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672B1 -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 Google Patents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672B1
KR100786672B1 KR1020060052016A KR20060052016A KR100786672B1 KR 100786672 B1 KR100786672 B1 KR 100786672B1 KR 1020060052016 A KR1020060052016 A KR 1020060052016A KR 20060052016 A KR20060052016 A KR 20060052016A KR 100786672 B1 KR100786672 B1 KR 100786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frame
duct
room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853A (ko
Inventor
장용수
Original Assignee
장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수 filed Critical 장용수
Priority to KR102006005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67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더운 공기가 방화문 및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하여, 방화문 및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더운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여서, 겨울철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방화문 및 프레임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게 함으로써, 실내에 위치하는 방화문 및 프레임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예방되게 하는 방화문 및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결로, 방지, 방화문, 프레임, 공기층

Description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FIRE DOOR AND FRAME FOR PREVENTING DEW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이 프레임에 닫힌 상태를 실내에서 본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방화문 103,113 ... 유입구멍
110 ... 덕트 114 ... 순환구멍
115 ... 배출구멍 120 ... 단열부재
121 ... 공기통로 200 ... 프레임
210 ... 측면프레임 220 ... 상부프레임
230 ... 하부프레임 213,223 ... 격벽
213a,223a ... 통로 214, 224 ... 유입구멍
본 발명은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더운 공기가 방화문 및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하여, 방화문 및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더운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여서, 겨울철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방화문 및 프레임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게 함으로써, 실내에 위치하는 방화문 및 프레임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예방되게 하는 방화문 및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현관문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방화문 및 프레임은 실외(out door)와, 실내(the room)에 모두 접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겨울철 실내와 실외의 심한 온도차에 의해 실내 쪽의 방화문 및 프레임에 물방울이 맺혔다가 흘러내리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로 현상은 계단식 아파트의 현관보다는 공동 주택 개념의 복도식 아파트 현관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도 금속제 방화문 및 프레임을 통한 결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 어려가지 개발되고 있는데, 대부분이 실내와 실외의 프레임부재 사이에 고무패킹을 하여 실외의 온도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게 하는 것으로, 실제 제작에 어려움이 있어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함께, 실생활에 있어 결로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겨울철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방화문 및 프레임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게 함 으로써, 실내에 위치하는 방화문 및 프레임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예방되게 하는 방화문 및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 공간에 단열부재가 채워지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덕트가 설치되게 하는 한편, 이 덕트의 양측면에 상기 단열부재를 향하는 순환구멍이 형성되게 하고, 실내에 위치하는 방화문의 하부면에 유입구멍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상기 덕트의 내부와 연결되게 하여 실내의 공기가 유입구멍을 통해 덕트로 들어가게 하는 동시에 순환구멍을 통해 방화문 내부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는 것과, 상기 덕트는 통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높이가 방화문의 내부 공간 높이와 같게 되며, 방화문의 내부 공간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수직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것과, 상기 단열부재는 덕트의 순환구멍과 대응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을 제공하는 한편, 내부 공간에 단열부재가 채워지는 금속제 방화문의 좌, 우 측면과 상부면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2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 중 실외와 연결되는 공간에는 충전부재가 채워지게 하며, 실내에 위치하는 공간에는 실내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하되, 각 프레임에는 유입구멍이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유입구멍은 높이 보다는 폭이 긴 직사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 나란히 형성되는 결로가 방지되는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100) 및 프레임(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화문(100)는 실외부(101)를 이루는 금속판체와, 실내부(102)를 이루는 금속판체의 사이공간에 허니콤 구조의 단열부재(120)가 채워지게 되고, 그 양쪽 측면과 상, 하부면도 금속판체로 막혀지게 되며, 내부 공간에 원기둥 또는 직육면의 통체로 되는 덕트(110)가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덕트(110)는 상기 방화문(100)의 내부 공간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게 되는 한편, 좌, 우와 앞, 뒤의 폭은 좁게 형성되고, 실내부(102)와 접하게 되는 하부에는 유입구멍(113)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양쪽 측면에는 상기 단열부재(120)를 향하게 되는 순환구멍(114)이 상, 하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의 유입구멍(113)은 상, 하의 높이 보다는 좌, 우의 폭이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 하로 나란히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110)는 도면상 외측면이 실외부(101)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고, 내측면이 실내부(102)의 내측에 접하게 되는데, 이 덕트(110)와 접하게 되는 상기 실내부(102)의 하부에는 상기 유입구멍(113)과 대응하게 되는 유입구멍(103)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덕트(110)의 상부와 접하게 되는 상부의 금속판체에는 수직으로 배출구멍(115)이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덕트(110)는 방화문(100)의 내부 공간에 하나가 설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이 수직을 이루면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는데, 덕트(110)의 양쪽 또는 사이마다 에는 단열부재(120)가 채워지게 되며, 단열부재(120)에는 상기 덕 트(110)의 순환구멍(114)과 대응하게 되는 공기통로(121)가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덕트(110)가 다수개 설치될 때에는 덕트(110)의 유입구멍(113)과 대응하게 실내부(102)의 하부에 유입구멍(103)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덕트(110) 상부의 금속판체에도 수직으로 배출구멍(115)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프레임(200)은 측면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 및 하부프레임(230)으로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측면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의 결로가 방지되게 한다.
상기 측면프레임(210)은 도 2 도시와 같이 실외 쪽에는 실외부(211)가, 실내 쪽에는 실내부(212)가 구비되는 도면상 앞, 뒤로는 길게 되고, 좌, 우로는 좁게 되는 직사각의 통체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을 평면에서 보아 좌, 우로 양분하되, 격벽(213)에 의해 분할 되게 하여 도면상 벽체에 위치하는 공간에는 충전부재가 채워지게 하고, 실내에 위치하는 공간에는 빈 통로(213a)가 형성되게 하며, 빈 통로(213a)의 실내 쪽에 위치하는 면의 상, 하부에는 다수개의 유입통로(214)가 형성되게 하여서 된다.
상기 유입통로(214)는 원형을 이룰 수 있으나, 도 4 도시와 같이 상, 하의 높이 보다는 좌, 우의 폭이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 하로 나란히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프레임(220)은 도 4 도시와 같이 실외 쪽에는 실외부(221)가, 실내 쪽에는 실내부(222)가 구비되는 도면상 앞, 뒤로는 길게 되고, 상, 하로는 좁게 되 는 직사각의 통체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20)의 내부 공간을 측면에서 보아 상, 하로 양분하되, 격벽(223)에 의해 분할 되게 하여 도면상 벽체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에는 충전부재가 채워지게 하고, 실내에 위치하는 공간에는 빈 통로(223a)가 형성되게 하며, 빈 통로(223a)의 실내 쪽에 위치하는 면의 좌, 우에는 다수개의 유입통로(224)가 형성되게 하여서 된다.
상기 유입통로(224)는 원형을 이룰 수 있으나, 도 3 도시와 같이 좌, 우의 폭 보다는 상, 하의 높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 우로 나란히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첫째, 방화문(100)의 결로 방지는, 실내의 더운 공기가 실내부(102)의 유입구멍(103)과, 덕트(110)의 유입구멍(113)을 통해 덕트(1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덕트(110)의 내부로 들어간 더운 공기는 도 4 도시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덕트(11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각 순환구멍(114)들을 통해 방화문(100)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게 되어 내부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며, 단열부재(120)의 공기통로(12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외의 차가운 공기는 실외부(101)의 외부면의 온도가 떨어지게 하나, 그 차가운 온도가 방화문(100)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층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실외의 차가운 공기는 실내부(102) 쪽으로는 전달되지 않게 되어 실내부(102)의 표면에는 결로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둘째, 측면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의 결로 방지는, 실내의 더운 공기 가 유입구멍(214)(224)들을 통해 통로(213a)(223a)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통로(213a)(223a)의 내부 공간을 순환하는 한편, 공기층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실외부(211)(221)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의 차가운 온도가 통로(213a)(223a)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층에 의해 차단되게 하여서, 실내부(212)(222) 쪽으로 전달되지 않게 하여 실내부(212)(222)의 표면에는 결로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상부프레임(220)은 방화문(100)의 각 덕트(110)로 들어간 실내의 더운 공기가 배출구멍(115)들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어 상부프레임(220)의 저면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실외부(221)의 근처에서 외부의 차가운 온도가 실내부(222) 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먼저 차단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의 더운 공기가 방화문의 유입구멍을 통해 방화문 내부의 덕트 내부로 들어가고, 덕트의 각 순환구멍을 통해 방화문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게 되어 방화문 내부 공간에 더운 공기층이 형성되어 겨울철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방화문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실내의 방화문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예방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실내의 더운 공기가 측면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각 유입구멍들을 통해 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는 한편, 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더운 공기층이 형성되어 겨울철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각 프레임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서, 실내의 프레임과 방화문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예방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내부 공간에 단열부재(120)가 채워지는 방화문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덕트(110)가 설치되는 한편, 이 덕트(110)의 양측면에 상기 단열부재(120)를 향하는 순환구멍(114)이 형성되고, 실내에 위치하는 방화문의 하부면에 유입구멍(103)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덕트(110)의 내부와 연결되게 하여 실내의 공기가 유입구멍(113)을 통해 덕트(110)로 들어가게 하는 동시에 순환구멍(114)을 통해 방화문 내부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120)는 덕트(110)의 순환구멍(114)과 대응하는 공기통로(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052016A 2006-06-09 2006-06-09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KR100786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16A KR100786672B1 (ko) 2006-06-09 2006-06-09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16A KR100786672B1 (ko) 2006-06-09 2006-06-09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853A KR20070117853A (ko) 2007-12-13
KR100786672B1 true KR100786672B1 (ko) 2007-12-21

Family

ID=3914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016A KR100786672B1 (ko) 2006-06-09 2006-06-09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78Y1 (ko) * 2010-10-05 2013-03-06 강동신 방화문 기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558B1 (ko) * 2016-03-31 2019-08-23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2027317B1 (ko) * 2017-10-31 2019-10-01 (주)삼선씨에스에이 차열용 방화문
CN108547556B (zh) * 2018-06-15 2024-03-19 深圳市华力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住宅避难门
KR101957216B1 (ko) * 2018-09-10 2019-03-12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
KR102538796B1 (ko) * 2021-08-19 2023-06-01 (주)삼선씨에스에이 결로방지 및 화재확산방지 구조 방화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8319U (ko) * 1995-10-13 1997-05-26 김종덕 방화문용 보강대
JPH102163A (ja) * 1996-06-17 1998-01-06 Daiken Trade & Ind Co Ltd 建築用開口部構成材
KR19990009102U (ko) * 1997-08-14 1999-03-05 조현식 통풍이 용이한 방화문
JP2001311366A (ja) * 2000-05-01 2001-11-09 Kinki Sharyo Co Ltd 換気機能付きドア
KR200355470Y1 (ko) * 2004-01-30 2004-07-07 주식회사 신흥강판 결로방지용 방화문
KR200368316Y1 (ko) * 2004-08-12 2004-11-18 대한주택공사 결로방지용 문틀 프레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8319U (ko) * 1995-10-13 1997-05-26 김종덕 방화문용 보강대
JPH102163A (ja) * 1996-06-17 1998-01-06 Daiken Trade & Ind Co Ltd 建築用開口部構成材
KR19990009102U (ko) * 1997-08-14 1999-03-05 조현식 통풍이 용이한 방화문
JP2001311366A (ja) * 2000-05-01 2001-11-09 Kinki Sharyo Co Ltd 換気機能付きドア
KR200355470Y1 (ko) * 2004-01-30 2004-07-07 주식회사 신흥강판 결로방지용 방화문
KR200368316Y1 (ko) * 2004-08-12 2004-11-18 대한주택공사 결로방지용 문틀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78Y1 (ko) * 2010-10-05 2013-03-06 강동신 방화문 기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853A (ko)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672B1 (ko)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KR101238125B1 (ko) 통기구조를 적용한 이중 창호
JP5656391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TWI656307B (zh) Building ventilation
JP2014510255A5 (ko)
RU25819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хлаждения
JP4594817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窓部換気構造
JP4551308B2 (ja) 開口部装置
WO2011065090A1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238120B1 (ko) 수평교차환기가 가능한 이중창호
JP2019049376A (ja) 建物のダブルスキン構造の換気制御システム及び換気制御方法
JP2004077113A (ja) エアシャッタ及びその設置方法
JP4170959B2 (ja) 建築物の外壁構造及び二重窓ユニット
JP5172741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NO301300B1 (no) Anordning for kjöling av romsluft
KR200368316Y1 (ko) 결로방지용 문틀 프레임
JP5271447B2 (ja) 窓構造体
JP2018016997A (ja) 建物の通気構造
JP4399406B2 (ja) 建具
KR20110100072A (ko) 결로방지가 가능한 방화문틀 구조
KR101989578B1 (ko) 방화 및 단열 문틀
RU170472U1 (ru) Рамный профиль для сборки блоков для закрытия оконных или дверных проемов
JP2004300839A (ja) 構造用合板を用いた外断熱建物における壁の構造
KR200480731Y1 (ko) 발포성 단열 소재를 이용한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JP2006316433A (ja) ドアの通気構造及び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