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454B1 - 크로스플로우 팬 - Google Patents

크로스플로우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454B1
KR100830454B1 KR1020020004221A KR20020004221A KR100830454B1 KR 100830454 B1 KR100830454 B1 KR 100830454B1 KR 1020020004221 A KR1020020004221 A KR 1020020004221A KR 20020004221 A KR20020004221 A KR 20020004221A KR 100830454 B1 KR100830454 B1 KR 10083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air
fan
stabilizer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872A (ko
Inventor
엄윤섭
김정훈
구정환
황성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4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의 각 단위팬별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크로스플로우 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방향을 따라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13)가 원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단위팬(11)이 축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된 임펠러(10)와,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20)와, 상기 임펠러와 이격된 상태로 일측에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리어가이드의 갭부(21)와 함께 고압부와 저압부의 경계를 형성하되, 상기 임펠러와의 간격이 토출공기의 속도구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토출공기의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스태빌라이저(100)를 포함하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제공한다.
크로스플로우 팬

Description

크로스플로우 팬{crossflow fan}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토출공기의 속도구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토출공기의 속도구배를 도시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임펠러 11 : 단위팬
13 : 블레이드 15 : 경계판
20 : 리어가이드 100 : 스태빌라이저
본 발명은 크로스플로우 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단위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크로스플로우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공기조화기 또는 냉동장치 등에 설치되어 외부공기 또는 냉기를 강제 흡입하여 토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송풍기는 토출압력에 따라 저압용 팬과 고압용 블로워(blower)로 구분되며, 또한 블레이드(blade)의 형상에 따라 원심형 송풍기, 축류형 송풍기, 횡류형 송풍기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도, 크로스플로우 팬(crossflow fan)은 횡류형 송풍기의 일종으로 축방향으로의 흡입흐름이 없는 대신 임펠러(impeller)의 축(40)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생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크로스플로우 팬은 일반적으로 고정압 대풍량을 생산하는데 유리하며 축방향으로 고른 흐름이 발생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 특히 창문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널리 적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각각 일반적인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로서,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은 모터(도시생략)에 축결합되어 공기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impeller;10)와,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소정 곡률에 따라 만곡된 리어가이드(rear guide;20)와, 상기 임펠러와 이격된 상태로 일측에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임펠러의 내부영역에 발생하는 와류를 안정화시키고 상기 리어가이드와 함께 고압부(H)와 저압부(L)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30)로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10)는 환형의 경계판(15)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팬(11)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위팬(11)은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다수의 블레 이드(13)가 원주상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13)가 경계판(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판의 원주면에 다수의 블레이드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가이드(20)는 그 일측에 임펠러(10)까지 최단거리를 유지하는 갭부(gap portion;21)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21)는 스태빌라이저(30)와 함께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플로우 팬은 상기 임펠러(10)가 회전하게 되면 임펠러의 내부에 와류가 생성되며, 이 와류에 의해 공기의 강제 유동이 발생한다. 이를 상술하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태빌라이저(30)와 리어가이드의 갭부(21)를 잇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전방(도면상 우측)에 저압부(L)가 형성되어 공기가 강제 흡입되고, 상기 가상선(l)의 후방(도면상 좌측)에 고압부(H)가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리어가이드(20)의 안내를 받으면서 토출된다. 이상에서, 크로스플로우 팬은 축방향으로의 흡입흐름이 없는 대신 임펠러(10)의 축(40) 수직한 평면 내에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생김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크로스플로우 팬은 상기 임펠러의 각 단위팬(11)별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필수불가결하게 존재하게 되었다. 이것은 상기 임펠러(10)가 다수의 단위팬으로 구성됨에 따라, 각각의 단위팬(11)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유동 특성이 달라지 기 때문에 야기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단위팬(11)으로 구성된 임펠러(10)의 경우 토출공기의 속도는 중앙의 단위팬에서 빠르고 양측의 단위팬에서 느린 현상을 보인다. 또한, 각각의 단위팬별로 그 중심에서 토출공기의 속도가 가장 빠르고 양측의 경계판(15) 측으로 갈수록 속도가 느린 구배를 보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팬별로 토출공기의 속도가 달라짐으로 인해 토출공기의 유동이 상당히 불안정하여 팬의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유동으로 인해 상당한 소음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펠러의 각 단위팬별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방향을 따라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가 원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단위팬이 축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와, 상기 임펠러와 이격된 상태로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리어가이드의 갭부와 함께 고압부와 저압부의 경계를 형성하되, 상기 임펠러와의 간격이 토출공기의 속도구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토출공기의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펠러의 각 단위팬별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균일함에 따라 토출공기의 유동이 안정화되어 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토출공기의 속도구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은 모터(도시생략)에 축결합되어 공기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10)와,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소정 곡률에 따라 만곡된 리어가이드와, 상기 임펠러와 이격된 상태로 일측에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임펠러의 내부영역에 발생하는 와류를 안정화시키고 상기 리어가이드와 함께 고압부와 저압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100)로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10)는 환형의 경계판(15)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팬(11)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은 3개의 단위팬이 연결된 임펠러를 제시한다. 이 때, 상기 단위팬(11)은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13)가 원주상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13)가 경계판(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판의 원주면에 다수의 블레이드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가이드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그 일측에 임펠러(10)까지 최단거리를 유지하는 갭부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는 스태빌라이저(100)와 함께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각 단위팬(11)별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스태빌라이저(100)와 임펠러(10) 사이의 간격을 토출공기의 속도구배에 따라 다르게 형성한다. 이것은 상기 스태빌라이저(100)와 임펠러(10) 사이의 간격이 토출공기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상기 간격을 토출공기의 유동패턴을 고려하여 결정함으로써 그 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상술하면, 토출공기의 속도가 빠른 단위팬(11)에서는 상기 단위팬에 대응하는 스태빌라이저(100)와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그 속도를 낮출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토출공기의 속도가 느린 단위팬에서는 상기 단위팬에 대응하는 스태빌라이저와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그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기존의 크로스플로우 팬에 있어서 토출공기의 속도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단위팬에서 가장 빠르고 상기 단위팬으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느려지는 바, 본 발명에서는 임펠러의 단위팬(11) 중 중앙에 위치하는 단위팬에서 상기 스태빌라이저(100)와 임펠러(10)가 이루는 간격(a)이 상기 단위팬의 양측에 위치하는 단위팬에서의 간격(b)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기존의 크로스플로우 팬에 있어서, 각 단위팬별로 토출공기의 속도가 그 중심에서 가장 빠르고 양측 경계판으로 갈수록 느려지는 구배를 갖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태빌라이저(100)와 임펠러(10)의 간격이 각 단위팬(11)별로 전술한 속도구배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각각의 단위팬(11)별로 스태빌라이저(100)와 임펠러(10)의 간격은 그 중심(O)에서 가장 크고 양측 경계판(15)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곡선에 따라 형성된다.
이상에서, 상기 스태빌라이저(100)와 임펠러(10)의 간격은 각 단위팬별로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곡선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곡선들이 경계판(15)에 대응하는 변곡점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스태빌라이저(100)는 양 측부가 고정판(1)에 결합되고, 임펠러(10)와 대면하는 일단부(101)가 내측으로 만곡되는 판형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일단부(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공기의 속도구배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곡률에 따라 내측으로 만곡된다.
즉, 상기 스태빌라이저(100)는 3개의 단위팬으로 이루어진 임펠러(10)와 대응하도록 3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부분은 그 일단부(101)가 소정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분할된 부분 중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110)의 일단부가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120)의 일단부보다 더 크게 내측으로 만곡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플로우 팬은 상기 임펠러(10)가 블레이드(13)의 만곡된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임펠러의 내부에 와류가 생성되어 공기의 강제 유동이 발생한다. 이를 상술하면, 상기 임펠러(10)가 회전하게 되면 스태빌라이저(100)와 리어가이드의 갭부를 잇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그 일측에 저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고압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저압부를 통해 임펠러(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리어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고압부로 토출된다. 그 일례가 도 1a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임펠러의 각 단위팬별로 그 유동패턴이 달라 토출공기의 속도가 다를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10)와 스태빌라이저(100)의 간격이 각 단위팬(11)별로 갖는 유동패턴을 고려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바, 토출공기의 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공기의 유동이 안정되어 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유동 불안정으로 인해 야기되는 소음을 상당히 저감시키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은 스태빌라이저와 임펠러의 간격이 토출공기의 유동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임펠러의 단위팬별로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단위팬별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균일하게 되어 팬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회전방향을 따라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가 원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단위팬이 축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된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
    상기 임펠러와 이격된 상태로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리어가이드의 갭부와 함께 고압부와 저압부의 경계를 형성하되, 상기 임펠러와의 간격이 토출공기의 속도구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토출공기의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는 크로스플로우 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임펠러의 간격은 토출공기의 속도가 빠른 부분에서 크고, 토출공기의 속도가 느린 부분에서 작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로우 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임펠러의 간격은 임펠러의 단위팬 중 중앙에 위치하는 단위팬에서 가장 크고, 상기 단위팬으로부터 양측 단위팬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로우 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임펠러의 간격은 각 단위팬별로 그 중심에서 가장 크고 양측의 경계판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곡률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로우 팬.
  5. 제 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임펠러와 대면하는 일단부가 토출공기의 속도구배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내측으로 만곡되는 판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로우 팬.
KR1020020004221A 2002-01-24 2002-01-24 크로스플로우 팬 KR10083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221A KR100830454B1 (ko) 2002-01-24 2002-01-24 크로스플로우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221A KR100830454B1 (ko) 2002-01-24 2002-01-24 크로스플로우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72A KR20030063872A (ko) 2003-07-31
KR100830454B1 true KR100830454B1 (ko) 2008-05-20

Family

ID=3221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221A KR100830454B1 (ko) 2002-01-24 2002-01-24 크로스플로우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165A (ko) * 2016-10-21 201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7894A (ja) * 1985-05-31 1986-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横断流送風装置
JPS62131994A (ja) * 1985-12-02 1987-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横断流送風装置
JPS63113198A (ja) * 1986-10-30 1988-05-18 Toshiba Corp 送風機
KR19990080984A (ko) * 1998-04-24 1999-11-15 윤종용 개선된 스태빌라이저를 가지는 횡류팬 송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7894A (ja) * 1985-05-31 1986-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横断流送風装置
JPS62131994A (ja) * 1985-12-02 1987-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横断流送風装置
JPS63113198A (ja) * 1986-10-30 1988-05-18 Toshiba Corp 送風機
KR19990080984A (ko) * 1998-04-24 1999-11-15 윤종용 개선된 스태빌라이저를 가지는 횡류팬 송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72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518B1 (ko) 팬하우징
KR100323702B1 (ko) 시로코 팬
AU2014238673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130041639A (ko) 시로코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50119520A (ko) 원심 송풍기
JP2009203897A (ja) 多翼送風機
JPH09100795A (ja) 空気調和機
KR100830454B1 (ko) 크로스플로우 팬
JP6709899B2 (ja) 送風ファ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風ユニット
KR100830453B1 (ko) 크로스플로우 팬
KR101476189B1 (ko) 송풍팬
EP2706243A2 (en) Axial Flow Fan
KR100830455B1 (ko) 크로스플로우 팬
JP6528112B2 (ja) 遠心送風機
KR100789812B1 (ko) 크로스플로우 팬
KR100789813B1 (ko) 크로스플로우 팬
KR100789815B1 (ko) 크로스플로우 팬의 경계판 구조
JPH03249400A (ja) 多翼送風機の羽根車
KR100459191B1 (ko) 터보팬
KR100255771B1 (ko) 축류/사류팬 구조
KR100469259B1 (ko) 터보팬의 블레이드
JPH08135596A (ja) 遠心送風機用羽根車
KR920004970Y1 (ko) 멀티블레이드 송풍기의 임펠러
KR100416777B1 (ko) 터보팬
KR200236082Y1 (ko) 송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