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683B1 - 화상 정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정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683B1
KR100788683B1 KR1020060020388A KR20060020388A KR100788683B1 KR 100788683 B1 KR100788683 B1 KR 100788683B1 KR 1020060020388 A KR1020060020388 A KR 1020060020388A KR 20060020388 A KR20060020388 A KR 20060020388A KR 100788683 B1 KR100788683 B1 KR 10078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unit
powe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537A (ko
Inventor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683B1/ko
Priority to US11/588,310 priority patent/US20070206968A1/en
Priority to EP06126117A priority patent/EP1830231A2/en
Priority to CNA2006101723427A priority patent/CN101030064A/zh
Publication of KR2007009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78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정착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1 정착 램프 및 제2 정착 램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 전원의 제1 전압 실효치 또는 제2 전압 실효치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의 스위칭 결과에 따라, 제1 정착 램프 및 제2 정착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전압부를 포함함으로써, 입력되는 전원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압을 정착 램프에 공급하도록 하며, 정착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에 상관없이 제품의 통일화를 이룰 수 있고, 서로 다른 정착 시스템의 구현에 따른 제조 공정상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정착 시스템{System for fixing an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정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전원 공급부에서 제1 전압 실효치가 공급될 때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전원 공급부에서 제2 전압 실효치가 공급될 때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제1 정착 램프 120: 제2 정착 램프
130: 전원 공급부 140: 전원 공급 제어부
150; 스위칭부 160: 배전압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정착 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 원 공급부,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정착롤러를 가열하는 정착 램프 등을 구성된다.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 공급 제어부는 정착롤러의 온도에 따라 정착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한다.
그런데, 종래의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전압 실효치가 각각 110[v]와 220[v]로 구분된다. 따라서, 이렇게 전압 실효치가 다르기 때문에, 110[v]의 전압 실효치에 따른 정착 시스템과, 220[v]의 전압 실효치에 따른 정착 시스템을 별도로 구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에서 110[v]의 전압 실효치가 공급되면, 정착 램프는 110[v]에 대응하는 정착 램프를 구비해야 하며, 전원 공급부에서 220[v]의 전압 실효치가 공급되면, 정착 램프는 220[v]에 대응하는 정착 램프를 구비해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력되는 전원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압을 정착기에 공급하도록 하는 화상 정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정착 시스템은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1 정착 램프 및 제2 정착 램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 전원의 제1 전압 실효치 또는 제2 전압 실효치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의 스위칭 결과에 따라, 제1 정착 램프 및 제2 정착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전압부를 포함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정착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정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제1 정착 램프(100) 및 제2 정착 램프(120)는 전원을 공급받아서, 정착롤러(미도시)를 가열하는 램프로서, 할로겐 램프를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착 램프(100) 및 제2 정착 램프(120)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다.
제1 정착 램프(100) 및 제2 정착 램프(120)는 110[v]의 전원에 대응하는 램프들이다.
전원 공급부(130)는 제1 정착 램프(100) 및 제2 정착 램프(120)에 교류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30)는 교류 전원으로서 두 종류의 전압 실효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130)는 제1 전압 실효치로서 220[v]의 전원을 공급할 수 도 있고, 제2 전압 실효치로서 110[v]의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 제어부(140)는 전원 공급부(130)에서 제1 정착 램프(100) 및 제2 정착 램프(120)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즉, 전원공급 제어부(140)는 정착 롤러(미도시)의 온도가 소정 범위를 초과한다면, 전원 공급부(130)에서 제1 정착 램프(100) 및 제2 정착 램프(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정착 롤러의 온도가 소정 범위 이하라면, 전원 공급부(130)에서 제1 정착 램프(100) 및 제2 정착 램프(12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 제어부(140)는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로서 포토 드라이액(photo triac) 등을 구비한다.
스위칭부(150)는 전원의 제1 전압 실효치 또는 제2 전압 실효치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30)가 공급하는 전원이 제1 전압 실효치(즉, 220[v])라면, 스위칭부(150)는 오프(off)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30)가 공급하는 전원이 제2 전압 실효치(즉, 110[v])라면, 스위칭부(150)는 온(on)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스위칭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150)는 전원 공급부(130)가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 실효치를 감지하고, 감지한 전압 실효치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온 또는 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압 실효치의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스위칭부(150)는 전압 자동 선택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배전압부(160)는 스위칭부(150)의 스위칭 결과에 따라, 제1 정착 램프(100) 및 제2 정착 램프(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30)가 공급하는 전원이 제1 전압 실효치(즉, 220[v])라면, 스위칭부(150)는 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스위칭부(150)가 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면, 배전압부(160)는 제1 정착 램프(100) 및 제2 정착 램프(120)에 각각 110[v]의 전원을 분할하여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30)가 공급하는 전원이 제2 전압 실효치(즉, 110[v])라면, 스위칭부(150)는 온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 게 되고, 스위칭부(150)가 온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면, 배전압부(160)는 교류 전원의 전류 방향에 따라 제1 정착 램프(100) 또는 제2 정착 램프(120)에 각각 110[v]의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배전압부(160)는 브리지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리지 회로는 4개의 다이오드 1(D1), 다이오드 2(D2), 다이오드 3(D3) 및 다이오드 4(D4)로 구성된다. 배전압부(160)는 브리지 회로 이외에 제1 정착 램프(100)에 병렬 연결된 제1 캐패시터(C1) 및 제2 정착 램프(120)에 병렬 연결된 제2 캐패시터(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전원 공급부(130)에서 제1 전압 실효치(즉, 220[v])가 공급될 때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a는 정방향으로 교류 전원이 흐를 경우의 전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0[v]의 전원이 공급되므로, 스위칭부(150)은 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220[v]의 전원은 순차적으로 다이오드 2(D2), 제1 정착 램프(100), 제2 정착램프(120) 및 다이오드 4(D4)를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1 정착 램프(100)에 110[v]의 전원이 걸리고, 제2 정착 램프(120)에 나머지 110[v]의 전원이 걸리게 된다.
도 2b는 역방향으로 교류 전원이 흐를 경우의 전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0[v]의 전원이 공급되므로, 스위칭부(150)은 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220[v]의 전원은 순차적으로 다이오드 3(D3), 제1 정착 램프(100), 제2 정착램프(120) 및 다이오드 1(D1)을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1 정 착 램프(100)에 110[v]의 전원이 걸리고, 제2 정착 램프(120)에 나머지 110[v]의 전원이 걸리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전원 공급부(130)에서 제2 전압 실효치(즉, 110[v])가 공급될 때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a는 정방향으로 교류 전원이 흐를 경우의 전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v]의 전원이 공급되므로, 스위칭부(150)은 온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110[v]의 전원은 순차적으로 다이오드 2(D2), 제1 정착 램프(100) 및 스위칭부(150)를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1 정착 램프(100)에만 110[v]의 전원이 걸리고, 제2 정착 램프(120)에는 110[v]의 전원이 걸리지 않게 된다.
도 3b는 역방향으로 교류 전원이 흐를 경우의 전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v]의 전원이 공급되므로, 스위칭부(150)은 온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110[v]의 전원은 순차적으로 스위칭부(150), 제2 정착 램프(120) 및 다이오드 1(D1)를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2 정착 램프(120)에만 110[v]의 전원이 걸리고, 제1 정착 램프(100)에는 110[v]의 전원이 걸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화상 정착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 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 정착 시스템은 입력되는 전원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압을 정착 램프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정착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에 상관없이 제품의 통일화를 이룰 수 있고, 서로 다른 정착 시스템의 구현에 따른 제조 공정상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1 정착 램프 및 제2 정착 램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
    상기 전원의 제1 전압 실효치 또는 제2 전압 실효치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정착 램프 및 상기 제2 정착 램프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배전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전압 실효치로서 220[v]를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압 실효치로서 110[v]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원이 상기 제1 전압 실효치라면, 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원이 상기 제2 전압 실효치라면, 온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 실효치를 감지하고, 감지한 전압 실효치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압부는
    브리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압부는
    상기 제1 정착 램프에 병렬 연결된 제1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정착 램프에 병렬 연결된 제2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착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브리지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제1 및 제2 정착 램프의 단자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착 시스템.
  9.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
    상기 전원의 제1 전압 또는 제2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결과에 따라, 제1 부하 및 제2 부하에 상기 제1 전압 또는 상기 제2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2 전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2 전압의 2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전압이 공급되면, 온 스위칭 동작을 하고, 상기 제2 전압이 공급되면, 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공급된 전압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온 또는 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부는
    브리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브리지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제1 및 제2 부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부는
    상기 제1 부하에 병렬 연결된 제1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부하에 병렬 연결된 제2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KR1020060020388A 2006-03-03 2006-03-03 화상 정착 시스템 KR10078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388A KR100788683B1 (ko) 2006-03-03 2006-03-03 화상 정착 시스템
US11/588,310 US20070206968A1 (en) 2006-03-03 2006-10-27 Power supply and image fixing system using the same
EP06126117A EP1830231A2 (en) 2006-03-03 2006-12-14 Power supply and image fixing system using the same
CNA2006101723427A CN101030064A (zh) 2006-03-03 2006-12-30 电源及使用电源的定像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388A KR100788683B1 (ko) 2006-03-03 2006-03-03 화상 정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37A KR20070090537A (ko) 2007-09-06
KR100788683B1 true KR100788683B1 (ko) 2007-12-26

Family

ID=3808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388A KR100788683B1 (ko) 2006-03-03 2006-03-03 화상 정착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06968A1 (ko)
EP (1) EP1830231A2 (ko)
KR (1) KR100788683B1 (ko)
CN (1) CN1010300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3411B1 (en) * 2009-09-03 2021-12-15 TDK Corporation Wireless power feed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JP5577896B2 (ja) * 2009-10-07 2014-08-27 Tdk株式会社 ワイヤレス給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US8729736B2 (en) 2010-07-02 2014-05-20 Tdk Corporation Wireless power feed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02508417B (zh) * 2011-11-16 2014-06-1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打印机及其改装方法
JP6929116B2 (ja) * 2017-04-25 2021-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490A (ja) 1997-05-30 1998-12-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H11202674A (ja) 1998-01-09 1999-07-30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03886A (ja) 2003-06-11 2005-01-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490A (ja) 1997-05-30 1998-12-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H11202674A (ja) 1998-01-09 1999-07-30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03886A (ja) 2003-06-11 2005-01-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0064A (zh) 2007-09-05
EP1830231A2 (en) 2007-09-05
KR20070090537A (ko) 2007-09-06
US20070206968A1 (en)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2938B (zh) 調光器觸發電路、調光器系統及可調光元件
KR100788683B1 (ko) 화상 정착 시스템
CN104427727B (zh) 点亮装置、使用该点亮装置的前照灯设备以及车辆
CN104470055B (zh) 点亮设备以及使用该点亮设备的照明系统
JP2011003467A (ja) 照明装置
US8311425B2 (en) Fixing unit control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127040B1 (ko)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어형 pwm 구동방식의 led 조명 기기
JP6291920B2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534800B1 (ko) 기능성 전등 스위치의 정전압 누설전류 유기장치
KR101522694B1 (ko) 형광램프 대체형 회로장치를 이용한 led 램프
JP7108977B2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07200621A (ja)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7012267B2 (ja) 点灯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NL1006196C2 (nl) Schakelordening voor energievoorziening van de besturingselektronica van een tweeleiders-vermogensregelaar.
JP2002268411A (ja) 画像形成装置
KR20160056651A (ko) 순방향 전압 편차 보정 기능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JP2019207833A (ja) 照明用電源装置
KR101042090B1 (ko) 정전류 회로를 갖는 교류 발광다이오드 회로
JP2012159369A (ja) 電圧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128446B2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2003865A (ja) Led点灯装置
JP2019041298A (ja) 照明光通信装置および通信モジュール
JP3576735B2 (ja) 電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20150180360A1 (en) Universal voltage regulator and method of bypassing a voltage regulation unit in a voltage regulation apparatus
JP5956191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