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31Y1 - 발포성 단열 소재를 이용한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 Google Patents

발포성 단열 소재를 이용한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31Y1
KR200480731Y1 KR2020150004093U KR20150004093U KR200480731Y1 KR 200480731 Y1 KR200480731 Y1 KR 200480731Y1 KR 2020150004093 U KR2020150004093 U KR 2020150004093U KR 20150004093 U KR20150004093 U KR 20150004093U KR 200480731 Y1 KR200480731 Y1 KR 200480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uct
air inlet
cabin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텍
Priority to KR2020150004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발포성 단열 소재로 구성되어 열손실 및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응축수가 캐빈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성 단열 소재를 이용한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unified duct for air-conditioner for a cabin of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본 고안은 냉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발포성 단열 소재로 구성되어 열손실 및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응축수가 캐빈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이나 불도저와 같은 중장비의 운전석 공간을 캐빈이라 한다. 이러한 중장비 캐빈은 프레임 및 외장커버(18)가 철판으로 구성되고, 전면 및 측면이 유리로 구성되어 여름철에는 캐빈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기 때문에 냉방이 요구된다.
도 1 에는 이러한 중장비 캐빈(10)에 냉방용 에어컨(20)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중장비 캐빈(10)용 에어컨(20)은 캐빈(1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고, 캐빈(10)의 천정내장재(12)와 외장커버(18)(철판) 사이 공간에는 에어컨으로부터 배출되는 냉풍을 토출구(13)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호스(24)(덕트)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다수의 냉풍 전달 통로를 개별적인 호스형 덕트로 구성하여 각각 조립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조립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어 왔다.
특히, 이러한 호스형 덕트의 경우 플라스틱이나 금속 소재의 단일층 덕트로 구성되어 덕트 내부에서 외부로의 열손실이 크기 때문에 냉방 효율을 저하시킴과 아울러 덕트 내외부 및 캐빈 내외부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78962 호 중장비용 에어컨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73644 호 센서를 구비한 건설 중장비의 에어컨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2000-0004926호 중장비용 공조기의 내외기 도입장치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중장비 캐빈용 냉방 덕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일체형 성형 방식 덕트을 적용하여 복잡한 구조의 공기 통로를 단순화 시킴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발포 성형 소재를 사용하여 공기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중장비 캐빈용 냉방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는 캐빈의 천정내장재와 상부의 외장커버 사이에 내장되며, 발포성 단열 소재로 구성되고 내부에 냉풍이 이동하는 유로가 일체로 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는 후방측에 배치된 에어컨으로부터 냉풍이 유입되는 냉풍유입구와; 상기 냉풍유입구와 연통되어 냉풍을 수직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한 수직토출구와; 상기 냉풍유입구와 연통되어 냉풍을 수평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한 수평토출구와; 상기 냉풍유입구와 수평토출구를 연결하는 냉풍이송유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풍유입구는 상기 수직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냉풍유입구와, 상기 수평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냉풍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냉풍유입구와 수평토출구가 냉풍이송유로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직토출구의 상부 둘레에는 환형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냉풍유입구와 수직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의 저면은 수직토출구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풍이송유로와 수평토출구 사이에는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냉풍에 포함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저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저장부의 후방측에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배출공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일체형 성형 방식 덕트을 적용하여 복잡한 구조의 공기 통로를 단순화 시킴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발포 성형 소재를 사용하여 공기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풍에 포함된 응축수가 캐빈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통상적인 중장비 캐빈용 에어컨 및 호스 덕트의 설치 구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분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의 후방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의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100)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100)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전방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 캐빈용 에어컨(20)은 캐빈의 후방에 배치되되, 송풍기(22) 부분이 천정내장재(12)와 외장커버(18) 사이 공간에 냉풍을 토출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장커버(18)와 천정내장재(12) 사이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덕트(100)가 내장되고, 상기 일체형 덕트(100) 내부에 형성된 냉풍 유로를 통하여 에어컨(20)의 송풍기(22)로부터 냉풍이 이송되어 천정내장재(12)의 수평토출공(15) 및 수직토출공(14)을 통하여 캐빈 내부로 토출됨에 따라 냉방이 수행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덕트(100)는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과 같은 발포성 소재로 일체 성형 제작된다. 이러한 발포성 소재는 단열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열손실이 적고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유로를 개별적인 호스 덕트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금형으로 유로를 일체로 성형함에 따라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다.
도 3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덕트(10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 에는 도 3 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덕트(100)는 캐빈의 상부 너비에 상응하게 좌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좌우 양측은 각각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 형성됨에 따라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100)는 후방 일측에 냉풍유입구(110)가 구비된다. 상기 냉풍유입구(110)는 에어컨(20)의 송풍기(22) 토출구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냉풍을 덕트(100) 내부로 유입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덕트(100)에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후방에 냉풍유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냉풍유입구(110)는 제1냉풍유입구(111)와 제2냉풍유입구(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냉풍유입구(111)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풍을 수직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한 수직토출구(120)와 연결된다. 상기 수직토출구(120)는 덕트(100)의 내부에서 하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덕트(100)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냉풍유입구(111)의 상부 둘레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단턱(122)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냉풍유입구(111)를 통해 냉풍이 유입되는 경우 냉풍이 수직토출구(120)의 상부 환형단턱(122)에 부딛히게 되는데, 이 경우 냉풍을 구성하는 공기는 비교적 가볍기 때문에 환형단턱(122)에 부딛힌 후 환형단턱(122)을 넘어 수직토출구(120)를 통하여 캐빈 내부로 토출되는데 반해, 냉풍에 포함되어 있는 응축수(습기)는 공기보다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환형단턱(122)을 넘어가지 못하고 환형단턱(122)에 부딛힌 후 다시 제1냉풍유입구(111)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에 따라, 응축수가 캐빈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형단턱(122)에 부딛힌 응축수가 제1냉풍유입구(111)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제1냉풍유입구(111)와 수직토출구(120)를 연결하는 유로의 저면은 수직토출구(120)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냉풍유입구(111)의 일측에는 제2냉풍유입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냉풍유입구(112)는 덕트(100)의 수평 구간 내부에 형성된 냉풍이송유로(130)와 연통되고, 상기 냉풍이송유로(130)는 덕트(10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수평토출구(140)와 연통된다.
즉, 제1냉풍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냉풍은 덕트(1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수직토출구(120)를 통하여 캐빈 내부에 수직으로 토출되고, 제2냉풍유입구(112)를 통하여 유입된 냉풍은 냉풍이송유로(130)를 통하여 덕트(10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수평토출구(140)를 통하여 캐빈 내부에 수평으로 토출된다.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풍이송유로(130)와 수평토출구(140) 사이에는 응축수저장부(132)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저장부(132)는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수용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냉풍이송유로(130)를 통해 이동하던 냉풍에 포함된 공기는 비교적 가볍기 때문에 응축수저장부(132)로 유입된 후 내벽에 부딛히거나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승하여 다시 응축수저장부(132)를 빠져나가고 결국 수평토출구(140)를 통해 배출됨에 반하여, 냉풍에 포함된 응축수는 공기에 비해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응축수저장부(132)의 내벽에 부딛히면서 아래로 하강하여 오목한 수용공간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수평토출구(140)를 통하여 응축수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응축수저장부(132)에는 후방측에 응축수배출공(134)이 형성되어 일시 저장된 응축수를 후방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캐빈 12 : 천정내장재
13 : 토출구 14 : 수직토출공
15 : 수평토출공 18 : 외장커버
20 : 에어컨 22 : 송풍기
24 : 호스 100 : 덕트
110 : 냉풍유입구 111 : 제1냉풍유입구
112 : 제2냉풍유입구 120 : 수직토출구
122 : 환형단턱 130 : 냉풍이송유로
132 : 응축수저장부 134 : 응축수배출공
140 : 수평토출구

Claims (6)

  1. 중장비 캐빈용 에어컨(20)으로부터 배출되는 냉풍을 이송하는 덕트(100)로서,
    캐빈의 천정내장재(12)와 상부의 외장커버(18) 사이에 내장되며, 발포성 단열 소재로 구성되고 내부에 냉풍이 이동하는 유로가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덕트(100)는 후방측에 배치된 에어컨(20)으로부터 냉풍이 유입되는 냉풍유입구(110)와, 상기 냉풍유입구(110)와 연통되어 냉풍을 수직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한 수직토출구(120)와, 상기 냉풍유입구(110)와 연통되어 냉풍을 수평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한 수평토출구(140)와, 상기 냉풍유입구(110)와 수평토출구(140)를 연결하는 냉풍이송유로(130)를 포함하고;
    상기 냉풍유입구(110)는 상기 수직토출구(120)와 연통되는 제1냉풍유입구(111)와, 상기 수평토출구(140)와 연통되는 제2냉풍유입구(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냉풍유입구(112)와 수평토출구(140)가 냉풍이송유로(1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수직토출구(120)의 상부 둘레에는 환형단턱(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냉풍유입구(111)와 수직토출구(120)를 연결하는 유로의 저면은 수직토출구(120)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이송유로(130)와 수평토출구(140) 사이에는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냉풍에 포함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저장부(132)가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저장부(132)의 후방측에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배출공(1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KR2020150004093U 2015-06-19 2015-06-19 발포성 단열 소재를 이용한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KR200480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93U KR200480731Y1 (ko) 2015-06-19 2015-06-19 발포성 단열 소재를 이용한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93U KR200480731Y1 (ko) 2015-06-19 2015-06-19 발포성 단열 소재를 이용한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31Y1 true KR200480731Y1 (ko) 2016-06-30

Family

ID=5634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093U KR200480731Y1 (ko) 2015-06-19 2015-06-19 발포성 단열 소재를 이용한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31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2834A (ja) * 1997-12-26 1999-07-21 Zexel:Kk クーリングユニット
KR20000004926A (ko) 1996-04-01 2000-01-25 슈왈크비크 피터 코넬리스 ; 훼트 귄터 광-전자 성분 및 도파관의 하이브리드 집적화 방법 및 집적화된전자-광 디바이스
JP2002067657A (ja) * 2000-09-04 2002-03-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空気調和機を取り付けるキャビンの構造
JP2007231520A (ja) * 2006-02-27 2007-09-13 Komatsu Ltd 作業車両用キャブ
JP2010149731A (ja) * 2008-12-25 2010-07-08 Kubota Corp 作業車の空調構造
KR20110073644A (ko) 2009-12-24 2011-06-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센서를 구비한 건설 중장비의 에어컨 시스템
KR101278962B1 (ko) 2012-10-12 2013-07-05 박광신 중장비용 에어컨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926A (ko) 1996-04-01 2000-01-25 슈왈크비크 피터 코넬리스 ; 훼트 귄터 광-전자 성분 및 도파관의 하이브리드 집적화 방법 및 집적화된전자-광 디바이스
JPH11192834A (ja) * 1997-12-26 1999-07-21 Zexel:Kk クーリングユニット
JP2002067657A (ja) * 2000-09-04 2002-03-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空気調和機を取り付けるキャビンの構造
JP2007231520A (ja) * 2006-02-27 2007-09-13 Komatsu Ltd 作業車両用キャブ
JP2010149731A (ja) * 2008-12-25 2010-07-08 Kubota Corp 作業車の空調構造
KR20110073644A (ko) 2009-12-24 2011-06-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센서를 구비한 건설 중장비의 에어컨 시스템
KR101278962B1 (ko) 2012-10-12 2013-07-05 박광신 중장비용 에어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305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625239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10024570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CN102428331B (zh) 无霜致冷设备
KR20100097511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91951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160031230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17009263A (ja) 空気調和機
CN104567180A (zh) 风冷冰箱
KR1020117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3827607B (zh) 冷藏库
KR100786672B1 (ko) 결로가 방지되는 방화문 및 프레임
KR200480731Y1 (ko) 발포성 단열 소재를 이용한 중장비 캐빈용 일체형 냉방 덕트
JP2014020685A (ja) 冷蔵庫
DK177870B1 (en) A cooling unit for a climatized cabinet
KR10209490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N106839592B (zh) 冰箱
US10132554B2 (en) Air conditioner with cover
ES2545060T3 (es) Bandeja de condensados y aparato de tratamiento de aire equipado con tal bandeja
KR101294247B1 (ko) 블럭 조립식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JP5430371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538215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5591218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EP2600075A2 (en) Molded par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0780792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