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470Y1 - 결로방지용 방화문 - Google Patents

결로방지용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470Y1
KR200355470Y1 KR20-2004-0002193U KR20040002193U KR200355470Y1 KR 200355470 Y1 KR200355470 Y1 KR 200355470Y1 KR 20040002193 U KR20040002193 U KR 20040002193U KR 200355470 Y1 KR200355470 Y1 KR 200355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ement
back plate
front plate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강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to KR20-2004-0002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3/7017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grating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차가운 외기와 접촉되는 앞판과, 따뜻한 내기와 접촉되는 뒤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에 다수의 열차단공을 형성함으로써, 방화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앞판에서 전도는 차가운 외기가 그대로 뒤판으로 전도되어 결로(結露)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하는 결로방지용 방화문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은 아연도금 강판을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앞판과 뒤판을 구비하고, 서로 마주보는 앞판의 후면과 뒤판의 전면에는 접착제로서 우레탄수지가 일정두께로 도포되며, 함께 체결된 앞판과 뒤판 사이에는 앞판의 뒷면과 뒤판의 앞면의 둘레를 따라서 사각 링 형상으로 보강재가 삽입 배치되어 우레탄수지에 의해서 접착 고정되고, 보강재의 내부에는 벌집형 코어가 채워진다. 이때, 보강재는 통상의 "ㄷ"자 형상을 가지는 형강으로 제작되고, 폭부분에는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되면서 앞판에서 전도되는 외기가 뒤판 까지 전달되지 못하도록 외기를 정체 및 소멸시키는 열차단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결로방지용 방화문{Fire door}
본 고안은 결로방지용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가운 외기와 접촉되는 앞판과, 따뜻한 내기와 접촉되는 뒤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에 다수의 열차단공을 형성함으로써, 방화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앞판에서 전도는 차가운 외기가 그대로 뒤판으로 전도되어 결로(結露)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하는 결로방지용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아연도금 강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앞판과 뒤판을 만들고 서로 마주보는 앞판의 뒷면과 뒤판의 전면에 보강재를 각각 용접시킨 후 보강재의 체결을 통하여 앞판과 뒤판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앞판과 뒤판 사이에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우레탄수지가 내장되거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통상의 허니콤이 내장되고, 또는 우레탄수지 및 허니콤이 동시에 내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화문은 출입구에 고정 장착된 프레임에 장착되고, 이러한 프레임의 일측 상하 모서리부분에는 방화문을 회동시키시 위한 힌지가 장착되며, 프레임의 내측으로는 방화문과 밀착되어 외부소음을 차단하는 방음 및 기밀용 가스켓이 장착된다.
그런데, 전술한 방화문은 차가운 외기와 접촉하는 앞판과 따뜻한 내기와 접촉하는 뒤판 사이에 배치된 보강재로 인하여 앞판에 접촉되는 외기가 보강재를 통하여 뒤판에 그대로 전도되기 때문에 뒤판에는 결로(結露)가 발생하여 뒤판이 손상되고 출입구 바닥에 결로(結露)로 인하여 생성된 물이 고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가운 외기와 접촉되는 앞판과, 따뜻한 내기와 접촉되는 뒤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에 다수의 열차단공을 형성함으로써, 방화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앞판에서 전도는 차가운 외기가 그대로 뒤판으로 전도되어 결로(結露)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하는 결로방지용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결로방지용 방화문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강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결로방지용 방화문 102 : 앞판
104 : 뒤판 106 : 우레탄수지
108 : 벌집형 코어 110 : 보강재
112 : 열차단공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아연도금 강판을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앞판과 뒤판을 구비하고, 서로 마주보는 앞판의 후면과 뒤판의 전면에는 접착제로서 우레탄수지가 일정두께로 도포되며, 함께 체결된 앞판과 뒤판 사이에는 앞판의 뒷면과 뒤판의 앞면의 둘레를 따라서 사각 링 형상으로 보강재가 삽입 배치되어 우레탄수지에 의해서 접착 고정되고, 보강재의 내부에는 벌집형 코어가 채워진 방화문에 있어서,
보강재는 통상의 "ㄷ"자 형상을 가지는 형강으로 제작되고, 폭부분에는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되면서 앞판에서 전도되는 외기가 뒤판 까지 전달되지 못하도록 외기를 정체 및 소멸시키는 열차단공이 형성된 결로방지용 방화문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가운 외기와 접촉되는 앞판과, 따뜻한 내기와 접촉되는 뒤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에 다수의 열차단공을 형성함으로써, 방화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앞판에서 전도는 차가운 외기가 그대로 뒤판으로 전도되어 결로(結露)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방화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결로방지용 방화문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강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결로방지용 방화문(100)은 아연도금 강판을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앞판(102)과 뒤판(104)을 구비하고, 서로 마주보는 앞판(102)의 후면과 뒤판(104)의 전면에는 접착제로서 우레탄수지(106)가 일정두께로 도포된다.
함께 체결된 앞판(102)과 뒤판(104) 사이에는 앞판(102)의 뒷면과 뒤판(104)의 앞면의 둘레를 따라서 사각 링 형상으로 보강재(110)가 삽입 배치되어 우레탄수지(106)에 의해서 접착 고정되고, 보강재(110)의 내부에는 벌집형 코어(108)가 채워진다.
이때, 보강재(110)는 통상의 "ㄷ"자 형상을 가지는 형강으로 제작되고, 아연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앞판(102)과 뒤판(104)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다. 또한 보강재(110)의 폭(breadth)부분에는 보강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열차단공(112)이 타공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재(110)에 형성된 열차단공(112)을 형성하여 보강재(110)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방화문(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열차단공(112)은 차가운 외기에 노출된 앞판(102)에서 전도되는 차가운 외기를 전달받고, 보강재(110)에 전달된 차가운 외기는 다시 보강재(110)의 폭부분으로 전달된 후 열차단공(112)에 의해서 차가운 외기는 정체되어 소멸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로방지용 방화문(100)은 앞판(102)과뒤판(104)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110)에 다수의 열차단공(112)을 타공 형성함으로써, 앞판(102)에 전달되는 차가운 외기의 흐름을 뒤판(104) 까지 전도되지 않게 차단 및 정체시켜 뒤판(104)에 발생하는 결로(結露)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아연도금 강판을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앞판(102)과 뒤판(104)을 구비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앞판(102)의 후면과 상기 뒤판(104)의 전면에는 접착제로서 우레탄수지(106)가 일정두께로 도포되며, 함께 체결된 상기 앞판(102)과 상기 뒤판(104) 사이에는 상기 앞판(102)의 뒷면과 상기 뒤판(104)의 앞면의 둘레를 따라서 사각 링 형상으로 보강재(110)가 삽입 배치되어 상기 우레탄수지(106)에 의해서 접착 고정되고, 상기 보강재(110)의 내부에는 벌집형 코어(108)가 채워진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10)는 통상의 "ㄷ"자 형상을 가지는 형강으로 제작되고, 폭부분에는 상기 보강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되면서 상기 앞판(102)에서 전도되는 외기가 상기 뒤판(104) 까지 전달되지 못하도록 상기 외기를 정체 및 소멸시키는 열차단공(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방화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10)는 상기 아연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앞판(102)과 상기 뒤판(104)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방화문.
KR20-2004-0002193U 2004-01-30 2004-01-30 결로방지용 방화문 KR200355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93U KR200355470Y1 (ko) 2004-01-30 2004-01-30 결로방지용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93U KR200355470Y1 (ko) 2004-01-30 2004-01-30 결로방지용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470Y1 true KR200355470Y1 (ko) 2004-07-07

Family

ID=4943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193U KR200355470Y1 (ko) 2004-01-30 2004-01-30 결로방지용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4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72B1 (ko) * 2006-06-09 2007-12-21 장용수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72B1 (ko) * 2006-06-09 2007-12-21 장용수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7130B2 (en) Fire shield flashing system and method
SK3632001A3 (en) Fire door or fire window
KR20200079859A (ko) 방화문 장치
JP2013119709A (ja) 防火ドア
KR101317217B1 (ko) 차열과 단열 및 밀폐 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PL200236B1 (pl) Płyta izolacyjna z wkładką uszczelniającą
KR200355470Y1 (ko) 결로방지용 방화문
US9845225B2 (en) Elevator landing door arrangement
JP3365609B2 (ja) 窓框の窓体取付構造
KR101311242B1 (ko) 방화문
JP2023002787A (ja) 防火パネル
JP2018031190A (ja) 防火サッシ
KR102538796B1 (ko) 결로방지 및 화재확산방지 구조 방화문
KR102595315B1 (ko) 간편 조립 끼움식 구조의 투시창 방화문
JP7002987B2 (ja) 防火建具
KR200430961Y1 (ko) 방화문 및 방화문용 문틀
GB2334675A (en) Intumescent ventilator
KR20070051653A (ko) 고층용 창호
KR101989578B1 (ko) 방화 및 단열 문틀
KR200344370Y1 (ko) 결로방지용 프레임
KR20190026419A (ko) 결로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 출입문 및 그 제조방법
JP7288948B2 (ja) 防火建具
JP7480008B2 (ja) 引戸装置
KR200350097Y1 (ko)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JP5976295B2 (ja) 扉取付け用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