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648B1 -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648B1
KR101696648B1 KR1020150060510A KR20150060510A KR101696648B1 KR 101696648 B1 KR101696648 B1 KR 101696648B1 KR 1020150060510 A KR1020150060510 A KR 1020150060510A KR 20150060510 A KR20150060510 A KR 20150060510A KR 101696648 B1 KR101696648 B1 KR 10169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main body
hinge
rotary shaf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722A (ko
Inventor
박호영
Original Assignee
(주) 중산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중산기업 filed Critical (주) 중산기업
Priority to KR102015006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64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부재 중 모니터를 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부와 힌지날개부재를 전체적인 두께가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되게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조하여, 상기 회전축부와 힌지날개부의 내구성이 증대됨은 물론, 힌지의 연결부 면적이 종래보다 커지도록 형성해 회전 토크 및 마찰력을 증대시켜, 사용자가 모니터를 화면을 조작할 시, 모니터의 자세 및 회전각도의 변화가 생기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모니터가 본체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시, 본체와 모니터의 이격에 따른 흔들림이 방지되고, 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차가 생성되지 않는 미려한 외관을 갖는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방용 화상표시장치{Kitche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체에서 펼쳐진 모니터 화면을 손으로 터치하여 조작해도 모니터의 자세 및 회전각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가 본체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본체 및 모니터 간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주방용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V의 대중화 및 아파트 등의 대량 공급에 따라 주방에도 별도의 TV기능을 발휘하는 주방용 화상표시장치가 장착되었다.
초기의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는 단순히 TV를 시청하거나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하였으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는 인터넷 기능, 홈오토메이션 기능 등이 추가되기에 이르렀다.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천정이나 측면에 부착되는 본체와, 본체와 힌지를 매개로 개폐 및 회전되는 모니터로 구분된다.
홈오토메이션 기능 등이 추가되면서, 홈오토메이션 기능의 하드웨어 등은 본체뿐만 아니라, 모니터의 후면측에 내장되면서 모니터의 배면 구조가 평판형에서 굴곡진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이를 수용하는 본체의 내면측도 그 구조가 변화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057호에는 티브이폰의 본체와 모니터의체결구조가 제공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모니터 배면 구조와 부합될 수 있는 본체의 내면측 구조가 개시되는데, 본체와 모니터가 체결구로 인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이러한 이격은 모니터의 회전 및 개폐시 흔들림을 유발하게 되고 쉽게 체결구가 고장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모니터를 접었을 때 본체와 모니터가 완전하게 밀폐되면서 조립되지 않았는 한계를 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니터 뒷면에는 모니터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자석부재와 대응하도록 자성체는 모니터를 수용하는 본체의 수용부에 구비되어, 모니터를 접었을 때 본체와 완전히 하나의 몸체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모니터의 개폐 시 또는 회전에 따라 본체와 모니터의 이격에 따른 흔들림이 방지되며, 사용자의 화면 터치조작에도 모니터의 유동이 방지되는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는 상면을 통해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고정되고, 하부 전방측에는 지정 깊이로 단이진 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수용부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본체의 수용부 전방에 힌지부재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를 축으로 90°직각 회전하여, 상기 본체의 전단측에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판 상으로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전방측 중심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수용부 전방에 형성된 매립홈에 상기 볼트공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매립 고정되는 판 상의 회전축브라켓과;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고, 상기 회전축브라켓에 수직선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부와;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단에 직교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날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립홈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브라켓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회전축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지나는 전선 및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축부커버와, 상기 수용부와 마주보는 모니터 뒷면에는 모니터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석부재와 대응하는 자성체는 상기 수용부에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가 접혀졌을 시, 접혀져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모니터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차가 생성되지 않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니터가 힌지를 축으로 90°직각 회전되어 상기 본체에서 펼쳐지면, 상기 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모니터가 본체와 직각을 이루고, 상기 본체의 전면과 모니터의 전면(화면이 위치하는 면)이 같은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니터가 힌지를 축으로 90°직각 회전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부로 접혀지면, 상기 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모니터가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모니터의 전면(화면이 위치하는 면)이 상기 본체의 하면과 같은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니터는 그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힌지부재 중 모니터를 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부와 힌지날개부재를 전체적인 두께가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되게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조하여, 상기 회전축부와 힌지날개부의 내구성이 증대됨은 물론, 힌지의 연결부 면적이 종래보다 커지도록 형성해 회전 토크 및 마찰력을 증대시켜, 사용자가 모니터를 화면을 조작할 시, 모니터의 자세 및 회전각도의 변화가 생기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모니터 뒷면에는 모니터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자석부재와 대응하도록 자성체는 모니터를 수용하는 본체의 수용부에 구비되어, 모니터가 본체에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시, 본체와 모니터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차가 생성되지 않는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상표시장치의 힌지부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상표시장치의 모니터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체에서 펼쳐진 모니터 화면을 손으로 터치하여 조작해도 모니터의 자세 및 회전각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가 본체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본체 및 모니터 간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주방용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힌지부재(300)로 결합되는 모니터(2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비교적 얇은 두께의 육면체로 형성하는데, 전면에는 상기 본체(100)를 조작하는 복수의 버튼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배치되고, 그 상면을 통해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고정 결합한다.
이때 상기 본체(100)와 가구의 결합은 가구에 접착물질을 도포하고 본체(100)와 가구를 결합시키나, 상기 본체(100)와 가구를 볼트로 체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브라켓을 적용하여 가구에 고정하거나, 자성체를 적용해 자성으로 가구에 부착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후방면에는 단자부(130)를 형성하여, 외부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커넥터, 방송신호케이블이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커넥터 및 유선통신케이블이 연결되는 통신커넥터 등 다양한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00)의 하면 후방측에는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출력부(1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하부 전방측에는 지정 깊이로 단이진 수용부(110)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10)에는 모니터(200)가 수용되는데, 상기 수용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부재(3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지정 깊이로 매립홈(미부호)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재(300)의 일부는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형성된 매립홈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재(300)의 타부는 상기 모니터(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재(300)에 의해 모니터(200)가 본체(100)에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재(300)에 의해 본체(100)에 연결되는 모니터(200)는 그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110)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으며, 상기 수용부(110)의 전체적인 형상과 대응하는 육면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200)는 본체(100)의 수용부(110) 전방에 힌지부재(300)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300)의 힌지를 축으로 90°직각 회전하여, 상기 본체(100)의 전단측에서 접히거나 펼쳐진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200)가 본체(100)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본체(100) 및 모니터(200) 간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200)는 힌지부재(300)에 의해 수직선 상을 축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모니터(200)가 접혀졌을 시, 상기 수용부(110)와 마주보는 상기 모니터(200) 뒷면에는 모니터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자석부재와 대응하도록 자성체는 상기 수용부(110)에 구비되어, 접혀져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모니터(200)를 고정한다.
상기 힌지부재(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수용부(110) 전방에 형성된 매립홈에 매립결합되는 판 상의 회전축브라켓(310)을 구비하는데, 상기 판 상의 회전축브라켓(310)에는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회전축브라켓(310)을 상기 매립홈에 고정한 후, 매립홈과 상응하는 형상의 커버(311)를 상기 매립홈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브라켓(3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브라켓(310)의 전방측 중심에는 결합공(미도시)을 형성하는데, 상기 결합공에는 수직선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부(32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320)의 전방측에는 힌지날개부재(330)가 직교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321)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부(320)와 힌지날개부재(330)는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어, 전체적인 두께가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내구성이 증대됨은 물론, 힌지(321)의 연결부 면적이 종래보다 커 회전 토크 및 마찰력을 증대시켜, 사용자가 모니터(200)를 화면을 조작할 시, 모니터(200)의 자세 및 회전각도의 변화가 생기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320)의 외측을 축부커버(340)로 마감하여 상기 회전축부(320)를 관통하여 지나는 전선 및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품의 완성도를 높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상표시장치는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모니터(300)가 힌지를 축으로 90°직각 회전되어 상기 본체(100)에서 펼쳐지면, 상기 본체(1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모니터(300)가 본체(100)와 직각을 이루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과 모니터의 전면(화면이 위치하는 면)이 같은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모니터가 힌지를 축으로 90°직각 회전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부로 접혀지면, 상기 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모니터가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모니터의 전면(화면이 위치하는 면)이 상기 본체의 하면과 같은 수평선상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본체(100)에서 펼쳐진 모니터(200) 화면을 손으로 터치하여 조작해도 모니터(200)의 자세 및 회전각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200)가 본체(100)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본체(100) 및 모니터(200) 간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수용부
120: 음성출력부
130: 단자부
200: 모니터
300: 힌지부재
310: 회전축브라켓
320: 회전축부
321: 힌지
330: 힌지날개부재
340: 축부커버

Claims (6)

  1. 상면을 통해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고정되고, 하부 전방측에는 지정 깊이로 단이진 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수용부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본체의 수용부 전방에 힌지부재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를 축으로 90°직각 회전하여, 상기 본체의 전단측에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판 상으로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전방측 중심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수용부 전방에 형성된 매립홈에 상기 볼트공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매립 고정되는 판 상의 회전축브라켓과;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고, 상기 회전축브라켓에 수직선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부와;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단에 직교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날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립홈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브라켓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회전축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지나는 전선 및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축부커버와;
    상기 수용부와 마주보는 모니터 뒷면에는 모니터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석부재와 대응하는 자성체는 상기 수용부에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가 접혀졌을 시, 접혀져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모니터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차가 생성되지 않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힌지를 축으로 90°직각 회전되어 상기 본체에서 펼쳐지면, 상기 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모니터가 본체와 직각을 이루고, 상기 본체의 전면과 모니터의 전면(화면이 위치하는 면)이 같은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힌지를 축으로 90°직각 회전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부로 접혀지면, 상기 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모니터가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모니터의 전면(화면이 위치하는 면)이 상기 본체의 하면과 같은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그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50060510A 2015-04-29 2015-04-29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KR101696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510A KR101696648B1 (ko) 2015-04-29 2015-04-29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510A KR101696648B1 (ko) 2015-04-29 2015-04-29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722A KR20160128722A (ko) 2016-11-08
KR101696648B1 true KR101696648B1 (ko) 2017-01-17

Family

ID=5752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510A KR101696648B1 (ko) 2015-04-29 2015-04-29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519B1 (ko) * 2019-08-28 2021-05-07 코스텔(주) 슬림화된 주방용 화상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42Y1 (ko) 2001-04-17 2001-10-11 권준호 도어힌지
KR101211119B1 (ko) 2011-06-24 2012-12-11 (주) 중산기업 주방용 절전형 듀얼 터치스크린 모니터형 티브이 도어폰 장치
KR101337949B1 (ko) 2013-09-05 2013-12-06 주식회사 아트뷰 주방용 tv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959B1 (ko) * 2010-11-24 2012-09-12 코스텔(주) 주방용 화상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42Y1 (ko) 2001-04-17 2001-10-11 권준호 도어힌지
KR101211119B1 (ko) 2011-06-24 2012-12-11 (주) 중산기업 주방용 절전형 듀얼 터치스크린 모니터형 티브이 도어폰 장치
KR101337949B1 (ko) 2013-09-05 2013-12-06 주식회사 아트뷰 주방용 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722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3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86827B1 (ko) 빌트인 다기능 티브이 장치
US91303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ve encasement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105721636A (zh) 移动终端
WO2012112790A2 (en) Tablet case with integrated speakers
US7967616B1 (en) In-wall mounted receptacle device
KR101696648B1 (ko)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CN110324446B (zh)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CN102799230B (zh) 移动式产品承载装置
EP3324615B1 (en) Display device with hanging mechanism
KR20160128723A (ko) Usb포트를 구비한 주방용 화상표시장치
KR101337949B1 (ko) 주방용 tv
TW201218780A (en) capable of supporting and positioning a display
JP6211397B2 (ja) 直列ユニット
CN104600486B (zh) 防水网络连接头以及rj45连接器
EP3384742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oor structure for accessing communication socket
US8657546B2 (en) Cover device for fixing portion
WO2016104131A1 (ja) 外部接続端子部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2021064826A (ja) モバイル機器のためのアクセサリ
TWI454205B (zh) 電子設備
KR101020198B1 (ko) 빌트인 티브이
CN216688734U (zh) 门组件和滚筒洗衣机
CN218327241U (zh) 一种可旋转中控台的床头柜
CN209072726U (zh) 隐藏式喇叭结构及使用该结构的便携式计算机
CN218897233U (zh) 电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