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737B1 -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737B1
KR100793737B1 KR1020060103452A KR20060103452A KR100793737B1 KR 100793737 B1 KR100793737 B1 KR 100793737B1 KR 1020060103452 A KR1020060103452 A KR 1020060103452A KR 20060103452 A KR20060103452 A KR 20060103452A KR 100793737 B1 KR100793737 B1 KR 10079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ack
power cylinder
steering
s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톱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홈을 구비한 원판 형상의 회전체를 동력 실린더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체의 원주상에 기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에는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베벨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하므로서, 회전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수를 줄여주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단가를 낮춰주고, 작동소음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스톱플레이트, 베벨기어, 기어부, 회전체,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AUTOMOTIVE STEERING-RACK-ADJUSTING DEVICE}
도 1 은 종래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도 1 의 I-I선 단면도.
도 3 은 종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에 적용된 회전체와 스톱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회전체, 2: 관통홈,
3: 기어부, 4a,4b: 단부,
5: 구동모터, 6: 베벨기어,
7: 러버, 12: 동력실린더,
26: 스톱플레이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수를 줄여주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단가를 낮춰주고, 작동소음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종래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미도시된 스티어링 핸들을 조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운동이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 스티어링 기어박스(10)로 전달되며, 이 스티어링 기어박스(10)에서는 랙과 피니언 방식에 의해 동력 실린더(12)내에 내장되어 있는 랙(14)을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이 랙(12)의 자유단부에 볼 죠인트(16)를 개재시켜 연결되어 있는 타이로드(18)통해 휠을 조타함으로써, 조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티어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액튜에이터인 구동 모터(20)와, 상기 구동 모터(20)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체(22)와, 상기 회전체(2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24)을 선택적으로 출입하는 스톱 플레이트(26)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구동 모터(20)는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가 내장되어 모터 의 작동중 일정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2)는 원판형 부재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는 기어부(28)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관통홀(24)이 형성되어지는데, 이 관통홀(24)은 중앙부에 진원부(30)를 두고 양측으로 섹터형 홈부(32)가 형성되어 이 섹터형 홈부(32)를 제외한 부분이 돌출부(3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섹터형 홈부(32)의 일측에는 스톱돌기(36)가 형성되어 랙(14)의 이동시 이동 범위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24)에 선택적으로 출입하는 스톱 플레이트(26)는 중앙부에 랙(14)이 관통하여 고착되는 보스부(40)를 두고 그 양측으로 상기 섹터형 홈부(32)에 삽입될 수 있는 섹터형 돌기부(4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관통홀(2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구성품들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체(22)가 동력 실린더(12)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2)를 구동시켜 주는 구동 모터(20)는 동력 실린더(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22)와는 중간에 아이들링 기어(44)를 개재시켜 치합되며, 상기 스톱 플레이트(26)는 랙(14)의 간부에 형성된 볼 죠인트(16)의 내측에 고정되어지되, 작동 이전 이의 섹터형 돌기부(42)가 회전체(22)의 섹터형홈부(32)에 삽입될 수 있는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은 랙(14)의 스트로크를 최대로 하는 정상적인 운전 상태에서는 회전체(22)의 섹터형 홈부(32)와 섹터형 돌기부(42)가 동일선 상으로 위치하게 되는 바, 조향에 따라 랙(14)이 동력 실린더(12)측으로 최대한 당겨지는 경우에는 섹터형 돌기부(42)가 섹터형 홈부(32)로 삽입되는 상태가 되므로 조향을 최대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운전 상태에서는 최소 회전 반경을 최대한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최소의 회전 반경을 요구하는 운전 조건에서는 매우 유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회전체(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품수가 많아서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작동소음이 크고, 제품 생산시 초기 위치 조립 정확성이 요구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톱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홈을 구비한 원판 형상의 회전체를 동력 실린더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체의 원주상에 기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에는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베벨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하므로서, 회전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수를 줄여주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단가를 낮춰주고, 작동소음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의하여,
스티어링 시스템을 형성하는 동력 실린더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체와; 랙에 고정되어 랙이 최대로 동력 실린더측으로 당겨졌을 때 상기 회전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측으로 삽입되거나 겹쳐지는 스톱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스톱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홈을 구비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동력 실린더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체의 원주상에 기어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기어부에는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베벨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의하여,
상기 동력실린더의 내주면상에 러버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외곽에 2개의 단부를 형성하여 회전체의 회전시 단부가 러버에 접촉되면서 회전체가 정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4 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는 스티어링 시스템을 형성하는 동력 실린더(12)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체(1)와; 랙(14)에 고정되어 랙(14)이 최대로 동력 실린더(12)측으로 당겨졌을 때 상기 회전체(1)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체(1)의 중앙부측으로 삽입되거나 겹쳐지는 스톱 플레이트(26)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톱플레이트(26)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회전체(1)와, 미도시된 온/오프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체(1)를 회전시키는 액튜에이터를 구동모터(5)와 베벨기어(6)로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회전체(1)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톱플레이트(26)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홈(2)을 구비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동력 실린더(1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회전체(1)의 원주상에 기어부(3)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기어부(3)에는 구동모터(5)의 축에 결합된 베벨기어(6)가 맞물리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실린더(12)의 내주면상에 러버(7)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1)의 외곽에 2개의 단부(4a)(4b)를 형성하여 회전체(1)의 회전시 단부(4a,4b)가 러버(7)에 접촉되면서 회전체(1)가 정지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도시된 스위치가 온동작함에 따라 구동모터(5)가 구동하여 베벨기어(6)를 회전시키고, 상기 베벨기어(6)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3)가 맞물려있는 회전체(1)가 동력실린더(12) 내에서 회전하게된다.
상기 회전체(1)의 회전에 의해 관통홈(2)이 스톱플레이트(26)와 일치되면 운전자의 조향에 따라 동력실린더(12) 내측으로 랙(14)이 최대로 당겨질때 스톱플레이트(26)가 관통홈(2) 내로 삽입되면서 랙 스트로크를 최대로 조절할 수 있게되며, 이에따라 운전자는 차량의 회전반경으로 최소한으로 줄여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톱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홈을 구비한 원판 형상의 회전체를 동력 실린더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체의 원주상에 기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에는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베벨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하므로서, 회전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수를 줄여주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단가를 낮춰주고, 작동소음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스티어링 시스템을 형성하는 동력 실린더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체와; 랙에 고정되어 랙이 최대로 동력 실린더측으로 당겨졌을 때 상기 회전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측으로 삽입되거나 겹쳐지는 스톱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스톱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홈을 구비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동력 실린더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체의 원주상에 기어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기어부에는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베벨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실린더의 내주면상에 러버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외곽에 2개의 단부를 형성하여 회전체의 회전시 단부가 러버에 접촉되면서 회전체가 정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KR1020060103452A 2006-10-24 2006-10-24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KR100793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452A KR100793737B1 (ko) 2006-10-24 2006-10-24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452A KR100793737B1 (ko) 2006-10-24 2006-10-24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737B1 true KR100793737B1 (ko) 2008-01-10

Family

ID=3921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452A KR100793737B1 (ko) 2006-10-24 2006-10-24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5753A (zh) * 2020-06-11 2020-09-11 摩登汽车有限公司 汽车转向行程的调节装置、转向器及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131A (ko) * 2000-08-21 2002-02-27 이계안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KR20050118796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랙 스트로크 가변용 아이들 기어의 위치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131A (ko) * 2000-08-21 2002-02-27 이계안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KR20050118796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랙 스트로크 가변용 아이들 기어의 위치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5753A (zh) * 2020-06-11 2020-09-11 摩登汽车有限公司 汽车转向行程的调节装置、转向器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146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JP4592706B2 (ja) 電動式ランプ調節装置
JP4160995B2 (ja) パーキングポジションスイッチを備えたウインドワイパー用駆動装置
KR100793737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
KR100746665B1 (ko) 방사상 고정 기어를 구비한 틸트식 조향장치
US6894242B2 (en) Rotary light switch
KR100804443B1 (ko) 랙바를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를 구비한 조향장치
KR102138773B1 (ko) 전동식 조향 장치
KR100793370B1 (ko) 차량용 윈도우 리프트 모터의 하우징에 구비된 댐핑 수단
KR100737466B1 (ko) 가변 스티어링 랙 시스템
KR20120136441A (ko) 자동차용 설상 장치
KR20070060339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감속기구
KR100358999B1 (ko) 차량용 조향 안정성 향상장치
KR20060004279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볼스크류바 회전 방지 구조
KR100974711B1 (ko)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장치의 제어기
JPS6053465A (ja) ラックピニオン型ステアリング装置の予圧調整機構
KR102184440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moc 액츄에이터
KR100695444B1 (ko)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랙 스트로크 가변장치를 구비한조향장치
KR100926557B1 (ko) 스티어링 컬럼에 장착 된 브이알에스 장치.
KR100468496B1 (ko) 차량용 가변 조향장치
KR20020040216A (ko) 차량용 조향 장치의 가변 랙 변위 장치
KR100468495B1 (ko) 차량용 가변 조향장치
KR20020040217A (ko) 차량용 나사 기어식 가변 조향 장치
KR100489387B1 (ko) 차동 장치의 기어 백래쉬 조절 장치
KR0138189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