회동브라켓(41)과 하부회동브라켓(42)을 상기 몸체부(10)의 앞부분에 위치시킴과 함께, 별도의 상부회동브라켓(미도시)과 하부회동브라켓(43)을 상기 몸체부(10)의 뒷부분에 더 구비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40)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재(20)의 너비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재의 멈춤홀(30a)에 회동부재(40)를 자동으로 고정시키는 자동잠금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자동잠금수단은, 도 3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회동브라켓(42)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고정브라켓(32)의 멈춤홀(30a)에 삽입되는 일단부와, 상기 상부회동브라켓(41)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고정브라켓(31)의 멈춤홀(30a)에 삽입되는 타단부를 가지고, 제 1 직경을 가지는 제 1 직경부 및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가지는 제 2 직경부를 구비한 록킹바(51, locking bar)와, 상기 록킹바(51)가 이동된 후에 상기 록킹바를 자동 원위치시키도록 상기 록킹바(51)의 상기 제 2 직경부를 둘러싸는 탄성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 2 직경부는 상기 록킹바(51)의 소정부위로부터 타단부의 직전 부위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바(51)는, 고정부재 및 회동부재(30,4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록킹바(51)의 소정부위에서 타단부의 직전 부위까지는 상기 가이드홀(30b)의 너비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바(51)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홀(30b)의 너비보다 크고 상기 멈춤홀(30a)의 크기보다 작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록킹부(51)의 타단부는 록킹바의 제 2 직경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다른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회동브라켓(41)과 상기 하부회동브라켓(42)을 연결함과 함께 강도를 보강하는 연결바(60)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수납부재(2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P)이 인입될 때 접촉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저감시키기 위해, 즉 패널과의 실질적인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상기 몸체부(10)의 전/후 내측에 각각 전방수납판(21)과, 후방수납판(22)으로 분리 구비되어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방수납판(21)과 상기 후방수납판(22)을 상호 연결시키되 패널(P)이 인입되지 않는 면을 상호 연결시켜 하나의 수납판 회동시 다른 하나의 수납판도 동시에 회동되도록 함과 함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연결판(23)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P)의 크기에 따라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그 설치위치를 다르게 하여 상기 패널의 이동을 막아주는 이동방지수단이 더 포함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이동방지수단은,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후면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의 파지홈(71a)이 형성된 파지판(71)과, 상기 패널(P)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파지홈(71a) 중 어느 한 파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패널의 이동을 막아주는 파지봉(72)으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회동브라켓(41, 42) 중 상기 몸체부(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측 상/하부회동브라켓과 이에 상응하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사이에 스톱퍼(80, stopper)가 더 구비되어, 상기 후방측 상/하부회동브라켓이 완전히 젖혀질 때 상기 후방측 상/하부회동브라켓이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및 역할을 종합하여 설명한다.
먼저, 패널(P)의 크기에 따른 수납부재(20)간의 좌/우너비 조절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록킹바(51)를 상방향(실선화살표 참조)으로 이동시킨 후, 패널(P)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도면상 우측으로 또는 그 크기가 클 경우에는 도면상 좌측으로 가이드홀(30b)을 따라서 록킹바(51)를 이동시켜 그 크기(예를들어, 15", 16", 17", 18"등)에 맞는 멈춤홀(30a)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록킹바(51)에서 손을 떼면 탄성부재(52)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바가 원위 치되면서(점선화살표 참조) 멈춤홀(30a)에 록킹바(51)의 타단이 걸리게 된다(도 4a참조). 이에 따라, 회동부재(40)가 고정부재(30)에 확실히 고정되어 외부충격 등이 미치더라도 회동부재의 이동이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P)의 크기에 따라 패널의 인입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순서를 두어 파지판(71)에 형성되는 파지홈(71a) 중 패널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몸체부의 전방향측(도면상 상부측) 파지홈에 또는 그 크기가 클 경우에는 몸체부의 후방향측(도면상 하부측) 파지홈에 파지봉(72)을 끼워 넣게 된다.
이후, 수납부재간(20)의 좌/우너비가 조절되고, 파지봉(72)에 끼워지면, 패널(P)을 수납부재에 인입 안착시켜 덮개(미도시)를 닫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를 제공함에 따라, 패널의 크기에 따라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기술개발이 지속되어 수납박스가 출하뿐만 아니라 직접 공정라인에서도 사용될 경우, 상술한 본원발명의 수납박스는, 그 사용이 출하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정라인 내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는, 패널의 크기에 따라 빠른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번의 동작으로 패널의 크기에 맞게 수납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음에 따라, 그 공정시간이 단축되어 출하가 빠르게 진행되는 이점이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은, 수납판을 빼고 다시 끼워넣는 공정과, 수납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체결공정과, 수납판을 해제시키기 위한 나사제거공정 등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종래기술에 비해 공정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번의 동작으로 패널의 크기에 맞게 수납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조작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이 수납판 전체를 가이드부재에서 인출시킨 후 패널의 크기에 맞는 가이드부재에 다시 수납판 전체를 인입하고, 별도의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판을 가이드부재에 나사체결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을 요하지 않고, 단지, 록킹바를 잡고 필요한 멈춤홀에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잠기게 됨에 따라, 조작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모든 효과를 다 포함한다.

Claims (15)

  1. 외장을 형성하며 패널이 인입출되도록 정면이 개구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내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인입되는 상기 패널의 양단부가 안착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회동부재;
    상기 몸체부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좌/우 내측 각각의 상부에 고정되며 다수의 멈춤홀이 형성된 상부고정브라켓과,
    상기 몸체부의 좌/우 내측 각각의 하부에 고정되며 다수의 멈춤홀이 형성된 하부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 수납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상부고정브라켓의 저면측에 위치하는 상부회동브라켓과, 상기 하부고정브라켓의 평면측에 위치하는 하부회동브라켓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 수납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브라켓 또는 하부고정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다수의 멈춤홀을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 수납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재의 너비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재의 멈춤홀에 회동부재를 자동으로 고정시키는 자동잠금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잠금수단은;
    상기 하부회동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고정브라켓의 멈춤홀에 삽입되는 일단부와, 상기 상부회동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고정브라켓의 멈춤홀에 삽입되는 타단부를 구비하고,
    제 1 직경을 가지는 제 1 직경부와,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가지는 제 2 직경부를 구비한 록킹바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직경부는, 상기 록킹바의 타단부의 직전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 2 직경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는, 상기 제 2 직경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된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전/후 내측에 각각 전방수납판과, 후방수납판으로 분리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수납판과 상기 후방수납판을 상호 연결시키되 패널이 인입되지 않 는 면을 상호 연결시켜 하나의 수납판 회동시 동시에 회동되도록 함과 함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연결판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재로 삽입된 패널을 고정하는 이동방지수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 후면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의 파지홈이 형성된 파지판과,
    상기 다수의 파지홈 중 어느 한 파지홈에 안착되도록 삽입되는 파지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회동브라켓 중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후방측 상/하부회동브라켓과 이에 상응하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사이에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동브라켓과 상기 하부회동브라켓을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강도를 보강하는 연결바가 적어도 하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에서 상부고정브라켓의 멈춤홀에 삽입되는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홀의 너비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KR1020020015961A 2002-03-25 2002-03-25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KR10079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961A KR100796495B1 (ko) 2002-03-25 2002-03-25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961A KR100796495B1 (ko) 2002-03-25 2002-03-25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069A KR20030077069A (ko) 2003-10-01
KR100796495B1 true KR100796495B1 (ko) 2008-01-21

Family

ID=3237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961A KR100796495B1 (ko) 2002-03-25 2002-03-25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867B1 (ko) * 2005-06-20 2012-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수납박스
KR100939621B1 (ko) * 2005-06-25 2010-0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카세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709A (ko) * 1997-09-13 1999-04-06 윤종용 번 인 테스트 시스템 및 이를 통한 번 인 테스트 방법
KR19990025709U (ko) * 1997-12-17 1999-07-05 김영환 카세트 개폐 장치
JP2000150410A (ja) * 1998-01-13 2000-05-30 Toshiba Corp レ―ザアニ―ル装置およびレ―ザアニ―ル方法
JP2000206477A (ja) * 1999-01-08 2000-07-28 Nec Corp 表示パネル製造ライン
KR20010063795A (ko) * 1999-12-24 2001-07-09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KR20010106600A (ko) * 2000-05-22 2001-12-07 백영근 액정 판넬 운반용 메가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709A (ko) * 1997-09-13 1999-04-06 윤종용 번 인 테스트 시스템 및 이를 통한 번 인 테스트 방법
KR19990025709U (ko) * 1997-12-17 1999-07-05 김영환 카세트 개폐 장치
JP2000150410A (ja) * 1998-01-13 2000-05-30 Toshiba Corp レ―ザアニ―ル装置およびレ―ザアニ―ル方法
JP2000206477A (ja) * 1999-01-08 2000-07-28 Nec Corp 表示パネル製造ライン
KR20010063795A (ko) * 1999-12-24 2001-07-09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KR20010106600A (ko) * 2000-05-22 2001-12-07 백영근 액정 판넬 운반용 메가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069A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5389B2 (ja) 蝶 番
KR100796495B1 (ko) 평판표시용 패널의 수납박스
JP3518930B2 (ja) 開閉扉用緩衝装置
US7144060B2 (en) Damper assembly for a glove box
JPH1025949A (ja) 箱類における扉の取付機構
JP2559183Y2 (ja) 丸型天井点検口
CN217125440U (zh) 一种结构稳定性强的包装盒
JP3838009B2 (ja) 包丁差し
JPH033032Y2 (ko)
JP2005273158A (ja) ボックスの取り付け構造
KR20020253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힌지
JPH07610Y2 (ja) 扉用ヒンジ部材
JPS6120219Y2 (ko)
KR960009180Y1 (ko) 가구의 양쪽문 개방장치
KR200371628Y1 (ko) 상향식 도어 개폐 구조
JP3315390B2 (ja) 蝶 番
KR910006078Y1 (ko) 용기의 힌지 및 크램핑장치
JP2535919Y2 (ja) 埋込式収納キャビネットの取付構造
JP2729099B2 (ja) ガイドローラ取付装置
KR970005940Y1 (ko)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KR0123338Y1 (ko) 팔렛트 위치제어용 지그
KR200237642Y1 (ko) 도어힌지
KR930007450Y1 (ko) 음압흡수용 도어 개폐장치
JP2532057Y2 (ja) 錠止用ロッドアセンブリ
KR970006731Y1 (ko) 가스오븐렌지의 오븐도어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