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257B1 -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및 에러 검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및 에러 검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257B1
KR100795257B1 KR1020010052444A KR20010052444A KR100795257B1 KR 100795257 B1 KR100795257 B1 KR 100795257B1 KR 1020010052444 A KR1020010052444 A KR 1020010052444A KR 20010052444 A KR20010052444 A KR 20010052444A KR 100795257 B1 KR100795257 B1 KR 10079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network
display
stat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105A (ko
Inventor
아오끼유끼히꼬
다께나까요시아끼
미우라하루유끼
오하시시노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77Localisation of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67Information loss recovery, e.g. error correction, prediction

Abstract

네트워크 상의 수신계의 에러와 기기 내부의 에러를 구별하여, 알기 쉬운 유저의 대응을 표시하는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및 에러 검출 표시 방법을 제안한다.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는 IEEE1394 네트워크에 있어서, 루프 상태의 에러를 검출하고, 링크 상태를 검출하고,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가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에러 또는 링크가 없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는 IEEE1394 신호 처리부(4),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기억되고 에러 상태에 기초하여 기억한 메시지를 표시 처리하는 본체 처리부(5), 및 유저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6)로 구성되므로, 네트워크 상의 수신계의 에러와 기기 내부의 에러를 구별하여, 알기 쉬운 유저의 대응을 표시한다.
IEEE1394 네트워크, 등시성 통신, 에러 검출 표시, 링크

Description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및 에러 검출 표시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NETWORK ERRORS AND METHOD FOR DISPLAYING ERROR DETECTION}
도 1은 IEEE1394 방식 버스에서의 데이터 전송 사이클 구조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CRS 아키택쳐의 어드레스 공간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주요한 CRS의 위치, 이름, 역할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제너럴 ROM 포맷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버스 인포블록, 루트 디렉토리, 유닛 디렉토리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PCR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oMPR, oPCR, iMPR, iPCR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플러그,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 전송 채널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디스크립터의 계층 구조에 의한 데이터 구조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디스크립터의 데이터 포맷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1은 도 10의 제너레이션 ID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도 10의 리스트 ID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3은 AV/C 커맨드의 스택 모델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4는 FCP의 커맨드와 리스폰스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15는 도 14의 커맨드와 리스폰스의 관계를 더 상세히 도시한 설명도.
도 16은 AV/C 커맨드의 데이터 구조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7은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8은 AV/C 커맨드의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구체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IEEE1394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0은 에러 체크의 메인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21은 에러 체크의 상세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22는 커넥션이 없는 경우의 에러 체크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23은 커넥션이 있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24는 에러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에러 메시지와 유저 대응 표시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IEEE1394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루프 접속의 검출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EEE1394 기기
2 : IEEE1394 케이블
4 : IEEE1394 신호 처리부
5 : 본체 처리부
6 : 표시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IEEE1394 통신 포맷에 따르는 인터페이스를 거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AV(Audio/Video)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로서, 아날로그 입력이 가능하고 튜너 기능을 갖는 STR(Stereo Tuner Receiver)에 재생 전용의 CD(Compact Disc) 플레이어와 기록 재생가능한 MD(Mini Disc) 레코더/플레이어를 인터페이스를 거쳐 접속하는 것이 있었다.
상술한 AV 시스템에서는 STR에 있어서 입력 선택을 행하는 것에 의해, 아날로그 펑션 모드, 튜너 펑션 모드, CD 펑션 모드, MD 펑션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IEEE1394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상에서 루프 접속이 금지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AV 시스템의 STR에서는 루프 접속에 대하여 아무런 경고 표시를 하지 않았으므로, 유저는 루프 상태를 인식할 수 없다고 하는 불합리가 있었다.
또한, 에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도, 수신계의 에러인가 STR 내부의 에러인가의 구별도 없고, 에러 표시하는 내용이 애매하여, 몇개의 증상을 모아 하나의 경 고 표시로서 취급하였으므로, 유저가 어떠한 대응을 취하면 좋은가 알 수 없다고 하는 불합리가 있었다.
또한, 종래 퍼스널 컴퓨터(PC)와 MD나 DV(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 경우에는 PC는 루프 접속을 검출한 경우에, 하위의 MD나 DV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기동한 후에, 상위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인 MD나 DV의 컨트롤 소프트웨어를 기동하지 않으면, 루프 접속을 나타내는 에러 표시를 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에러 검출하면 바로 상위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할 수 없었으므로, 에러 표시를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네트워크 상의 수신계의 에러와 기기 내부의 에러를 구별하여, 알기 쉬운 유저의 대응을 표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및 에러 검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표시 장치는 IEEE1394 네트워크에 있어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는 특히, 네트워크의 루프 상태의 에러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 상태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 제2 검출 수단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가 없는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 제2 검출 수단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가 있는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는 제4 검출 수단, 검출 수단의 각각 에서 검출되는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메시지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수단, 유저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복수의 검출 수단의 각각에서 검출되는 에러 상태에 기초하여 기억 수단에서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판독함과 동시에 표시 수단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에러 검출 표시 방법은 IEEE1394를 사용한 네트워크에 있어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에러 검출 표시 방법은 특히, 네트워크의 루프 상태 에러를 검출함과 동시에 루프 상태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루프 상태 에러인 것을 표시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커넥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커넥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커넥션의 검출이 있었던 경우에 네트워크의 에러를 검출함과 함께 네트워크의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에러 내용에 기초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커넥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커넥션의 검출이 없었던 경우에 네트워크의 에러를 검출함과 동시에 네트워크의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에러 내용에 기초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을 한다.
먼저, 에러 체크를 행하여, 에러에 변화가 있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에러를 해소하였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에러에 변화가 있을 때는 에러가 있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에러 검출된 상태에서, 다른 에러를 검출하였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하고, 에러 정보의 변화를 검출한 때, 그 에러 정보의 표시 우선순위를 판단한다.
에러가 있을 때는 표시 모듈에 에러 표시 정보를 표시하도록 리퀘스트를 낸다. 구체적으로는, 에러 정보를 검출하면, 그 에러 정보의 표시 우선순위에 맞추어 에러 표시한다. 따라서, 동시에 몇개의 에러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도, 유저를 혼란시키지 않기 위해 에러 표시하는 것은 그 중의 하나에 한한다. 또한, 이미 에러 표시되어 있는 상태라도,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에러 정보를 검출한 경우는 현재 표시하고 있는 에러 표시를 중단하여,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에러 정보를 표시 처리한다.
상술한 에러 체크의 상세 동작을 이하에 나타낸다.
에러 체크를 개시하여, 에러 표시 정보를 클리어한다. 첫째, 버스 리셋이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버스 리셋이 발생한 때는 버스 리셋 발생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둘째, 버스 리셋이 발생하지 않은 때는 버스가 루프 상태로 되었는가 또는 루프 상태가 없어졌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버스가 루프 상태로 되었든가 또는 루프 상태가 없어졌을 때는 루프 상태 변화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셋째, 버스가 루프 상태로 되어 있지 않든가 또는 루프 상태가 없어지지 않은 때는 커넥션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커넥션이 없을 때는 커넥션이 없는 경우의 에러 체크를 행하여, 에러가 있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에러가 있을 때는 커넥션 없음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커넥션이 있을 때는 커넥션이 있는 경우의 에러 체크를 행하여, 에러가 있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에러가 있을 때는 신호 에러 등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제1 버스 리셋 발생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 때, 제2 루프 상태 변화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하였을 때, 제3 커넥션 없음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하였을 때, 에러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버스 리셋, 루프 접속의 차례로 표시 우선순위가 정의되어 있어, 그 에러 정보를 검출하면, 다른 에러보다도 최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에러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다른 에러 정보를 표시중에도, 그 표시를 중단시키기 때문에,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에러 정보를 표시시킨다.
이하, 적절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IEEE1394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준거한 IEEE1394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IEEE1394 인터페이스]
먼저, 처음으로 IEEE1394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IEEE1394로 접속된 기기의 데이터 전송 사이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IEEE1394에서는 데이터가 패킷으로 분할되고, 125 ㎲ 길이의 사이클을 기준으로 하여 시분할로 전송된다. 이 사이클은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갖는 노드(버스에 접속된 어느 하나의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사이클 스타트 신호에 의해 만들어진다. 등시성 패킷은 모든 사이클의 선두부터 전송에 필요한 대역(시간 단위이지만 대역이라고 함)을 확보한다. 이 때문에, 등시성 전송에서는 데이터의 일정 시간내의 전송이 보증된다. 단,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경우는 보호하는 계획이 없어, 데이터는 잃어버린다. 각 사이클의 등시성 전송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시간에 중재(arbitration)의 결과, 버 스를 확보한 노드가 비동기 패킷을 송출하는 비동기 전송에서는 액크놀로지 및 리트라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확실한 전송은 보증되지만, 전송의 타이밍은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소정의 노드가 등시성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그 노드가 등시성 기능에 대응해 있어야만 한다. 또한, 등시성 기능에 대응한 노드의 적어도 하나는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 또한, IEEE1394 시리얼 버스(9-1 내지 9-4)에 접속된 노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의 기능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
IEEE1394는 ISO/IEC13213으로 규정된 64 비트의 어드레스 공간을 갖는 CSR(Contol&Status Regster) 아키택쳐에 준거하고 있다. 도 2는 CSR 아키택쳐의 어드레스 공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위 16 비트는 각 IEEE1394 상의 노드를 나타내는 노드 ID이고, 나머지 48 비트가 각 노드에 주어진 어드레스 공간의 지정에 사용된다. 이 상위 16 비트는 또 버스 ID의 10 비트와 물리 ID(협의의 노드 ID)의 6 비트로 나누어진다. 모든 비트가 1로 되는 값은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1023개의 버스와 63개의 노드를 지정할 수 있다.
하위 48 비트로 규정되는 256 테라바이트의 어드레스 공간 중 상위 20 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은 2048 바이트의 CSR 특유의 레지스터나 IEEE1394 특유의 레지스터 등에 사용되는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Initial Register Space), 프라이비트 스페이스(Private Space) 및 이니셜 메모리 스페이스(Initial Memory Space) 등으로 분할되고, 하위 28 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은 그 상위 20 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이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인 경우, 컨피그레이션 ROM(Configuration read only memory), 노드 특유의 용도에 사용되는 이니셜 유닛 스페이스(Initial Unit Space),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Plug Control Register(PCRs)) 등으로서 사용된다.
도 3은 주요한 CSR의 오프셋 어드레스, 이름 및 역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오프셋이라 함은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가 시작하는 FFFFF0000000h(최후에 h가 붙은 숫자는 16진 표시인 것을 나타냄) 번지부터의 오프셋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오프셋 220h를 갖는 가용 대역폭 레지스터(Bandwidth Available Register)는 등시성 통신에 할당 가능한 대역을 나타내고 있고,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로서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값만이 유효로 된다. 즉, 도 2의 CSR은 각 노드가 갖고 있지만, 가용 대역폭 레지스터에 대해서는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의 것 만이 유효하게 된다. 환언하면, 가용 대역폭 레지스터는 실질적으로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만이 갖는다. 가용 대역폭 레지스터에는 등시성 통신에 대역을 할당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최대값이 보존되고, 대역을 할당할때마다 그 값이 감소하여 간다.
오프셋 224h 내지 228h의 가용 채널 레지스터(Channels Available Register)는 그의 각 비트가 0 내지 63 번지의 채널 번호의 각각에 대응하고, 비트가 0인 경우에는 그 채널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로서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가용 채널 레지스터만이 유효하다.
도 2로 돌아가서,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 내의 어드레스 200h 내지 400h에, 제너럴 ROM(read only memory) 포맷에 기초한 컨피그레이션 ROM이 배치된다. 도 4는 제너럴 ROM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IEEE1394 상의 액세스 단위인 노드는 노드 중에 어드레스 공간을 공통으로 사용하지만 독립하여 동작을 하는 유닛을 복수개 가질 수 있다. 유닛 디렉토리(unit directories)는 이 유닛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버스 인포 블록(bus info block)과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만, 그밖의 블록의 위치는 오프셋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다.
도 5는 버스 인포 블록, 루트 디렉토리 및 유닛 디렉토리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버스 인포 블록 내의 Company ID에는 기기의 제조자를 나타내는 ID 번호가 저장된다. Chip ID에는 그 기기 고유의 다른 기기와 중복하지 않는 세계에서 유일한 ID가 기억된다. 또한, IEC61833의 규격에 의해 IEC61883을 만족한 기기의 유닛 디렉토리의 유닛 스펙 ID(unit spec id)의 퍼스트 옥텟에는 00h가, 세컨드 옥텟에는 AoH가, 서드 옥텟에는 2Dh가 각각 기입된다. 또한, 유닛 스윗치 버전(unit sw version)의 퍼스트 옥텟에는 01h가, 서드 옥텟의 LSB(Least Significant Bit)에는 1이 기입된다.
인터페이스를 거쳐 기기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노드는 도 2의 이니셜 유닛 스페이스내의 어드레스 900h 내지 9FFh에, IEC61883에 규정되는 PCR(Plug Control Register)를 갖는다. 이것은 물리적으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에 유사한 신호 경로를 형성하므로, 플러그라고 하는 개념을 실체화한 것이다. 도 6은 PCR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PCR은 출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oPCR(output Plug Control Resister), 입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iPCR(input Plug Control Register)를 갖는다. PCR은 각 기기 고유의 출력 플러그 또는 입력 플러그의 정보를 나타내는 레지스터 oMPR(output Master Plug Register)과 iMPR(input Master Plug Register)를 갖는다. 각 기기는 oMPR 및 iMPR을 각각 복수 갖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플러그에 대응한 oPCR 및 iPCR을 기기의 기능에 의해 복수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PCR은 각각 31개의 oPCR 및 iPCR을 갖는다. 등시성 데이터의 흐름은 이들 플러그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된다.
도 7은 oMPR, oPCR, iMPR 및 iPCR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oMPR의 구성을, 도 7의 (b)는 oPCR의 구성을 도 7의 (c)는 iMPR의 구성을, 도 7의 (d)는 iPCR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oMPR 및 iMPR의 MSB측의 2비트의 데이터 레이트 캐퍼빌리티(data rate capability)에는 그 기기가 송신 또는 수신가능한 등시성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코드가 저장된다. oMPR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broadcast channel base)는 브로드캐스트 출력에 사용되는 채널의 번호를 규정한다.
oMPR의 LSB측의 5비트의 넘버 오브 아웃풋 플러그스(number of output plugs)에는 그 기기가 갖는 출력 플로그수, 즉 oPCR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 저장된다. iMPR의 LSB측의 5비트의 넘버 오브 인풋 플러그스(number of input plugs)에는 그 기기가 갖는 입력 플러그수, 즉 iPCR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 저장된다. non-persistent extension field 및 persistent extension field는 장래 확장을 위해 정의된 영역이다.
oPCR 및 iPCR의 MSB의 온라인(on-line)은 플러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즉, 그 값이 1이면, 그 플러그가 ON-LINE이고, 0이면 OFF-LINE인 것을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브로드캐스트 커넥션 카운터(broadcast connection counter)의 값은 브로드캐스트 커넥션의 있음(1) 또는 없음(0)을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6비트폭을 갖는 포인트 투 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ter)가 갖는 값은 그 플러그가 갖는 포인트 투 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의 수를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6비트폭을 갖는 채널 넘버(channel number)가 갖는 값은 그 플러그가 접속되는 등시성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oPCR의 2비트폭을 갖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의 값은 그 플러그에서 출력되는 등시성 데이터의 패킷의 현실의 전송 속도를 나타낸다. oPCR의 4비트폭을 갖는 오버헤드 ID(overhead ID)에 저장되는 코드는 등시성 통신의 오버의 밴드폭을 나타낸다. oPCR의 10비트폭을 갖는 패이로드(payload)의 값은 그 플러그가 취급할 수 있는 등시성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도 8은 플러그,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 및 등시성 채널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AV 디바이스(AV-device)(71∼73)는 IEEE1394 시리얼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AV 디바이스(73)의 oMPR에 의해 전송 속도와 oPCR의 수가 규정된 oPCR[0]∼oPCR[2] 중, oPCR[1]에 의해 채널이 지정된 등시성 데이터는 IEEE1394 시리얼 버스의 채널 #1(channel #1)에 송출된다. AV 디바이스(71)의 iMPR에 의해 전송 속도와 iPCR의 수가 규정된 iPCR[0]과 iPCR[1] 중, 입력 채널 #1이 전송 속도와 iPCR[0]에 의해, AV 디바이스(71)는 IEEE1394 시리얼 버스의 채널 #1에 송출된 등 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마찬가지로, AV 디바이스(72)는 oPCR[0]으로 지정된 채널 #2(channel #2)에 등시성 데이터를 송출하고, AV 디바이스(71)는 iPCR[1]에서 지정된 채널 #2에서 그의 등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와 같이 하여, IEEE1394 시리얼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기기간에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지만, 본예의 시스템에서는 이 IEEE1394 시리얼 버스를 거쳐 접속된 기기의 컨트롤을 위한 커맨드로서 규정된 AV/C 커맨드 세트를 이용하여, 각 기기의 컨트롤이나 상태의 판단 등이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이 AV/C 커맨드 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예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V/C 커맨드 세트에 있어서의 Sub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9∼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Sub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Sub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계층 구조의 리스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리스트라 함은 예를 들어, 튜너이면 수신할 수 있는 채널, 디스크이면 그곳에 기록되어 있는 곡 등을 나타낸다. 계층 구조의 최상위층의 리스트는 루트 리스트라 부르고, 예를 들면, 리스트 0이 그 하위의 리스트에 대한 루트로 된다. 리스트 2 내지 (n-1)도 마찬가지로 루트 리스트로 된다. 루트 리스트는 오브젝트의 수만큼 존재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라 함은 예를 들면, AV 기기가 튜너인 경우,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각 채널 등이다. 또한, 하나의 계층의 모든 리스트는 공통의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도 10은 기존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The General Sub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Subunit Identifier Descriptor(41)에는 기능에 관해서의 속성 정보가 contents에 기술되어 있다. descriptor length 필드 자신의 값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generation ID는 AV/C 커맨드 세트의 버전을 나타내고 있고, 그 값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00h"(h는 16진을 나타냄)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00h"는 데이터 구조와 커맨드가 AV/C General Specification의 버전 3. 0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h"를 제외한 모든 값은 장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size_of_list_ID는 리스트 ID의 바이트수를 나타내고 있다. size_of_object_ID는 오브젝트 ID의 바이트수를 나타내고 있다. size_of_object_position은 제어 시, 참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리스트중의 위치(바이트수)를 나타내고 있다. number_of_root_ object_lists는 루트 오브젝트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root_object_list_id는 각각 독립한 계층의 최상위의 루트 오브젝트 리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ID를 나타내고 있다.
subunit_dependent_length는 후속의 subunit_dependent_information 필드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subunit_dependent_information은 기능에 고유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manufacturer_dependent_length는 후속의 manufacturer_dependent_information 필드의 바이트수를 나타내고 있다. manufacturer_dependent_information은 벤더(메이커)의 사양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디스크립터 중에 manufacturer_dependent_information이 없는 경우는 이 필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ID의 할당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00h 내지 0FFFh" 및 "4000h 내지 FFFFh"는 장래 사양을 위한 할당 범위로서 예약 확보되어 있다. "1000h 내지 3FFFh" 및 "10000h 내지 max list ID value"는 기능 타입의 종속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준비되어 있다.
다음에, 본예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V/C 커맨드 세트에 대하여 도 13∼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은 AV/C 커맨드 세트의 스택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레이어(81), 링크 레이어(82), 트랜잭션 레이어(83) 및 시리얼 버스 매니지먼트(84)는 IEEE1394에 준거하고 있다. FCP(Function Control Protocol)(85)는 IEC61883에 준거하고 있다. AV/C 커맨드 세트(86)는 1394TA 스팩에 준거하고 있다.
도 14는 도 13의 FCP85의 커맨드와 리스폰스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FCP는 IEEE1394상의 AV 기기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측이 컨트롤러이고, 제어되는 측이 타겟이다. FCP의 커맨드의 송신 또는 리스폰스는 IEEE1394의 비동기 통신의 기입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노드간에서 행해진다. 데이터를 수취한 타겟은 수신 확인을 위해, 액크놀로지를 컨트롤러로 보낸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FCP의 커맨드와 리스폰스의 관계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EEE1394 버스를 거쳐 노드 A와 노드 B가 접속되어 있다. 노드 A가 컨트롤러이고, 노드 B가 타겟이다. 노드 A, 노드 B 모두, 커맨드 레지스터 및 리스폰스 레지스터가 각각 512 바이트씩 준비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컨트롤러가 타겟의 커맨드 레지스터(93)에 커맨드 메시지를 기입하는 것에 의해 명령을 전한다. 또 반대로, 타겟이 컨트롤러의 리스폰스 레지스터(92)에 리스폰스 메시지를 기입하는 것에 의해 응답을 전하고 있다. 이상 2가지 메지시에 대하여, 제어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FCP로 보내지는 커맨드 세트의 종류는 후술하는 도 16의 데이터 필드 중의 CTS에 기입된다.
도 16은 AV/C 커맨드의 비동기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AV/C 커맨드 세트는 AV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로, CTS(커맨드 세트의 ID)="0000"이다. AV/C 커맨드 프레임 및 리스폰스 프레임은 상기 FCP를 사용하여 노드간에서 교환된다. 버스 및 AV 기기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는 100 ㎳이내로 행하게 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는 수평 방향 32 비트(=1 quadlet)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상단은 패킷의 헤더 부분을 나타내고 있도, 도면중 하단은 데이터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destination_ID는 수신처를 나타내고 있다.
CTS는 커맨드 세트의 ID를 나타내고 있고, AV/C 커맨드 세트에서는 CTS="0000"이다. ctype/response의 필드는 패킷이 커맨드의 경우는 커맨드의 기능 분류를 나타내고, 패킷이 리스폰스의 경우는 커맨드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커맨드는 크게 나누어, (1) 기능을 외부에서 제어하는 커맨드(CONTROL), (2) 외부에서 상태를 조회하는 커맨드(STATUS), (3) 제어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에서 조회하는 커맨드(GENERAL INQUIRY(opcode의 서포트의 유무) 및 SPECIFIC INQUIRY(opcode 및 operands의 서포트의 유무)), (4)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도 록 요구하는 커맨드(NOTIFY)의 4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리스폰스는 커맨드의 종류에 따라 돌려보내진다. CONTROL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에는 NOT INPLEMENTED(실장되어 있지 않음), ACCEPTED(수입), REJECTED(거절) 및 INTERIM(잠정)이 있다. STATUS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로는 NOT INPLEMENTED, REJECTED, IN TRANSITION(이행중) 및 STABLE(안정)이 있다. GENERAL INQUIRY 및 SPECIFIC INQUIRY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에는 IMPLEMENTED(실장되어 있음) 및 NOT IMPLEMENTED가 있다. NOTIFY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에는 NOT IMPLEMENTED, REJECTED, INTERIM 및 CHANGED(변화하였음)이 있다.
subunit type는 기기 내의 기능을 특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tape recorder/player, tuner 등이 할당된다. 같은 종류의 subunit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판별을 행하기 위해 판별 번호로서 subunit id로 어드레싱을 행한다. opcode는 커맨드를 나타내고 있고, operand는 커맨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Additional operands는 필요에 따라 부가되는 필드이다. padding도 필요에 따라 부가되는 필드이다. data CRC(Cyclic Redundancdy Check)는 데이터 전송시의 에러 체크에 사용된다.
도 17은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의 (a)는 ctype/response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 상단이 커맨드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중 하단이 리스폰스를 나타내고 있다. "0000"에는 CONTROL, "0001"에는 STATUS, "0010"에는 SPECIFIC INQUIRY, "0011"에는 NOTIFY, "0100"에는 GENERAL INQUIRY가 할당되어 있다. "0101 내지 0111"은 장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또한, "1000"에는 NOT INPLEMENTED, "1001"에는 ACCEPTED, "1010"에는 REJECTED, "1011"에는 IN TRANSITION, "1100"에는 IMPLEMENTED/STABLE, "1101"에는 CHANGED, "1111"에는 INTERIM이 할당되어 있다. "1110"은 장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도 17의 (b)는 subunit type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00000"에는 Video Monitor, "00011"에는 Disk recorder/Player, "00100"에는 Tape recorder/Player, "00101"에는 Tuner, "00111"에는 Video Camera, "11100"에는 Vendor unique, "11110"에는 Subunit type extended to next byte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11111"에는 unit이 할당되어 있지만, 이것은 기기 그것에 보내지는 경우에 사용되고, 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 등을 들 수 있다.
도 17의 (c)는 opcode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 subunit type마다 opcode의 테이블이 존재하고, 이곳에서는 subunit type이 Tape recorder/Player의 경우의 opcode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opcode마다 operand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는 "00h"에는 VENDOR-DEPENDENT, "50h"에는 SEARCH MODE, "51h"에는 TIMECODE, "52h"에는 ATN, "60h"에는 OPEN MIC, "61h"에는 READ MIC, "62h"에는 WRITE MIC, "C1h"에는 LOAD MEDIUM, "C2h"에는 RECORD, "C3h"에는 PLAY, "C4h"에는 WIND가 할당되어 있다.
도 18은 AV/C 커맨드와 리스폰스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타겟(컨슈머)로서의 재생 기기에 재생 지시를 행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도 18의 (a)와 같은 커맨드를 타겟에 보낸다. 이 커맨드는 AV/C 커맨드 세트를 시용하고 있으 므로, CTS="0000"으로 되어 있다. ctype에는 기기를 외부에서 제어하는 커맨드(CONTROL)를 사용하므로, ctype="0000"로 되어 있다(도 17의 (a) 참조). subunit type는 Tape recorder/Player인 것에 의해, subunit type="00100"으로 되어 있다(도 17의 (b) 참조). id는 ID0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id=000으로 되어 있다. opcode는 재생을 의미하는 "C3h"로 되어 있다(도 17의 (c) 참조). operand는 FORWARD를 의미하는 "75h"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되면, 타겟은 도 18의 (b)와 같은 리스폰스를 컨트롤러에 반송한다. 여기서는 수입을 의미하는 accepted가 response에 들므로, response="1001"로 되어 있다(도 17의 (a) 참조). response를 제외하고, 다른 것은 도 18의 (a)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IEEE1394 기기]
도 19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IEEE1394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IEEE1394 기기(1)는 IEEE1394 커넥터(3)를 거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IEEE1394 케이블(2)과 접속되어 있다. IEEE1394 기기(1)는 내부에 IEEE1394 케이블(2)와의 사이에서 IEEE1394 신호 S1의 송신 또는 수신을 행하는 IEEE1394 신호 처리부(4), IEEE1394 신호 처리부(4)에서 공급되는 에러 정보 S2를 처리하는 본체 처리부(5) 및 본체 처리부(5)에서 공급되는 에러 표시 데이터 S3을 표시하는 표시부(6)를 갖고 구성된다.
IEEE1394 신호 처리부(4)는 도 26의 IEEE1394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나타내는 IEEE1394 시리얼 버스(84)에 접속되는 신호 처리 회로(80)와 같이 물리 레이어 회로(81) 및 링크 레이어 회로(82)로 구성된다.
IEEE1394 신호 처리부(4)는 등시성 전송의 커넥션에 관한 에러 정보, 음성 데이터와 같은 등시성 패킷에 관한 에러 정보, IEEE1394에 관한 비교적 하위의 버스 리셋의 검출, 루프 접속 검출, 비교적 중위의 채널·대역 부족과 같은 에러 정보 S2를 검출한다.
IEEE1394 신호 처리부(4)는 IEEE1394 케이블(2)에서 공급되는 IEEE1394 신호 S1을 감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루프 검출, 케이블의 빠짐 등의 비교적 하위의 에러 정보 S2를 검출한다.
또한, IEEE1394 신호 처리부(4)는 패킷의 헤더 정보를 감시함으로써,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의 판별을 할 수 없고, 또한 실시간 전송을 위한 간격이 부족한 포맷 에러 등의 비교적 중위의 에러 정보 S2를 검출한다.
또한, IEEE1394 신호 처리부(4)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버스 상으로 보내는 것에 의해, 교섭(negotiation)을 하여, 흐르고 있는 신호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잡음 검출, 부정 신호 검출, 일정 기간에 이르지 않고서는 행하지 않는 동기 신호의 검출 어긋남 등의 비교적 중위의 에러 정보 S2를 검출한다. 이때, IEEE1394 신호 처리부(4)는 네트워크 상의 수신계의 에러와 기기 내부의 에러를 구별하여, 에러 정보 S2를 검출한다.
본체 처리부(5)는 CPU, ROM 및 RAM으로 구성된다. 본체 처리부(5)는 IEEE1394 신호 처리부(4)에서 공급되는 몇개의 에러 정보 S2 중, 유저에 의해 긴급도가 높고, 효율적으로 에러 회피 행동을 유발시키는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 S3을 표시부(6)에 공급한다.
본체 처리부(5)는 에러 정보 S2를 검출하여, 긴급도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에러 표시의 순번을 판단한다.
또한, 본체 처리부(5)는 프로토콜 제어를 하여 에러 정보 S2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버스상에 흐를 수 없는 대역인 것을 나타내는 비교적 중위의 대역 에러를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 S3을 표시부(6)에 공급한다.
또한, 본체 처리부(5)는 예를 들면, 긴급도 면에서 에러 정보 S2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영상 신호를 수취하기 위한 구성을 갖지 않고, 암호를 수취하기 위한 구성을 갖지 않고, 수신층의 불합리 등의 요구하는 접속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접속 기기 에러를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 S3을 표시부(6)에 공급한다.
표시부(6)에서는 수취한 표시 데이터를 적당한 표시 방법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문자로 짧은 기간에 2회 점멸 표시하여, 1초간만 표시한다. 또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경고 표시란에 문자로 에러 표시하거나, 또는 경고용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때, 에러 검출하고 나서, 곧바로 상위의 GUI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하여 에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러 표시에 대한 유저의 대응 표시도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IEEE1394 기기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작을 한다.
도 20은 에러 체크의 메인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단계 S1에서, 에러 체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21에 도시한 순서도의 동작을 행한다.
단계 S2에서, 에러에 변화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에러가 해소하였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에러에 변화가 있을 때는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에러가 있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에러 검출된 상태에서, 다른 에러를 검출하였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하고, 에러 정보의 변화를 검출하였을 때, 그 에러 정보의 표시 우선순위를 판단한다.
단계 S3에 있어서, 에러가 있을 때는 단계 S4로 진행하고, 표시 모듈에 에러 표시 정보를 표시하도록 리퀘스트를 낸다. 구체적으로는, 에러 정보를 검출하면, 그 에러 정보의 표시 우선순위에 맞추어 에러 표시한다. 따라서, 동시에 여러개의 에러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도, 유저를 혼란시키지 않기 위해 에러 표시하는 것은 그중 하나에 한한다. 또한, 이미 에러 표시되어 있는 상태라도, 표시 우선도가 높은 에러 정보를 검출한 경우는 현재 표시하고 있는 에러 표시를 중단하여,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에러 정보를 표시 처리한다. 이것에 의해, 네트워크상의 수신계의 에러와 기기 내부의 에러를 구별하여, 알기 쉬운 유저의 대응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우선순위로서는 하위가 버스 리셋에 의한 에러, 중위가 대역 등의 커넥션 없음의 에러, 상위가 프로토콜 등의 커넥션 있음의 에러이다. 이 경우, 하위의 에러는 컨피그레이션 레지스터의 정보에서 판단하고, 중위 및 하위의 에러는 패킷 정보에서 판단한다.
도 21은 에러 체크의 상세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순서 도는 도 20에 도시한 단계 S1의 동작에 대응한다.
도 21에 있어서, 단계 S11에서, 에러 체크를 개시한다.
단계 S12에서, 에러 표시 정보를 클리어한다.
단계 S13에서, 버스 리셋이 발생하였는 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 버스 리셋이 발생하였을 때는 단계 S14로 진행하고, 버스 리셋 발생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 버스 리셋이 발생하지 않을 때는 단계 S15로 진행하고, 버스가 루프 상태로 되었는가 또는 루프 상태가 없어졌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5에 있어서, 버스가 루프 상태로 되었든가 또는 루프 상태가 없어졌을 때는 단계 S16으로 진행하고, 루프 상태 변화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15에 있어서, 버스가 루프 상태로 되어 있지 않든가 또는 루프 상태가 없어지지 않았을 때는 단계 S17로 진행하고, 커넥션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7에 있어서, 커넥션이 없을 때는 단계 S18로 진행하고, 커넥션이 없는 경우의 에러 체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22에 도시한 순서도의 동작을 행한다.
단계 S19에서, 에러가 있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단계 S19에 있어서, 에러가 있을 때는 단계 S20으로 진행하고, 커넥션 없음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17에 있어서, 커넥션이 있을 때는 단계 S21로 진행하고, 커넥션이 있는 경우의 에러 체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23에 도시하는 순서도 의 동작을 행한다.
단계 S22에서, 에러가 있는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단계 S22에 있어서, 에러가 있을 때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고, 신호 에러 등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14에서, 버스 리셋 발생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하였을 때, 단계 S16에서, 루프 상태 변화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하였을 때, 단계 S20에서, 커넥션 없음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하였을 때, 단계 23에서, 신호 에러 등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하였을 때, 단계 S19에서, 에러가 없을 때, 단계 S22에서, 에러가 없을 때는 단계 S24로 진행하고, 에러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리셋, 루프 접속의 차례로 표시 우선순위가 정의되어 있어, 그 에러 정보를 검출하면, 다른 에러보다도 최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에러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다른 에러 정보를 출력중이라도, 그 표시를 중단시키고 나서,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에러 정보를 표시시킨다.
도 22는 커넥션이 없는 경우의 에러 체크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순서도는 도 21에 도시한 단계 S18의 동작에 대응한다.
도 22에 있어서, 단계 S31에서, 커넥션이 없는 경우의 에러 체크를 개시한다.
단계 S32에서, 커넥션이 연장되지 않은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2에 있어서, 커넥션이 연장되지 않을 때는 단계 S33으로 진행하고, 커넥션 연장 없음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32에 있어서 커넥션이 연장되었을 때는 단계 S34로 진행하고, 대역이 취해지지 않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4에 있어서, 대역이 취해지지 않을 때는 단계 S35로 진행하고, 대역이 취해지지 않았다는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34에 있어서, 대역이 취해졌을 때는 단계 S36으로 진행하고, 채널을 취득할 수 없는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6에 있어서, 채널을 취득할 수 없을 때는 단계 S37로 진행하고, 채널을 취득할 수 없다는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시성 전송의 커넥션 처리중에 발생한 등시성 전송의 커넥션에 관한 에러 정보에 대해서는 커넥션 처리의 수순에 맞추어, 커넥션이 연장되지 않는 상태, 대역이 취해지지 않는 상태, 채널을 취득할 수 없는 상태라고 하는 에러로 된 원인을 에러 정보에서 순차 추출하여 에러 표시한다.
도 23은 커넥션이 있는 경우의 에러 체크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순서도는 도 21에 도시한 단계 S21의 동작에 대응한다.
도 23에 있어서, 단계 S41에서, 커넥션이 있는 경우의 에러 체크를 개시한다.
단계 S42에서 신호가 없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2에 있어서, 신호가 없을 때는 단계 S43으로 진행하고, 신호 없음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42에 있어서, 신호가 있을 때는 단계 S44로 진행하고, ISO(등시성)신 호가 엠프티(empty) 패킷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4에 있어서, ISO(등시성) 신호가 엠프티 패킷일 때는 단계 S45로 진행하고, 엠프티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44에 있어서, ISO(등시성) 신호가 엠프티 패킷이 아닐 때는 단계 S46으로 진행하고, 신호가 PLL(Phase Locked Loop) 로크되지 않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6에 있어서, 신호가 PLL 로크되지 않은 때는 단계 S47로 진행하고, 로크되지 않았다는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46에 있어서, 신호가 PLL 로크하였을 때는 단계 S48로 진행하고, 샘플링 주파수가 적당하지 않은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8에 있어서, 샘플링 주파수가 적당하지 않을 때는 단계 S49로 진행하고, 주파수 일치가 되지 않았다는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단계 S48에 있어서, 샘플링 주파수가 적당할 때는 단계 S50으로 진행하고, 신호가 선형 PCM(Pulse Code Modulation)이 아닌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0에 있어서, 신호가 선형 PCM이 아닌 때는 비선형 PCM의 에러 표시 정보를 세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시성 전송의 커넥션 처리 완료후에 발생한 등시성 전송의 데이터에 관한 에러 정보에 대해서는 신호가 없는 상태, 등시성 패킷내에 음성 데이터가 없는 상태, 동기용의 정보가 없는 상태 또는 잘못된 상태, 음성의 샘플링 주파수가 미반응인 상태, 음성 데이터가 선형 PCM이 아닌 상태의 차례로 표시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위부터 하위로 순차 시간을 바꾸어 표시하여도 좋고, 또한 하위와 상위의 에러가 겹쳤을 때의 처리는 하위의 에러인 버스 리셋에 의한 에러는 상위의 커넥션 없음 또는 커넥션 있음의 에러와 맞추어 표시하여도 좋고, 또한 하위의 에러 표시를 중단하여, 하위의 에러에 어드레스하여 상위의 에러를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하위의 에러가 복구되었을 때는 상위의 표시일 때에는 표시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도 24는 에러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있어서,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11」(기기 선택시)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선택 기기가 63개의 LINC(링크)를 행하고 있어, 그 이상 할 수 없음」이고, 상세는, (12) 「상대편 기기측의 출력 플러그의 커넥션 실패」이다.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11」(TUNER, ANALOG)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STR(스테레로 튜너 리시버)가 63개의 LINC(링크)를 펼치고 있어, 그 이상할 수 없음」이고, 상세는, (31) 「자신의 입력 플러그의 커넥션 실패」이다.
또한,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22.22」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다른 포맷(재생할 수 없는 신호)가 검출된 경우」이고, 상세는, (22) 「IEC958 포맷이 아님」이다.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22.23」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다른 포맷(재생할 수 없는 신호)이 검출된 경우」이고, 상세는, (23) 「N비트(비동기)와 레이트 제어 프로토콜의 어긋남」이다.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22.25」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다른 포맷(재생할 수 없는 신호)이 검출 된 경우」이고, 상세는, (25) 「샘플링 주파수가 부적당」이다.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22.26」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다른 포맷(재생할 수 없는 신호)가 검출된 경우」이고, 상세는, (26) 「Linear(선형) PCM이 아님」이다.
또한,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31」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신호 클럭이 규격값에서 벗어나 있어, PLL 로크가 어긋나 있는 경우」이고, 상세는, (24) 「신호의 동기는 어긋날(Unlock(언로크) 때」이다.
또한,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04」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접속 기기 선택중에 입력 신호가 전부 없는 경우」이고, 상세는, (21) 「신호 없음」이다.
또한,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15.13」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버스상에 신호를 한번에 출력 또는 입력할 수 없음」이고, 상세는, (13) 「입력시 대역 부족」이다.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15. 14」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버스상에 신호를 한번에 출력 또는 입력할 수 없음」이고, 상세는, (14) 「입력시 ch(채널) 가득차 있음」이다.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15.15」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버스상에 신호를 한번에 출력 또는 입력할 수 없음」이고, 상세는, (15) 「출력시 대역 부족」이다.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15.33」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버스상에 신호를 한번에 출력 또는 입력할 수 없음」이고, 상세는, (33) 「출력시 ch(채널) 가득차 있음」이다.
또한,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03」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케 이블의 접속으로 루프를 만들어 버리고 있음」이다.
또한,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00」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버스 리셋이 발생하였음(새로운 기기가 접속된 경우 등)」이다.
이상의 에러 메시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수신계의 전송 처리의 에러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에 한하지 않고, 이하에 설명하는 기기 내부의 에러에 대응하는 에러 메시지도 표시된다.
또한, 에러 코드 번호(61)의 「C60:01」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기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있습니다」이다. 에러 코드 번호(61)의 「C60:08」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스피커 단자가 단락하여 있습니다」이다. 에러 코드 번호(61)의 「C60:13」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는 「선택된 기기는 접속되어 있지 않습니다」이다. 이것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수신계의 에러와 기기 내부의 에러를 구별하여, 알기 쉬운 유저의 대응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5는 에러 메시지와 유저 대응 표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상술한 도 24에 도시한 에러 코드 번호(61)의 「C78:03」에 대응하는 표시 메시지(62)가 표시된 경우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다른 표시 메시지에 대한 유저 대응 표시도 마찬가지 표시 형식으로 표시된다.
도 25에 있어서, IEEE1394 기기(10)의 표시부(11)(액정 터치 패널)에 「케이블의 접속에 루프가 있습니다」라고 하는 메시지(12)와 상세 표시하는 「상세」라고 하는 스위치부(13), 재검사를 하는 「재검사」라고 하는 스위치부(14)가 표시된다. 유저가 「상세」라고 하는 스위치부(13)를 누르면, 상술한 메시지(12) 대신, 「접속은 루프로 할 수 없습니다. 어느 한곳의 케이블을 빼 주십시요」라고 하는 유저 대응 표시(5)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에러 메시지를 액정 표시부에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상세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기기 내부에서 발생한 에러 코드도 네트워크 상의 에러 코드와 마찬가지로 기억부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기기의 판단 블록에서는 에러 코드가 네트워크의 에러에 대응하는 것이라도, 기기 내부의 에러에 대응하는 것이라도, 같은 동작 플로우로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우선순위를 쉽게 붙일 수 있다.
[루프 검출]
IEEE1394 인터페이스에서는 패킷 단위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IEEE1394 인터페이스에서는 취급하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는 1쿼드렛(quadlet)(=4바이트=32비트)이다.
이와 같은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는 IEEE1394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EEE1394 인터페이스의 신호 처리 회로(30)는 IEEE1394 시리얼 버스(34)를 직접 구동하는 물리 레이어 회로(31), 물리 레이어 회로(31)의 데이터 전송을 컨트롤하는 링크 레이어 회로(32)를 갖는다. 물리 레이어 회로(31)는 포트를 거쳐 IEEE1394 시리얼 인터페이스 버스(3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링크 레이어 회로(32)는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트랜스폰더 등의 애플리케이션측 회로(33)가 접속되어 있다.
IEEE1394 규격에서는 신호 처리 회로(30)를 시리얼 인터페이스 버스(34)를 거쳐 최대 63개까지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시리얼 인터페이스 버스(34)의 접속 형태로서는 노드 분기, 소위 트리형으로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리형 접속 형태의 분기점, 즉 노드로 되는 회로가 신호 처리 회로(30) 내의 물리 레이어 회로(31)이다. 물리 레이어 회로(31)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포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각 포트에 시리얼 인터페이스 버스(3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IEEE1394 규격에서는 핫 상태, 즉 전원이 투입되어 각 애플리케이션측 회로(33)로서의 각 전자 기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버스 케이블의 포트에 대한 빠짐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버스 케이블의 포트에 대한 빠짐에 의해 노드가 추가 또는 삭제된 시점에서 버스 리셋이 발생하여, 각 노드간의 친자 관계가 결정된다.
3개의 노드를 IEEE1394 시리얼 버스(34) 케이블을 사용하여 트리형으로 접속하여 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도 27에 도시한다. 여기서, IEEE1394 시리얼 버스의 케이블을 굵은 선으로 도시하였다. 이 시스템(50)은 IEEE1394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신호 처리를 구성하는 물리 레이어 회로로서의 노드(51, 52, 53)를 갖는다. 각 노드(51, 52, 53)에는 각각 2개의 포트 p1, p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노드(51, 52, 53)는 노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레지스터나 각 포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레지스터를 갖는다. 여기서는 노드(51)의 포트 p1에 대하여 노드(52)의 포트 p2가 접속되고, 또한, 노드(51)의 포트 p2에 대하여 노드(53)의 포트 p1이 접속되어 있다.
노드(51)에서는 노드(52) 및 노드(53)으로 부터의 리퀘스트에 호응하여, 노드(52), 노드(53)가 자식 노드인 것을 인식하고, 그 후, 노드(52) 및 노드(53)에 대하여, 신호 「TX_CHILD_NOTIFY」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노드(51)가 부모, 노드(52), 노드(53)가 자식이라고 하는 접속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버스 케이블 접속의 타이밍에 의해서는 노드(51)가 리퀘스트 신호 「TX_PARENT_NOTIFY」를 노드(52) 또는 노드(53)에 송신하고, 노드(52) 또는 노드(53)가 부모의 노드로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도 27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또 노드(52)의 포트 p1과 노드(53)의 포트 p2를 접속한 경우를 고려하면, 이 경우에는 노드(51, 52, 53)가 리퀘스트 신호「TX_PARENT_NOTIFY」를 송신한다. 그 결과, 노드(51, 52, 53) 사이에서 친자 관계를 확정할 수 없어, 패킷의 송수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IEEE1394 시리얼 버스의 케이블에 루프 접속이 행하여져 있으면, 패킷의 송수신이 불가능하게 되어, IEEE1394 규격에 따른 동작을 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루프 상태는 각 노드(51, 52, 53)에 설치된 노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레지스터나 각 포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레지스터의 정보에서 검출된다.
[AV 시스템의 구성]
이하,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IEEE1394 기기로서, 아날로그 입력이 가능하고 튜너 기능을 갖는 STR(스테레오 튜너 리시버)에 대하여, 재생 전용의 CD 플레이어(1), (2), (3)과 기록 재생 가능한 MD 레코더/플레이어와, PC(퍼스널 컴퓨 터)를 IEEE1394 포맷에 따르는 인터페이스인 IEEE1394 버스에 의해 접속한 예를 설명한다.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로서, STR과 3대의 STR 대응 CD(1), STR 대응 CD(2), STR 대응 CD(3)과 STR 대응 MD 레코더/플레이어와 PC를 갖고 있다.
STR은 AV 시스템의 중심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주로 튜너 기능, 외부 소스 입력 선택 기기 및 앰프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예를 들면, 스테레오 음성에 대응하는 좌우 채널의 스피커 SP(L), (R)을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STR에서는 내부의 튜너부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입력과 또 IEEE1394 버스를 거쳐 외부에서 입력되는 복수의 오디오 소스에 대하여 선택을 행하고, 최종적으로는 그것을 음성으로서 스피커 SP(L), (R)에서 출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잇다.
또한, STR에 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RM도 갖고 있다. STR은 이 리모트 컨트롤러 RM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라 송신되어 오는 조작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조작 커맨드 신호의 내용에 따른 소요의 동작을 실행한다. STR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RM 만을 도시하지만, 다른 기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STR과 함께 접속하는 것으로 편리성이 높은 각종의 시스템 효능을 실현할 수 있는 기종으로서, 여기서는 STR 대응의 CD 플레이어(1), STR 대응 CD(2), STR 대응 CD(3)과 STR 대응 MD 레코더/플레이어와 PC도 도시되어 있다.
STR 대응 CD 플레이어(1), STR 대응 CD(2), STR 대응 CD(3)는 CD 플레이어로 서의 기능을 갖고 있어, 장착된 CD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의 재생을 행한다. 그리고, CD에서 재생하여 얻어지는 오디오 데이터를 IEEE1394 버스를 거쳐 송신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STR 대응 MD 레코더/플레이어는 오디오 데이터를 리라이트가능한 광자기 디스크인 MD에 대응하여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STR 대응 MD 레코더/플레이어는 IEEE1394 버스를 거쳐 송신되어 오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MD에 대하여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MD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IEEE1394 버스를 거쳐 송신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PC는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IEEE1394 버스를 거쳐 송신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AV 시스템에 있어서, STR에 접속된 기기에 의한 네트워크상의 에러와 STR 내부의 에러에 대응한 에러 메시지를 STR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세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유저 대응 표시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STR의 시스템 컨트롤러는 IEEE1394 인터페이스 회로내에 설치되는 CFR(Configuration Register)의 각종 정보를 기초로 하여, 네트워크상의 에러 정보를 얻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IEEE1394 버스를 거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STR의 시스템 컨트롤러는 등시성(Isochronous) 전송을 하는 경우, IRM(Isochronous Resource Manager)에서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지만, CSR(Control and Status Register)의 각종 정보를 기초로 하여, 네트워크상의 에러 정보를 얻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부로서, IEEE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만을 나타내었지만, 다른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IEEE1394 시리얼 버스]
본 실시예의 인터페이스에 적용되는 IEEE1394 시리얼 버스(이하, 1394 시리얼 버스라 함.)의 개요를 더 설명한다.
먼저, 접속 형태를 설명한다. 1394 시리얼 버스에서는 접속 형태가 한정되어 있어, 각 기기를 루프가 없는 트리형으로 접속함으로써, 최대 63대의 기기를 하나의 버스에 접속할 수 있다. 각 기기의 포트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연속적으로 다른 포트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신호를 버스 전체에 운반한다.
다음에, 케이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블은 2조의 차동 신호선 TPA 및 TPB와 전원 패어 VG(그라운드) 및 VP(전원)으로 구성된다. TPA 및 TPB의 2줄의 신호선으로, 버스의 동적인 컨피그레이션, 버스의 사용권을 취득하기 위한 중재, 데이터 신호의 운반을 행한다. TPA에는 상시 바이어스가 걸려 있고, TPB에서는 그것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액티브한 케이블의 접속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다음에, 물리 레이어부의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TPA, TPB의 2줄의 신호선은 「1」, 「0」, 「Z」의 3값을 취한다. 「Z」는 접속된 포트의 어느쪽에도 구동되어 있지 않은 고 임피던스 상태를 의미한다. TPA에서는 스트로브라고 부르는 신호를, TPB에서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수신측에서는 데이터와 스트로브의 배타적 논리합을 취함으로써, 클럭을 얻어, 클럭의 변화점에서 데이터를 판독한다.
다음에, 버스 초기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포트는 접속 상대편의 TPA가 출력하는 바이어스의 유무를 검출하여, 노드가 접속되었는가 또는 제거되었는가를 판정한다. 포트의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한 노드는 다른 접속이 있는 노드에 대하여 일정 시간 버스 리셋 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한 노드는 또 접속이 있는 다른 포트에 버스 리셋 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버스에 접속된 모든 노드에 버스 리셋 신호가 전해진다. 버스 리셋 신호를 수신한 노드는 그이전의 형태 정보나 각자의 노드 ID를 클리어한다. 그 후, 각 노드는 자신이 버스에 접속된 각 노드가 인접하는 복수의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브랜치인가 또는 인접하는 노드는 하나뿐의 리프인가를 인식하도록 하고, 또한 각 노드의 친자 관계지음을 행하여, 트리 구조에 있어서의 루트 노드의 결정이 행해진다.
다음에, 비동기 통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1394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방법의 하나로서, 비동기 통신이 있다. 이것은 한방향의 데이터 패킷 전송이다. 송신측은 데이터 패킷 전송처 어드레스를 패킷 헤더에 명기하고 버스에 송신한다. 데이터 패킷은 버스상의 모든 노드까지 전반한다. 패킷 헤더에 명기된 전송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노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 결과(ack)를 반송한다. 그의 일련의 전송 프로세스를 비동기 서브액션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비동기 서브액션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서브액션 갭이라고 부르는 일 정 기간, 버스가 아이들 상태로 되지 않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또한, 수신측이 데이터 패킷을 수취하여, ack를 반송하는 사이도 버스는 아이들 상태로 되고, 이 간격을 ack 갭이라고 부른다. ack 갭은 서브액션 갭에 비하여 충분히 짧으므로, 다른 서브액션이 개시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등시성 통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1394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서, 등시성 통신이 있다. 등시성 통신은 버스상에 1대 존재하는 사이클 마스터가 일정 간격으로 송신하는 사이클 스타트 패킷에 동기하여 행해진다. 등시성 통신의 송신측의 노드는 사이클 스타트 패킷을 수신하면 등시성 갭을 갖고 중재을 개시하고, 등시성 패킷을 송신한다. 다른것도 송신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등시성 갭에서, 중재을 개시하고, 등시성 패킷을 송신한다.
여기서, 등시성 갭은 서브액션 갭보다 충분히 짧은 기간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사이에 비동기 통신을 행하고 싶은 노드가 있어도, 서브액션 갭을 검출할 수 없으므로 송신할 수 없다. 즉, 매 사이클마다, 등시성 패킷을 송신하는 노드에 우선권이 주어지게 된다. 또한, 등시성 통신은 비동기 통신과 같이, 데이터 전송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지 않고, 버스에 브로드캐스트된다. 등시성 패킷에는 0∼63까지의 채널 번호가 할당되고, 노드는 필요한 채널 번호의 등시성 패킷을 수신하면 좋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가 IEEE1394 포맷에 따르는 것이고, 기기가 AV/C 커맨드로 제어가능한 것인 경우에, 기기에는 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서브유닛(Subunit) 타입이라고 하는 정보가 있다.
여기서는 유닛은 디지털 기기 그것이므로, 서브유닛은 디지털 기기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브유닛의 조합이 유닛으로 된다. 유닛의 가운데를 어떠한 기능 단위로 나누는 가는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면,디지털 기기로서, STR 유닛은 튜너 서브유닛(수신 기능)과 아날로그 입력 서브유닛의 조합이 고려된다. 또한, 콤팩트 디스크(CD) 유닛은 콤팩트 디스크 레코더 서브유닛(재생 기능)의 조합이 고려되고, 미니 디스크(MD) 유닛은 미니 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 서브유닛(기록 기능/재생 기능)의 조합이 고려되고, 디지털 텔레비전(DTV) 유닛은 튜너 서브유닛(수신 기능)과 모니터 서브유닛의 조합이 고려되고, 또한 텔레비전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유닛은 튜너 서브유닛(수신 기능)과 모니터 서브유닛과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 서브유닛(기록 기능/재생 기능)의 조합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기능 단위로서 적당한 서브유닛이 결정된다.
또한, 상술한 서브유닛은 가상적인 기능 단위이고, 실제의 회로 구성과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회로 중에서, 디코더 블록과 같이 AV/C 커맨드에 의한 컨트롤이 필요가 없는 블록과 같이, 어느 서브유닛에도 들어가지 않는 것이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에 대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알기 쉬운 메시지에 의해 표시하여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상태를 메시지에 의해 경고함과 동시에, 또한 유저가 채택해야할 동작을 유저 대응 표시에 의해 나타내는 것에 의해, 유저로의 에러 회피를 위한 행 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상의 통신 상대편의 기기가 이상인가, 기기 자체의 하드웨어가 이상 상태인가, 그와 더불어 네트워크 전체로서의 이상 상태인가를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에러 메시지의 표시는 유저에 대하여 알기쉽게 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관한 특별한 지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표시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는 IEEE1394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루프 상태의 에러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 상태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 제2 검출 수단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가 없는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 제2 검출 수단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가 있는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는 제4 검출 수단, 검출 수단 각각에서 검출되는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메시지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 수단, 유저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복수의 검출 수단 각각에서 검출되는 에러 상태에 따라 기억 수단에서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판독함과 동시에 표시 수단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므로, 네트워크상의 수신계의 에러와 기기 내부의 에러를 구별하여, 알기쉬운 주지의 대응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에러 정보를 검출하였을 때에 그 에러 정보의 표시 우선순위에 맞추어 에러 표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몇개의 에러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도, 유저를 혼란시키지 않기 위해 에러 표시하는 것은 그중 하나로 할 수 있 고, 또한 이미 에러 표시되어 있는 상태라도,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에러 정보를 검출한 경우는 현재 표시하고 있는 에러 표시를 중단하여,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에러 정보를 표시 처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3 검출 수단은 적어도 다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불가능한 상태와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대역을 상기 네트워크 상에 확보할 수 없는 것을 검출하므로, 등시성 전송의 커넥션 처리중에 발생한 등시성 전송의 커넥션에 관한 에러 정보에 대해서는 커넥션 처리의 수순에 맞추어, 적어도 다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불가능한 상태와 대역이 취해지지 않는 상태라고 하는 에러로 된 원인을 에러 정보에서 순차 추출하여 에러 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4 검출 수단은 적어도 네트워크에서 신호가 얻어지지 않는 상태와 데이터상의 신호가 소정의 신호가 아닌 것을 검출하므로, 등시성 전송의 커넥션 처리 완료후에 발생한 등시성 전송의 데이터에 관한 에러 정보에 대해서는 적어도 네트워크에서 신호가 얻어지지 않는 상태와 신호가 소정의 신호가 아닌 상태의 차례로 표시 우선순위를 정의하여 에러 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로의 새로운 장치의 접속 또는 네트워크상에서 장치의 접속의 해제를 검출하는 제5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제5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네트워크의 상태를 표시하므로, 네트워크 상에 새로운 장치가 접속하였을 때의 에러 상태의 표시 또는 장치가 제거되었을 때의 에러 회피의 표시를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 수단은 복수의 검출 수단에서 검출되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기억 수단에서 메시지를 판독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하므로, 가장 긴급도가 높은 순번에 의한 표시 우선순위에 따라 에러 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러 검출 표시 방법은 IEEE1394를 사용한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루프 상태 에러를 검출함과 동시에 루프 상태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루프 상태 에러인 것을 표시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커넥션 상태를 접속하는 단계, 커넥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커넥션의 검출이 있었던 경우에 네트워크의 에러를 검출함과 동시에 네트워크의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에러 내용에 따라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커넥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커넥션의 검출이 없었던 경우에 네트워크의 에러를 검출함과 동시에 네트워크의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에러 내용에 따라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므로, 네트워크상의 수신계의 에러와 기기 내부의 에러를 구별하여 알기쉬운 유저의 대응을 표시할 수 있고, 에러 정보를 검출하였을 때에 그 에러 정보의 표시 우선순위에 맞추어 에러 표시할 수 있고, 동시에 몇개의 에러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도 유저를 혼란시키지 않기 위해 에러 표시하는 것은 그 중의 하나로 할 수 있고, 또한 이미 에러 표시되어 있는 상태라도,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에러 정보를 검출한 경우는 현재 표시하고 있는 에러 표시를 중단하여,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에러 정보를 표시 처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6)

  1.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루프 상태 에러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 상태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
    상기 제2 검출 수단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가 없는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
    상기 제2 검출 수단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링크가 있는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는 제4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 각각에서 검출되는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메시지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 수단,
    유저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복수의 검출 수단 각각에서 검출되는 에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서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출 수단은, 적어도 다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불가능한 상태와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대역을 상기 네트워크상에 확보할 수 없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검출 수단은, 적어도 네트워크에서 신호가 얻어지지 않는 상태와 데이터상의 신호가 소정의 신호가 아닌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로의 새로운 장치의 접속 또는 상기 네트워크상에서 장치의 접속의 해제를 검출하는 제5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네트워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검출 수단에서 검출되는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서 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6. 네트워크에서의 에러 검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루프 상태 에러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루프 상태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루프 상태 에러인 것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커넥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커넥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커넥션의 검출이 있었던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의 에러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네트워크의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에러 내용에 기초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커넥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커넥션의 검출이 없었던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의 에러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네트워크의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에러 내용에 기초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 검출 표시 방법.
KR1020010052444A 2000-08-29 2001-08-29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및 에러 검출 표시 방법 KR100795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9275A JP2002077182A (ja) 2000-08-29 2000-08-29 ネットワークエラー表示装置およびエラー検出表示方法
JPJP-P-2000-00259275 2000-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105A KR20020018105A (ko) 2002-03-07
KR100795257B1 true KR100795257B1 (ko) 2008-01-15

Family

ID=1874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444A KR100795257B1 (ko) 2000-08-29 2001-08-29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및 에러 검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4006B2 (ko)
EP (1) EP1185034B1 (ko)
JP (1) JP2002077182A (ko)
KR (1) KR100795257B1 (ko)
DE (1) DE6010654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5979B2 (en) * 2001-12-17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 bus controlling method, bus controll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7260628B2 (en) 2002-09-06 2007-08-21 Hitachi, Ltd. Event notification in storage networks
US20040081089A1 (en) * 2002-09-26 2004-04-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mitting data on scheduled channels in a centralized network
US7653012B2 (en) * 2002-09-26 2010-01-2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elay transmission of data in a centralized network
JP2004295285A (ja) * 2003-03-26 2004-10-21 Sony Corp ネットワーク接続の管理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5071273A (ja) * 2003-08-27 2005-03-17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方法
FR2863129A1 (fr) * 2003-11-28 2005-06-03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 gestion d'une tache au sein d'un reseau et dispositifs permettant d'effectuer une telle surveillance
JP2005252473A (ja) * 2004-03-02 2005-09-15 Fujitsu Ltd データ中継装置、データ中継方法およびデータ中継プログラム
US20050256899A1 (en) * 2004-05-14 2005-11-17 Bea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hierarchical data structures
JP4750379B2 (ja) * 2004-05-31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7876204B2 (en) * 2008-01-25 2011-01-25 Delphi Technologies, Inc. Thermal radiation detector
US8250413B2 (en) * 2008-09-30 2012-08-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nection broker assignment status reporting
JP4911211B2 (ja) * 2009-09-30 2012-04-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ーバー、ネットワーク機器、クライアント及びこれらから構成され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10054396A (ko) * 2009-11-17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607158B2 (en) 2010-12-09 2013-1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 presentation in remote monitoring sessions for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US20120166957A1 (en) * 2010-12-22 2012-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 presentation in management sessions for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US8806360B2 (en) 2010-12-22 2014-08-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ing resource manag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JP2015190986A (ja) *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11147A (ja) * 2016-07-12 2018-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7531A (en) * 1991-06-12 1995-12-19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packet-based network
US5636344A (en) * 1990-08-31 1997-06-03 Hewlett-Packard Company Network fault analysis system
KR19980084807A (ko) * 1997-05-26 1998-12-05 이계철 수요밀집형 가입자 광다중화 장치
KR0136523B1 (ko) * 1994-12-13 1999-05-15 양승택 루프백 시험이 가능한 데이타 링크 정합 장치
KR19990079421A (ko) * 1998-04-06 1999-11-05 윤종용 망관리장치에서 교차-연결 기능과 시험 기능의 통합 방법
KR20000028582A (ko) * 1995-12-15 2000-05-25 내쉬 로저 윌리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000050224A (ko) * 2000-05-29 2000-08-05 송형석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31705T2 (de) * 1992-12-21 2002-12-19 Apple Computer Verfahren und gerät zur umwandlung einer beliebigen topologie von einer knotensammlung in einen acyclischen gerichteten graph
KR19990044988A (ko) * 1997-11-25 1999-06-25 이데이 노부유끼 접속 상황 송신 장치, 접속 상황 표시 데이터 작성 장치 및 접속 상황 표시 방법
KR100261111B1 (ko) * 1998-05-06 2000-07-01 윤종용 Ieee 1394 네트웍 시스템의 시스템 디바이스 동작 상태 표시 방법
JP3469120B2 (ja) * 1998-06-12 2003-11-25 矢崎総業株式会社 通信網および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6344A (en) * 1990-08-31 1997-06-03 Hewlett-Packard Company Network fault analysis system
US5477531A (en) * 1991-06-12 1995-12-19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packet-based network
KR0136523B1 (ko) * 1994-12-13 1999-05-15 양승택 루프백 시험이 가능한 데이타 링크 정합 장치
KR20000028582A (ko) * 1995-12-15 2000-05-25 내쉬 로저 윌리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9980084807A (ko) * 1997-05-26 1998-12-05 이계철 수요밀집형 가입자 광다중화 장치
KR19990079421A (ko) * 1998-04-06 1999-11-05 윤종용 망관리장치에서 교차-연결 기능과 시험 기능의 통합 방법
KR20000050224A (ko) * 2000-05-29 2000-08-05 송형석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5034A3 (en) 2003-09-03
EP1185034B1 (en) 2004-10-20
US20020047862A1 (en) 2002-04-25
DE60106542T2 (de) 2005-10-13
JP2002077182A (ja) 2002-03-15
EP1185034A2 (en) 2002-03-06
KR20020018105A (ko) 2002-03-07
DE60106542D1 (de) 2004-11-25
US6964006B2 (en)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257B1 (ko)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및 에러 검출 표시 방법
JP4449218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システム及びディジタル信号伝送方法
US7072991B2 (en) Audio visual system having a serial bus for identifying device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s of an amplifier in the system
US6823408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te of physical layer circuit therefor
JP41476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649340B1 (ko) 통신 방법,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제공 매체
US6804795B1 (en) Electronic device and its repairing method
US20020004711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010024445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2057683A (ja)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20010007376A (ko) 제어장치,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763716B1 (ko) 정보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제어 시스템
KR20010021719A (ko)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들간의 연결들을 설정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20020097288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장치
TW533716B (en) Transission method, electronic machine and providing medium
KR20010071972A (ko) 통신방법,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
US200200731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2218007A (ja) 伝送チェック方法及び伝送チェック装置
EP1098494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