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472B1 -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있는 파우치 - Google Patents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있는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472B1
KR100794472B1 KR1020060022191A KR20060022191A KR100794472B1 KR 100794472 B1 KR100794472 B1 KR 100794472B1 KR 1020060022191 A KR1020060022191 A KR 1020060022191A KR 20060022191 A KR20060022191 A KR 20060022191A KR 100794472 B1 KR100794472 B1 KR 10079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uch
contents
milky white
pig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858A (ko
Inventor
안희성
강부형
정우식
김인욱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472B1/ko
Priority to US11/715,989 priority patent/US20070212454A1/en
Publication of KR2007009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 파우치는, 파우치를 구성하는 필름 층들이, 파우치 내에 보관될 내용물과 접하는 CPP 필름; 상기 CPP 필름상에 위치하는 나일론 필름;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및 상기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상에 위치하는 투명 증착 PET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나일론 필름이 유백색 나일론 필름이거나,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이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이거나, 상기 나일론 필름이 유백색 나일론 필름이고 또한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이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는 기본적으로 알루미늄 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전자 레인지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내용물이 비춰 보이는 문제가 없고,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과 이에 따른 변색 감지에 기인한 제품 전시 효과 저해 및 소비자의 거부 반응 야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물성에 있어서도 종래의 파우치와 대비하여 동등하거나 우수하다.
레토르토, 파우치, 내용물, 색소침착, 변색감지, 유백색, PET, OPP

Description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Pouch in which detection of color change due to pigment permeation from contents therein is prevented}
도 1은 종래의 파우치 구성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파우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파우치(a)와 비교예2의 파우치(b)의 후면에 각각 민무늬 흑색 필름을 위치시킨 경우에 은폐성 정도를 대비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비교예3의 파우치의 분광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파우치(a) 및 비교예3의 파우치(b)에 카레 소스를 넣은 후의 사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10 : 내용물 2 : 유백색 CPP 필름
3, 30 : CPP 필름 4, 40 :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층
5, 50 : 나일론 필름 55 : 유백색 나일론 필름
6 : 알루미늄 박 7 : PET 필름
70 :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75 :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
8, 80 : 잉크층 9, 90 : 투명 증착 PET 필름
본 발명은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로서, 특히, 양념, 카레, 볶음밥 등의 음식 내용물을 담고 있는 파우치에 있어서 내용물로부터의 색소가 파우치를 구성하는 필름 층들의 내부에 침착(또는 침투; 이하 같다)됨으로써 변색을 야기하여 파우치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도록 한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가열 살균하여 내열 플라스틱에 밀봉한 이른바 레토르트 파우치(retort pouch)는 살균 처리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필요로 하고 또한 내용물 보존이 가능하도록 산소나 수증기의 가스 배리어성 및 차광성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 파우치 구성의 하나의 예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 구성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는 내용물(1)과 접하는 CPP(cast poly propylene;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3), 상기 CPP 필름(3) 상의 나일론 필름(5), 상기 나일론 필름(5) 상의 알루미늄 박(6) 및 상기 알루미늄 박(6) 상의 PET 필름(7)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의 파우치는 특히 알루미늄 박을 중간층에 포함하는데, 이는 전자 레인지에서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전자레인지 내에서의 사용이 적합하도록 알루미늄 박을 대체할 수 있는 파우치가 필요하다.
도 2는 종래의 파우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파우치는 은폐성이 높은 유백색으로 처리한 유백색 CPP 필름(2)이 내용물(1)과 직접 접하고 있고, 상기 유백색 CPP 필름(2) 상에는 나일론 필름(5)이 놓이며, 상기 나일론 필름(5) 상에는 PET 필름(7)이 놓이고, 상기 PET 필름(7) 상에는 잉크층(8)이 놓이고, 상기 잉크층(8) 상에 투명 증착 PET 필름(9)이 놓인다.
상기 구성의 파우치는 알루미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 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은폐성이 높은 유백색 CPP 필름(2)을 내용물(1)과 직접 접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1)이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파우치는 장시간이 지나면 내용물(1)로부터의 색소가 유출된 결과 상기 유백색 CPP 필름(2) 이후 즉, 상기 유백색 CPP 필름(2)과 상기 나일론 필름(5) 사이에 색소의 침착층(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백색 CPP 필름(2)에 의하여 내용물(1)이 비춰 보이는 것은 방지할 수 있더라도 상기 침착층(4) 으로부터 반사된 빛(L)을 통하여 내용물(1)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인한 변색이 그대로 감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 상기와 같이 유백색 CPP 필름(2)을 사용하는 대신에 내용물(1)이 비춰 보이지 않도록 PET 필름(7)에 백색 잉크를 두 번 인쇄한 파우치가 이용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파우치는 은폐성과 색상 재현성을 가지도록 고안된 것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은폐성이 떨어져 내용물이 비춰 보이고 또한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으로 인한 변색도 감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는 전자 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박의 사용을 배제하였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용물의 비춰 보이는 문제점이나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 및 이로 인한 변색 감지 때문에 제품 전시 효과가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파우치를 구입할 소비자들에게 거부 반응을 야기하는 등 파우치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알루미늄 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전자 레인지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내용물이 비춰 보이는 문제가 없고, 내용물의 색소 침착과 이에 따른 변색 감지에 기인한 제품 전시 효과 저해 및 소비자의 거부 반응 야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물성에 있어서도 종래의 파우치와 대비하여 동등하거나 우수한,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자레인지 내에서 사용 가능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내에 보관될 내용물로부터 상기 파우치를 구성하는 필름 층들 내부로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상기 파우치의 변색 감지를 방지하도록, 상기 필름 층들 중 최외각층과 내용물에 의하여 상기 필름 층들 내부에 형성된 색소 침착층 사이에 유백색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또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를 구성하는 필름 층들이, 파우치 내에 보관될 내용물과 접하는 CPP 필름; 상기 CPP 필름상에 위치하는 나일론 필름;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및 상기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상에 위치하는 투명 증착 PET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나일론 필름이 유백색 나일론 필름이거나,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이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이거나, 상기 나일론 필름이 유백색 나일론 필름이고 또한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이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과, 상기 투명 증착 PET 필름 사이에는 잉크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 또는 유백색 나일론 필름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백색 안료 수지와 PET 수지 또는 OPP 수지 또는 나일론 수지를 혼합하여 이축 연신 압출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PET 필름의 두께는 12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OPP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의 두께는 1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PP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중합체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를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박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전자레인지 내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한 파우치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파우치의 필름 층들 중 내용물과 직접 접하는 CPP 필름을 유백색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물로부터 색소가 상기 필름 층들 내부로 침착하는 것에 기인하여 파우치의 변색이 감지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상기 필름 층들 내부에 형성된 색소 침착층의 이후, 즉, 상기 색소 침착층 및 상기 필름 층들 중 최외각층의 사이에 유백색 필름을 구비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는 파우치내에 보관될 내용물(10)과 접하는 CPP 필름(30)상에 나일론 필름(50)이 위치하고, 상기 나일론 필름(50)상에 종래의 일반 PET 필름과는 달리 유백색을 가지도록 처리된 유백색 PET 필름(75)이 위치하거나 또는 유백색을 가지도록 처리된 유백색 OPP 필름(75)이 위치한다. 상기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상에는 잉크층(80)이 위치하고, 상기 잉크층(80) 위에는 투명 증착 PET 필름(90)이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는 파우치내에 보관될 내용물(10)과 접하는 CPP 필름(30)상에 종래의 일반 나일론 필름과는 달리 유백색을 가지도록 처리된 유백색 나일론 필름(55)이 위치하고,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55)상에 PET 필름(70) 또는 OPP 필름(70)이 위치한다. 상기 PET 필름(70) 또는 OPP 필름(70)상에는 잉크층(80)이 위치하고, 상기 잉크층(80) 위에는 투명 증착 PET 필름(90)이 위치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증착 PET 필름(90)은 차단층의 역할을 한다. 즉, 레토르트 파우치에 보관되는 음식물 등의 내용물은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무균 상태에 가깝게 멸균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산소, 수증기, 광선 등의 차단성이 만족되어야 한다. 알루미늄 박의 경우 이와 같은 산소, 수증기, 광선 차단성을 만족하지만 전자 레인지에서의 사용이 어려우므로 산소, 수증기, 광선 차단성이 우수하면서도 전자 레인지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실리카(SiO2) 증착 층 또는 산화알루미늄(Al2O3) 증착 층을 형성한 투명 증착 PET 필름(90)을 사용한다.
상기 투명 증착 PET(90) 필름은 단면 코로나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차단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 투명 증착 PET 필름(90)의 하부에서는 필요에 따라 잉크층(8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특히 참조하면, 상기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은 그 하부 층의 색을 은폐하는 소위 하부 색 은폐층(Under Color Remove Layer)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L)은 상기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에서 반사되어 내용물로부터의 색소의 침착층(40)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파우치의 외부에서는 변색을 거의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을 제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하나의 예로서 물성이 안정적인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백색 안료 수지를 사용한다. 즉, 특히 은폐력이 크고 착색력도 우수한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백색 안료 수지를 PET 수지 또는 OPP 수지와 혼합하고, 이를 이축 연신 공압출하여 각각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 중에서는 특히 유백색 PET 필름(75)이 백색도와 은폐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 방지의 목적에 있어서 더욱 우수하다.
상기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의 두께는 은폐성의 측면에서 PET 필름(75)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50㎛로 하고, OPP 필름(75)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로 한다.
이와 같은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은 뛰어난 백색도(whiteness)로 은폐성(opaqueness)이 우수하여 내용물이 비춰 보이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잉크층(80)을 형성하는 경우 색상 재현력도 우수하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색소의 침착층(40)이 형성되는 불가피한 상황에도 상기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은 상기 색소의 침착층(40) 이 후에 형성됨으로써, 내용물(10)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이 감지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제품의 전시 효과 저하와 이로 인한 소비자의 거부 반응 야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특히 참조하여 유백색 나일론 필름(55)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유백색 PET 필름(75) 또는 유백색 OPP 필름(75)을 하부 색 은폐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나일론 필름이 아닌 유백색으로 처리된 유백색 나일론 필름(55)을 사용하여 하부 색 은폐층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L)은 뛰어난 백색도와 은폐성을 가지는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55)에서 반사됨으로써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55)의 하부에서 내용물로부터의 색소의 침착층(40)이 형성되는 상황에서도 파우치의 외부에서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이 감지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제품의 전시 효과 저하와 이로 인한 소비자의 거부 반응 야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55)의 제조는 상기 유백색 PET 필름이나 유백색 OPP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과 같이, 특히 은폐력이 크고 착색력도 우수한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백색 안료 수지를 나일론 수지와 혼합한 후, 이를 이축 연신 공압출하여 제조한다. 상기 나일론 수지로는 나일론 66("PA6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나일론 66이 뛰어난 충격 강도 및 마모 저항성을 가지므로 찢김성이나 핀홀성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55)은 내충격층의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용량이 큰 스탠드 파우치(stand pouch)의 경우에 내충격성을 부여하는 유용한 역할을 한다.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55)은 내충격성 및 은폐성의 측면에서 그 두께를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로 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CPP 필름(30)은 내열 및 실링(sealing) 층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CPP 필름(30)으로서 특 히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중합체(homo-polymer polypropylene)를 무연신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토르트 파우치는 110 내지 140℃의 고온으로 살균 처리되기 때문에 내열성이 요구되며, 열에 의한 라미네이트 부분 및 실링 면의 박리 강도가 저하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CPP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중합체의 무연신 필름을 사용하면 레토르트에 적합한 내열성 및 실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CPP 필름의 두께는 실링성 및 내열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로 하며, 그 범위 내에서 내용물 및 중량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는 내용물과 접하는 CPP 필름에 유백색 처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색소의 침착층 이 후의 필름 층,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을 유백색으로 처리하는 것이며, 이때, 필요에 따라서 상기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및 나일론 필름을 모두 유백색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및 나일론 필름 이외에 별도의 유백색 필름을 색소의 침착층 이후에서 더 개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색소의 침착층과 표면 PET 필름 사이에 유백색 필름을 구비하도록 하는 이상, 투명 CPP 필름을 유백색으로 처리하여 유백색 CPP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의 일 측에는 필요에 따라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노치(notch)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험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고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 필름들의 층 구성>
실시예1의 필름은 위로부터 투명 증착 PET 필름(12㎛)/유백색 PET 필름(23㎛)/나일론 필름(10㎛)/CPP 필름(80㎛)의 층의 순서대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실시예2의 필름은 위로부터 투명 증착 PET 필름(12㎛)/유백색 OPP 필름(30㎛)/나일론 필름(10㎛)/CPP 필름(80㎛)의 층의 순서대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은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백색 안료 수지를 PET 수지 또는 OPP 수지와 혼합하고, 이를 이축 연신 공압출한 것을 각각 사용하였다.
상기 층들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로서는 이액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주제로 하며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고 희석용제로서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고형분의 함량이 약 30중량%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접착제의 도포량은 약 3.5g/m2로 하였다.
상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투명 증착 PET 필름 층과 상기 유백색 PET 필름(실시예1) 또는 상기 유백색 OPP 필름(실시예2)을 접합하였다. 상기 접합된 필름 을 약 80℃의 라미네이션 롤을 통과시키면서 접착제 중의 용제를 건조시켜 라미네이션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상기 접합된 필름에 상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나일론 필름을 접합하고, 접합된 필름을 다시 약 80℃의 라미네이션 롤을 통과시키면서 접착제 중의 용제를 건조시켜 라미네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접합된 필름에 상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CPP 필름을 접합한 후 약 80℃의 라미네이션 롤을 통과시키면서 접착제 중의 용제를 건조시켜 라미네이션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우치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필름들의 층 구성>
비교예1의 필름은 위로부터 일반 PET 필름(12㎛)/일반 PET 필름(12㎛)/나일론 필름(10㎛)/CPP 필름(80㎛)의 층의 순서대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비교예2의 필름은 위로부터 투명 증착 PET 필름(12㎛)/두 번 인쇄된 된 백색 잉크층/일반 PET 필름(12㎛)/나일론 필름(10㎛)/CPP 필름(80㎛)의 층의 순서대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비교예3의 필름은 위로부터 투명 증착 PET 필름(12㎛)/일반 PET 필름(12㎛)/나일론 필름(10㎛)/유백색 CPP 필름(80㎛)의 층의 순서대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비교예들의 파우치 구성에 있어서 접착제를 사용한 각 필름의 접합은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수행하였다.
<은폐성 실험>
은폐성 실험을 위하여 색농도 측정기(color density tester)와 민무늬 흑색 필름을 준비하였다.
시험 방법으로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각각의 파우치의 순백색 부분 아래에 상기 민무늬 흑색 필름을 밀착시키고 상기 색농도 측정기로 각각의 파우치의 농도 값을 5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표 1은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하기 측정 결과와의 대비를 위한 참고로서 순백색 A4 종이의 농도 값은 0.11이며, 민무늬 흑색 필름의 농도 값은 2.10이었다. 따라서, 농도 값이 0.11에 가까울수록 은폐성이 우수하고 농도 값이 2.10에 가까울수록 은폐성이 불량하다.
농도 값
실시예1 0.14
실시예2 0.19
비교예1 1.5
비교예2 0.35
비교예3 0.15
한편, 도 5는 실시예1의 파우치(a)와 비교예2의 파우치(b)의 후면에 각각 민무늬 흑색 필름을 위치시킨 경우에 육안으로 은폐성 정도를 대비하여 나타낸 사진이다(도 5의 사진들에서 상품 및 상표명 표시 부분은 지워지도록 하였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1의 파우치(a)의 경우 후면의 흑색 필름이 거의 보이지 않지만 비교예2의 파우치(b)의 경우에 은폐성이 좋지 않아 후면의 흑색 필름이 비춰 보이는 것(특히 우측 상부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으로 인한 변색 감지 정도 측정>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으로 인한 변색 감지 정도를 측정하고자 내용물로서 카레 소스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파우치에 30일 동안 넣고(상온 보관),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백색 부분(비교예1의 경우에는 투명 부분)을 각각 측정하였다.
표 2는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파우치에 있어서 내용물 충전 전후의 색차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색차
실시예1 0.19
실시예2 0.25
비교예1 20.92
비교예2 16.27
비교예3 13.80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비교예의 파우치들의 경우 색차가 현저히 크게 나타났지만 실시예의 파우치들의 경우 색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낮았고 따라서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의한 변색이 거의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6은 실시예1 및 비교예3의 파우치의 분광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 있어서 실시예1의 그래프는 "W PET"으로 표시(유백색 PET 필름을 이용함을 나타냄)되어 있고, 비교예3의 그래프는 "W CPP"로 표시(유백색 CPP 필름을 이용함을 나타냄)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빛을 이루는 적색, 녹색, 파란색 중 가시광선 영역인 380~780nm 부분에서 실시예1의 경우는 고르게 반사되고 백색으로 비춰짐으로써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의한 파우치 변색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3의 파우치의 경우 400~550nm (파란색 파장) 부분에서 반사율이 떨어짐으로써 적색 및 녹색의 혼합색인 노란색 또는 주황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의한 파우치의 변색이 감지되는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도 7은 실시예1의 파우치(a) 및 비교예3의 파우치(b)에 카레 소스를 넣은 실제 사진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3의 파우치(b)의 경우 내용물이 있는 부분을 따라 노란색 또는 주황색이 나타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실시예1의 파우치(a)의 경우 내용물이 있더라도 전혀 변색을 감지할 수 없었다.
<기타 물성 측정 실험>
실시예의 파우치들은 레토르트 파우치가 가지는 일반적인 물성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물성을 지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실링 강도 있어서, 250℃에서 파우치를 실링할 경우 종래의 통상의 파우치들이 3.5 kg/15㎜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파우치는 모두 살균 전 5 kg/15㎜ 이상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120℃ 이상의 열수나 수증기를 사용하여 살균하는 레토르트 살균 과정 시 요구되는 파우치의 내열성에 있어서도, 통상의 파우치의 경우 120~125℃의 고온의 열수나 수증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시켜 20~40분 정도 견디면(즉, 열에 의한 변형이나 라미네이트 층간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파우치 내면 상호 간의 융착이 발생하지 않으며, 수축으로 인한 치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함) 내열성이 양호한 것으로 본다. 그런데, 본 실시예들에 따른 파우치는 모두 130℃의 온도에서 열수를 직접 뿌려주는 샤워식으로 60분간 견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는 은폐성이 우수하여 내용물이 비춰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으로 인한 변색도 거의 감지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는 제품의 전시 효과 저해 및 소비자들에 대한 거부 반응 야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는 실링 강도나 내열성 등 파우치가 가지는 물성에 있어서도 종래의 일반적인 파우치와 대비하여 동등하거나 우수한 물성을 지니는 것을 알 수 있어 실제 유통이나 사용시 전혀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는 산소나 수증기 등의 차단성이 우수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는 기본적으로 알루미늄 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전자 레인지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내용물이 비춰 보이는 문제가 없고, 내용물의 색소 침착과 이에 따른 변색 감지에 기인한 제품 전시 효과 저해 및 소비자의 거부 반응 야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물성에 있어서도 종래의 파우치와 대비하여 동등하거나 우수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9)

  1. 전자레인지 내에서 사용 가능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내에 보관될 내용물로부터 상기 파우치를 구성하는 필름 층들 내부로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상기 파우치의 변색 감지를 방지하도록,
    상기 필름 층들 중 최외각층과 내용물에 의하여 상기 필름 층들의 내부에 형성된 색소 침착층의 사이에 유백색 필름이 형성된 것이되,
    상기 유백색 필름과 상기 최외각층의 사이에는 상기 내용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색소 침착층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2.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를 구성하는 필름 층들이,
    파우치 내에 보관될 내용물과 접하는 CPP 필름;
    상기 CPP 필름상에 위치하는 나일론 필름;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및
    상기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상에 위치하는 투명 증착 PET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이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과, 상기 투명 증착 PET 필름 사이에는 잉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백색 안료 수지와 PET 수지 또는 OPP 수지를 혼합하여 이축 연신 압출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PET 필름의 두께는 12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OPP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PP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중합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8.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를 구성하는 필름 층들이,
    파우치 내에 보관될 내용물과 접하는 CPP 필름;
    상기 CPP 필름상에 위치하는 나일론 필름;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및
    상기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상에 위치하는 투명 증착 PET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나일론 필름이 유백색 나일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과, 상기 투명 증착 PET 필름 사이에는 잉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백색 안료 수지와 나일론 수지를 혼합하여 이축 연신 압출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의 두께는 15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PP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중합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3.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를 구성하는 필름 층들이,
    파우치 내에 보관될 내용물과 접하는 CPP 필름;
    상기 CPP 필름상에 위치하는 나일론 필름;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 및
    상기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상에 위치하는 투명 증착 PET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나일론 필름이 유백색 나일론 필름이고 또한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이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필름상에 위치하는 PET 필름 또는 OPP 필름과, 상기 투명 증착 PET 필름 사이에는 잉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 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PET 필름 또는 유백색 OPP 필름 또는 유백색 나일론 필름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백색 안료 수지와 PET 수지 또는 OPP 수지 또는 나일론 수지를 혼합하여 이축 연신 압출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PET 필름의 두께는 12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OPP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8.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색 나일론 필름의 두께는 15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19.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PP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중합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KR1020060022191A 2006-03-09 2006-03-09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있는 파우치 KR10079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191A KR100794472B1 (ko) 2006-03-09 2006-03-09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있는 파우치
US11/715,989 US20070212454A1 (en) 2006-03-09 2007-03-09 Pouch capable of preventing discolorization perception caused due to pigment deposition from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191A KR100794472B1 (ko) 2006-03-09 2006-03-09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있는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858A KR20070092858A (ko) 2007-09-14
KR100794472B1 true KR100794472B1 (ko) 2008-01-17

Family

ID=3847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191A KR100794472B1 (ko) 2006-03-09 2006-03-09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있는 파우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12454A1 (ko)
KR (1) KR100794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11243D0 (en) * 2015-06-26 2015-08-12 Discovery Flexibles Ltd Ovenable food container
JP7077658B2 (ja) * 2018-02-27 2022-05-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の包装袋及び包装食品
JP7299495B2 (ja) * 2019-08-30 2023-06-2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包装袋に充填された内容物の加熱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972A (ja) * 1999-11-19 2001-05-29 Nihon Tokkyo Kanri Co Ltd リサイクルに適した積層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34872C (zh) * 2002-08-27 2009-09-02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和包装容器
US20070116910A1 (en) * 2005-11-23 2007-05-24 Polykarpov Alexander Y Multilayer laminated struc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972A (ja) * 1999-11-19 2001-05-29 Nihon Tokkyo Kanri Co Ltd リサイクルに適した積層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12454A1 (en) 2007-09-13
KR20070092858A (ko) 200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88734B (pt) Folha metalica laminada
US20070110932A1 (en) High-barrier packaging material
CN100500432C (zh) 包装材料
KR100794472B1 (ko) 내용물로부터의 색소 침착에 기인한 변색 감지를 방지할 수있는 파우치
EP1541488B1 (en)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ing container
JP4984219B2 (ja) 積層フィルム
JP7180164B2 (ja) 包装材、包装容器及び蓋体
JP3796331B2 (ja) 食品包装用積層フィルム
JP7180166B2 (ja) 包装材、包装容器及び蓋体
JP5234466B2 (ja) 包装フィルム
EP1440900B1 (en) Packaging materials and pacaking containers using the same
JP7047275B2 (ja) 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包装容器並びに蓋体
JP2022136101A (ja) 包装材の選別方法、包装材及びレトルト容器
CN114206747B (zh) 用于蒸煮应用的防沾污包装膜
JP4704606B2 (ja) ガスバリア性包装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96535A (ja) 包装材、包装容器及び蓋体
JP2003118777A (ja) 食品包装袋
JP7129013B2 (ja) 包装材
JP7283165B2 (ja) 包装材、包装容器及び蓋体
JP4679120B2 (ja) 遮光性包装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JP2002052653A (ja) 遮光性包装材
JP2020196534A (ja) 包装材、包装容器及び蓋体
JP2023085097A (ja) 電子レンジ用包装材
JP2020164206A (ja) 積層体及び包装体
JP2020196536A (ja) 包装材、包装容器及び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