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610B1 -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 - Google Patents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610B1
KR100792610B1 KR1020060039026A KR20060039026A KR100792610B1 KR 100792610 B1 KR100792610 B1 KR 100792610B1 KR 1020060039026 A KR1020060039026 A KR 1020060039026A KR 20060039026 A KR20060039026 A KR 20060039026A KR 100792610 B1 KR100792610 B1 KR 10079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bamboo shoot
bamboo
fibers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681A (ko
Inventor
도모나가 오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가쓰야마 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가쓰야마 테크노스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가쓰야마 테크노스
Publication of KR20070078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제조 가능한 죽순피(竹筍皮)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10)는 통기성을 가지는 직물 커버, 및 상기 직물 커버 내에 수납된 충전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는 세척 및 건조된 죽순피를 원료(11)로 하며, 상기 원료(11)에서 유래된 항균성을 가지는 죽순피 섬유(12)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그 대부분이 처분되었던 죽순피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항균성을 가지는 매트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죽순피, 항균성, 통기성, 매트, 직물 커버, 충전재

Description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 {ANTIBACTERIAL MAT USING SHEATH OF BAMBOO SHO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의 사시도이고, (B)는 (A)의 X-X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항균성 매트, 11: 원료,
12: 죽순피 섬유, 13: 매트,
14: 섬유판, 15: 직물 커버
16: 그 외 충전재
[특허문헌 1] 일본특개평 11-335967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05-298996호 공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거나 누울 때에 사용되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 시설, 간호 시설, 숙박 시설, 또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 가능하며, 특히 의료 시설 또는 간호 시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컨대, 의료 시설, 간호 시설, 숙박 시설, 또는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자의 취침 시에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 매트는, 예를 들면,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 지방, 또는 단백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진드기 또는 잡균이 부착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매트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예시하면, 아연-알루미늄 합금을 항균제로 사용한 매트(특허문헌 1), 및 광촉매와 은 금속계 항균제를 사용한 매트(특허문헌 2)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매트와 같이, 항균제로서 유가 금속(有價金屬)을 사용하는 경우, 매트를 장기간 사용함으로 인해 상기 매트로부터 항균제가 이탈할 수 있고, 상기 매트를 폐기하는 경우에는 항균제도 함께 폐기되므로, 유가 금속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또한, 항균제의 효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매트에 새로이 항균제를 부여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유지 비용이 들어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원을 유효 하게 이용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제조 가능한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로서, 통기성을 가지는 직물 커버, 및 상기 직물 커버 내에 수용되는 충전재를 가지는 항균성 매트를 제공하며, 상기 충전재는 세척 및 건조된 죽순피를 원료로 하고, 상기 원료에서 유래된 항균성을 가지는 죽순피 섬유를 10 질량%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상기 건조된 죽순피가 수분을 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상기 충전재가 상기 원료에서 유래된 항균성을 갖는 죽순피편(竹筍皮片)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상기 죽순피 섬유의 최대폭이 O.1 ㎜ 이상,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상기 충전재가, 탄력성을 가지는 천연 섬유 및 화학 섬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상기 죽순피 섬유가, 건조된 죽순피를 해섬(解纖)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의 제조 방 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의 사시도이며, (B)는 (A)의 X-X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 (이하, 매트라 칭함)(10)는 통기성을 가지는 직물 커버, 및 상기 직물 커버 내에 수납되는 충전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는 세척 및 건조된 죽순피를 원료(11)로 하고, 상기 원료(11)에서 유래되는 항균성을 가지는 죽순피 섬유(12)를 포함한다.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매트(10)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거나 누울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침대에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나, 예를 들면, 소파 또는 의자 위에 깔아 쿠션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매트(10)의 형상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장방형 또는 정방형)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예를 들면,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잘 때에 사용되는 매트는 그 형상이,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이며, 그 길이 방향의 길이가, 예를 들면, 1 m 이상, 2 m 이하 정도이고, 폭이, 예를 들면, 0.5 m 이상, 2 m 이하 정도이며, 두께가, 예를 들면, 3 ㎝ 이상, 30 ㎝ 이하 정도이다.
매트(10)를 구성하는 직물 커버를 예시하면, 면, 마, 또는 칡과 같은 섬유로 직조된 직물을 들 수 있고, 상기 직물 커버의 일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충전재를 넣은 후, 봉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외에도, 상기 개구부에 서로 맞물리는 패스너(fastener)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전술한 경우에는 상기 충전재를 미리 네트 형 커버에 수납한 다음, 이를 상기 직물 커버 내에 수납한다.
상기 직물 커버 내에 수납되는 충전재는 세척 및 건조된 죽순피를 원료(11)로 하며, 상기 원료(11)에서 유래되는 항균성을 가지는 죽순피 섬유(12)를 10 질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한다.
다음으로, 죽순피 섬유(12)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죽순은 대나무의 지하 줄기에서 나오는 어린 잎으로서, 그 주위를 감싸는 비늘 모양의 껍질을 죽순피로서 사용한다. 상기 죽순피는, 예를 들면, 죽림, 채소 시장, 또는 야채 가게에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죽순피를 얻을 수 있는 대나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왕대, 맹종죽, 담죽, 오죽, 이대, 및 해장죽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죽순피는 탄수화물, 수분, 단백질, 지방질, 및 회분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도 식물 섬유를, 예컨대, 8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한다.
죽순피를 수집한 다음에는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부착된 흙, 및 먼지를 제거한다. 상기 죽순피를 물세척하는 경우, 분무형 샤워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수조에 침지시켜 세척하는 세탁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세척한 죽순피를 건조시켜 원료(11)를 제조한다. 이러한 건조는 상기 죽순피를 해섬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수행하며, 열, 또는 열풍을 이용한 건조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대기 중에 방치하는 자연 건조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얻어진 죽순피의 원료(11)를 해섬하여, 죽순피 섬유(12)를 형성 한다. 이러한 해섬 시에는 물리적인 충격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숏 블라스트(shot blast)를 사용할 수 있으나, 나무 막대기를 이용하여 두드리거나, 스탬퍼와 같은 타해기(打解機), 또는 비터(beater)와 같은 타해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길이가 20 ㎝ 이상,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40 ㎝ 이하)의 죽순피 섬유(12)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죽순피 섬유(12)는 항균성을 갖는다. 이하, 상기 죽순피 섬유가 항균성을 갖는 근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죽순피 섬유에 대한 항균력 시험을 JIS L 1902:2002 「섬유 제품의 항균성 시험 방법」 10.1 균액흡수법을 참고로 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에서는 대장균(Escherichi a coli NBRC 3301)과 황색 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NBRC 12732)의 2종의 균을 사용하였다. 이하, 상기 항균력 시험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시험 균액을 조정하였다.
먼저, 배지인 Nutrient Agar(Difco제)의 평판상에 시험 균주를 화선(畵線)하고, 37℃±1℃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1개의 백금이(白金耳)를 다른 배지인 Nutrient Broth(Difco제) 20 mL(밀리리터)에 이식한 다음, 37℃±1℃의 온도에서 110 rpm, 진폭 3 ㎝의 조건 하에 18∼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상기 균액을 Nutrient Broth에서 균수가 1∼2×108/mL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이것을 Nutrient Broth 20 mL에 0.4 mL 접종하여, 37℃±1℃의 온도에서, 110 rpm, 진폭 3 ㎝의 조건 하에 3±1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상기 균액을 1/20 농도의 Nutrient Broth에서 생균수가 약 105/mL가 되도록 조정하여, 시험 균액으로 이용하였다.
그리고, 시험편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정하였다.
먼저, 죽순피 섬유 약 0.4 g을 얻어, 시험편으로 이용하였다. 상기 시험편을 배양 시험 용기(이하, 간단히 용기라 칭함) 내에 넣고, 상기 용기의 캡을 뗀 상태에서 그 상부를 알루미늄박으로 덮은 다음, 습열멸균 처리 (121℃, 15분간)한 후, 자연 냉각시켰다. 상기 용기의 온도가 80∼100℃가 되었을 때에, 상기 용기의 상부로부터 알루미늄박을 떼고, 상기 용기를 무균 작업대에 넣고 1시간 동안 바람으로 건조한 다음, 상기 캡을 덮었다.
또한, 비교예로서, 표준 직물(솜)에 대해서도 전술한 방법에 따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한 시험 균액을 용기 내 시험편 상에 0.2 mL 접종한 다음, 37℃±1℃의 온도에서 18±1시간 동안 배양한 후, 빙냉(氷冷)한 0.2%의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을 가한 생리 식염액 20 mL을 상기 용기에 첨가한 다음, 강하게 진동시켜 상기 시험편 중의 균을 액중에 분산시켰다. 그런 다음, 균수 측정용 배지를 이용한 혼합 희석 평판 배양법에 의해 상기 분산액 중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이 때, 상기 죽순피 섬유(실시예1)와 표준 직물(비교예1) 각각의 시험편에 대해서 3개씩(시험편 1∼3)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접종 직후의 생균수도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Figure 112006030400243-pat00001
표 1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같이, 죽순피 섬유를 사용한 실시예 1에서는 대장균과 황색 포도구균 모두, 그 개수가 비교예 1에 비해 상당히 적고, 상기 죽순피 섬유가 항균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죽순피 섬유가 항균성을 가지는 것은 상기 죽순피가 갖는 항균성에 기인한다. 이하, 상기 죽순피가 항균성을 갖는 근거에 대하여 설명한다.
죽순피 섬유를 제조하기 전의 죽순피(판상)에 대하여, JIS Z 2801:2000 「 항균 가공 제품-항균성 시험 방법ㆍ항균 효과」 5.2 플라스틱 제품 등의 시험방 법을 참고로 하여 항균력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에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NBRC 3972)과 황색 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 subs p. aureus NBRC 12732)의 2종의 균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죽순피를 습열 멸균 (121℃, 15분간)한 후에 시험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죽순피(실시예 2)와 폴리에틸렌 필름(비교예 2)의 각각의 시험편에 대해서 3개씩 (시험편 1∼3)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에 이용된 시험편, 필름, 및 균액을 표 2에, 그리고 시험 결과를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6030400243-pat00002
(표 3)
Figure 112006030400243-pat00003
표 3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죽순피를 사용한 실시예 2는 대장균과 황색 포도구균 모두, 그 개수가 비교예 2에 비해 상당히 적고, 상기 죽순피가 항균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항균성을 갖는 죽순피 섬유(12)의 최대폭(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경우에는 직경)은 0.1 ㎜ 이상, 2 ㎜ 이하이다.
상기 죽순피 섬유의 최대폭이 0.1 ㎜ 이상, 2 ㎜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죽순피 섬유가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죽순피 섬유를 매트의 충전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매트에 필요한 탄력성을 가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죽순피 섬유에 보다 큰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상기 죽순피 섬유 최대폭의 하한값이 0.2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고, 상한값이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죽순피 섬유를 끓이거나, 상기 죽순피 섬유에 약제를 첨가하여, 상기 죽순피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죽순피 섬유(12)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11)인 건조된 죽순피는 수분 함량이 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다.
상기 죽순피의 수분 함량이 5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량이 지나치게 적어, 죽순피 섬유가 꺾이기 쉽고, 상기 죽순피를 매트의 충전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매트로서 필요한 탄력성을 가질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죽순피의 수분 함량이 15 질량%보다 큰 경우에는 수분량이 지나치게 많아져, 축축하고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죽순피의 수분 함량은 하한값이 7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이고, 상한값이 13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이다.
한편, 상기 죽순피의 수분 함량은 상기 죽순피 섬유를 대기 중에 방치하는 경우,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을 어느 정도 흡수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재는 죽순피 섬유(12)를 10 질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한다.
상기 충전재에 포함되는 상기 죽순피 섬유량이 1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죽순피 섬유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어, 항균력이 저하됨과 함께, 상기 죽순피 섬유를 충전재로서 직물 커버 내에 수납하는 경우, 상기 죽순피 섬유가 일부에 편재 하기 쉽고, 항균력이 발휘되는 장소가 편중되어 나타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충전재는 상기 죽순피 섬유를 3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충전재 전부가 죽순피 섬유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재 전체가 죽순피 섬유로 구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죽순피 섬유 함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죽순피 섬유의 제조량(제조 속도), 및 사용되는 죽순피의 회수량(回收量)을 고려하면, 상기 충전재에 포함되는 죽순피 섬유량의 상한값이 80 질량%, 또는 7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상기 죽순피의 원료(11)를 그대로, 또는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항균성을 갖는 죽순피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죽순피편의 원료 역시 죽순피이기 때문에, 전술한 죽순피 섬유에서와 마찬가지로 항균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상기 죽순피편을 이용함으로써, 매트에 보다 큰 항균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재는 상기 죽순피 섬유 이외의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를 예시하면 천연 섬유, 및 화학 섬유를 들 수 있고, 상기 천연 섬유는 식물성 섬유와 동물성 섬유로 분류되며, 상기 화학 섬유는 재생 섬유, 반합성 섬유, 합성 섬유, 및 무기질 섬유로 분류된다.
상기 식물성 섬유란, 식물의 세포막(셀룰로스)으로 구성된 섬유로서, 예를 들면, 면과 마가 있다. 면은 튼튼하며 흡습성이 있고, 세탁성이 좋고 열에 강하다 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마는 흡습성이 있고 광택이 좋으며, 시원한 느낌이 있고 촉감이 좋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상기 동물성 섬유란, 동물의 털 등의 단백질로 구성된는 섬유이며, 양모를 대표로 하는 동물털 섬유와 누에의 비단 섬유로 분류된다. 이러한 털은 탄력성 및 부피성을 가지며, 구김이 잘 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재생 섬유란, 천연 셀룰로스(목재 또는 펄프)를 용융시켜, 가늘고 길게 섬유와 같은 형태로 재생한 화학 섬유이며, 예를 들면, 레이온(rayon) 또는 큐프라(cupra)가 있다. 상기 레이온은 흡습성이 양호하고, 발색 광택성을 갖는다 특징이 있다.
상기 반합성 섬유란, 천연 셀룰로스에 아세트산을 화학 작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섬유이며, 그 예로서 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테이트는 가볍고 탄력성이 있으며, 구김이 잘 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합성 섬유란, 천연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과학적으로 합성함으로써 제조된 섬유로서, 그 예로서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계 섬유, 비닐론, 또는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은 가볍고 부피성이 있으며, 발색성이 좋고, 내광견뢰도가 뛰어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강하고 탄력이 좋으며, 구김이 가지 않으며 열가소성이 있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강하고 가볍고, 신장과 탄력성이 우수하여 염색이 용이하고, 상기 비닐론은 마찰에 강하고, 내광견뢰도 및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상기 폴리우레탄은 탄력성과 신축성이 크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무기질 섬유는 무기 화합물로 구성된 섬유로서, 그 예로서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사, 및 폴리에스테르에 금 또는 은이 진공 증착된 금사 또는 은사와 같은 라메(lame)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충전재로서, 전술한 천연 섬유, 및 화학 섬유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탄력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전재에 항균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항균제를 예시하면, 구리 화합물(염화 구리, 질산 구리), 은 화합물(염화은, 질산은), 주석 화합물, 아연 화합물, 티아벤다졸, 프리벤톨, 소르빈산 칼륨, 소듐 디하이드로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 칼슘, 알긴산 나트륨, 아모밤(amobam), 및 스트렙토마이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천연에서 유래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에서 유래된 물질을 예시하면, 키토산, 히노키티올(hinokitiol), 고추냉이 엑기스, 겨자 엑기스, 및 목초산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리 정제품, 또는 분리 정제되기 전의 중간 조도(組度)의 재료를 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생강, 자소(紫蘇), 어성초, 황련(黃連), 및 황벽나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천연물, 및 그의 미소 단편 또는 건조 분쇄물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충전재를 직물 커버 내에 수납하여, 매트(10)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매트(13)는 도 2(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죽순피 섬유(12)를 판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 섬유판(14)을 충전재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매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죽순피 섬유(12)에 열경 화성 합성수지 접착제(접착제의 일례)를 첨가한다. 상기 접착제는 예를 들면,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요소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접착제일 수 있고, 죽순피 섬유(12)에 대하여 5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예를 들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접착제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상기 접착제가 첨가된 죽순피 섬유(12)의 수분 함유율을 10 질량% 이하로 저하시키면 된다.
그런 다음, 수분 함유율이 조정된 죽순피 섬유(12)를 금속망 또는 기류(氣流)에 의해 섬유의 입도별로 분급하는 건식 초조기(抄造機)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비산시켜 매트상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평탄한 열반(熱盤)을 사용하여, 130℃ 이상, 100℃ 이하의 온도에서 1 ㎫ 이상, 3 ㎫ 이하 (1O ㎏/㎠ 이상, 3O ㎏/㎠ 이하)의 압력을 가하여, 열압 성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두께가 10 ㎜ 이상, 30 ㎜ 이하의 MDF(중비중 섬유판)와 유사한 탄력성을 구비한 섬유판(14)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섬유판은 1장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매트(13)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하나 또는 두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예를 들면, 2분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트를 굽혔다 폈다 할 수 있다.
상기 섬유판(14)을 직물 커버(15) 내에 수납한 다음, 그 위(사용자가 접촉 하는 쪽)에, 다른 충전재(16)로서 상기 죽순피 섬유(12), 죽순피편, 죽순피 섬유 이외의 천연 섬유 및 화학 섬유 중 하나 이상, 추가적으로는 스폰지를 넣어 매 트(13)을 제조할 수 있으나, 섬유판(14)만을 수납할 수도 있다.
또한, 죽순피 섬유(12)를, 예를 들면, 한 변이 0.5 ㎝ 이상, 3 ㎝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2 ㎝ 이하)인 입방체 또는 직방체로 성형하거나, 최대폭이 0.5 ㎝ 이상, 3 ㎝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2 ㎝이하)인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경우, 상기 성형체가 매트 내에 분산되도록, 그 주위에 상기 죽순피 섬유(12), 죽순피편, 상기 죽순피 섬유 이외의 천연 섬유 및 화학 섬유 중 하나 이상, 추가적으로는 스폰지를 넣어 매트를 제조한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매트는 그대로 방바닥에 배치하거나, 침대 위에 놓을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매트 위에 그대로 자거나 누울 수 있는 한편, 상기 매트 상에 시트를 씌우거나, 상기 매트를 자루 모양의 시트로 싸거나, 상기 매트 상에 이부자리를 깔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항균성을 갖는 매트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죽순피를 원료, 중간 제품, 또는 제품의 단계에서 고온수 또는 고온 증기로, 예컨대, 10분∼3시간 정도 가열할(삶을) 수도 있다. 상기 죽순피 섬유에 포함되는 식물 섬유는 그 대부분이 불용성 식물 섬유이기 때문에, 고온수 또는 고온 증기로 가열해도 무방하다. 이는, 상기 죽순피 섬유의 수용성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상기 죽순피 섬유 10O g 중에 포함된 식물 섬유가 87.4 g이고, 그 중 86.6 g이 불용성 식물 섬유(0.8 g은 수용성 식물 섬유)라는 것에 근거한 것이다 (시험 방법: 산소-중량법(프로스키 변법)에 따름).
다음으로, 2시간 동안 끓인(비등) 죽순피 섬유에 대한 항균력 시험 결과를 설명한다. 상기 시험은 전술한 죽순피 섬유의 항균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끓인 죽순피 섬유(실시예 3)와 표준 직물(면: 비교예 3)의 각각의 시험편에 대해서 3개씩(시험편 1∼3),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3에 대해서는 접종 직후의 생균수도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4)
Figure 112006030400243-pat00004
표 4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끓인 죽순피 섬유를 사용한 실시예 3은 대장균과 황색 포도구균 모두, 그 개수가 비교예 3의 증가량에 비하여 상당히 적고, 상기 끓인 죽순피 섬유가 항균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온수 또는 고온 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제품의 항균성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의 범위내에서 생각할 수 있는 그 밖의 실시예나 변형예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나 변형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본 발명의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를 구성하는 경우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직물 커버 내에 수납되는 충전재가 죽순피에서 유래된 항균성을 갖는 죽순피 섬유를 포함하므로, 종래에는 그 대부분이 처분되었던 죽순피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항균성을 가지는 매트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성 매트의 충전재는 죽순피 섬유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므로, 그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탄력성 또한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항균성 매트는, 예를 들면, 의료 시설, 간호 시설, 숙박 시설, 또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의료 시설 또는 간호 시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충전재로서 이용되며 죽순피 섬유의 원료가 되는 건조된 죽순피가 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수분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죽순피가 전술한 바와 같은 적당량의 수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죽순피 섬유가 잘게 부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성 매트의 탄력성이 잘 손상되지 않아, 사용자가 항균성 매트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충전재로서 상기 죽순피에서 유래된 항균성을 가지는 죽순피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항균성 매트의 항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항균성 매트에 필요한 항균력을 상기 죽순피 섬유와 상기 죽순피편에서 얻음으로써, 상기 죽순피 섬유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충전재 전체가 죽순피 섬유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항균성 매트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상기 죽순피 섬유의 최대폭이 0.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죽순피 섬유의 최대폭을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유연성을 갖는 죽순피 섬유를 충전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상기 충전재로서, 탄력성을 가지는 죽순피 섬유 이외의 천연 섬유 또는 화학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연 섬유 및 화학 섬유의 충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되는 탄력성을 구비한 항균성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성 매트 내 충전재 전체가 죽순피 섬유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 상기 죽순피 섬유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어 경제적이다.
아울러, 상기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는, 상기 죽순피 섬유가, 건조된 죽순피를 해섬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죽순피 섬유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죽순피 원료에 물리적 충격을 가하여 해섬한 죽순피 섬유를 판상으로 성형한 탄력성을 가지는 섬유판을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분할하여 직물 커버 안에 넣고, 상기 섬유판 위에 죽순피 섬유 및 죽순피 조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충전재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판의 두께가 10 ㎜ 이상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에 한 변이 0.5 ㎝ 이상 3 ㎝ 이하인 입방체 혹은 직방체, 또는 최대폭이 0.5 ㎝ 이상 3 ㎝ 이하인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성형한 죽순피 섬유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로서, 추가로, 스폰지를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매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60039026A 2006-01-27 2006-04-28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 KR100792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19318A JP2007195809A (ja) 2006-01-27 2006-01-27 筍の皮を用いた抗菌性マット
JPJP-P-2006-00019318 2006-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681A KR20070078681A (ko) 2007-08-01
KR100792610B1 true KR100792610B1 (ko) 2008-01-09

Family

ID=3845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026A KR100792610B1 (ko) 2006-01-27 2006-04-28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195809A (ko)
KR (1) KR100792610B1 (ko)
CN (1) CN1010068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78B1 (ko) * 2009-03-04 2011-09-26 김문현 간이쿠션액상충전재
US20120037164A1 (en) * 2010-08-12 2012-02-16 Erik Ahlberg Sodium tallowate soap cushion
CN103859868B (zh) * 2014-04-01 2016-05-04 上海婉静纺织科技有限公司 抗菌床垫及其制备方法
CN103866488B (zh) * 2014-04-01 2016-05-11 上海婉静纺织科技有限公司 抗菌靠垫及其制备方法
CN104257148A (zh) * 2014-08-16 2015-01-07 宁波市鄞州云帆工程咨询有限公司 透气型沙发靠枕芯的制作技术
JP6713849B2 (ja) * 2016-06-15 2020-06-2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消臭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137A (ja) * 2001-09-19 2003-06-13 Katsuyama Technos:Kk 竹の皮の利用方法及びその製品
KR20040070388A (ko) * 2003-02-03 2004-08-09 김두환 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들에 의해서 얻어지는 섬유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916A (ja) * 2001-02-05 2002-08-13 Toray Ind Inc 繊維構造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寝装品
JP2002273709A (ja) * 2001-03-22 2002-09-25 Arao Mizuta 竹の子の皮より成る容器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137A (ja) * 2001-09-19 2003-06-13 Katsuyama Technos:Kk 竹の皮の利用方法及びその製品
KR20040070388A (ko) * 2003-02-03 2004-08-09 김두환 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들에 의해서 얻어지는 섬유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6888A (zh) 2007-08-01
JP2007195809A (ja) 2007-08-09
KR20070078681A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bu Silk: processing, properties and applications
KR100792610B1 (ko) 죽순피를 이용한 항균성 매트
Murthy Introduction to textile fibres
CN105795536B (zh) 一种珍珠抗菌运动文胸及其制备方法
El Nemr From natural to synthetic fibers
Jindal et al. Textile raw materials
KR20130115676A (ko)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CN104783966A (zh) 一种抗菌卫生巾的制作方法
CN104414286A (zh) 一种莲纤维蛋白被
CN103190716B (zh) 炭化竹纤维净化呼吸气防毒口罩的制备方法
CN202222871U (zh) 蚕丝羊毛被
CN104783970A (zh) 一种生态型纸尿裤的制作方法
CN107692648A (zh) 一种艾草麻床垫的制备方法
JP2002223916A (ja) 繊維構造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寝装品
CN101348231A (zh) 纤维羽绒填充物及其制造方法
CN105852544A (zh) 一种复合蚕桑再生资源功能性蚕丝枕及其制备方法
CN102273771A (zh) 一种纸芯保健鞋垫的制作方法
CN201571577U (zh) 除臭保健鞋垫
JP2003268661A (ja) ポリリジン含有シート及び介護用シート
JP3965083B2 (ja) 繊維質機能基材の製造法
CN209610749U (zh) 环保抗菌型地毯
CN214964254U (zh) 一种保温舒适的鹅绒被
CN205813133U (zh) 一种宠物窝
CN101348230B (zh) 麻纤维羽绒填充物及其制造方法
CN201288249Y (zh) 麻纤维羽绒填充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