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037B1 -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037B1
KR100796037B1 KR1020070074178A KR20070074178A KR100796037B1 KR 100796037 B1 KR100796037 B1 KR 100796037B1 KR 1020070074178 A KR1020070074178 A KR 1020070074178A KR 20070074178 A KR20070074178 A KR 20070074178A KR 100796037 B1 KR100796037 B1 KR 10079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ver
guide member
link
unload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보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보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보중공업
Priority to KR102007007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에 있어서, 하역장비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컨베이어의 상부 양측에 폭 방향으로 선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맞닿게 되면 내측으로 길이를 축소시킨 후 상기 가이드부재가 통과하면 다시 길이를 증가시켜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첩부재와, 일측은 컨베이어의 측면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절첩부재의 선단까지 연결되어 컨베이어를 길이방향으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료 및 연료를 후속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커버를 형성하여 우천시 빗물의 유입 및 분진의 발생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와 맞닿게 되면 길이가 가변(축소 또는 증가)되는 절첩부재를 형성하여 커버를 개폐시킴으로써 하역장비에서 불출되는 원료 및 연료를 컨베이어의 상부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맞닿게 되면 절첩부재의 길이를 축소함과 동시에 커버를 개방시켜 원료 및 연료를 불출하고 가이드부재가 통과하면 다시 절첩부재의 길이를 증가시켜 커버가 신속하게 컨베이어의 상부와 측면을 덮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하역장비, 원료, 연료, 이송, 컨베이어, 커버, 빗물, 유입, 비산, 방지, 개폐, 절첩

Description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Device cover conveyor for transportation granulated particles of cargo equipment}
본 발명은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 및 원료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상부에 커버를 설치하여 분진 및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사전에 방지함은 물론 하역장비의 이동과 동시에 신속하게 커버를 개폐시켜 연료 및 원료를 효율적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역장비는 제철소 또는 발전소 등에서 야드에 적치되어 있는 원료 및 연료를 불출시켜 후속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상부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컨베이어는 야드에서 지정된 위치까지 원료를 이송하기 위해서 상당한 길이(1Km~2Km)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빗물 및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어 원료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원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강풍과 같은 기상변화에 따라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게 되어 대기오염의 주요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특히 컨베이어의 이송과정에서 흔들림으로 원료의 낙광이 발생하게 되어 원료의 손실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우천시 빗물과 함께 그대로 해양으로 배출되어 해양오염을 유발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치형으로 만곡된 상태로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아치형 리브와, 상기 각 리브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아이볼트가 결합 고정되는 보스를 구비한 하부 브래킷과,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아이볼트의 상단부 고리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봉으로 구성되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343383호 "컨베이어 커버" 및
컨베이어 양쪽의 기둥에 대향 장착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종방향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각각의 상기 레일의 홈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홈 외측으로 돌출한 바퀴 샤프트 및 양단이 상기 바퀴 샤프트의 돌출단에 각각 결합되는 호 형상의 봉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가동 지지체와, 상기 가동 지지체들에 의해 내측이 지지되고 상기 레일의 길이만큼 펼쳐지는 천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천에 의해 인접한 가동 지지체에 연결되는 호 형상의 고정 지지체와, 상기 고정 지지체 반대편에서 상기 리클레이머의 슈트에 고정되고 상기 천에 의해 인접한 가동 지지체에 연결 되는 호 형상의 제2 가동 지지체로 구성되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48110호 "벨트 컨베이어 커버장치"가 안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전자의 "컨베이어 커버"는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빗물의 유입 및 분진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는 하역 또는 이송장비의 이동방식 및 원료의 이송원리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한 구성으로써,
즉, 원료를 컨베이어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리클레이머의 배출 슈트와 컨베이어의 사이에 장애물 및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데 종래의 "컨베이어 커버"는 컨베이어의 상부를 완전히 밀폐시킴은 물론 밀폐된 커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그 어떠한 수단도 제시하지 못하므로, 결과적으로 이동하는 하역장비에는 적용할 수 없는 사용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전자의 "컨베이어 커버"는 금속재질의 커버 플레이트를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로써, 이는 상당한 길이를 갖는 컨베이어를 전체적으로 커버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커버 플레이트를 설치해야 하므로, 결국 설치비용은 물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경제적인 부담이 이중으로 가중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한편, 후자의 "벨트 컨베이어 커버장치"는 컨베이어의 양측에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는 지지체를 형성하여 리클레이머가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체를 밀착시키는 접이식 커버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리클레이머의 이동으로 인해 점차 상기 지지체가 밀착되므로 컨베이어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갈수록 밀착되는 지지체의 하중의 증가로 하역 또는 이송장비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특히 지지체가 밀착되어 누적되는 폭만큼 리클레이머가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이로 인 해 리클레이머의 이동범위 및 작업성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 및 연료를 후속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커버를 형성하여 우천시 빗물의 유입 및 비산되는 분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의 상부 일측에 폭 방향으로 선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절첩부재를 부설하여 하역장비와 함께 이동되는 가이드부재와 맞닿게 되면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길이를 축소시켜 커버를 개방시키게 되고, 반대로 가이드부재가 통과하게 되면 절첩부재의 길이를 증가시켜 커버가 컨베이어의 상부와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크게 하역장비(A)의 하부 일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10)와, 컨베이어(10)의 상부 양측에 폭 방향으로 선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맞닿게 되면 길이를 내측으로 축소시킨 후 상기 가이드부재(110)가 통과하면 다시 길이를 증가시켜 초기상 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첩부재(120)와, 일측은 컨베이어(10)의 측면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절첩부재(120)의 선단까지 연결되어 컨베이어(10)를 길이방향으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1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료 및 연료를 후속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커버를 형성하여 우천시 빗물의 유입 및 분진의 발생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와 맞닿게 되면 길이가 가변(축소 또는 증가)되는 절첩부재를 형성하여 커버를 개폐시킴으로써 하역장비에서 불출되는 원료 및 연료를 컨베이어의 상부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맞닿게 되면 절첩부재의 길이를 축소함과 동시에 커버를 개방시켜 원료 및 연료를 불출하고 가이드부재가 통과하면 다시 절첩부재의 길이를 증가시켜 커버가 신속하게 컨베이어의 상부와 측면을 덮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를 나타 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하역장비(A)의 하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하역장비(A)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절첩부재(120)의 선단을 밀착시켜 내측으로 길이를 축소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140)를 양측으로 개방함으로써 원료 및 연료가 컨베이어(10)의 상부로 불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상기 절첩부재(120)와 커버(140)를 효율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길이방향으로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110)가 상기 절첩부재(120)와 맞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절첩부재(120)가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중앙으로 통과할수록 점차 길이가 축소되면서 동시에 상기 커버(140)를 양측으로 벌려서 효율적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길이방향으로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점차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절첩부재(120)가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외곽에 맞닿아 길이가 가변되는 과정에서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맞닿아 상기 커버(140)를 개폐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외곽에는 상기 절첩부재(12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111)는 구름운동을 유도하여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상기 절첩부재(120)와 맞닿아 길이를 가변시킴과 동시에 상기 커버(140)를 개방시켜 원료 및 연료를 컨베이어(10)의 상부로 원활하게 불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첩부재(120)는 컨베이어(10)의 상부 양측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폭 방향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맞닿게 되면 양측으로 자연스럽게 길이가 축소되면서 상기 커버(1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절첩부재(120)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맞닿아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커버(140)를 개폐시키기 위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다수개의 몸체(121)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21)의 내부에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체(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상기 탄성체(122)의 작용으로 상기 몸체(121)가 순차적으로 선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140)가 컨베이어(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맞닿게 되면 상기 몸체(121)가 순차적으로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커버(140)를 개방시킨 후 상기 가이드부재(110)가 통과하게 되면 다시 상기 탄성체(122)의 작용으로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22)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 으나, 본 발명에서는 평소 상기 절첩부재(12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절첩부재(120)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맞닿게 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12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절첩부재(130)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맞닿아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커버(140)를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131a)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링크(131)와, 하부는 컨베이어(10)의 상부 일측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제1링크(131)의 중간 부분과 서로 교차시켜 절첩축(133)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2링크(132)와, 일측은 상기 제1링크(131)와 제2링크(132)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축(131b,132b)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고 타측은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3링크(134)와, 상기 제1링크(131) 또는 제2링크(132)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한 탄성체(13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첩부재(130)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상기 탄성체(135)의 작용으로 상기 제1링크(131)와 제2링크(132) 및 제3링크(134)를 상승시켜 상기 커버(140)가 컨베이어(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맞닿게 되면 상기 제1링크(131)와 제2링크(132) 및 제3링크(134)가 하부방향으로 절첩되면서 상기 커버(140)를 개방시켜 원료 또는 연료를 불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35)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평소 상기 제1링크(131)와 제2링크(132) 및 제3링크(134)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다.
특히 상기 탄성체(135)는 공지의 쇽업쇼버(136)로 대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링크(132)의 하부에는 절첩과정에서 컨베이어(10)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132a)를 설치하고, 상기 제3링크(134)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와 맞닿아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134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절첩부재(120,130)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외곽을 따라서 이동함과 동시에 절첩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커버(140)를 개방시켜 원료 및 연료를 불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140)는 상기 절첩부재(120)의 길이에 따라서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을 갖도록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활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천막재질)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커버(140)는 방수, 방염 및 우레탄 코팅처리를 하여 우천시 빗물이 컨베이어(10)로 유입됨을 방지함은 물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140)는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 일정길이를 갖도록 제작 하여 연결할 수 있는데, 이는 신속한 교체작업은 물론 컨베이어(10)의 길이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설치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커버(140)는 컨베이어(10)의 측면과 상기 절첩부재(120)의 선단을 연결하여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첩부재(120)의 절첩과정에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첩부재(120)의 선단과 맞닿는 부분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장력유지부재(14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력유지부재(14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 등으로 제작되는 로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100)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평소에 상기 절첩부재(120)는 상기 탄성체(122)의 작용으로 상기 커버(140)가 컨베이어(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유지시켜 빗물유입 및 비산 등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역장비(A)의 이동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10)가 상기 절첩부재(120)와 맞닿게 되면, 상기 절첩부재(120)가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외곽을 따라서 이동함과 동시에 내측으로 길이가 축소되면서 상기 커버(140)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하역장비(A)를 통해서 불출되는 원료 또는 연료가 컨베이어(10)의 상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하역장비(A)의 이동으로 상기 가이드부재(A)가 상기 절첩부 재(120)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122)의 작용으로 상기 절첩부재(120)와 커버(140)가 다시 상기 컨베이어(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서 절첩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절첩부재의 실시예를 적용한 작동상태 참고도.
도 6 - 본 발명에 있어서 절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 또는 도 8 - 본 발명에 있어서 절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작동상태 참고도.
도 9 - 본 발명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컨베이어
100: 본 발명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110: 가이드부재 111: 롤러
120: 절첩부재 121: 몸체
122: 탄성체 123: 롤러
130: 절첩부재 131: 제1링크
131a,131b: 힌지축 132: 제2링크
132a: 롤러 132b: 힌지축
133: 절첩축 134: 제3링크
134a: 롤러 135: 탄성체
136: 쇽업쇼버
140: 커버 141: 장력유지부재
A: 하역장비

Claims (7)

  1.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에 있어서,
    하역장비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컨베이어의 상부 양측에 폭 방향으로 선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맞닿게 되면 내측으로 길이를 축소시킨 후 상기 가이드부재가 통과하면 다시 길이를 증가시켜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첩부재와, 일측은 컨베이어의 측면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절첩부재의 선단까지 연결되어 컨베이어를 길이방향으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길이방향으로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길이방향으로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점차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곽에는 다수개의 롤러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는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다수개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체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는 컨베이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링크와, 하부는 컨베이어의 상부 일측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제1링크의 중간 부분과 서로 교차시켜 절첩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2링크와, 일측은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축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고 타측은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3링크와, 상기 제1링크 또는 제2링크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한 탄성체로 구성되 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력유지부재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KR1020070074178A 2007-07-24 2007-07-24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KR10079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78A KR100796037B1 (ko) 2007-07-24 2007-07-24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78A KR100796037B1 (ko) 2007-07-24 2007-07-24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037B1 true KR100796037B1 (ko) 2008-01-21

Family

ID=39218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178A KR100796037B1 (ko) 2007-07-24 2007-07-24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119A (ko) * 2018-05-25 2019-12-04 화일산기(주) 벨트 컨베이어용 지퍼형 커버장치
WO2022052360A1 (zh) * 2020-09-08 2022-03-17 吴江市胜天包装输送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登高输送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212A (ja) 2000-03-07 2001-09-11 Murata Giken:Kk 開閉可能なカバーを有するチェーンコンベヤー
JP2003312820A (ja) 2002-04-22 2003-11-06 Tokai Rubber Ind Ltd 包み込みコンベヤ装置及び包み込みコンベヤベルト
KR20060001881A (ko) * 2005-12-02 2006-01-06 (주)삼우기계 원료이송벨트컨베이어용 무빙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212A (ja) 2000-03-07 2001-09-11 Murata Giken:Kk 開閉可能なカバーを有するチェーンコンベヤー
JP2003312820A (ja) 2002-04-22 2003-11-06 Tokai Rubber Ind Ltd 包み込みコンベヤ装置及び包み込みコンベヤベルト
KR20060001881A (ko) * 2005-12-02 2006-01-06 (주)삼우기계 원료이송벨트컨베이어용 무빙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119A (ko) * 2018-05-25 2019-12-04 화일산기(주) 벨트 컨베이어용 지퍼형 커버장치
KR102116812B1 (ko) * 2018-05-25 2020-05-29 화일산기(주) 벨트 컨베이어용 지퍼형 커버장치
WO2022052360A1 (zh) * 2020-09-08 2022-03-17 吴江市胜天包装输送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登高输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2074B2 (en) Opening and closing method an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onvertible movable top cover of railway freight wagon
KR100796035B1 (ko)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KR100796036B1 (ko)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RU2509704C2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796037B1 (ko)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KR2010010173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장치
KR100848532B1 (ko)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US9555698B2 (en) Retractable top covering mechanism
CN211056001U (zh) 一种侧条扣齿定位多维整体阻漏带输送机
CN207481910U (zh) 一种铁路货运敞车折叠式活动顶盖的开闭机构
US9957004B2 (en) Cargo bay construction with a slideable wall and vehicle with such a cargo bay construction
KR20120047091A (ko) 벨트 컨베이어 상부 커버링 장치
CN103523463A (zh) 一种覆盖带式输送机
CN1106514C (zh) 导槽结构
KR100796038B1 (ko)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KR100572908B1 (ko) 리클레이머의 컨베이어용 커버장치
RU2312051C1 (ru)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CN209813809U (zh) 一种平移式散货用运输车厢及运输车
CN108001956B (zh) 一种采用移动受料车的分散式多点移置输送机
CN107119956B (zh) 一种折叠水池盖板
KR101463348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우수 차단장치
CN209601381U (zh) 一种防止扬尘的刮板输送机
CN110203229A (zh) 拨盖机构及拨盖装置
CN202265150U (zh) 一种输送机
KR200331979Y1 (ko) 스테커의 편적 및 낙광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