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42Y1 -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42Y1
KR200237642Y1 KR2020010010866U KR20010010866U KR200237642Y1 KR 200237642 Y1 KR200237642 Y1 KR 200237642Y1 KR 2020010010866 U KR2020010010866 U KR 2020010010866U KR 20010010866 U KR20010010866 U KR 20010010866U KR 200237642 Y1 KR200237642 Y1 KR 200237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member
piece
hinge
bend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호
Original Assignee
권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준호 filed Critical 권준호
Priority to KR2020010010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42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품 수납함 본체로부터 도어를 회동개폐하는 힌지수단과 닫혀진 도어를 고정시켜주는 록킹수단을 다이캐스팅 주조에 의한 단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정밀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닫혀진 도어를 탄력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서 보다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고 고품격의 간결화 된 구조를 갖는 도어힌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유리도어가 부착되는 힌지구조물의 축수부에 편형의 스톱퍼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체결되는 유리도어의 부착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어 조립효율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진일보한 구조의 도어힌지를 제공 받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힌지{Door hinge}
본 고안은 물품 수납함 본체로부터 도어를 회동개폐하는 힌지수단과 닫혀진 도어를 고정시켜주는 록킹수단을 단일체로 구성한 본 출원인의 등록 고안 제176180호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정밀하며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닫혀진 도어를 록킹하기 위한 부품들의 조립공정을 줄이고 부품수 절감에 따른 원가를 절감하며 구성 부품의 외부 노출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서 제품의 품격을 일층 높이는 간결화 된 구조의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장,옷장, 찬장, 책장 및 장식장(이하 '물품 수납함'이라 칭함.)등은 그 개방부위가 도어에 의해 열고 닫히는 것이며, 이러한 도어는 물품 수납함 일측면과 도어상에 부착되어진 힌지구조물의 힌지동작에 따라 회동개폐되는 것이다.
아울러, 수납함의 도어 접면부에 부착되어진 자석과 같은 부착물과 도어 일면에 부설되어진 금속편간의 록킹동작에 따라 닫혀진 도어를 사용자가 잡아당겨 열지 않는한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부터 쉽게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도어힌지 및 록킹수단에 있어선, 무엇보다도 이들(도어힌지, 록킹수단)이 상호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립공정이 상승하고, 부품수가 많아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었던 것은 물론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의 선 등록 고안 제176180호가 개발되어 전술한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게 되었던 것이다. 선 등록 고안은 도어를 수납함으로부터 회동개폐하여 주는 도어힌지 자체에 닫혀진 도어를 고정하는 록킹수단을 단일체로 구성함으로서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공정을 단축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선등록 고안의 도어힌지는 수납함 일측면에 고정판을 체결하고, 도어 일면으로는 회동판을 체결하여 이들(고정판, 회동판)의 일측으로 마련된 끼움돌부에 힌지축을 게재함으로서 수납함을 기준하여 도어가 회동개폐될 수 있는 것이며, 고정판 일면에 체결되어진 탄성록킹편과 회동판 일면으로 부착되어진 걸림부재를 통해서는 닫혀진 상태의 도어를 탄력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등록 고안의 도어힌지는 수납함과 도어에 각각 체결되어 힌지축으로서 연결되는 고정판과 회동판이 프레스작업 및 절곡작업과 같은 다수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완성되는 것으로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자동화된 설비로서 대량생산을 이룰 수 없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판과 회동판의 일측으로 힌지축을 게재하기 위한 끼움돌부를 커링 작업해야 하고, 고정판 일면으로 스폿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으로서 탄성록킹편을체결해야 하며, 회동판 일면으로는 탄성록킹편과 대응하는 걸림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끼움편을 절결하여 밴딩해야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일련의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거쳐 완성되는 선등록 고안에 의하면, 제조에 따른 공정이 상승하여 생산효율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작업피로도를 가중시키는 비생산적인 저해요인이 노출되었던 것이다.
또한, 탄성록킹편과 걸림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도어힌지 전체의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 고품격의 도어 힌지를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 미비점이 노출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선 등록 고안의 구조적 결함을 일층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힌지에 있어 수납함 일측 벽부에 체결되는 힌지구조물과 도어 일면에 체결되는 다른 힌지구조물을 다이캐스팅 주조로서 성형하여 대량생산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정밀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닫혀진 상태의 도어를 록킹하기 위한 구조물을 다이캐스팅 주조시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부품수를 최대한 줄여 원가절감을 꾀하고, 록킹에 필요한 구조물의 외부노출을 최대한 억제하여 외형을 보다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고품격의 간결화된 도어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또, 유리도어가 부착되는 힌지구조물의 축수부에 편형의 스톱퍼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체결되는 유리도어의 부착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셋팅할 수있어 조립효율을 일층 향상시킴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도어 힌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로서, 도어가 오픈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따른 회동 힌지부재의 요부를 발췌한 평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의 록킹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5의 록킹동작부를 발췌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고정 힌지부재, 110 - 고정편,
113 - 융기부, 120 - 절곡편,
121 - 축수부, 122 - 요입홈,
123 - 걸림턱부, 200 - 회동 힌지부재,
210 - 제 1 절곡편, 220,220' - 제 2 절곡편,
221,221' - 축수부, 222,222' - 스톱퍼,
223 - 공간부, 224 - 요입부,
225 - 고정돌부, 300 - 록킹구,
301 - 몸체, 302 - 끼움홈,
303 - 텐션공간부, 304 - 텐션록킹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도어 힌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 A 은 도어힌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힌지(A)는 크게 나누어 수납함(1) 일측 벽부에 체결되는 고정 힌지부재(100)와, 도어 일측면에 체결되는 회동 힌지부재(200)와, 상기 회동 힌지부재에 착탈이 자유롭게 체결되는 록킹구(300)로 나눌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고정 힌지부재(100)는 수납함 일측 벽부에 접면하고 나사못(112)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못체결공(111)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는 고정편(110)을 구성하며, 고정편 일면으로 돌출되어진 융기부(113) 연장선상에서 직교하여 절곡되며 단부에 축수부(121)를 형성한 절곡편(120)을 구성한다.
그리고 융기부와 절곡편의 경계선상에 요입홈(122)을 형성하되, 상기 요입홈은 후술할 록킹구의 텐션록킹편이 원활하게 출입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요입홈의 일측 단부에는 편형의 걸림턱부(123)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진다.
도시한 실시예의 회동 힌지부재(200)는 일면에 장공(211)을 형성한 제 1 절곡편(210)을 구성하되, 볼트공(도면부호는 생략함.)이 형성된 고정원판(3)과 접착제(4)를 이용하여 유리도어(2) 일면에 체결되어 실질적으로 회동 힌지부재와 유리도어를 연결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곡편(210)으로부터 엇턱지게 절곡되며 선단으로 고정 힌지부재의 절곡편 선단에 형성된 축수부와 연통하여 힌지축(226)이 끼워지는 축수부(221)(221')를 갖는 제 2 절곡편(220)(220')을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절곡편의 축수부로부터 중앙 일부를 절개하여 고정 힌지부재의 절곡편이 요입되는 공간부(223)를 형성하고, 공간부 연장선상으로 후술할 록킹구가 자유로게 착탈될 수 있는 요입부(224)를 마련하며, 요입부 상,하단부에는 고정돌부(225)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절곡편 선단에 형성되어진 축수부(221)(221')에는 편형의 스톱퍼(222)(222')를 일체로 성형하며, 이로서 유리도어를 고정원판과 접착제로서 회동 힌지부재 제 1 절곡편에 체결할때 설정되어진 위치상에서 항시 정확하고 균형적으로 유리도어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록킹구(300)는 상기 회동 힌지부재의 요입부(224)상에 마련된 고정돌부(225)에 끼워지는 끼움홈(302)을 몸체(301) 상,하부에 형성하고, 몸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텐션공간부(223)를 형성하며 고정 힌지부재의 요입홈에 출입하면서 걸림턱부와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록킹되는 텐션록킹편(304)을 마련하여구성되는 것이며, 탄력적인 움직임을 얻기에 적합한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탄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금속 박판의 절곡 구조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전술한 고정 힌지부재(100)와 회동 힌지부재(200)는 다이캐스팅 주조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며, 이로서 도어힌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정밀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록킹구의 텐션록킹편(304) 일단과 고정 힌지부재의 걸림턱부(123) 일단을 곡선적으로 마감처리하여 걸림턱부와 텐션록킹편간의 록킹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우선 고정 힌지부재의 고정편(110)을 수납함(1) 일측 벽부에 접면하도록 밀착시킨 후 다수의 나사못체결공(111)으로 나사못(112)을 체결하여 벽부에 고정 힌지부재(100)를 부착한다. 이때, 절곡편의 일면이 벽부 전면에 면접되는 위치를 취한다.
그런다음 회동 힌지부재(200)의 제 2 절곡편상에 마련된 공간부(223)를 이용하여 그 선단에 마련된 축수부(221)(221')를 고정 힌부재의 절곡편상에 마련된 축수부(121)와 연통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아래쪽 방향으로부터 힌지축(226)을 끼움 체결하여 고정 힌지부재와 회동 힌지부재간의 체결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한 체결과정 이전의 조립공정으로서 회동 힌지부재의 요입부상에 록킹구(300)를 게재하는 것이다.
예컨데, 록킹구의 몸체 상,하단부에 형성되어진 끼움홈(302)을 회동 힌지부재의 요입부 내면 상,하단부에 마련된 고정돌부(225)에 끼움 체결하며, 이러한 록킹구는 언제든지 필요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고, 록킹구의 텐션록킹편(304) 또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위치되어진다.
이와 같이 고정 힌지부재(100)와 회동 힌지부재(200)를 상호 힌지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체결한 후에는 회동 힌지부재에 유리로 구성된 도어(2)를 부착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한 회동 힌지부재의 제 1 절곡편(210)에 고정원판(3)을 접면시킨 상태에서 볼트(5)를 장공(211)에 끼워 고정원판에 마련된 체결공(도면부호는 생략함.)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원판을 고정하고, 이어서 고정원판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유리도어 내측면에 고정함으로서 금속재로 구성된 회동 힌지부재(200)에 유리재질의 도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회동 힌지부재의 제 2 절곡편 선단에 형성된 축수부(221)(221') 외면으로 일체형의 스톱퍼(222)(2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유리도어(2)를 고정원판에 체결할때 일일이 육안으로 설정되어진 유리도어의 체결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없이 원터치 방식의 체결작업으로 유리도어의 설치각도 및 수평을 신속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본 고안의 도어힌지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2과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즉, 유리도어를 수납함으로부터 도 2와 같이 오픈시킨 후 개방되어진 수납함 내부에 수납하고자 하는 각종 물품들을 넣고 유리도어를 닫아주는 것인데, 사용자가 유리도어를 잡고 밀어주면, 힌지축(226)을 중심으로 유리도어에 체결되어진 회동 힌지부재(200)가 고정 힌지부재(100)를 향하여 접근하고, 회동 힌지부재가 좀더 닫아지면 요입부(224) 내부에 게재되어진 록킹구의 텐션록킹편(304) 단부가 고정 힌지부재의 요입홈(122) 일단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부(123)에 도 6과 같이 접촉한다.
그후 텐션록킹편이 몸체(301) 일측으로 마련되어진 텐션공간부(223)측으로 탄동하면서 텐션록킹편이 요입홈(122) 내부에 요입되고, 이때 오므러지면서 요입되어진 텐션록킹편은 요입홈 내부에서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외측으로 탄동하면서 결국 탄동적으로 걸림턱부(123)에 걸려 유리도어를 사용자가 당기지 않는한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유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고안은 도어힌지를 구성하는 고정 힌지부재와 회동 힌지부재를 다이캐스팅 주조로서 제작하여 정밀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이며, 닫혀진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들의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공정 단축에 따른 작업효율을 높인 것은 물론, 록킹수단들의 외부 돌출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서 도어힌지의 품격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유리도어가 부착되는 힌지구조물의 축수부에 편형의 스톱퍼를 일체로 성형하고 있어, 체결되는 유리도어의 부착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받는 신규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수납함(1) 일측 벽부에 접면하고 나사못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못체결공(111)을 갖는 고정편(110)과, 고정편 일면으로 돌출되어진 융기부(113) 연장선상에서 직교하여 절곡되며 단부에 축수부(121)를 형성한 절곡편(120)과, 융기부와 절곡편의 경계선상에 요입홈(122)을 형성하고 요입홈 일측 단부에 걸림턱부(123)를 돌출 구성한 다이캐스팅 주조물의 고정 힌지부재(100)와; 장공(211)을 형성한 제 1 절곡편(210)과, 상기 제 1 절곡편으로부터 엇턱지게 절곡되며 선단으로 고정 힌지부재의 절곡편 선단에 형성된 축수부와 연통하여 힌지축(226)이 끼워지는 축수부(221)(221')를 갖는 제 2 절곡편(220)(220')과, 상기 제 2 절곡편의 축수부로부터 중앙 일부를 개방하여 고정 힌지부재의 절곡편이 요입되는 공간부(223)를 형성하고, 공간부 연장선상으로 요입부(224)를 마련하며 요입부 상,하단부에 고정돌부(225)를 형성한 다이캐스팅 주조물의 회동 힌지부재(200)와; 상기 회동 힌지부재의 요입부상에 마련된 고정돌부에 끼워지는 끼움홈(302)을 몸체(301) 상,하부에 형성하고, 몸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텐션공간부(223)를 형성하며 고정 힌지부재의 요입홈을 출입하면서 걸림턱부(123)에 탄력적으로 록킹되는 텐션록킹편(304)을 갖는 록킹구(3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힌지부재(200)의 제 2 절곡편 선단에 형성되어진 축수부(221)(221')에 편형의 스톱퍼(222)(22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KR2020010010866U 2001-04-17 2001-04-17 도어힌지 KR200237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66U KR200237642Y1 (ko) 2001-04-17 2001-04-17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66U KR200237642Y1 (ko) 2001-04-17 2001-04-17 도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42Y1 true KR200237642Y1 (ko) 2001-10-11

Family

ID=7309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66U KR200237642Y1 (ko) 2001-04-17 2001-04-17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722A (ko) * 2015-04-29 2016-11-08 (주) 중산기업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722A (ko) * 2015-04-29 2016-11-08 (주) 중산기업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KR101696648B1 (ko) 2015-04-29 2017-01-17 (주) 중산기업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7640A (en) Super-thin hinge with resiliently biased catch
KR20040098536A (ko) 스프링을 구비한 가구용 힌지
JPH04265386A (ja) ヒンジ枠
KR200237642Y1 (ko) 도어힌지
US6901633B2 (en) Door hinge
EP3566758B1 (en) Hinge mechanism for a door of a model car
US20170156487A1 (en) Bi-fold table
KR101962078B1 (ko) 강화된 경첩부를 갖는 사물함
KR102303479B1 (ko) 분할 교체 구조로 된 매립형 도어손잡이
JPS5834951Y2 (ja) 家具用扉
JP4205632B2 (ja) ドア用ヒンジ構造
JP2544200Y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回動扉の取付装置
CN213025366U (zh) 一种拼装音乐盒
KR200303859Y1 (ko) 유리 문짝용 경첩
KR200197528Y1 (ko) 경첩용 백커버
RU2779676C2 (ru) Мебельный шарнир, мебельная панель и мебельный корпус
KR200176180Y1 (ko) 도어힌지
JP2515463Y2 (ja) 収納部の上レールの取付け構造
JPH0518457Y2 (ko)
JP2515464Y2 (ja) 収納部の上レールの取付け構造
JPH0951855A (ja) キャビネット
EP2977533A1 (en) Hinge for doors
JPH045664Y2 (ko)
KR200433605Y1 (ko) 회전각도가 확대된 힌지구조
JPH03215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