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813B1 - 크로스플로우 팬 - Google Patents

크로스플로우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813B1
KR100789813B1 KR1020020004223A KR20020004223A KR100789813B1 KR 100789813 B1 KR100789813 B1 KR 100789813B1 KR 1020020004223 A KR1020020004223 A KR 1020020004223A KR 20020004223 A KR20020004223 A KR 20020004223A KR 100789813 B1 KR100789813 B1 KR 10078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guide
air
crossflow fan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874A (ko
Inventor
엄윤섭
김정훈
구정환
황성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8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교란을 방지함으로써 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크로스플로우 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방향을 따라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13)가 원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단위팬(11)이 축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된 임펠러(10)와, 상기 임펠러의 후방에 구비되며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20)와, 상기 임펠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21)와 함께 고압부와 저압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30)와,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리어가이드의 갭부를 잇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저압부가 형성되는 임펠러의 전방에 구비되며, 흡입공기가 임펠러로 자연스럽게 유동할 수 있는 곡률을 가져 흡입공기의 유동 교란을 방지하는 안내가이드(50)를 포함하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제공한다.
크로스플로우 팬, 안내가이드

Description

크로스플로우 팬{crossflow fan}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판 10 : 임펠러
11 : 단위팬 13 : 블레이드
15 : 경계판 21 : 리어가이드 갭부
50 : 안내가이드
본 발명은 크로스플로우 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펠러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교란을 방지함으로써 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크로스플로우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공기조화기 또는 냉동장치 등에 설치되어 외부공기 또는 냉기를 강제 흡입하여 토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송풍기는 토출압력에 따라 저 압용 팬과 고압용 블로워(blower)로 구분되며, 또한 블레이드(blade)의 형상에 따라 원심형 송풍기, 축류형 송풍기, 횡류형 송풍기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도, 크로스플로우 팬(crossflow fan)은 횡류형 송풍기의 일종으로 축방향으로의 흡입흐름이 없는 대신 임펠러(impeller)의 축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생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크로스플로우 팬은 일반적으로 고정압 대풍량을 생산하는데 유리하며 축방향으로 고른 흐름이 발생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 특히 창문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널리 적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각각 일반적인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로서,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은 모터(도시생략)에 축(40) 결합되어 공기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impeller;10)와, 상기 임펠러의 외각 후방에 구비되어 흡입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소정 곡률에 따라 만곡된 리어가이드(rear guide;20)와, 상기 임펠러의 외각 일측에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임펠러의 내부영역에 발생하는 와류를 안정화시키고 상기 리어가이드와 함께 고압부(H)와 저압부(L)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30)로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10)는 환형의 경계판(15)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팬(11)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위팬(11)은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13)가 원주상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13)가 경계판(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 삽입돌기가 형성 되고, 상기 경계판의 원주면에 다수의 블레이드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가이드(20)는 그 일측에 임펠러(10)까지 최단거리를 유지하는 갭부(gap portion;21)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21)는 스태빌라이저(30)와 함께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플로우 팬은 상기 임펠러(10)가 회전하게 되면 임펠러의 내부에 와류가 생성되며, 이 와류에 의해 공기의 강제 유동이 발생한다. 이를 상술하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태빌라이저(30)와 리어가이드의 갭부(21)를 잇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전방(도면상 우측)에 저압부(L)가 형성되어 공기가 강제 흡입되고, 상기 가상선(l)의 후방(도면상 좌측)에 고압부(H)가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리어가이드(20)의 안내를 받으면서 토출된다. 이상에서, 크로스플로우 팬은 축방향으로의 흡입흐름이 없는 대신 임펠러(10)의 축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생김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 중 상기 저압부(L)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 일부가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그 유동이 상당히 교란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즉, 상기 저압부(L)는 스태빌라이저(30)와 리어가이드의 갭부(21)를 잇는 가상선(l)의 전방에 형성되는데, 실제 이 부분에는 임펠러(10)의 양단을 지지하는 고정판(1)이 존재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판(1)은 임펠러의 블레이드(13)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임펠러(10)의 원주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에 장애적인 요소가 되었다. 즉, 흡입공기 중 상기 고정판(1) 부근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고정판의 끝단에 부딪히면서 와류를 생성하여 인접한 공기의 유동에 교란을 일으키게 되었다. 이 경우, 흡입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팬의 성능이 저하되며, 이와 동시에 상당한 소음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펠러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교란을 방지함으로써 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방향을 따라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가 원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단위팬이 축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후방에 구비되며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와, 상기 임펠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와 함께 고압부와 저압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리어가이드의 갭부를 잇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저압부가 형성되는 임펠러의 전방에 구비되며, 흡입공기가 임펠러로 자연스럽게 유동할 수 있는 곡률을 가져 흡입공기의 유동 교란을 방지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펠러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 중 양측의 고정판 부근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소정 곡률을 지닌 안내가이드의 형상에 의해 임펠러로 자연스럽게 유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 중 고정판에 의해 와류가 생성되는 등의 유동 교란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공기의 유동 교란으로 인한 팬의 성능 저감과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은 모터(도시생략)에 축(40) 결합되어 공기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10)와, 상기 임펠러의 외각 후방에 구비되어 흡입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소정 곡률에 따라 만곡된 리어가이드와, 상기 임펠러의 외각 일측에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임펠러의 내부영역에 발생하는 와류를 안정화시키고 상기 리어가이드와 함께 고압부와 저압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리어가이드의 갭부(21)를 잇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저압부가 형성되는 임펠러(10)의 전방에 구비되어 흡입공기의 유동 교란을 방지하는 안내가이드(5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리어가이드와 스태빌라이저의 형태가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1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를 참조하면 충분할 것이다.
상기 임펠러(10)는 환형의 경계판(15)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팬(11)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위팬(11)은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13)가 원주상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3개의 단위팬(11)이 연결된 임펠러를 일례로 제시한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13)가 경계판(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 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판(15)의 원주면에 다수의 블레이드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가이드는 그 일측에 임펠러(10)까지 최단거리를 유지하는 갭부(21)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21)는 스태빌라이저와 함께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안내가이드(50)는 흡입공기의 유동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곡률을 갖는 판형으로 흡입공기의 유동에 장애가 되는 양측 고정판(1)으로부터 전면에 걸쳐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안내가이드(50)는 고정판(1)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는 곡률을 가지며, 이에 따라 임펠러(10)의 회전시 흡입되는 공기 중 상기 고정판 부근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안내가이드(50)의 안내를 받아 임펠러(10)로 자연스럽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안내가이드(50)는 고정판(1)과 동일한 부재로서 고정판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휘어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연장되거나, 아니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곡률을 갖는 별도의 판형부재로서 상기 고정판(1)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플로우 팬은 상기 임펠러(10)가 블레이드(13)의 만곡된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임펠러의 내부에 와류가 생성되어 공기의 강제 유동이 발생한다. 이를 상술하면, 상기 임펠러(10)가 회전하게 되면 스태빌라이저와 리어가이드의 갭부(21)를 잇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그 일측에 저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고압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저압부를 통해 임펠러(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리어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고압부로 토출된다. 그 일례가 도 1a에 잘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과정 중에 상기 저압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 임펠러(10) 양측의 고정판(1) 부근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안내가이드(50)의 곡면을 따라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안내가이드(50)가 흡입공기를 임펠러(10)로 자연스럽게 안내할 수 있는 곡률을 갖고 있음에 따라, 고정판(1) 부근의 공기가 와류가 되어 교란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은 임펠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양측 고정판에 소정의 곡률을 가진 안내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고정판 부근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안내가이드의 형상에 의해 임펠러로 자연스럽게 유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 중 고정판에 의해 와류가 생성되는 등의 유동 교란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공기의 유동 교란으로 인한 팬의 성능 저감과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회전방향을 따라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가 원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단위팬이 축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된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후방에 구비되며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
    상기 임펠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와 함께 고압부와 저압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리어가이드의 갭부를 잇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저압부가 형성되는 임펠러의 전방에 구비되며, 흡입공기가 임펠러로 자연스럽게 유동할 수 있는 곡률을 가져 흡입공기의 유동 교란을 방지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는 크로스플로우 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임펠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고정판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별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로우 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고정판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휘어지는 곡률 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로우 팬.
KR1020020004223A 2002-01-24 2002-01-24 크로스플로우 팬 KR10078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223A KR100789813B1 (ko) 2002-01-24 2002-01-24 크로스플로우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223A KR100789813B1 (ko) 2002-01-24 2002-01-24 크로스플로우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74A KR20030063874A (ko) 2003-07-31
KR100789813B1 true KR100789813B1 (ko) 2007-12-28

Family

ID=3221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223A KR100789813B1 (ko) 2002-01-24 2002-01-24 크로스플로우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8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248A (ja) * 1986-07-15 1988-01-28 株式会社熊谷組 自硬性泥水
JPH05246237A (ja) * 1992-03-04 1993-09-24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248A (ja) * 1986-07-15 1988-01-28 株式会社熊谷組 自硬性泥水
JPH05246237A (ja) * 1992-03-04 1993-09-24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74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3897A1 (en) Axial Flow Fan
RU2636909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вентилятор и кондиционер с таким вентилятором
JPS63124900A (ja) 軸流送風機
JP2009203897A (ja) 多翼送風機
JP2008138536A (ja) 遠心送風機
WO2014125710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室外冷却ユニット
JP5024349B2 (ja) 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並びに空気清浄機
JPH102299A (ja) 遠心送風機
JP2001003899A (ja) 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並びに空気清浄機
KR100789813B1 (ko) 크로스플로우 팬
KR100789812B1 (ko) 크로스플로우 팬
JP6528112B2 (ja) 遠心送風機
KR100912526B1 (ko)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KR100830454B1 (ko) 크로스플로우 팬
KR100789815B1 (ko) 크로스플로우 팬의 경계판 구조
JPH08159099A (ja) 軸流送風機
JP2005264803A (ja) 送風機と、その送風機を用いた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冷凍冷蔵庫
JP2007162559A (ja) 遠心式多翼送風機
JP2005016457A (ja) 送風機及び送風機を備えた熱交換ユニット
KR100830453B1 (ko) 크로스플로우 팬
KR100830455B1 (ko) 크로스플로우 팬
KR200248773Y1 (ko) 팬과쉬라우드조립체
KR100255771B1 (ko) 축류/사류팬 구조
JP2002285996A (ja) 多翼送風ファン
US20230417249A1 (en) Propeller fan and refriger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