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097Y1 -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097Y1
KR200350097Y1 KR20-2004-0002192U KR20040002192U KR200350097Y1 KR 200350097 Y1 KR200350097 Y1 KR 200350097Y1 KR 20040002192 U KR20040002192 U KR 20040002192U KR 200350097 Y1 KR200350097 Y1 KR 200350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er frame
fire door
inner frame
improved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강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to KR20-2004-0002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38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comprising short insulating elements disposed at interv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건축물에 형성된 출입구의 외측 및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용접 고정되어 연결차단체를 구비함으로써, 온도전달경로를 미리 차단하여 차가운 외기와 따뜻한 내기의 차이로 발생하는 결로(結露)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은 건축물의 출입구 외측 테두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냉간압연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면서 일측 상부 및 하부에는 통상의 방화문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가 장착된 외측프레임; 출입구의 내측 테두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냉간압연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면서 외측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측프레임; 및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된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에 양단이 용접 고정되어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차단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Frame for fire door}
본 고안은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형성된 출입구의 외측 및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용접 고정되어 연결차단체를 구비함으로써, 온도전달경로를 미리 차단하여 차가운 외기와 따뜻한 내기의 차이로 발생하는 결로(結露)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아연도금 강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앞판과 뒷판을 만들고 서로 마주보는 앞판의 뒷면과 뒷판의 전면에 서로 대응하는 보강재를 각각 용접시킨 후 보강재의 체결을 통하여 앞판과 뒷판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앞판과 뒷판 사이에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우레탄수지가 내장되거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통상의 벌집형 코어인 허니콤이 내장되고, 또는 우레탄수지 및 허니콤이 동시에 내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화문은 냉간압연강판을 절곡하여 출입구에 고정 배치된 프레임에 장착되고, 이러한 프레임의 일측 상하 모서리부분에는 방화문을 회동시키시 위한 힌지가 장착되며, 프레임의 내측으로는 방화문과 밀착되어 외부소음을 차단하는 방음 및 기밀용 가스켓이 장착된다.
그런데, 전술한 프레임은 실내와 실내를 경계로 일체화되어 형성되기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겨울철 차가운 외부온도가 프레임을 따라서 따뜻한 실내로 전도(傳導)되어 프레임 주변 벽체에는 결로(結露)가 발생하여 프레임의 외장을 손상시키뿐만 아니라 습기로 인하여 프레임 주변 벽체가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에 형성된 출입구의 외측 및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용접 고정되어 연결차단체를 구비함으로써, 온도전달경로를 미리 차단하여 차가운 외기와 따뜻한 내기의 차이로 발생하는 결로(結露)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a 및 3c는 연결차단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110 : 외측프레임
112 : 방화문 114a : 상부힌지
114b : 하부힌지 120 : 내측프레임
130 : 연결차단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출입구 외측 테두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냉간압연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면서 일측 상부 및 하부에는 통상의 방화문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가 장착된 외측프레임;
출입구의 내측 테두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냉간압연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면서 외측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측프레임; 및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된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에 양단이 용접 고정되어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차단체로 이루어진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에 형성된 출입구의 외측 및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용접 고정되어 연결차단체를 구비함으로써, 온도전달경로를 미리 차단하여 차가운 외기와 따뜻한 내기의 차이로 발생하는 결로(結露)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100)은 겨울철 차가운 외기에 접촉되는 외측프레임(110), 외측프레임(110)에 이격 배치되면서 따뜻한 실내 내기와 접촉되는 내측프레임(120) 및 외측프레임(110)과 내측프레임(120)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차단체(130)를 구비한다.
먼저, 외측프레임(110)은 통상의 건축물의 출입구(도시되지 않음) 외측 테두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냉간압연강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프레임(110)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는 통상의 방화문(112)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힌지(114a) 및 하부힌지(114b)가 고정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내측프레임(120)은 통상의 건축물의 출입구 내측 테두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냉간압연장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 이격되게 출입구에 장착 배치된다.
한편, 연결차단체(130)는 소정의 두께 및 소정이 폭을 가지는 판 형상을 가지면서 냉간압연강판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연결차단체(130)는 서로 마주보는 외측프레임(110)과 내측프레임(120)의 양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 양단이 용접 고정되고, 그 결과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은 서로 연결된다.
도 3a 및 3c는 연결차단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a 및 3c를 참조하면, 연결차단체(130)는 일단이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도 3a 참조). 연결차단체(130)는 양단이 동일한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도 3b 참조), 연결차단체(130)의 양단은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도 3c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냉간압연강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을 별도로 제작한다. 이와 같이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이 완성되면,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 하에서 다수의 연결차단체(130)를 용접 고정시켜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때, 연결차단체(130)는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이 유동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적절하게 개수를 조정하여 용접한다. 한편, 별도로 제작된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을 공사현장으로 이송한 후 공사현장에서 연결차단체(130)를 용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차단체(13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을 출입구에 장착한 상태 하에서 외측프레임(110)에 장착된 상부힌지(114a) 및 하부힌지(114b)에 통상의 방화문(112)을 선회가능하게 장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100)은 차가운 외기가 접촉되는 외측프레임(110)과 따뜻한 실내 내기와 접촉되는 내측프레임(120)을 별도로 제작함으로써, 프레임(100)을 제작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용 프레임(100)은 외측프레임(110)과 내측프레임(120)을 별도 제작한 후 출입구에 이격되게 장착 배치함으로써, 온도전달경로를 미리 차단하여 결로(結露)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의 고정을 위해 외측프레임(110) 및 내측프레임(120)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 연결차단체(130)를 구비함으로써, 온도전달경로를 최소화 하면서 외측프레임(110)과 내측프레임(120)을 강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건축물의 출입구 외측 테두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냉간압연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면서 일측 상부 및 하부에는 통상의 방화문(112)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힌지(114a) 및 하부힌지(114b)가 장착된 외측프레임(110);
    상기 출입구의 내측 테두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냉간압연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외측프레임(110)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측프레임(120); 및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된 상기 외측프레임(110)과 상기 내측프레임(120)에 양단이 용접 고정되어 상기 외측프레임(110)과 상기 내측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연결차단체(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차단체(130)는 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외측프레임(110)과 상기 내측프레임(120)의 양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 다수가 용접되고, 상기 연결차단체(130)는 냉간압연강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외측프레임(110) 및 상기 내측프레임(120) 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강을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차단체(130)는 일단이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차단체(130)는 양단이 동일한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차단체(130)는 양단은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KR20-2004-0002192U 2004-01-30 2004-01-30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KR200350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92U KR200350097Y1 (ko) 2004-01-30 2004-01-30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92U KR200350097Y1 (ko) 2004-01-30 2004-01-30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097Y1 true KR200350097Y1 (ko) 2004-05-13

Family

ID=4942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192U KR200350097Y1 (ko) 2004-01-30 2004-01-30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0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405B1 (ko) 2009-03-27 2009-11-06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 및 그 테두리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405B1 (ko) 2009-03-27 2009-11-06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 및 그 테두리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416U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283787B1 (ko) 시스템 창호
KR200350097Y1 (ko) 개선된 방화문용 프레임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EP3748101A1 (en) Building exterior panel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JPH10325279A (ja) 断熱形材
JP3571213B2 (ja)
JP3367012B2 (ja) サッシ窓
JP3393126B2 (ja) サッシ窓の施工方法
KR100758376B1 (ko) 고층용 창호
KR200344370Y1 (ko) 결로방지용 프레임
JP3393112B2 (ja) サッシ窓
KR200331498Y1 (ko) 방음문
JP2002242542A (ja) サッシ窓の製造方法
JP3393125B2 (ja) サッシ窓
CN218439007U (zh) 一种节能保温隔热门窗
CN210714342U (zh) 一种被动式超低能耗门窗结构
JP4039568B2 (ja) カーテンウオール
KR200344371Y1 (ko) 방음 및 내풍압용 개스킷
JP4128879B2 (ja) 複層ガラス用スペーサ
KR100722763B1 (ko) 방범창용 가드바 및 그 제조방법
KR101905727B1 (ko) 복합 도어 프레임
JP3145348B2 (ja) 断熱通風ドア
JP2001090416A (ja) サッシ施錠装置の受け具取付構造およびサッシ
JP4086395B2 (ja) サッシ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