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376A - 제어장치,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376A
KR20010007376A KR1020000032724A KR20000032724A KR20010007376A KR 20010007376 A KR20010007376 A KR 20010007376A KR 1020000032724 A KR1020000032724 A KR 1020000032724A KR 20000032724 A KR20000032724 A KR 20000032724A KR 20010007376 A KR20010007376 A KR 20010007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vice identification
data
controlled devices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하라유지
히로야스소코
야마구치히로시
고토타카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0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3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38Address allocation for local use, e.g. in LAN or USB networks, or i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04Address structures or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Abstract

소정의 통신 형태에 근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버스에 연결된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어되는 장치들에 고유한 장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과,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장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장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내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회수하여, 상기 회수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제어되는 장치들이 이미 설치된 ID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경우보다 더욱 쉽게 제어되는 장치들을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Description

제어장치,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Controll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소정의 데이터통신 포맷에 따라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어장치,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로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폭넓게 승인을 얻고 있다. IEEE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율에 관한 것들 중 SCSI보다도 고속이며,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데이터 사이즈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것이 보증되는 등시통신(Isochronous communication)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IEEE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AV(audio/video) 등의 스트림 데이터(stream data)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므로 이득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을 배경으로 하여, 각종 디지털 AV(audio visual)장치나 PC등의 전자장치를, 예를 들면 IEEE1394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호에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안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AV시스템에서는, 소위 원격제어(remote control)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디스크 기록 및 재생장치와 PC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디스크 기록 및 재생장치에 대하여 기록 및 재생 뿐만아니라 기록소스의 편집 등에 관한 조작을 PC의 적절한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PC에 의해 IEEE1394 데이터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고려한 경우, PC의 표시 화면상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포맷을 사용하고 IEEE1394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설정(setup)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표시되어 있는 장치가 IEEE1394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 중 어떤 것인가를 사용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GUI상에서 장치의 식별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당해 장치의 제조자 이름과 모델 이름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IEEE1394 인터페이스에 호환할 수 있는 장치에는, 예를 들면 그 장치를 제조한 메이커명과 모델명 등을 포함한 ID정보가 ROM 등의 소자에 격납되어서 출하된다.
그리고, PC측에서는 각 장치로부터 메이커명이나 모델명의 정보를 수신하여 받고, 이들의 메이커명이나 기종명을 텍스트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GUI화면상에서 대략 장치를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GUI를 기초로 하여 식별하는 구성은 다음의 문제점을 갖는다. 즉, 사용자가 동일한 메이커로부터 동일한 모델을 버스로 복수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장치가 동일의 메이커명 및 모델명에 의해 각각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구성된 장치를 나타내는 노드 고유ID를 표시하는 것이다. 노드 고유 ID란 IEEE1394 인터페이스에 호환할 수 있는 장치에 특정되어 있는 ID코드이다. 즉, 노드 고유 ID는 복수 장치사이에서 동일의 값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그러한 노드 고유 ID를 텍스트로 표시하면 각 장치는 반드시 고유한 문자패턴이 할당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GUI화면상에서 시각적으로 연결된 장치 각각을 인식하고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각 노드 고유 ID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거나 또는 이해할 수 없는 일련의 영문자로 구성될 수 밖에 없는 8바이트의 정보이다. 실제, 이러한 문자의 결합은 사용자가 스크린상에서 장치의 신속한 식별을 완전하게 행할 수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IEEE1394버스에 연결되는 장치의 수가 많아질수록 더 심각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소정의 통신 형태에 근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버스에 연결된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어되는 장치들에 고유한 장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과,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장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장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내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회수하여, 상기 호수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제어되는 장치들이 이미 설치된 ID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경우보다 더욱 쉽게 제어되는 장치들을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목적, 특징, 장점은 다음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한 IEEE1394의 스택모델(stack model)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사용되는 IEEE1394버스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의 형태의 IEEE1394버스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신호에 대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3b는 본 실시의 형태의 IEEE1394버스에서 전송되는 스트로브신호에 대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3c는 본 실시의 형태의 IEEE1394버스에서 전송되는 클럭신호에 대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4는 IEEE1394버스라인을 사용하는 장치연결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는 IEEE1394 버스라인에 있어서 버스 재설정의 발생에 대하여 버스 재설정을 어떻게 송신하는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b는 IEEE1394 버스라인에 있어서 버스 재설정에 계속해서 장치사이의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c는 IEEE1394 버스를 사용하여 구성된 장치의 노드ID가 어떻게 설립되는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IEEE1394포맷에 있어서 사이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IEEE1394버스에 있어서 비동기통신에 대한 기본적인 트랜잭션 규칙을 나타내는 처리천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규칙마다 트랜잭션의 목록내용을 요구하는 테이블이다.
도 8a는 IEEE1394버스에 대한 버스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b는 IEEE1394버스라인을 식별하기 위한 버스ID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c는 IEEE1394버스에 연결된 장치에 대한 노드ID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d는 IEEE1394버스에 대한 레지스터공간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e는 IEEE1394버스에 대한 레지스터 어드레스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IEEE1394포맷의 CIP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플러그에 의해 규정된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a는 IEEE1394포맷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 oPCR[n]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IEEE1394포맷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 iPCR[n]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IEEE1394포맷을 사용하는 명령/응답 레지스터에 메시지를 기입하는 효과의 처리천이도이다.
도 13은 IEEE1394포맷에 있어서 비동기패킷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 비동기패킷에 대한 일반적인 ctype/responce의 규정내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a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 비동기패킷에 대한 subunit_type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b는 IEEE1394에 있어서 비동기패킷의 subunit_type가 VCR일 때의 동작코드 커맨드의 테이블이다.
도 16은 IEEE1394포맷에 있어서 비동기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a은 IEEE1394포맷에 있어서 플러그 어드레스공간의 위치를 구성하는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b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 플러그 어드레스공간의 위치를 구성하는 노드오프셋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c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 플러그 어드레스공간의 위치를 구성하는 플러그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a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 플러그 어드레스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b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 플러그 어드레스에 대한 레지스터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c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 어드레스 오프셋의 테이블이다.
도 19a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 생산자측의 플러그 어드레스에 대한 레지스터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b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 수요자측의 플러그 어드레스에 대한 레지스터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IEEE1394포맷에 있어서 생산자측과 수요자측사이의 명령 트랜잭션을 설명하는 처리천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IEEE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PC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IEEE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호환가능한 제 1장치 목록 윈도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IEEE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호환가능한 제 2장치 목록 윈도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IEEE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호환가능한 제 3장치 목록 윈도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2의 PC(제어기)에 저장된 사용자명 목록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사용자명을 사용자명 목록파일에 등록하기 위한 처리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은 도 22의 PC(제어기)에 의해 버스재설정 발생시에 있어서의 장치 목록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실행하는 표시제어 처리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3. PC 116. 데이터버스
201. CPU 202. ROM
203. RAM 204. 입출력 인터페이스
205. 키보드 206. 마우스
208. 표시 모니터 209. IEEE1394 인터페이스
210. 내부 버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다음의 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1. IEEE1394 포맷(format)
1-1. 개요
1-2. 스택(stack) 모델
1-3. 신호전송형태
1-4. 장치사이의 버스연결
1-5. 패킷(packet)
1-6. 트랜잭션(transacsion) 규칙
1-7. 어드레싱(addressing)
1-8. CIP(Common Isochronous Packet)
1-9. 연결관리
1-10. FCP에 있어서의 명령 및 응답
1-11. AV/C 명령 패킷
1-12. 플러그(plug)
1-13. 비동기연결(Asynchronous Connection) 송신수순
2.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일반적인 시스템 구성
3. PC에 의한 일반적인 표시형태
4. 처리동작
1. IEEE1394에 의한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
1-1. 개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는 IEEE1394버스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AV시스템을 예로서 설명한다. 이 AV시스템은 PC와 각종 오디오장치를 갖춘 것으로, PC는 적어도 오디오장치를 제어(즉, 원격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우선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이 IEEE1394규격에 따라서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설명한다.
IEEE1394는 시리얼 데이터통신의 규격 중의 1개로 이루어져 있다. IEEE1394하에서는 2가지의 데이터 전송방식이 있다. 그것은 주기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등시(Isochronous)통신방식과 이 주기와 관계하지 않고 비동기로 통신을 행하는 비동기식(Asynchronous) 통신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동기식 통신방식은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되고, 비동기식 통신방식은 각종 제어명령의 송수신에 사용된다. 그래서, 1체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이들 2종류의 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터와 명령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2. 스택 모델(stack model)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를 충족시키는 IEEE1394의 스택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IEEE1394 포맷은 2가지 유형인 비동기식 포맷(Asynchronous format)(400)과 등시 포맷(Isochronous format)(500)으로 대별된다. 여기에서, 비동기식 포맷(400)과 등시 포맷(500)에 공통한 층으로서, 최하위 층에 물리층(Physical Layer)(301)이 설정되고, 그 상위에 링크층(Link Layer)(302)이 설정된다. 물리층(301)는 하드웨어 배이스상에서 신호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층이며, 링크층(302)은 IEEE1394버스를, 예를 들면 장치마다에 고유한 내부버스에 변환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층이 된다.
물리층(301), 링크층(302) 및 다음에 설명하는 트랜잭션층(Transaction Layer)(401)은 Event/Control/Configuration의 라인에 의해 시리얼버스 매너지먼트(Serial Bus Management)(303)와 연결된다. 또, AV 케이블/커넥터(304)는 AV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필요한 물리적인 커넥터와 케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비동기식 포맷(400)에 있어서, 상기 링크층(302)의 상위에는 트랜잭션층(401)이 규정된다. 트랜잭션층(401)은 IEEE1394의 데이터전송 프로토콜을 규정하는 층이다. 기본적인 비동기식 트랜잭션으로는 입력 트랜잭션(Write Transaction), 판독 트랜잭션(Read Transaction),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이 규정된다.
그리고, 트랜잭션층(401)의 상층에 대하여 FCP(Function Control Protocol)(402)이 규정된다. FCP(402)는 AV/C 명령(AV/C Digital Interface Command Set)(403)로서 규정된 제어명령를 이용하여, 각종 AV장치에 대한 명령제어를 실행한다.
또, 트랜잭션층(401)의 상층에 대해서는 연결관리 프로듀서(Connection Management Procedures)(505)를 이용하는 Plug(후술하는 IEEE1394에 있어서의 논리적인 장치연결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플러그제어 레지스터(Plug Control Registers)(404)가 규정된다.
동기식 포맷(500)에 있어서, 링크층(302)의 상위에는 CIP(Common Isochronous Packet) 헤더포맷(Header Format)(501)이 규정된다. 이 CIP 헤더포맷(501)에 관리되는 형태로는 SD(Stnadard Density)-DVCR(Digital Video Camera Recorder) 실시간 전송(Realtime Transmission)(502), HD(High Density)-DVCR 실시간 전송(503), SDL(Standard Density Long)-DVCR 실시간 전송(504), MPEG2(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2)-TS(Transport Stream) 실시간 전송(505), 오디오/뮤직 실시간 전송(506) 등의 전송프로토콜(transmission protocol)이 규정되어 있다.
SD-DVCR 실시간 전송(502), HD-DVCR 실시간 전송(503), SDL-DVCR 실시간 전송(504)은 디지털 VTRs(Video Tape Recorders)을 어드레스하는 데이터전송 프로토콜이다.
SD-DVCR 실시간 전송(502)에 의해 다루어지는 데이터는 SD-DVCR 기록포맷(recording format)(508)의 규정에 따라서 획득된 데이터 시퀀스(SD-DVCR data sequence(507))가 된다.
또, HD-DVCR 실시간 전송(503)이 다루는 데이터는 SD-DVCR recording format(510)의 규정에 따라서 얻어진 데이터 시퀀스(SD-DVCR data sequence(509))가 된다.
SDL-DVCR 실시간 전송(504)이 다루는 데이터는 SDL-DVCR recording format(512)의 규정에 따라서 얻어진 데이터 시퀀스(SD-DVCR data sequence(511))가 된다.
MPEG2-TS 실시간 전송(505)은, 예를 들면 인공위성을 통한 디지털 위성방송에 대응하는 튜너 등에 대응하는 전송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해 다루어지는 데이터는 DVB(Digital View Broadcast) 기록포맷(514) 혹은 ATV(Analog Television) 기록포맷(515)의 규정에 따라서 얻어지는 데이터 시퀀스(MPEG2-TS data sequence)(513)이다.
또, 오디오/뮤직 실시간 전송(506)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MD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오디오장치 전반에 대응하는 전송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해 다루어지는 데이터는 오디오/뮤직 기록포맷(517)의 규정에 따라서 얻어지는 데이터 시퀀스(Audio and Music data sequence)가 된다.
1-3. 신호전송형태
도 2는 IEEE1394버스로서 실제 사용되는 케이블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커넥터(600A, 600B)는 케이블(601)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커넥터(600A, 600B)에 장착된 핀단자로서 핀번호(1∼6)의 핀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600A, 600B)에 설치되는 핀단자 중에서, 핀번호 1은 전원(VP)에 해당하고, 핀번호 2는 그라운드(VG)에 해당하고, 핀번호 3은 TPB1에 해당하고, 핀번호 4는 TPB2에 해당하고, 핀번호 5는 TPA1에 해당하고, 핀번호 6은 TPA2에 해당한다.
커넥터(600A, 600B)사이에 상호연결되는 핀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핀번호 1(VP)-핀번호 1(VP);
핀번호 2(VG)-핀번호 2(VG);
핀번호 3(TPB1)-핀번호 5(TPA1);
핀번호 4(TPB2)-핀번호 6(TPA2);
핀번호 5(TPA1)-핀번호 3(TPB1);
핀번호 6(TPA2)-핀번호 4(TPB2);
그리고, 상기 핀연결의 쌍 중, 2 개의 트위스트선의 쌍
핀번호 3(TPB1)-핀번호 5(TPA1)
핀번호 4(TPB2)-핀번호 6(TPA2)
은 차동으로 신호를 상호 전송하는 신호선(601A)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2체의 트위스트선의 쌍
핀번호 5(TPA1)-핀번호 3(TPB1)
핀번호 6(TPA2)-핀번호 4(TPB2)
은 차동으로 신호를 상호 전송하는 신호선(601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2조의 신호선(601A, 601B)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는, 도 3a에 나타낸 데이터신호(Data)와 도 3b에 나타낸 스트로브신호(Strobe)이다.
도 3a에 나타낸 데이터신호는 신호선(601A)과 신호선(601B) 중 하나를 사용한다. 이 데이터신호는 TPB1과 TPB2에서 출력되고, TPA1과 TPA2에 입력된다.
또, 도 3b에 나타낸 스트로브신호는 데이터신호와 이 데이터신호에 동기하는 전송클럭에 대해서 소정의 논리연산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이다. 그러한 이유로, 스트로브신호는 실제의 전송클럭보다는 낮은 주파수를 갖는다. 이 스트로브신호는 신호선(601A)와 신호선(601B) 중, 데이터신호 전송에 사용하지 않는 타방의 신호선을 사용하여, 스트로브신호가 TPA1, TPA2를 통하여 출력되고, TPB1, TPB2에 입력된다.
도 3a와 도 3b에 나타낸 데이터신호 및 스트로브신호가 어떤 IEEE1394에 대응하는 장치에 입력된다고 가정하자. 그러한 경우에, 그 장치는 입력된 데이터신호와 스트로브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논리연산을 행하여,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송클럭(Clock)을 생성한다. 따라서, 생성된 전송클럭은 소요의 입력데이터 신호처리에 사용된다.
IEEE1394포맷에서는 이와 같은 하드웨어에 기초한 데이터 전송형태를 채택함으로써, 고속 주기의 전송클럭을 케이블에 의해 장치사이에서 전송할 필요를 없엔다. 이것은 신호전송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6핀의 사양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이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EEE1394포맷에서는 전원(VP)과 그라운드(VG)를 생략하여 2조의 트위스트선 쌍, 즉 신호선(601A) 및 신호선(601B)만으로 이루는 4핀의 사양을 구성할 수도 있다.
1-4. 장치사이의 버스연결
도 4는 일반적으로 어떻게 장치들이 IEEE1394버스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되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구성은 장치(A, B, C, D, E)의 5대의 장치(노드s)가 IEEE1394버스(즉, 케이블)에 의해 상호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IEEE1394 인터페이스에서는 도 4에 나타낸 장치(A, B, C)와 같이 하여 IEEE1394버스에 의해 직렬적으로 연결되는, 소위 데이지 체인(daisy-chain)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4의 구성에서 장치(A)와 장치(B, D, E)사이의 병렬적인 연결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떤 장치와 복수 장치가 병렬로 연결되는, 소위 브랜치 연결(branch connection)도 가능하게 된다.
시스템 전체로는 이 브랜치 연결과 상기 데이지 체인 연결과를 병용하여 최대 63대의 장치(노드)를 연결가능하게 된다. 하나만을 사용한 데이지 체인 연결에 있어서는 최대 16대(16 pop)까지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에서 필요하게 되는 터미네이터(terminator)가 IEEE1394 인터페이스에서는 불필요하다.
그리고, IEEE1394 인터페이스에서는 상기와 같은 데이지 체인 연결 또는 브랜치 연결에 의해 연결된 장치사이에서 상호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4의 경우에 의하면, 장치(A, B, C, D, E)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IEEE1394버스에 의해 복수의 장치를 연결한 시스템(이하에서는 IEEE1394 시스템이라 한다)내에서는 구성된 장치 각각은 노드ID를 할당한다. 이 노드ID 할당의 처리를 도 5a, 도 5b, 도 5c에 의해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 5a에 나타낸 연결형태에 의한 IEEE1394 시스템에 있어서, 케이블의 연결과 단절(disconnect), 시스템에 있어서의 어떤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 PHY(Physical Layer Protocol)에서의 자발적인 처리의 경우에는 버스재설정(bus reset)이 발생한다. 그러한 경우에, 각 장치(A, B, C, D, E)사이에 있어서 IEEE1394버스를 통하여 모든 장치에 버스재설정통지를 행한다.
이 버스재설정통지의 결과,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지(Child-Notify)를 행하므로, 인접한 장치사이에서 종속관계(parent-child relation)가 정의된다. 즉, IEEE1394 시스템내에서 구성된 장치사이의 Tree구조를 구축한다. 그리고, 이 Tree구조의 구축결과에 따라서, Tree의 루트를 구성하는 장치가 정의된다. 그 루트(root)는 단자가 모두 "자(children)(Ch)"로서 정의되는 장치이다. 도 5b의 경우에 의하면, 장치(B)가 루트로서 정의된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면 이 루트로서의 장치(B)와 연결되는 장치(A)의 단자는 부(Parent)(P)로서 정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IEEE1394 시스템내에 Tree구조 및 루트가 정의되면, 계속하여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장치에서 그 자신의 노드ID의 선언으로서 Self-ID 패킷이 출력된다. 그리고, 그 루트가 노드ID에 대하여 순차 승인(grant)을 행함으로써, IEEE1394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어드레스(노드ID)가 결정된다.
1-5. 패킷
IEEE1394포맷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기사이클(Isochronous cycle)(nominal cycle)의 주기를 반복함으로써 데이터송신을 실행한다. 이 경우, 각 동기사이클은 125μsec가 되고, 대역으로서는 100MHz로 규정된다. 또한, 동기사이클은 125μsec 이외의 주기를 가질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전송에 대해서는 각 동기사이클에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송신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동기사이클의 선두에는 그 동기사이클의 시작을 나타내는 사이클 시작패킷(Cycle Start Packet)이 배치된다. 이 사이클 시작패킷을 생성시킬 경우에는 사이클 마스터(Cycle Master)로서 정의되는 IEEE1394 시스템내의 특정의 1장치에 의해 지시된다. 사이클 시작패킷 생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각의 사이클 시작패킷에 계속해서는 우선적으로 동시패킷(Isochronous packet)이 전송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기패킷은 채널 각각에 대응하며 시분할적으로 배열되어서 전송된다(Isochronous subactions). 또, 등시 보조작용(Isochronous subactions)내에 있어서, 패킷에는 등시 갭(Isochronous gap)이라는 구간(interval)(예를 들면, 각각 0.05μsec동안 지속)이 설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IEEE1394 시스템에서는 1개의 전송선로에 의해 동기데이터를 멀티채널에서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의 형태의 MD레코더/플레이어와 호환할 수 있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이하에서는 ATRAC데이터라 한다)를 동기식방식에 의해 송신한다고 가정하자. 그러한 경우에, ATRAC데이터가 1배속의 전송율인 1.4Mbps인 것으로 하면, 125μsec의 동기사이클마다 20여 매가바이트의 동기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시계열적인 연속성(즉, 리얼타임특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ATRAC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장치는 IEEE1394 시스템내의 IRM(Isochronous Resource Manager)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실시간송신이 확보할 수 있는 만큼의 동기패킷의 사이즈를 요구한다. 따라서, IRM에서는 현재의 데이터송신 상황을 감시하여 패킷사이즈에 대하여 승인이나 비승인을 부여한다. 허가가 부여되면, 지정된 채널에 의해 당해 ATRAC데이터를 동기패킷으로 송신할 수 있다. 더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지만, 이러한 처리는 IEEE1394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대역예약(band reservation)이라고 칭하는 것이다.
등시사이클의 대역에 대해서 등시 보조작용(Isochronous subaction)이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비동기 보조작용(Asynchronous subactions), 즉 비동기식 패킷송신이 행해진다.
도 6은 패킷 A, 패킷 B의 2개의 비동기 패킷(Asynchronous Packet)이 송신되고 있는 예를 나타낸다. 비동기 패킷의 뒤에는 그 사이에 ack gap(0.05μsec 길이)이라 칭하는 구간으로, ACK(Acknowledge)신호가 계속한다. ACK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Asynchronous Transaction의 과정에 있어서, 어떤 비동기 데이터가 수신되는 송신측(즉, 제어기)에 알려주기 위하여 하드웨어에서 수신측(즉, 목표)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또, 비동기 패킷 및 이것에 계속하여 ACK신호로 이루어진 각 데이터 전송단의 전후에는 10μsec정도의 subaction gap이라 불리우는 구간이 설정된다.
여기에서, ATRAC데이터를 동기패킷으로 송신하고 이 ATRAC데이터에 부수하는 보조데이터파일을 비동기패킷으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인 경우에는, ATRAC데이터와 보조데이터파일을 동시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6. 트랜잭션 규칙(Transaction Rules)
도 7a은 비동기 통신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트랜잭션 규칙을 나타내는 처리천이도이다. 이 트랜잭션 규칙은 FCP에 의해 규정된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스텝(S11)에서 Requester(송신측)는 Responder(수신측)에 대하여 Request를 송신한다. Responder에서는 이 Request를 수신하면(스텝(S12)), Acknowledgement를 Requester에 반송한다(스텝(S13)). Requester에서는 Acknowledgement를 수신할 경우, Request가 Responder(수신측)에서 수신된 것을 확인한다(스텝(S14)).
이후, Responder는 transaction response를 Requester로부터의 Request에 송신한다(스텝(S15)). Requester에서는 그 Response를 수신하고(스텝(S16)), 이것에 응답하여 Responder에 대하여 Acknowledgement를 송신한다(스텝(S17)). Acknowledgement를 수신할 경우, Responder에서는 Response가 Requester(송신측)에 의해 수신된 것임을 확인한다.
도 7a에서 송신되는 요구 트랜잭션(Request transaction)으로는, 도 7b의 테이블의 좌측에 목록된 바와 같이, 입력요구(Write Requests), 판독요구(Read Requests), 락요구(Lock Requests)의 3종류로 정의되어 있다.
입력요구(Write Request)는 데이터 입력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이다. 판독요구(Read Request)는 데이터의 판독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이다. 락요구(Lock Request)는,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교환(swap), 비교(compare), 마스크(mask)동작을 위한 명령이다.
또, 입력요구(Write Request)는 다음에 설명(도면 참조)하는 비동기 패킷(AV/C Commnad Packet)에서의 명령(operand)의 데이터 사이즈에 따라서 더욱이 3종류가 정의된다. 하나의 입력요구로는 비동기 패킷의 헤더사이즈만에 의해 명령를 송신하는 입력요구(Write Request)(data quadlet)이다. 다른 2개의 입력요구로는 입력요구(Write Request)(데이터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 입력요구(Write Request)(데이터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가 있다. 후자의 2개의 입력요구 각각은 비동기 패킷으로서 헤더에 대하여 데이터블록을 부가하여 명령송신을 행하는 것이다. 이 2개의 입력요구를 서로 구별하는 것은 데이터블록에 격납되는 오퍼렌드(operand)의 데이터 사이즈가 4바이트 인지 아니면 4바이트 이상인지를 구별하는 것이다. 입력요구(Read Request)와 마찬가지로, 판독요구(read request)도 비동기 패킷의 오퍼렌드(operand)의 데이터 사이즈에 따라서 또한 판독요구(data qualet), 판독요구(데이터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 판독요구(데이터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의 3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또, Response Transaction으로서는 도 7b의 테이블의 우측에 목록되어 있다. 상술한 3종의 입력요구에 대해서는 입력응답(Write Response) 혹은 무응답(No Response)이 정의된다.
또, 판독입력(Read Request)(data quadlet)에 대해서는 판독응답(Read Response)(data quadlet)이 정의되고, 판독요구(데이터블록:데이터길이=4바이트) 또는 판독요구(데이터블록:데이터길이≠4바이트)에 대해서는 판독응답(Read Response)(data quadlet)이 정의된다.
락요구(Lock Request)에 대해서는 락응답(Lock Response)이 정의된다.
1-7. 어드레싱(addressing)
도 8a∼도 8e는 IEEE1394버스의 어드레싱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IEEE1394포맷에서는 64비트의 버스어드레스의 레지스터(register)(어드레스 공간)가 준비된다.
이 레지스터의 상위 10비트의 영역은 IEEE1394버스를 식별하기 위한 버스ID를 나타낸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영역은 버스 ID로서 버스(#0∼#1022)의 합계 1023의 버스ID를 설정가능하게 하고 있다. 버스(#1023)는 국부버스(local bus)로서 정의되어 있다.
도 8a에 있어서, 버스어드레스에 연속한 6비트의 영역은 상기 버스ID에 의해 식별되는 IEEE1394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노드 ID를 나타낸다. 노드 ID는,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드 #0∼#62까지의 63개의 노드ID를 식별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버스ID 및 노드ID로 이루어진 16비트의 영역은 후술하는 AV/C 명령패킷의 헤더에 있어서의 수신지(destination)ID에 해당한다. 이 버스ID 및 노드ID에 의해, 어떤 버스에 연결된 각 장치가 IEEE1394 시스템상에서 식별된다.
도 8a에 있어서, 노드ID에 연속한 20비트의 영역은 레지스터 공간(register space)을 구성한다. 이 레지스터 공간 다음에는 28비트의 레지스터 어드레스(register address)가 계속된다.
레지스터 공간의 값은 도 8d에 나타낸 레지스터를 표시하는 값[F FF FFh]을 갖는다. 이 레지스터의 내용은 도 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의된다. 레지스터 어드레스는 도 8e에 나타낸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정의하고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어드레싱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8e의 레지스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어드래스512[0 00 02 00h]에서 시작하는 시리얼 버스종속 레지스터(Serial Bus-depandent Registers)를 참조하는 것으로, 등시 사이클(Isochronous cycle)의 사이클 타임이나 빈 채널(free channel)의 정보가 얻어진다.
또, 어드레스1024[0 00 04 00h]에서 시작하는 Configuration ROM의 내용을 참조하면, 노드의 종류와, 그 노드 종류에 특정되어 있는 노드(노드-고유)ID를 식별할 수 있다.
1-8. CIP
도 9는 CIP(Common Isochronous Packet)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동기 패킷의 데이터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ATRAC데이터(본 실시의 형태의 MD레코더/플레이어에 의해 기록 및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한 종류)는 IEEE1394호환가능 통신에 있어서 동기식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즉, 리얼타임특성이 유지되기에 충분한 데이터량을 동기 패킷에 격납하여 동기사이클(Isochronous cycle)마다에 순차 송신하는 것이다.
CIP의 선두 32비트(1quadlet을 구성)는 1394패킷헤더로 되어 있다. 이 패킷헤더에 있어서, 상위부터 순서로 16비트의 영역은 데이터길이(data_Length)를 나타내고, 연속한 2비트의 영역은 태그(tag)를 나타낸다. 또한, 연속한 6비트의 영역은 채널(channel)을, 연속한 4비트의 영역은 "티코드(tcode)"를, 연속한 4비트는 "sy"로 되어 있다. 그리고, 1394 패킷헤더에 연속한 1quadlet의 영역은 header_CRC를 포함한다.
header_CRC에 연속한 2quadlet의 영역이 CIP헤더를 구성한다. CIP헤더의 상위 quadlet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2비트에는 각각 "0"으로 채워진다. "00"비트에 연속한 6비트의 영역은 SID(송신노드 번호)를 나타내고, SID에 연속한 8비트의 영역은 DBS(데이터블록 사이즈, 즉 패킷화에 대한 데이터 증가량)를 나타낸다. DBS의 영역에 계속하여, FN(2비트), QPC(3비트)의 영역이 설정된다. FN영역은 패킷화에 대하여 분할의 수를 나타내고, QPC영역은 분할하기 위하여 추가한 quadlet의 수를 나타낸다.
QPC영역에 계속하여, SPH(1비트)는 소스패킷의 헤더의 플래그(flag)를 나타낸다. DBC영역은 패킷의 결락을 검출하는 카운터의 값이 격납된다.
CIP헤더의 하위 quadlet의 상위 2비트는 각각 "0"으로 채워진다. 그리고, 이것에 연속하여 FMT(6비트), FDF(24비트)의 영역이 설정된다. FMT영역은 신호포맷(전송포맷)을 나타내고, 여기에 나타내는 값에 의해 이 CIP에 격납되는 데이터종류(즉, 데이터 포맷)가 식별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MPEG스트림(stream) 데이터, Audio스트림 데이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V) 스트림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FMT영역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 FMT영역에 의해 나타내는 데이터포맷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CIP 헤더포맷(Header Format)(501)에 관리되는, SD-DVCR 실시간 전송(502), HD-DVCR 실시간 전송(503), SDL-DVCR 실시간 전송(504), MPEG2-TS 실시간 전송(505), Audio and Music 실시간 전송(506) 등의 전송프로토콜(transmission protocol)에 대응한다.
FDF영역은 포맷의존 필드(format-dependent field)이며, 상기 FMF영역에 의해 분류된 데이터포맷에 대해서 더욱 세분화한 분류를 나타내는 영역이 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에 관한 데이터는 선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MIDI 데이터로서 더욱 상세하게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에 사용되는 ATRAC데이터는, 우선 FMT영역에 의해 Audio스트림 데이터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데이터인 것이 표시되고, 소정의 값이 FDF영역에 설정되기 때문에, 그 Audio스트림 데이터는 ATRAC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에서, FMT영역에 의해 MPEG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FDF영역에는 TSF(타임시프트 플래그(Time Shift Flag)라 불리우는 동기제어정보(synchronization control information)가 격납된다. 또, FMT영역에 의해 DVCR(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데이터인 것이 표시되는 경우, FDF영역은 도 9의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의된다. 여기에서는 상위부터의 순으로 50/60(1비트)영역에 의해 1초간의 필드수를 규정하고, 계속해서 STYPE영역(5비트)에 의해 비디오의 포맷이 SD인지 HD인지를 나타낸다. SYTPE영역에 연속해서, 프레임동기용의 타임스탬프(time stamp)를 갖춘 SYT영역이 나타난다.
상기 CIP헤더에 계속해서, FMT, FDF영역에 의해 나타내는 데이터는 "n" 데이터블록의 시퀀스에 격납된다. FMT, FDF영역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ATRAC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 데이터블록에는 ATRAC데이터가 격납된다.
그리고, 그 데이터블록은 최후에 data_CRC영역이 배치된다.
1-9. 연결관리(Connection Management)
IEEE1394포맷에 있어서는 "플러그(plug)"라 불리우는 논리적 연결개념에 의해, IEEE1394버스에 의해 연결된 장치사이의 연결관계가 규정된다.
도 10은 플러그에 의해 규정된 연결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셋업(setup)을 나타낸다. 이러한 셋업은 IEEE1394버스를 통하여 VTR1, VTR2, 셋탑(set-top) 박스(STB; 디지털 위성방송 튜너(tunner)), 모니터(Monitor) 및 디지털 스틸(still)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형태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IEEE1394의 플래그에 의한 연결상태로는 포인트대 포인트연결(point-to-point connection)과 방송연결(broadcast connection)과의 2개의 형태가 존재한다.
포인트대 포인트 연결(point to point-connection)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사이의 관계가 특정된다. 또, 특정의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사이의 데이터전송이 행해지는 연결형태이다.
한편, 방송연결(broadcast connection)은 송신장치에 있어서 특히 수신장치 및 사용되어야 할 채널을 특정시키지 않고 데이터송신을 행하는 것이다. 수신장치에서는 특히 송신장치를 식별하지 않고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필요하면 수신된 데이터의 내용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도 10의 셋업에서는 포인트대 포인트연결(point to point-connection)상태를 나타내며, STB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VTR1이 채널(#1)을 사용하여 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상태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VTR2가 채널(#2)을 사용하여 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는 방송연결에 의해서도 데이터송신을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방송연결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이 방송데이터를 모니터에 의해 수신되어 소정의 응답처리를 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연결상태(플러그)는 각 장치에 있어서의 어드래스 공간에 이루어지는 PCR(Plug Control Register)에 의해 확립된다.
도 11a는 출력용 플러그제어 레지스터(oPCR[n])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11b는 입력용 플래그제어 레지스터(iPCR[n])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레지스터 oPCR[n], iPCR[n]의 사이즈는 모두 32비트로 되어 있다.
도 11a의 레지스터(oPCR)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장 중요한 비트(on-line)에 설정된 "1"은 방송연결(broadcast connection)에 의한 데이터송신인 것을 나타내고, "0"은 MSB에 관하여 11비트에서부터 시작하는 6비트의 채널번호영역에서 채널번호가 설정되는 채널에 대한 포인트대 포인트연결(point to point connection)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되는 나타낸다.
또, 도 11b의 레지스터(iPCR)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가장 중요한 비트(on-line)에 설정된 "1"은 방송연결에 의한 데이터수신인 것을 나타내고, "0"은MSB에 관하여 11비트에서부터 시작하는 6비트의 채널번호영역에서 채널번호가 설정되는 채널에 대한 포인트대 포인트연결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을 나타낸다.
1-10. FCP에 있어서의 명령 및 응답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비동기방식에 의한 보조데이터(auxiliary data)의 전송은, 도 1에 나타낸 FCP(402)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FCP에 의해 규정되는 전송을 위한 트랜잭션에 대해서 설명한다.
FCP에서는 비동기(Asynchronous)방식에 대해서 규정되는 입력 트렌젝션(Write Transaction)(도 7 참조)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보조데이터의 전송도, 이 FCP에 의해 비동기통신을 위한 입력트렌젝션을 사용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FCP를 지원하는 각 장치는 명령/응답 레지스터를 갖추고 있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명령/응답 레지스터에 메시지를 입력함으로써 입력트랜잭션을 실현한다.
도 12는 우선 명령송신을 위한 처리로서, 스텝(S21)에서 제어기가 트랜잭션요구(Transaction Request)를 발생하여 입력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을 목표(Target)에 송신하는 처리도를 나타낸다. 스텝(S22)에서, 목표은 이 입력요구패킷을 수신하여 명령/응답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 스텝(S23)에서 목표은 제어기에 대하여 승인(Acknowledgement)을 내보내고, 스텝(S24)에서 제어기는 승인을 수신한다. 여기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명령의 송신에 대응하는 처리가 된다.
계속해서, 명령에 응답한 응답을 위한 처리로서, 목표에서 입력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이 송신된다(스텝(S25)). 이 입력요구패킷을 수신할 때, 제어기에서는 명령/응답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S26)). 또, 제어기에서는 입력요구패킷의 수신에 따라서 목표에 대하여 승인을 송신한다(스텝(S27)). 목표에서는 이 승인을 수신하는 것으로, 입력요구패킷이 제어기에서 수신된 것을 확인한다(스텝(S28)).
즉, 제어기로부터 목표으로의 명령 전송처리와 이것에 대응한 목표에서 제어기로의 응답전송처리가 FCP에 의한 데이터전송의 기본이 된다.
1-11. AV/C 명령 패킷
앞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FCP는 AV/C명령를 사용하는 비동기방식에 의해 각종 AV장치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비동기통신에서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Write), 판독(Read), 락(Lock)의 3종류의 트랜잭션이 규정되어 있다. 실제, 각 트랜잭션에 따른 입력요구/응답 패킷, 판독요구/응답 패킷, 락요구/응답 패킷이 사용된다. 그리고, FCP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트랜잭션(Write Transaction)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 13은 입력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비동기패킷(데이터블록에 대한 입력요구))의 포맷을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입력요구패킷이 그것의 AV/C 명령패킷으로 사용된다.
이 입력요구패킷에 있어서의 상위 5quadlet(즉, 제 1∼제 5quadlet)은 패킷헤더(packet header)를 구성한다. 패킷헤더의 제 1quadlet에 있어서의 상위 16비트의 영역은 수신지ID(destination_ID)로써, 데이터의 전송처(수신처)로 사용되는 노드ID를 나타낸다. 수신지ID에 계속해서, 6비트의 "t1(transact label)"영역은 패킷번호를 나타낸다. 6비트의 t1(transact label)영역에 계속해서, 2비트의 "rt(retry code)"영역은 당해 패킷이 처음에 전송된 패킷인지 재송된 패킷인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rt(retry code)영역에 계속해서, 4비트의 "tcode(transaction code)"영역은 명령코드를 나타낸다. tcode(transaction code)영역에 계속해서, 4비트의 "pri(priority)"영역은 패킷의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제 2quadlet에 있어서의 상위 16비트의 영역은 소스ID(source_ID), 즉 데이터의 전송원의 노드ID(노드_ID)를 나타낸다.
또, 제 2quadlet에 있어서의 하위 16비트와 제 3quadlet 전체의 합계 48비트는 수신지 오프셋(destination_offset)을 나타내고, 명령 레지스터(FCP_COMMAND register)와 응답 레지스터(FCP_RESPONSE register)의 2개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상기 수신지ID 및 수신지 오프셋은 IEEE1394포맷에 있어서 규정되는 64비트의 어드레스 공간에 해당한다.
제 4quadlet의 상위 16비트의 영역은 데이터길이(data_length)를 포함한다. 이 영역은 후술하는 데이터영역(data field)(도 13에 있어서 굵은 선에 의해 둘러쌓인 영역)의 데이터사이즈를 나타낸다. 데이터의 길이영역은 extend_tcode의 영역으로 계속되고, 트랜잭션코드를 확장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영역이다.
제 5quadlet을 구성하는 32비트의 영역은 header_CRC를 나타낸다. 이 영역에는 패킷헤더의 채크합을 행하는 CRC계산값이 격납된다.
패킷헤더에 계속하여, 제 6quadlet에서 데이터블록이 배치된다. 이 데이터블록내의 선두에 데이터필드(datafield)가 형성된다.
데이터필드로서 선두가 되는 제 6quadlet의 상위 4바이트에는 CTS(Command and Transaction Set)가 기술된다. 이것은 당해 입력요구패킷에 대한 명령셋트의 ID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이 CTS의 값이 도 13과 같이 "0000"으로 설정되면 데이터필드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이 AV/C 명령인 것으로 정의되는 것이다. 즉, 이 입력요구패킷은 AV/C 명령패킷으로 식별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FCP가 AV/C 명령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 CTS영역에는 "0000"으로 채워진다.
CTS에 계속해서 4비트의 영역은 "ctype"(Commnad type, 즉 명령의 기능영역) 또는 명령에 따른 처리의 결과(즉, 응답)를 나타내는 응답가 기술된다.
도 14는 상술한 명령 종류(ctype) 및 응답의 정의내용을 나타낸다. "ctype"(명령)로는 값[0000]∼값[0111]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특히, 값[0000]은 제어(CONTROL), 값[0001]은 상태(STATUS), 값[0010]은 조회(INQUIRY), 값[0011]은 통지(NOTIFY)로서 정의된다. 값[0100]∼[0111]은 현제 미정의(reserved)로 되어 있다.
제어(CONTROL)는 기능을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이며, 상태(STATUS)는 외부에서 상태를 문의하는 명령이고, 조회(INQUITY)는 제어명령에 대한 서포트(support)의 유무를 외부에서 문의하는 명령이고, 통지(NOTIFY)는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려주는 것을 요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이다.
또, 응답(response)으로는 값[1000]∼[1111]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특히, 값[1000]은 사용불가(NOT IMPLEMENTED), 값[1001]은 승인(ACCEPTED), 값[1010]은 거절(REFECTED), 값[1011]은 이동(IN TRANSITION), 값[1100]은 권한부여/안정(IMPLEMENTED/STABLE), 값[1101]은 변경(CHANGED), 값[1110]은 보류(reserved), 값[1111]은 인터림(INTERIM)으로서 각각 정의되어 있다.
상기의 응답는 명령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사용불가(NOT IMPLEMENTED), 승인(ACCEPTED), 거절(REJECTED) 및 인터림(INTERIM)의 4개 중의 어떤 것이 래스판더(Responder)측의 상황 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도 13에 있어서, ctype/response영역에 계속하여 5비트의 영역에는 서브유닛의 종류(subunit type)가 격납된다. 서브유닛의 종류는 명령의 송신처 또는 응답의 송신원의 서브유닛을 나타낸다. IEEE1394포맷에서는 각 장치를 유닛(unit)이라 칭하고, 그 유닛내에 갖추고 있는 기능적 유닛을 서브유닛이라 칭한다. 예를 들면, 일반의 VTR을 유닛으로서 하면, VTR로서의 unit은 지상파나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튜너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플레이어와의 2개의 서브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서브유닛의 종류로는, 예를 들면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즉, 값[00000]은 모니터(Monitor)로 정의되고, 값[00001]∼[00010]은 보류된다(reserved). 값[00011]은 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 값[00100]은 VCR, 값[00101]은 튜너(Tuner), 값[00111]은 카메라로 정의되고, 값[01000]∼[11110]은 보류된다. 값[11111]은 서브유닛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는 유닛으로서 정의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의 종류에 계속해서 3비트의 영역에는 동일 종류의 서브유닛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각 서브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id"(노드_ID)가 격납된다.
상기 "id"(노드_ID)에 계속해서 8비트의 영역에는 operand가 계속되는 opcode가 격납된다. opcode란 동작코드(Operation Code)를 나타낸다. operand에는 opcode가 필요로 하는 정보(파라미터)가 격납된다. 이들 opcode는 각 서브유닛에 대하여 정의되고, 당해 서브유닛에 고유한 opcode의 목록 테이블을 갖는다. 예를 들면, 서브유닛이 VCR이면, opcode로는 예를 들면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AY(재생), RECORD(기록) 등의 각종 명령가 정의되어 있다. oprand는 opcode마다 정의된다.
도 13에 있어서 제 6quadlet을 구성하는 32비트의 영역은 강제적인 데이터필드이다. 필요할 경우, 이 데이터필드에 계속하여 operand를 추가할 수 있다(추가 오퍼랜드로서 나타낸다).
데이터필드에 계속해서 data_CRC영역이 배치된다. 또한, data_CRC영역의 전에 패딩(padding)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1-12. 플러그
이하에서는 IEEE1394포맷에 있어서의 플러그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의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란 IEEE1394포맷에 있어서의 장치사이의 논리적 연결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동기통신에 있어서 유효하게 되는 명령 등의 데이터(request)는 프로듀서(producer)로부터 수요자(consumer)에게 전송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프로듀서(producer) 및 수요자(consumer)는 각각 IEEE1394 인터페이스에 따른 송신장치, 수신장치로서 기능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요자(consumer)에 있어서는 도 16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듀서에 의해 데이터 입력이 행해지는 세그먼트 버퍼(Segment Buffer)를 갖춘다.
또, IEEE1394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의 장치를 프로듀서(producer), 수요자(consumer)로서 규정하기 위한 정보(이 정보를 연결관리정보란 칭한다: Connection Management Information)는 도 16에 망선으로 나타낸 플러그 어드레스내의 소정 위치에 격납되어 있다. 세그먼트 버퍼는 플러그 어드레스에 계속해서 배치된다.
수요자(consumer)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세그먼트 버퍼의 어드레스 범위(데이터량)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요자측에서 관리되는 제한카운트 레지스터(limit Count register)에 의해 규정된다.
도 17a, 17b와 17c는 비동기 통신을 위한 플러그 어드레스 공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64 비트 플러그 어드레스 공간은 도 17a에서 216(64K) 노드들로 분할되어 있다. 그러므로, 플러그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노드의 어드레스 공간내에서 발견된다. 각 플러그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같이, 빗금친 세그먼트 버퍼와 엇갈리게 빗금친 라인들에 의해 표시된 레지스터(register)를 포함한다. 레지스터는 나중에 설명이 되겠지만 전송측(제조자)과 수신측(수요자)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전송된 데이터 크기와 수신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수용하고 있다. 세그먼트 버퍼는 제조자로부터 수요자에게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영역이다. 최소의 세그먼트 버퍼 크기는 64 바이트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도 18a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용이 동일한 대표적인 플러그 어드레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a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러그 어드레스의 앞 부분에는 세그먼트 버퍼가 따라오는 레지스터가 차지하게 된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지스터의 내부 구조는 각각의 크기가 32 비트들인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1] - [14]가 따라오는 32 비트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가 맨 앞에 오게된다. 즉, 한 개의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와 14 개의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들은 그 레지스터를 구성하게 된다. 이 구조내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영역이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14]뒤에 오게 된다.
도 18a와 18b에 도시된 플러그 구조는 도 18c에 도시된 오프셋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오프셋 어드레스 0은 수요자 포트(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를 명시하며, 오프셋 어드레스 4, 8, 12 - 56과 60은 제조자 포트 [1] - [14]들을 지정하고 있다. 오프셋 어드레스 60은 예비되며, 이것은 미사용된 영역을 의미하며, 64는 세그먼트 버퍼를 지정한다.
도 19a와 19b는 제조자와 수요자를 위한 플러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사실은 이러한 플러그 구조에서는, 비동기 통신이 나중에 기술될 데이터 교환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버퍼,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와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입력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입력 작업은 상술한 입력 통신의 분류속에 속하게 된다.
제조자는 수요자의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조자에게 명시된 어드레스에서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제조자측의 전송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먼자 입력한다.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의 내용은 수요자측의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입력된다.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는 제조자의 단일한 입력 작업에 의해 수요자의 세그먼트 버퍼에 입력된 데이터의 크기를 수용하고 있다. 즉, 데이터를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입력하는 제조자는 수요자 세그먼트 버퍼에 입력된 데이터의 크기를 통보하는 절차를 실행한다.
이에 응답하여, 수요자는 제조자의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수요자는 먼저, 제조자에 대응하여 지정된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 [1] - [14]중 한 개에 세그먼트 버퍼의 크기를 입력한다.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n]의 내용은 제저자의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n]에 입력된다.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n]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제조자는 단일한 작업에 의해 자신의 세그먼트 버퍼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한다. 세그먼트 버퍼의 내용은 수요자의 세그먼트 버퍼에 순서대로 입력된다. 수요자 세그먼트 버퍼에 대한 입력 작업은 비동기 통신의 데이터 전송의 단계가 된다.
1-13. 비동기 연결 전송 절차들
도 20에 도시된 변화 절차표를 참조하여 기술된 것은 도 19a와 19b의 인터 플러그(inter-plug)(예를 들면, 제조자-수요자) 구조가 설정된 경우에, 비동기 연결에 의한 전송 및 수신절차에 관한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전송 및 수신 절차는 비동기 통신을 위해 FCP에 의해 규정된 환경하에서 AV/C 명령(입력 요청 패킷들)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처리되는 보조 데이터는 IEEE1394 시스템내의 절차들을 이용하여 전송 및 수신된다. 도 19a와 19b내에 도시된 절차들은 비동기 연결에 의한 통신 작업만을 나타낸다는 것을 주목하자. 보조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어드레스하는 통신 절차는 나중에 기술될 것이다.
실제적인 비동기 연결 설정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명령 전송후에 acknowledgements가 전송 및 수신된다.
도 20의 설정은 단순성을 위해 acknowledgements 교환들을 삭제했다.
IEEE1394 인터페이스를 위해, 인터 플러그(예를 들면, 장치-장치) 연결 관계는 상술한 제조자-수요자 관계에 추가된 제어기-목표 관계들을 포함한다. IEEE1394 시스템에서는, 제조자-수요자 관계에서 설정된 장치들이 제어기-목표 관계로 배열된 장치들과 일치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달리 말하자면, 제조자로 지정된 장치들과 함께 제어기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규정된 장치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 보기에서는, 제조자-수요자 관계가 제어기-목표 관계와 일치한다고 가정한다.
도 20의 전송 절차내의 단계(S101)에서는, 제조자가 수요자에게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연결 요청은 연력을 요청하기 위해 제조자에 의해 수요자로 전송된 명령이다. 그 명령은 제조자의 레지스터 어드레스를 수요자에게 통보한다.
연결 요청은 단계(S102)내에서 수요자에 의해 수신된다. 이 때에, 수요자는 제조자측의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인식한다. 단계(S103)에서는, 수요자가 제조자의 연결 허가에 응답하여 전송한다. 단계(S104)에서는, 제조자에 의해 전송된 연결 허가를 수신하자마자, 연결이 제조자와 수요자 사이에서 설정되어 다음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연결 설정에서는, 수요자가 단계(S105)에서, 제조자에게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축약하여 제한 카운트라고 함) 입력 요청을 전송한다. 제한 카운트 입력 요청 단계(S106)에서 수신한 후에, 제조자는 단계(S107)에서 제한 카운트 입력 허가를 전송한다. 단계(S108)에서는, 수요자가 제한 카운트 입력 허가를 수신한다. 제한 카운트 입력 요청 다음에 오는 입력허가를 전송하는 것은 나중에 세그먼트 버퍼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크기(예를 들면 세그먼트 버퍼의 크기)를 결정한다.
단계(S109)에서는, 제조자가 수요자에게 세그먼트 버퍼 입력요청을 전송한다. 세그먼트 버퍼 입력요청은 단계(S110)에서 수요자에 의해 수신된다. 이에 응답하여, 수요자는 세그먼트 버퍼 입력 허가를 단계(S111)에서 제조자에게 전송한다. 제조자는 단계(S112)에서 세그먼트 버퍼 입력허가를 수신한다.
단계(S109 - S112)를 수행하게 되면, 제조자의 세그먼트 버퍼로부터 수요자의 세그먼트 버퍼로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단일한 절차가 완료된다.
단계(S109 -S112)에서는, 데이터가 도 6에 도시된 단일한 비동기 패킷의 전송에 의해 입력된다. 만약 비동기 패킷으로 전송된 데이터 크기가 제한 카운트 레지스터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보다 작고 그리고 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이 단일한 비동기 패킷을 이용하여 완료되지 않는다면, 단계(S109 - S112)는 세그먼트 버퍼 용량이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반복된다.
세그먼트 버퍼에 대한 입력 작업이 단계(S109 - S112)에서 완료될 때에, 단계(S113)에서는 수요자에게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축약하여 제조자 카운트라고 함) 입력 요청을 전송하는 일이 수행된다. 수요자는 단계(S114)에서 제조자 카운트 입력 요청을 수신하고, 제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대해 입력 작업을 수행한다. 단계(S115)에서는, 수요자가 제조자에게 제조자 카운트 입력 허가를 전송한다. 제조자는 단계(S116)에서 제조자 카운트 입력 허가를 수신한다.
상기 절차는 단계(S109 -S112)에서 제조자로부터 수요자 세그먼트 버퍼로 전송된 데이터 크기를 수요자에게 통보하는 것이다.
단계(S117)에서는, 단계(S113 - S116)를 구성하는 제조자 카운트 입력 절차 다음에 오는 제한 카운트 입력 작업을 수행하는 절차가 시작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단계(S117 - S120)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제한 카운트 입력 요청은 수요자로부터 제조자로 전송된다. 이에 응답하여, 제조자는 수요자에게 제한 카운트 입력허가를 전송한다.
단계(S109 -S120)는 비동기 연결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 관한 단일한 세트의 절차들을 구성하고 있다. 만약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세그먼트 버퍼 크기보다 더 크고, 데이터의 전송이 단계(S109 - S120)에서 완료되지 않는다면, 단계(S109 - S120)가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될 때에, 단계(S121)에서 제조자는 수요자에게 단절 요청을 전송한다. 수요자는 단계(S122)에서 단절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S123)에서 단절 허가를 전송한다. 제조자는 단계(S124)에서 단절 허가를 수신한다. 이 단계에서 비동기 연결에 의한 데이터 송신과 수신을 완료시킨다.
2. 본 발명을 실현하는 대표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1은 상술한 IEEE1394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며 본 발명을 구현한 대표적인 AV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AV 시스템은 IEEE1394 버스(116)를 통해 연결된 장치들(#1, #2, #3)과 같이 통신을 위해 도시된 개인용 컴퓨터(113)와 세 개의 오디오 장비들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과 구성요소들간의 실제 케이블 연결은 도 4를 참조하여 논의된 버스 연결법칙만을 준수한다.
장치들(#1, #2, #3)은 장비의 어떤 명시된 형태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다. 이 보기에서는, 장치 #1가 MD 기록기/재생기이며, 장치 #2는 CD 재생기 그리고 장치 #3은 다른 MD 기록기/재생기라고 가정한다.
이미 알다시피, MD 기록기/재생기는 미니 디스크(MD; 등록된 상표)로 알려진 광자기 디스크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는 기록 및 재생장치이다. CD 재생기는 컴팩트 디스크(CD)로부터 지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장비이다.
CD 재생기에 의해 CD로부터 회수된 오디오 데이터는 IEEE1394버스(116)를 통해 출력된다. MD 기록기/재생기는 MD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회수하며, IEEE1394 버스(116)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회수된 데이터를 복조한다. 게다가, MD 기록기/재생기는 IEEE1394 버스(116)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MD에 기록한다. 본 출원은 텍스트와 화상 데이터 파일들(보조 데이터로 부름)과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MD 기록기/재생기를 제안했다. 이러한 MD 기록기/재생기는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MD로부터 보조 데이터를 재생하고, MD에 외부에서 공급된 보조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보조 데이터를 MD에 입력시킨다.
AV 시스템이 상술한 바와같이,MD 기록기/재생기와 CD 재생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CD 재생기에 의해 재생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IEEE1394 버스를 통해 전송되며, 디지털 더빙이라고 부르는 형태로 MD 기록기/재생기에 기록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PC(113)가 IEEE1394 버스에 연결된 장치들을 (원격 제어하에서) 제어하며, 동작중에는, 구성된 장치들중 한 장치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이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다음의 데이터 편집과 처리를 위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PC(113)가 여러 종류의 이용자 데이터를 다른 구성된 장치들에 전송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명을 하자면, 도 21의 AV 시스템 구성에서는, CD 재생기로부터 MD 기록기/재생기로 이루어지는 상술한 디지털 더빙은 PC(113)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PC(113)의 기능들은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명시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내부 CPU에 의해 수행된다.
IEEE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양립하는 각 장치는 내부 ROM내에서 노드 고유 ID와 보조 유닛 ID로 미리 정해진 판매자 이름과 모델 이름을 가지도록 요구된다. 문제의 장치가 실제적으로 IEEE1394 버스에 연결되어 있을 때에, 노드 고유 ID와 보조 유닛 ID는 설정시에 장치의 연결관계를 설정하는데 필요하다.
각 장치는 8 바이트로된 장치 식별 정보가 되는 자신의 노드 고유 ID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장치들은 그들이 동일한 모델이라도 동일한 노드 고유 ID를 공유하지 않는다.
판매자 이름은 소정의 ,장치의 제조자를 표시하는 정보이며, 모델 이름은 장치의 모델에 관한 정보이다. 동일한 판매자와 동일한 모델 이름을 공유하는 장치가 존재하게 된다.
각 장치를 식별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노드 고유 ID는 의무적 사항이며, 판매자 이름과 모델 이름은 선택사항이며, 장치에 부착되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1의 시스템에서는, 장치 #1인 MD 기록기/재생기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
노드 고유 ID = "X"
판매자 이름 = "AAA"
모델 이름 = "BBB"
장치 #2인 CD 재생기는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
노드 고유 ID = "Y"
판매자 이름 = "..."
모델 이름 = "..."
즉, 판매자 이름이나 모델 이름은 모두 CD 재생기를 위해 현재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MD 기록기/재생기인 장치 #3은 다음과 같다.
노드 고유 ID = "Z"
판매자 이름 = "AAA"
모델 이름 = "BBB"
MD 기록기/재생기를 각각 나타내는 장치 #1과 #3은 동일한 판매자와 동일한 모델 이름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그들은 동일한 제조자로부터 만들어진 동일한 모델이라고 여겨진다. 상기 ID와 이름들은 설명을 위해서 실제적으로 이용된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단지 문자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도 22는 PC(113)의 대표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PC(113)는 외부 엔터티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서 IEEE1394 인터페이스(209)로 구성된다. 외부 데이터 버스로서 이용되는 IEEE1394 버스에 연결될 때에, IEEE1394 버스(209)는 외부에 연결된 장치들과 통신을 허가한다.
IEEE1394 버스(209)는 IEEE1394 버스(116)상에서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며, 수신된 패킷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며, 내부 버스(210)를 통해 CPU(201)로 변환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게다가, IEEE1394 버스(209)는 CPU(201)의 제어하에서 출력 데이터를 받아들이며, 그 데이터에 대해 IEEE1394 형태에 근거하여 패킷 변환과 같은 변조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변조된 데이터를 IEEE1394 버스(116)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CPU(201)는 ROM(202)내에 보존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수 많은 처리들을 수행한다. 이 실시예는 ROM(202)내에 IEEE1394 버스(209)를 제어하여 데이터 교환이 IEEE1394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있다. 즉, PC(113)가 IEEE1394 제어하에서 데이터 교환을 가능케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다.
ROM(202)은 CPU(201)가 여러 종류의 처리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있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04)는 키보드(205)와 마우스(206)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들로부터 발생된 동작유도 신호들은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CPU(201)로 전송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04)는 또한 저장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 디스크 구동기(207)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CPU(201)는 하드 디스크 구동기(207)내의 하드 디스크에 대해 데이터와 프로그램들을 판독하고 입력한다. 이러한 설정 작업에서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04)가 화상 표시를 위해 표시 모니터(208)에 연결되어 있다.
내부 버스(210)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또는 로컬 버스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같이, 내부 버스(201)는 내부 기능 회로들 사이의 상호 연결들을 제공한다.
도 21에 도시된 MD 기록기/재생기와 CD 재생기(100)에서는, 그들의 IEEE1394 인터페이스가 상술한 PC(113)의 것과 동일한 기능적인 구조를 근본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MD 기록기/재생기와 CD 재생기(100)는 각각 IEEE1394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그들의 내부 ROM내에는 그들의 IEEE1394 인터페이스를 그들의 CPU(201)가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있다.
IEEE1394 버스 라인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이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은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만 기술되어 있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AV 시스템 구성은 IRD라고 불리우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와 디지털 VTR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AV 시스템은 구조적인 면에서 볼 때에, 도 21에 도시된 MD 기록기/재생기와 CD 재생기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소들의 내부 구조들은 기술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을 것이다.
3. PC에 의한 대표적인 표시
도 21의 AV 시스템에서는, PC(113)가 IEEE1394 버스에 연결된 장치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관리 및 제어기능은 IEEE1394 버스에 현재 연결된 장치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특성을 구성하고 있다.
도 23은 IEEE1394 버스에 연결된 장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장치 목록 윈도우를 도시하고 있다. 장치 목록 윈도우(WD1)는 표시 모니터(208)위에 나타난다.
도 23에서는, PC(113)와 장치들(#1, #2, #3)이 각각 화면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장치 아이콘(ICN)에 의해 표시된다. 장치 아이콘(ICN)은 IEEE1394 버스에 의해 연결된 장치(#1 - #3)와 PC(113)사이의 실제 연결을 나타내기 위해 라인들을 가지고 상호 연결되도록 도시하였다. 즉, 도 21을 참조하여 기술한 버스 연결들은 화면에 도식적으로 표시된다.
이 실시예의 PC(113)는 나중에 기술되는 방식에 의해 IEEE1394 버스에 연결된 장치에 대해 이용자가 텍스트 정보를 입력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장치 이름들이 요구된대로 입력되어 설정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이용자가 각 장치에 부여한 이름은 "이용자 이름"이라고 불리운다.
어떤 장치가 이미 입력된 이용자 이름을 가지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이름은 장치를 나타내는 장치 아이콘(ICN)내부에 표시된다.
도 23의 보기에서는, 장치 #1인 MD 기록기/재생기와 장치 #2인 CD 재생기가 이미 입력된 그들의 이용자 이름들을 가지고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용자 이름 "큰 형 MD"가 장치 #1의 장치 아이콘 (ICN)내부에 표시되며, 이용자 이름 "모든 사람을 위한 CD"는 장치 #2의 장치 아이콘(ICN)내부에 도시된다.
장치 #3인 MD 기록기/재생기에 대한 이용자 이름이 아직 입력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서는, 윈도우가 알파벳문자 형태로 MD 기록기/재생기의 판매자의 이름과 모델 이름을 장치 아이콘(ICN)의 내부에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일시적인 방편으로 표시한다. 다시 말하자면, 장치의 노드 고유 ID는 판매자의 이름과 모델 이름 대신에 표시된다. 다른 형태에서는, 문자 또는 심볼들이 판매자의 이름과 모델 이름 또는 다른 ID 정보로부터 도출되는 장치 형태(예를 들면, MD 기록기/재생기 또는 CD 재생기)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설정 작업에서 PC(113)를 타나내는 장치 아이콘 (ICN)은 IEEE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제어기로서 컴퓨터가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문자 스트링 "제어기"를 도시하고 있다. PC(113)에 대해 희망하는 이용자 이름을 이용자가 입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입력된 이용자 이름은 PC(113)의 장치 아이콘(ICN)내부에 나타나게 된다.
도 23의 윈도우를 살펴보면, 이용자가 이용자 이름을 지금까지 어떤 이용자 이름이 설정되지 않았던 장치 #3에 대응하는 장치 아이콘(ICN)에 이용자 이름을 입력시키기를 희망한다고 가정한다.
상기의 경우에서는, 이용자가 장치 목록 윈도우(WD1)내의 마우스를 동작시켜 장치 #3의 장치 아이콘(ICN)을 먼저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윈도우 메뉴로부터 이용자 이름 입력 메뉴를 불러온다.
이용자 이름 입력 메뉴가 일단 소환되면, 이용자가 이용자 이름을 입력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다이얼로그 윈도우(dialog window)가 나타난다. 이용자는 키보드를 작동시켜 원하는 잉요자 이름을 입력시키며 그 입력을 확인한다. 이것은 장치 #3에 대응하는 잉요자 이름을 설정한다.
이용자 이름을 입력시킨 후에는, 장치 목록 윈도우(WD1)가 그 내용을 도 24에 도시된 것으로 대체시킨다. 도시된 바와같이,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용자 이름은 장치 #3의 장치 아이콘(ICN)내부에 표시된다. 도 24의 보기에서는, 이용자 이름 "동생의 MD"가 장치 #3의 장치 아이콘(ICN) 내부에 도시된다. 이것은 이용자 이름 입력시에 이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스트링이다.
기존의 이용자 이름들은 상술한 것과 비슷한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갱신된다.
상기 실시예의 PC(113)의 제어하에서, 기술된대로 입력된 이용자 이름들은 다음과 같이 관리된다.
연결된 장치들중 몇 개의 장치들에 대응하는 이용자 이름들이 기술된 방식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CPU(11)가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을 생성한다.
도 26의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은 도 24에 도시된 내용들과 대응한다.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에서는, 관계된 장치들의 각각의 노드 고유 ID에 대응하는 입력된 이용자 이름들은 저장된다.
도 26에서는, 장치 #1의 노드 고유 ID "X"가 장치 #1와 관련되어 입력된 이용자 이름인 텍스트 정보 "큰형 MD"와 함께 설정된다.
장치 #2의 노드 고유 ID "Y"가 장치 #2와 관련되어 입력된 이용자 이름인 텍스트 정보 "모든 사람을 위한 MD"와 함께 설정된다.
장치 #3의 노드 고유 ID "Z"가 장치 #3과 관련되어 입력된 이용자 이름인 텍스트 정보 "동생 MD"와 함께 설정된다.
이렇게 생성된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은 하드 디스크 구동기(207)에 저장을 위해 입력되는 파일로서 관리된다.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 구조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 장치의 이용자 이름은 이용자 이름과 노드 고유 ID를 매칭시키기 위해 유용한 정보로서 관리된다.
달리 표현하자면, 이 실시예에서 입력된 이용자 이름들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미래의 관리를 위해 효과적이다. 하드 디스크상의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내에 이미 입력된 이용자 이름을 참조하면, 이용자는 항상 대응하는 장치를 식별할 수가 있다.
만약, 버스 재설정이 이 실시예에서 IEEE1394로부터 단절되거나 또는 연결되는 장치에 의해 발생된다면, 버스상의 연결된 장치에 대응하는 이용자 이름들은 항상 표시된다.
예를 들면, PC(113)와 장치 #1, #2, #3가 도 24의 장치 목록 윈도우(WD1)내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이 되어 있다면, 장치 #3의 케이블은 단절되며, 장치 #1, #2와 PC(113)는 IEEE1394 버스와 연결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경우에서는, 케이블 단절이 IEEE1394 시스템내에서 버스 재설정을 발생시킨다.
버스 재설정 다음에는, PC(113)가 연결된 각각의 장치의 노드 고유 ID를 얻게 된다. 컴퓨터는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내의 획득된 노드 고유 ID들을 참조하여, 그 ID들로부터 대응하는 이용자 이름들을 회수하여 표시하게 된다. 새롭게 설정된 장치들의 연결 관계를 참조하면, 이용자는 표시된 이용자 이름들을 볼 수 있으며, IEEE1394 버스에 현재 연결된 장치들을 인식하게 된다.
만약 장치 목록 윈도우(WD1)가 상기 버스 재설정 다음에 표시된다면, 도 24의 윈도우의 내용들은 도 25의 내용들로 대체된다.
도 25의 윈도우에서는, 장치 #3의 표시는 사라지는 반면에, PC(113)와 장치(#1, #2)의 장치 아이콘(ICN)은 표시된다. 그 윈도우는 나머지 3 개의 장치들이 버스 라인들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있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장치 #1, #2를 나타내는 장치 아이콘(ICN)의 각각의 내부에는, 버스 재설정 전에, 이용자 이름들, "큰형 MD", "모든 사람을 위한 MD"가 정확하게 다시 표시된다.
도 25의 장치 목록 윈도우(WD1)의 연결 설정에서는, 다른 버스 재설정이 장치 #3와 같은 MD 기록기/재생기의 케이블의 버스에 연결되자마자 발생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서는, IEEE1394 버스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장치들의 노드 고유 ID들이 새롭게 얻어지며,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내에서 참조되므로, 대응하는 이용자 이름들을 표시하게 된다. 표시된 이용자 이름들을 살펴보면, 이용자는 구성된 장치들을 인식할 수 있다. 도 24도의 장치 목록 윈도우 (WD1)는 다시 표시될 수 있다.
도 23 - 도 25의 장치 목록 윈도우 (WD1)의 표시 형태는 본 발명에서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여러 가지의 다른 종류의 표시 형태들이 고안될 수 있으며 대체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4. 프로세스
버스 재설정이 발생된 후에 상술한 이용자 이름들의 입력을 수행하고 장치 목록 윈도우(WD1)를 표시하는 대표적인 처리 단계들이 아래에 기술되었다.
이용자 이름들을 입력하는 단계들은 도 2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러한 단계들은 PC(113)의 CPU(201)에 의해 수행된다.
도 27의 단계(S201)에서는, 표시제어 처리가 처리되어 장치 목록 윈도우(WD1)를 표시하게 된다.
단계(S202)에서는, 이용자가 적당한 동작을 수행하여 장치 목록 윈도우(WD1)내에서 이용자 이름 입력을 위해 목표 장치를 선택한다. 이에 응답하여, CPU는 장치에 소정의 이름이 주어지도록 설정한다.
단계(S203)에서는, 이용자 이름 입력 메뉴가 이용자의 적당한 동작에 응답하여 열리게 되어 그 오프닝(opening)을 지정하게 된다. 이 때에, 상술한 바와같이, 이용자 이름 입력 윈도우가 표시된다.
그 때에 이용자 이름 입력 다이얼로그 윈도우가 나타난다.
단계(S204)에서는, 이용자가 CPU에 의해 받아들여진 원하는 이용자 이름을 입력시키거나 또는 기존의 이용자 이름을 갱신하게 된다. 단계(S205)에서는, 이용자가 이름 입력을 확인했다는 것을 알기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만약 이용자 이름 입력이 확인되지 않았다면, 예를 들면, 만약 이용자 이름 입력 메뉴가 취소된다면, 단계(S201)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상기의 경우에서는, 이용자 이름 입력이 표시된 장치 목록 윈도우(WD1)로부터 다시 시작된다.
만약 단계(S205)에서 이용자가 이용자 이름 입력을 확인했다고 판단이 되어진다면, 단계(S206)에 도달하게 된다.
단계(S206)에서는, 입력된 이용자 이름이 (하드 디스크 구동기(207)내에 있는)하드 디스크에 저장되기 위해 목표 장치의 노드 고유 ID와 함께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에 입력된다. 만약 기존의 이용자 이름이 갱신되어진다면, 목표 장치의 노드 고유 ID와 대응하는 이용자 이름의 내용이 갱신된다.
도 2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것은 버스 재설정이 발생하자마자 장치 목록 윈도우(WD1)를 표시하는 대표적인 처리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들은 PC(113)의 CPU(203)에 의해 수행된다.
도 28의 단계(S301)에서는, 버스 재설정의 발생이 대기상태에 있다. 만약 버스 재설정이 검출된다면, 단계(S302)에 도달하게 된다.
단계(S302)에서는, IEEE1394 버스에 연결된 장치들의 고유 ID가 얻어진다. 실제로, CPU(201)는 먼저 IEEE1394 버스에 현재 연결된 장치들에게 AV/C 명령들을 전송한다. 그러므로 상기 명령들에 의해 그들의 노드 고유 ID들의 통지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명령들에 응답하여, 장치들은 CPU(201)에 의해 얻어진 그들의 노드 고유 ID의 통지를 전송해준다.
단계(S303)에서는, CPU(201)가 단계(S302)에서 얻어진 노드 고유 ID에 대응하는 이용자 이름들을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로부터 회수하게 된다.
단계(S304)에서는, CPU(201)가 도 23에서 도 25에 도시된 장치 목록 윈도우(WD1)를 표시하기 위해 회수된 이용자 이름을 이용하여 표시제어를 실행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연결된 장치들의 이용자 이름들은 그들의 장치 아이콘(ICN)내부에 표시된다.
이 때에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내에 존재하지 않는 어떤 노드 고유 ID가 검출된다면, 도 23의 장치 #3으로 표시된 장치 아이콘(ICN)이 표시되며, 관련된 노드 고유 ID를 가지는 장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전의 설명에 대해서는, 장치 목록 윈도우(WD1)가 이용자 이름 표시를 위해 개방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가정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실제적으로 돌아가는 응용 프로그램에 있어서, 구성된 장치들을 나타내는 이용자 이름들을 표시하기 위해 다른 많은 양호한 GUI 형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이용자 이름 표시의 형태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용자 이름들을 입력하는 다른 단계들, 입력을 위한 다른 절차들과 다른 이용자 인터페이스들은 또한 대체안으로 채택될 수 있다.
PC(113)가 이용자 이름 입력과 표시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기능들은 PC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IEEE1394와 양립할 수 있는 AV 증폭기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들에도 할당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처리장치와 조합된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들은 AV 장치들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다른 장치들도 대체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IEEE1394 인터페이스에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이용자 이름은 (텍스트 정보로서) 입력되며, 데이터 버스와 연결된(정보 처리 장치들)장치들의 각각에 의해 설정된다. 이러한 이용자 이름들은 대응하는 장치들의 이용자에 의해 인식이 되도록 화면상에 표시된다. 상기 사실에 근거허여, 만약 이미 설치된 ID 정보가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경우보다 이용자가 구성된 장치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된 이용자 이름들은 관리를 위한 것이지 단지 일시적인 사용을 위한 것은 아니다. 즉, 각 이용자 이름은 장치의 노드 고유 ID(장치 ID 정보)와 함께 (대응 정보에 의해 만들어진)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내에 저장된다. 버스 재설정의 경우에는, 현재 구성된 장치들의 노드 고유 ID들이 얻어지므로 이용자 이름 목록 파일로부터 대응하는 이용자 이름들을 회수하게 된다. 회수된 이용자 이름들은 버스 재설정 뒤에 설정된 연결관계를 고려하여 대응하는 장치들과 결합되어 표시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은 데이터 버스에 연결된 장치들의 이용자에 의한 시각적인 인식을 통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향상시키는데에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만들어지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내에 정의된 것을 제외한 명시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Claims (22)

  1. 소정의 통신 형태에 근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버스에 연결된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어되는 장치들에 고유한 장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과,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장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저장 제어수단과,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장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회수하는 표시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제어 수단은 회수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은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노드 고유 ID들을 획득하는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은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판매자의 ID와 모델 이름들을 획득하는 제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저장 수단이 장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상기 장치 식별정보 대신에 노드 고유 ID를 표시하는 제어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저장 수단이 장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상기 장치 식별정보 대신에 판매자 ID와 모델 이름을 표시하는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버스의 버스 재설정을 검출하기 위해서 버스 재설정 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버스 재설정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버스의 버스 재설정이 검출되자마자,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이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어되는 장치들의 각각에 고유한 장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제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가 되는 제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형태는 여러 가지 제어 명령들을 비동기식으로 전송 및 수신하고, 동기식 전송과 수신을 허가하는 제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형태는 IEEE1394 기준에 따르는 제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중 최소한 한 장치는 시청각 장비가 되는 제어장치.
  11. 제어장치, 소정의 통신 형태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버스와 상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어되는 장치들에 고유한 장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과,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장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저장 제어수단과,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기 장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회수하는 표시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제어 수단은 회수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은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노드 고유 ID들을 획득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은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판매자의 ID와 모델 이름들을 획득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저장 수단이 장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상기 장치 식별정보 대신에 노드 고유 ID를 표시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저장 수단이 장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상기 장치 식별정보 대신에 판매자 ID와 모델 이름을 표시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버스의 버스 재설정을 검출하기 위해서 버스 재설정 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버스 재설정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버스의 버스 재설정이 검출되자마자, 상기 장치식별 정보획득수단이 상기 데이터 버스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어되는 장치들의 각각에 고유한 장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가 되는 통신 시스템.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형태는 여러 가지 제어 명령들을 비동기식으로 전송 및 수신하고, 동기식 전송과 수신을 허가하는 통신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형태는 IEEE1394 기준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중 최소한 한 장치는 시청각 장비가 되는 통신 시스템.
  21. 소정의 통신 형태에 근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버스에 연결된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어되는 장치들에 고유한 장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장치 식별정보와 함께 입력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장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회수하며, 회수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제어방법.
  22. 제어장치, 소정의 통신 형태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버스와 상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제어되는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어되는 장치들에 고유한 장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장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입력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장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회수하여, 상기 회수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제어방법.
KR1020000032724A 1999-06-16 2000-06-14 제어장치,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10007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914799A JP2000358037A (ja) 1999-06-16 1999-06-16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管理方法
JP99-169147 1999-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376A true KR20010007376A (ko) 2001-01-26

Family

ID=1588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724A KR20010007376A (ko) 1999-06-16 2000-06-14 제어장치,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61692A3 (ko)
JP (1) JP2000358037A (ko)
KR (1) KR20010007376A (ko)
CN (1) CN12804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384B1 (ko) * 2001-01-31 2009-09-29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디바이스 진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502A1 (en) * 2001-05-17 2002-11-21 Nokia Corporation Remotely granting access to a smart environment
US20110022717A1 (en) * 2008-01-10 2011-01-27 Masamoto Nagai Network card and information processor
CN103345188A (zh) * 2012-12-28 2013-10-09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一种电器设备的可通用的操作面板
CN205490829U (zh) * 2016-01-19 2016-08-17 深圳市比特眼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音频的数字摄像装置
JP6559583B2 (ja) * 2016-01-21 2019-08-14 株式会社東芝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57919C (en) * 1996-06-21 2004-01-13 Sony Electronics, Inc.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JP3660443B2 (ja) * 1996-10-15 2005-06-15 株式会社東芝 データ転送制御システム及び中継装置
KR19990044988A (ko) * 1997-11-25 1999-06-25 이데이 노부유끼 접속 상황 송신 장치, 접속 상황 표시 데이터 작성 장치 및 접속 상황 표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384B1 (ko) * 2001-01-31 2009-09-29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디바이스 진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1692A3 (en) 2003-08-13
EP1061692A2 (en) 2000-12-20
CN1280422A (zh) 2001-01-17
JP2000358037A (ja)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0945B2 (en) Controlling method for transmitting reserve commands from a controller to target devices
US6964006B2 (en) Network error display apparatus and error detection display method
US7072993B2 (en) Audio visual system having a serial bus for identifying device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s of an amplifier in the system
US20090164674A1 (en) Relay device and relay method, converting apparatus and converting method, program for relaying process, program for converting proces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20010007376A (ko) 제어장치,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
US6751687B1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transmission device, and medium
KR20010105196A (ko) 제어 기기 및 제어 방법
EP1130860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edium
KR20010071861A (ko) 네트워크 접속 인식 방법 및 네트워크 접속 단말 장치
JP4320955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2057683A (ja)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100763716B1 (ko) 정보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제어 시스템
KR20010071972A (ko) 통신방법,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
JP2003078537A (ja) 機器認識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312065B1 (ko) 서로 다른 노드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TW533716B (en) Transission method, electronic machine and providing medium
JP2003032311A (ja) 制御方法、伝送システム及び伝送装置
US200200731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H10243022A (ja) パケット変換装置および媒体
JP2000356980A (ja) 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出力装置
JP2002077750A (ja) 選局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1060960A (ja) 伝送方法及び電子機器並びに提供媒体
JP2005151005A (ja) ネットワーク間を接続する通信機器およびネットワークを構成するユニット
KR20000025438A (ko)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방법
KR20010071968A (ko)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