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050B1 -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050B1
KR100794050B1 KR1020060126877A KR20060126877A KR100794050B1 KR 100794050 B1 KR100794050 B1 KR 100794050B1 KR 1020060126877 A KR1020060126877 A KR 1020060126877A KR 20060126877 A KR20060126877 A KR 20060126877A KR 100794050 B1 KR100794050 B1 KR 10079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unit
panel
temperature
ro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050B1/ko
Priority to DE102007011623A priority patent/DE102007011623A1/de
Priority to CN2007100964492A priority patent/CN101200163B/zh
Priority to US11/807,858 priority patent/US79336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의 온도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에어 덕트에 개폐 가능한 홀을 마련하고 공조기기로부터 찬 공기 또는 더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홀을 개폐하여 데크를 냉각 또는 보온함으로써 데크의 작동에 필요한 적정 온도가 항상 유지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에 데크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저온 환경에서의 작동 성능 저하도 방지할 수 있어 데크의 동작성 및 제품 신뢰도가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데크, 에어 덕트, 연통홀, 개폐장치, 유동 패널, 기어 장치, 회전 기어부, 작동부, 완충부재, 지지부

Description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A system maintaing temperature of a deck}
도 1은 냉각팬이 설치된 종래의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덕트 및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에어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연통홀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5에 따른 연통홀의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작동할 때를 도시한 개폐장치의 작동도.
도 8은 도 5에 따른 연통홀의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작동할 때를 도시한 개폐장치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실 20 : 크래쉬 패널
60 : 에어 덕트 620 : 연통홀
64 : 개폐장치 640 : 유동 패널
660 : 기어 장치 664 : 회전 기어부
666 : 작동부 666a : 피스톤부
666b : 완충부재 668 : 지지부
50 : 제어부 70 : 데크
76 : 센서부
본 발명은 차량용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덕트에 개폐 가능한 홀을 마련하여 공조기기로부터 찬 공기 또는 더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홀을 개폐함으로써 데크를 냉각 또는 보온하여 데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데크는 카세트 테이프나 CD 등을 플레이하거나 라디오를 청취하기 위한 오디오 유닛과, LCD 등이 설치되어 방송을 시청하거나 네비게이터 역할 등을 수행하는 AV 유닛 등이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데크는 작은 부분에 많은 부품이 모여 있어 발열량이 많아 여름철과 같이 차량의 내외부 온도가 높은 경우 데크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테이프나 CD 등을 장시간 재생할 경우에도 데크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데크의 구동을 제한하는 기술을 적용하거나, 냉각팬을 장착해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첨부된 도 1은 냉각팬이 설치된 종래의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팬(3)을 이용해 데크(1)를 냉각하는 경우 냉각 구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보다는 냉각 효율이 좋으나 냉각팬(3)의 크기가 작고 위치가 한정되어 있어 발열 부위의 열을 냉각하거나 데크(1) 외부로 열을 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데크(1) 전체를 냉각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부분적인 온도 하강 효과로 데크(1)의 전체적인 냉각이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데크(1)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할 때 데크(1)의 구동을 제한하는 로킹(Locking) 기능을 적용하는 경우 여름철 차량 내부 온도가 특히 상승하여 빈번하게 로킹 기능이 작동되므로 소비자에게 불편을 주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겨울철의 경우에는 거의 필요가 없으며, 온도 저하로 인한 동작성 저하를 개선하는 데는 큰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덕트에 개폐 가능한 홀을 마련하여 공조기기로부터 찬 공기 또는 더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홀을 개폐함으로써 데크를 냉각 또는 보온하여 데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10) 내부의 크래쉬 패널(20)측에 장착되며 오디오 유닛(42) 및 에이브이(AV) 유닛(43)이 구비된 데크(40)와, 상기 데크(40)의 좌우에 위치하며 공조기기에서 발생된 냉풍 또는 온풍을 차실(10) 내부로 송풍하는 에어 덕트(30)에 있어서, 상기 데크(40)에 인접한 상기 에어 덕트(30)의 측면부(32)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40)로 냉풍 또는 온풍 이 공급되도록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33); 상기 데크(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4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41); 상기 데크(40)의 양 측면 패널(44)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33)을 통해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상기 데크(40) 내부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45); 상기 데크(40)의 양 측면 패널(44)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부(45)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패널(47); 상기 측면 패널(44)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패널(47)의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 패널(47)의 길이 방향 단부를 수납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46); 상기 데크(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패널(47)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48); 및 상기 센서부(41)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48)를 구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패널(47)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데크(40)를 냉각 및 보온하여 상기 데크(40)의 온도를 유지하는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데크(40)의 작동에 필요한 적정 온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10) 내부의 크래쉬 패널(20)측에 장착되며 오디오 유닛(72) 및 에이브이(AV) 유닛(74)이 구비된 데크(70)와, 상기 데크(70)의 좌우에 위치하며 공조기기에서 발생된 냉풍 또는 온풍을 차실(10) 내부로 송풍하는 에어 덕트(60)에 있어서, 상기 데크(7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7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76); 상기 데크(70)에 인접한 상기 에어 덕트(60)의 측면 패널부(62)에 관통 형성되어 냉풍 또는 온풍을 상기 데크(70)로 송풍하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620); 상기 연통홀(620)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개폐홀(642)이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620)을 개폐하는 유동 패 널(640), 상기 측면 패널부(6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동 패널(640)의 길이 방향 단부를 수용해 가이드하는 패널 가이드 레일(622), 상기 유동 패널(640)이 상기 패널 가이드 레일(62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기어 장치(660)가 구비된 개폐 장치(64); 및 상기 센서부(76)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개폐 장치(64)를 구동하여 상기 연통홀(620)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데크(70)를 냉각 및 보온하는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데크(70)의 작동에 필요한 적정 온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유동 패널(640)은 상기 기어 장치(660)에 연결된 길이 방향 단부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치형 돌기(P)를 갖는 기어부(644)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 장치(660)는, 본체(662); 상기 본체(66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기어부(644)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동 패널(640)을 그 길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다수의 치형 돌기(P)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기어부(664); 상기 기어부(644)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662)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회전 기어부(664)의 치형 돌기(P)에 맞물려 상기 회전 기어부(664)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치형 돌기(P)가 형성되되, 하강하면서 상기 회전 기어부(664)를 회전시켜 상기 유동 패널(640)을 상승시켜 상기 연통홀(620)을 개방하고,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 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유동 패널을 하강시켜 상기 연통홀(620)을 폐쇄하는 작동부(666); 상기 작동부(666)에 삽입되어 작동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666b); 및 상기 작동부(666)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수납부(668a)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666)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부(66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기어부(664)는 상기 본체(66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666) 및 상기 유동 패널(640)의 기어부(644)에 맞물려 작동하는 메인 회전 기어(664a)와, 상기 메인 회전 기어(664a)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전 기어(664a)에 맞물려 그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서브 회전 기어(664b)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회전 기어(664a)의 직경은 상기 서브 회전 기어(664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전자동 온도조절장치(FATC : 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로,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데크(70)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데크(70)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데크의 온도 조절 시스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덕트 및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에어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데크의 온도 조절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10) 내부의 크래쉬 패널(20)에는 공조기기로부터 발생된 차가운 공기나 따뜻한 공기를 차실(10)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 덕트(30)가 설치되며, 에어 덕트(30)의 사이에 데크(40)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에어 덕트(30)는 데크(40)와 마주보는 측면부(32)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33)을 포함한다. 공조기기로부터 발생된 냉풍 또는 온풍은 에어 덕트(30)로 보내지고, 관통홀(33)을 통해 인접한 데크(40)로 송풍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40)에는 오디오 유닛(42)과 에이브이(AV:Audio Visual) 유닛(43, 이하 AV 유닛)이 구비된다. 데크(40)의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41)가 구비되어 데크(40)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데크(40)의 측면 패널(44)에는 관통홀(33)을 통과한 냉풍 또는 온풍이 데크(4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45)가 형성된다.
관통부(45)는 측면 패널(44)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관통홀(33)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측면 패널(44)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의 관통부(45)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데크(40)의 측면 패널(44)에는 가이드 레일(46)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46)은 후술할 슬라이딩 패널(47)을 수용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슬라이딩 패널(47)은 길이 방향 단부가 가이드 레일(4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관통부(45)를 개폐한다. 슬라이딩 패널(47)의 크기 및 형상은 관통부(45)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슬라이딩 패널(47)은 구동 모터(48)에 의해 관통부(45)를 개폐하도록 작동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데크(40)에 설치된 센서부(41) 에 의해 감지된 온도 자료를 바탕으로 구동 모터(48)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데크(4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어부(50)는 전자동 온도조절(FATC : 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유닛(이하 FATC 유닛)이 구비된 차량의 경우는 FATC 유닛이 제어부(50)의 역할을 하고, FATC 유닛이 구비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는 별도의 제어부(50)를 두어 데크(40)의 온도 조절을 한다.
데크(40)가 과열되어 냉각할 필요가 있을 때는 FATC 유닛 또는 제어부(50)에서 공조기기를 작동하여 차가운 공기가 관통홀(33) 및 관통부(45)를 통해 데크(4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구동 모터(48)를 작동하여 슬라이딩 패널(47)을 이동시켜 관통부(45)를 개방한다.
마찬가지로 데크(40)의 온도가 저하되어 작동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을 때는 FATC 유닛 또는 제어부(50)에서 공조기기를 작동하여 따뜻한 공기가 관통홀(33) 및 관통부(45)를 통해 데크(4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구동 모터(48)를 작동하여 슬라이딩 패널(47)을 이동시켜 관통부(45)를 개방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은 기 설정된 값에 따라 FATC 유닛 또는 제어부(50)에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FATC 유닛 또는 제어부(50)의 알림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스트루먼트 패널측이나 데크 쪽에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는 FATC 유닛에 스위치 추가).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 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연통홀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연통홀의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작동할 때를 도시한 개폐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8은 도 5에 따른 연통홀의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작동할 때를 도시한 개폐장치의 작동도이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데크의 온도 조절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실(10) 내부의 크래쉬 패널(20)에는 공조기기로부터 발생된 차가운 공기나 따뜻한 공기를 차실(10)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 덕트(60)가 설치되며, 에어 덕트(60)의 사이에 데크(70)가 설치된다(도 2 참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70)와 마주보는 각각의 에어 덕트(60)는 측면 패널부(62)에 다수의 연통홀(620)이 형성된다. 또한, 측면 패널부(62)의 외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후술할 유동 패널(64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패널 가이드 레일(622)이 형성된다.
공조기기로부터 발생된 냉풍 또는 온풍은 에어 덕트(60)로 보내지고, 관통홀(33)을 통해 인접한 데크(70)로 송풍된다.
연통홀(620)은 타원형으로, 공조기기로부터 발생된 냉풍 또는 온풍이 에어 덕트(60)로 보내지면 연통홀(620)을 통해 인접한 데크(70)로 송풍된다. 연통홀(620)은 측면 패널부(62) 상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패널에 형성된 후 측면 패널부(62)에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측면 패널부(62)에는 별도의 패널에 대응하여 절개된 부분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연통홀(620)은 개폐 장치(64)에 의해 개폐되어 데크(70)의 온도 조절에 이용된다.
개폐 장치(64)는 크게 연통홀(620)을 개폐하는 유동 패널(640)과, 유동 패널(640)을 구동하는 기어 장치(660)로 구성된다.
유동 패널(640)은 연통홀(620)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별도의 패널로, 연통홀(620)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다수의 개폐홀(642)을 갖는다. 또한, 유동 패널(640)은 기어 장치(660)와 연동하여 동작하기 위한 기어부(644)를 더 포함한다.
기어부(644)는 다수의 치형 돌기(P)로, 유동 패널(64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된다. 기어부(644)는 치형 돌기(P)가 후술할 기어 장치(660)의 회전 기어부(664)에 형성된 치형 돌기(P)에 맞물려 유동 패널(64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하게 한다.
유동 패널(640)이 기어 장치(660)에 의해 상하 운동하면 개폐홀(642)이 연통홀(620)과 일치하거나 어긋나면서 연통홀(620)이 개폐된다.
기어 장치(660)는 구성품을 수용하는 박스 형상의 본체(662)와, 본체(66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 기어부(664)와, 회전 기어부(664)를 작동하는 작동부(666)와, 작동부(666)를 지지하는 지지부(668)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기어부(664)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치형 돌기(P)가 형성된다. 이 치형 돌기(P)는 유동 패널(640)의 기어부(644)와 작동부(666)에 형성된 치형 돌기(P)에 맞물려 회전 기어부(664)를 회전시킨다.
회전 기어부(664)는 적어도 하나가 사용되며, 두 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기어부(644) 및 작동부(666)에 형성된 치형 돌기(P)에 맞물려 회전하는 메인 회전 기어(664a)(미도시)와, 메인 회전 기어(664a)에 의해 회전하며 지지부(668)에 맞물리는 서브 회전 기어(664b)(미도시)로 구성된다. 유동 패널(640)을 작동하기 위해 메인 회전 기어(664a)만 기어부(644)에 맞물리고 서브 회전 기어(664b)는 기어부(644)에 접촉하지 않아야 하므로, 메인 회전 기어(664a)의 직경이 서브 회전 기어(664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666)는 치형 돌기(P)가 형성되어 회전 기어부(664)에 맞물리고, 본체(662)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회전 기어부(664)를 회전시킨다. 치형 돌기(P)가 형성된 작동부(666)의 하부에 피스톤부(666a)가 연장 형성된다.
피스톤부(666a)는 후술할 지지부(668)에 수용되며, 지지부(668)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가 지지부(668)에 형성된 수납부(668a)의 입구보다 넓게 형성된다. 피스톤부(666a)의 단부 내측으로 완충부재(666b)가 삽입된다.
완충부재(666b)는 작동부(666)의 작동시 피스톤부(666a)의 단부가 지지부(668)에 부딪혀 생기는 작동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재(666b)는 코일 스프링이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중 하나로 구비된다.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경우, 피스톤부(666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부(668)가 생략될 수도 있다(도면에는 편의상 코일 스프링만을 도시하였다).
지지부(668)에는 수납부(668a)가 형성되어 피스톤부(666a)를 수용하며, 두 개의 회전 기어부(664)가 사용될 때는 측면에 치형 돌기가 형성되어 서브 회전 기어(664b)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부(666)는 후술할 FATC 유닛의 A/C(alternating current) 전원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얻는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70)에는 오디오 유닛(72)과 에이브이(AV:Audio Visual) 유닛(74, 이하 AV 유닛)이 구비된다. 데크(70)의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76)가 구비되어 데크(70)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센서부(76)에 의해 데크(70) 내부의 온도가 측정되면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제어부(50)가 개폐 장치(64)를 작동하여 측면 패널부(62)에 형성된 연통홀(620)을 개폐한다. 이에 의해 데크(70)의 작동에 필요한 적정 온도가 유지된다.
제어부(50)는 전자동 온도조절(FATC : 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유닛(이하 FATC 유닛)이 구비된 차량의 경우는 FATC 유닛이 제어부(50)의 역할을 하고, FATC 유닛이 구비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는 별도의 제어부(50)를 두어 데크(70)의 온도 조절을 한다.
이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70)가 과열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연통홀(620)이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연통홀(620)을 개방하기 위해 먼저 FATC 유닛 또는 제어부(50)는 개폐 장치(64)를 가동하게 된다. 제어부(50)에 연결된 작동부(666)가 하강하면서 치형 돌기(P)가 서로 맞물려 회전 기어부(664)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 기어부(664)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치형 돌기(P)에 맞물린 기어부(644)가 회전 기어부(664)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게 되고, 유동 패 널(64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666)의 피스톤부(666a)는 지지부(668)의 수납부(668a) 바닥면까지 내려가고, 완충부재(666b)가 인장되면서 피스톤부(666a)가 천천히 내려가도록 한다.
이렇게 유동 패널(640)이 상승하여 개폐홀(642)과 연통홀(620)이 일치하게 되면 연통홀(620)이 개방된다. 개방된 연통홀(620)을 통해 공조기기로부터 발생된 냉풍이 데크(70)로 송풍되어 데크(70)를 냉각한다.
겨울철과 같이 데크(70)의 온도가 저하되어 보온이 필요한 경우에도 같은 원리에 의해 연통홀(620)이 개방되어 데크(70)로 온풍이 송풍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70)의 온도가 적정 온도에 이르면 냉풍 또는 온풍의 송풍을 중지해야 하므로 연통홀(620)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연통홀(620)을 폐쇄하기 위해 먼저 FATC 유닛 또는 제어부(50)는 개폐 장치(64)를 가동한다.
제어부(50)에 연결된 작동부(666)가 상승하면서 치형 돌기(P)가 서로 맞물려 회전 기어부(664)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 기어부(664)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치형 돌기(P)에 맞물린 기어부(644)가 회전 기어부(664)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게 되고, 유동 패널(640)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666)의 피스톤부(666a)는 지지부(668)의 수납부(668a) 입구까지 올라오고, 완충부재(666b)가 압축되면서 피스톤부(666a)가 수납부(668a)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유동 패널(640)이 하강하여 개폐홀(642)과 연통홀(620)이 어긋나게 되면 연통홀(620)이 폐쇄된다. 따라서 연통홀(620)을 통해 데크(70)로 보내지던 냉풍 또는 온풍이 차단된다.
이를 위해 개폐홀(642)과 연통홀(620)의 크기와 형상이 일치해야 함은 물론, 회전 기어부(664)의 회전 거리와 작동부(666)의 작동 거리 및 유동 패널(640)의 작동 거리는 연통홀(620)의 길이(세로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은 에어 덕트에 개폐 가능한 홀을 마련하여 공조기기로부터 찬 공기 또는 더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홀을 개폐함으로써 데크를 냉각 또는 보온하여 데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데크의 작동에 필요한 적정 온도가 항상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데크의 동작성 및 제품 신뢰도가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실(10) 내부의 크래쉬 패널(20)측에 장착되며 오디오 유닛(42) 및 에이브이(AV) 유닛(43)이 구비된 데크(40)와, 상기 데크(40)의 좌우에 위치하며 공조기기에서 발생된 냉풍 또는 온풍을 차실(10) 내부로 송풍하는 에어 덕트(30)에 있어서,
    상기 데크(40)에 인접한 상기 에어 덕트(30)의 측면부(32)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40)로 냉풍 또는 온풍이 공급되도록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33);
    상기 데크(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4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41);
    상기 데크(40)의 양 측면 패널(44)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33)을 통해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상기 데크(40) 내부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45);
    상기 데크(40)의 양 측면 패널(44)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부(45)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패널(47);
    상기 측면 패널(44)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패널(47)의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 패널(47)의 길이 방향 단부를 수납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46);
    상기 데크(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패널(47)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48); 및
    상기 센서부(41)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48)를 구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패널(47)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데크(40)를 냉각 및 보온하여 상기 데크(40)의 온도를 유지하는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데크(40)의 작동에 필요한 적정 온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2. 차실(10) 내부의 크래쉬 패널(20)측에 장착되며 오디오 유닛(72) 및 에이브이(AV) 유닛(74)이 구비된 데크(70)와, 상기 데크(70)의 좌우에 위치하며 공조기기에서 발생된 냉풍 또는 온풍을 차실(10) 내부로 송풍하는 에어 덕트(60)에 있어서,
    상기 데크(7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7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76);
    상기 데크(70)에 인접한 상기 에어 덕트(60)의 측면 패널부(62)에 관통 형성되어 냉풍 또는 온풍을 상기 데크(70)로 송풍하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620);
    상기 연통홀(620)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개폐홀(642)이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620)을 개폐하는 유동 패널(640), 상기 측면 패널부(6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동 패널(640)의 길이 방향 단부를 수용해 가이드하는 패널 가이드 레일(622), 상기 유동 패널(640)이 상기 패널 가이드 레일(62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기어 장치(660)가 구비된 개폐 장치(64); 및
    상기 센서부(76)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개폐 장치(64)를 구동하여 상기 연통홀(620)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데크(70)를 냉각 및 보온하는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데크(70)의 작동에 필요한 적정 온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패널(640)은 상기 기어 장치(660)에 연결된 길이 방향 단부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치형 돌기(P)를 갖는 기어부(644)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 장치(660)는,
    본체(662);
    상기 본체(66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기어부(644)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동 패널(640)을 그 길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다수의 치형 돌기(P)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기어부(664);
    상기 기어부(644)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662)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회전 기어부(664)의 치형 돌기(P)에 맞물려 상기 회전 기어부(664)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치형 돌기(P)가 형성되되, 하강하면서 상기 회전 기어부(664)를 회전시켜 상기 유동 패널(640)을 상승시켜 상기 연통홀(620)을 개방하고,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 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유동 패널을 하강시켜 상기 연통홀(620)을 폐쇄하는 작동부(666);
    상기 작동부(666)에 삽입되어 작동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666b); 및
    상기 작동부(666)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수납부(668a)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666)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부(66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어부(664)는 상기 본체(66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666) 및 상기 유동 패널(640)의 기어부(644)에 맞물려 작동하는 메인 회전 기어(664a)와, 상기 메인 회전 기어(664a)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전 기어(664a)에 맞물려 그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서브 회전 기어(664b)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회전 기어(664a)의 직경은 상기 서브 회전 기어(664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전자동 온도조절장치(FATC : 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로,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데크(70)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데크(70)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KR1020060126877A 2006-12-13 2006-12-13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KR10079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877A KR100794050B1 (ko) 2006-12-13 2006-12-13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DE102007011623A DE102007011623A1 (de) 2006-12-13 2007-03-09 Vorrichtung zum Halten der Temperatur von einem Instrumentengehäuse
CN2007100964492A CN101200163B (zh) 2006-12-13 2007-04-17 维持播放器温度的系统
US11/807,858 US7933698B2 (en) 2006-12-13 2007-05-29 System maintaining temperature of 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877A KR100794050B1 (ko) 2006-12-13 2006-12-13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050B1 true KR100794050B1 (ko) 2008-01-10

Family

ID=3921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877A KR100794050B1 (ko) 2006-12-13 2006-12-13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33698B2 (ko)
KR (1) KR100794050B1 (ko)
CN (1) CN101200163B (ko)
DE (1) DE102007011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4892A1 (de) 2012-03-27 2013-10-02 Mekra Lang Gmbh & Co. Kg Temperierbares Gehäuse zur Aufnahme einer elektronischen Einrichtung und Fahrzeug mit diesem Gehäuse
DE102012110584A1 (de) * 2012-11-06 2014-06-12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Kühlung einer Sensor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DE102015200286A1 (de) * 2015-01-13 2016-07-14 Robert Bosch Gmbh Anzeigeeinheit zum Anzeigen von Bilddaten auf einem Display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einhe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069A (ko) * 1998-10-17 2000-05-06 전주범 카오디오세트의 냉각팬 자동구동장치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방법
KR20060065269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 오디오 냉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840A (en) * 1979-07-05 1981-02-03 Imazaike Seikou Kk Damper
JPS6021083B2 (ja) * 1979-11-15 1985-05-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S5896934A (ja) 1981-12-04 1983-06-09 Nissan Motor Co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温度検出装置
DE3622713A1 (de) * 1986-07-05 1988-01-07 Blaupunkt Werke Gmbh Schaltungsanordnung mit einer brueckenendstufe
US4930455A (en) * 1986-07-07 1990-06-05 Eaton Corporation Controlling engine coolant flow and valve assembly therefor
JPS63155488A (ja) 1986-12-19 1988-06-28 Hitachi Ltd 車載オ−デイオ装置用冷却装置
US5253484A (en) * 1991-08-22 1993-10-19 The Boeing Company High reliability avionic cooling system
US5481885A (en) * 1994-07-22 1996-01-09 Ford Motor Company Ventilation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instrument panel
JP3325427B2 (ja) 1995-04-28 2002-09-1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空調ユニットを含むユニットアセンブリの取付構造
KR970019801U (ko) 1995-10-30 1997-05-26 배터리 케이스
CN1093783C (zh) * 1996-02-21 2002-1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液体喷涂喷嘴和液体喷涂喷嘴的制造方法
US6296562B1 (en) * 1998-09-08 2001-10-02 Denso Corporatio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1213139A (ja) * 1999-11-26 2001-08-07 Inoac Corp 車両用空気案内ダクト
DE10058953A1 (de) * 1999-11-29 2001-06-21 Denso Corp Fahrzeugklimaanlage und Klimatisierungseinheit-Antriebsvorrichtung
EP1864837A3 (en) * 2001-09-03 2009-11-18 Japan Climate Systems Corporation Vehicle air conditioner
US6912863B2 (en) * 2002-08-30 2005-07-05 Denso Corporation Cooling structure for cooling vehicle electronic unit
US7082772B2 (en) * 2003-08-20 2006-08-01 Directed Electronics, Inc. Pelti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s
JP2005093662A (ja) * 2003-09-17 2005-04-07 Pioneer Electronic Corp 冷却装置及び冷却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4293054B2 (ja) * 2003-09-26 2009-07-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20050123290A (ko)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카오디오 시스템
CN2737593Y (zh) * 2004-09-10 2005-11-02 任晓峰 汽车空调系统控制的电动执行器
KR101173699B1 (ko) * 2005-12-06 2012-08-1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수온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069A (ko) * 1998-10-17 2000-05-06 전주범 카오디오세트의 냉각팬 자동구동장치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방법
KR20060065269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 오디오 냉각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2019980068404호 U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0-0026069호 A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6-0065269호 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11623A1 (de) 2008-06-19
US20080147269A1 (en) 2008-06-19
CN101200163B (zh) 2012-04-11
US7933698B2 (en) 2011-04-26
CN101200163A (zh)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4163B2 (ja) 車載用温度調節装置
US5414591A (en) Magnetic disk storage system
EP2752625B1 (en) Air conditioner
KR101163447B1 (ko) 자동차용 에어플랩 개폐장치
KR100794050B1 (ko) 데크의 온도 유지 시스템
CN203100110U (zh) 空调室内机
JP2009543016A (ja) キムチ冷蔵庫の冷気循環装置
CN217281676U (zh) 一种控制柜使用状态监测装置
JP2005049005A (ja) 磁性蓄熱材式温度調整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3253479B2 (ja) 冷凍冷蔵庫
CN107300241A (zh) 带有净化功能的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0474050B1 (ko) 공기조화기
CN102425897A (zh) 冰箱
KR101403717B1 (ko) 서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
CN112993825A (zh) 一种电力设备保护装置
KR20180089623A (ko) 제습 기능이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WO2017084371A1 (zh) 空调机
KR20060008255A (ko) 냉온풍기
JP2011190987A (ja) 空調システム
CN113161884A (zh) 具有温度调节装置的高压配电柜及温度调节方法
CN207340083U (zh) 一种具备热量耗散功能的支架
CN110017540A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7334282U (zh) 一种退役动力电池箱
KR200232363Y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그릴개폐장치
CN220108018U (zh) 一种智慧教学平台用路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