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037B1 -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 Google Patents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037B1
KR100786037B1 KR1020070055763A KR20070055763A KR100786037B1 KR 100786037 B1 KR100786037 B1 KR 100786037B1 KR 1020070055763 A KR1020070055763 A KR 1020070055763A KR 20070055763 A KR20070055763 A KR 20070055763A KR 100786037 B1 KR100786037 B1 KR 10078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valve
groove
master key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to KR102007005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037B1/ko
Priority to US12/663,674 priority patent/US8585010B2/en
Priority to PCT/KR2007/003322 priority patent/WO2008150043A1/en
Priority to EP20070768662 priority patent/EP2165102A4/en
Priority to TW96136182A priority patent/TWI33119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069With lock or seal
    • Y10T137/7131Common lock and valve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069With lock or seal
    • Y10T137/7256Locks against rotary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615Valve
    • Y10T70/5619Locked station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핸들조작시 핸들과 스템이 동시에 승하강되는 밸브류에 있어서,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스템에 끼워지며 수직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단부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면부 가장자리에는 가상적인 원을 이루면서 다수의 락킹홈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 상면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스템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락킹홈에 대응하는 하나의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과 동일축상 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이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수직홈과 락킹홈에 설치되어 핸들과 캡을 서로 구속시켜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키홈을 통해서 투입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잠김 상태가 해제되어 핸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한 밸브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밸브, 마스터키, 스템, 캡, 승하강, 안전, 락킹수단

Description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Valve operated by a master-key}
도1은 기존 니들밸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니들밸브의 구성도.
도3은 캡의 평면도.
도4는 회전방지수단으로 안내슬롯이 적용된 경우의 니들밸브의 구성도.
도5는 캡에 트랙형 락킹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캡의 평면도.
도6은 상기 락킹홈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의 부분 단면도.
도7은 바람직한 마스터키의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8은 락킹수단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9은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밸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10은 핸들의 평면도.
도11은 제3실시예로서 다이아프램 밸브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12는 스템에 핸들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핸들 110 : 수직홈
120 : 키홈 130 : 락킹수단
130a: 탄성체 130b: 로드핀 130c: 스토퍼 131 : 유도구간
200 : 바디 210 : 회전방지수단
300 : 스템 310 : 천공홀
320 : 날개편 400 : 캡
410 : 락킹홈 415 : 슬로프면
420 : 구속수단 420a: 지지단
420b: 스냅링 500 : 덮개판
510 : 요철 M : 마스터키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허가받은 자만이 밸브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뜻하지 않은 사고와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관한 기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밸브 중에서도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유로를 단속하는 스템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밸브에 적용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와 관련된다.
산업전반에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물질을 수송하기 위한 관(파이프)가 사용 되는데, 이러한 관에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가 필수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밸브에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유량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밸브에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존재하는데 용도에 맞게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중요한 밸브로는 볼밸브, 버터플라이밸브, 게이트밸브, 안전밸브, 다이아프램밸브, 니들밸브, 글로브밸브, 앵글밸브 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스템과 연결되는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핸들과 스템이 작동하여 유량 조절 혹은 개폐가 이루어지는 방식의 밸브와 관련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종래의 니들밸브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1은 기존 니들밸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에 해당된다.
니들밸브는 스템(1) 하단부에 디스크가 연결되어져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의 기본 외형을 이루는 바디(2)와 상기 바디(2)의 상단부로 돌출되는 스템(1)과 상기 스템과 연결된 핸들(3)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2)의 상단부에는 너트(4)가 체결되어져 누설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게 되는데, 상기 너트는 항상 고정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핸들을 회전시키면 핸들과 스템은 동시에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니들밸브에는 핸들 조작을 제한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누구나 핸들을 조작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밸브가 위험시설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소한 밸브 개폐조작의 실수로 인해 막대한 재산상 또는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 었다.
따라서 안전이 중요시되는 산업시설 등에 사용되는 밸브에는 부가적인 안전장치를 설치할 필요성이 있고 세심한 관리가 요청되므로 이로 인한 비용발생이 생기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니들밸브, 다이아프램 밸브, 혹은 엘피지 가스통 등에 사용되는 가스밸브와 같이 스템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밸브류에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허가받은 자만이 밸브 개폐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 밸브의 형태 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밸브 자체에 안전장치가 부가되는 구조의 밸브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유로 개폐를 위한 핸들이 바디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은 스템 상단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바디 내부의 유로를 여닫게 되는 밸브에 있어서,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스템에 끼워지며 수직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단부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면부 가장자리에는 가상적인 원을 이루면서 다수의 락킹홈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 상면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스템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락킹홈에 대응하는 하나의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과 동일축상 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이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수직홈과 락킹홈에 설치되어 핸들과 캡을 서로 구속시켜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키홈을 통해서 투입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잠김 상태가 해제되어 핸들의 조작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수직홈 내부에 내장되는 탄성체와; 상단부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하단부는 락킹홈에 끼워지며 상단부 근처 외면에 유도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도구간이 수직홈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에 부분적으로 걸치게 되는 로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마스터키가 키홈을 통해서 투입되어 상기 유도구간과 접촉됨에 따라 상기 로드핀이 상승되어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도구간은 직경이 감소되어 함몰되는 넥(neck) 형태인 것으로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캡의 락킹홈에 내장되는 탄성체와; 하단부가 상기 탄성체와 맞닿게 설치되어 상단부가 캡 상면부로 출몰되는 스토퍼와; 상기 수직홈에 설치되되, 하단부는 상기 스토퍼와 맞닿게 되며 상단부는 수직홈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으로 돌출되는 로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수직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형성되는 잠김상태를 키홈을 통해서 마스터키를 투입시킴으로 상기 로드핀을 하방으로 눌러 수직홈에 삽입되었던 스토퍼를 락킹홈 내부로 이동시켜 잠김 상태가 해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캡의 락킹홈에 내장되는 탄성체와; 하단부가 상기 탄성체와 맞닿게 설치되어 상단부가 캡 상면부로 출몰되는 스토퍼와; 상기 수직홈에 설치되되, 하단부는 상기 스토퍼와 맞닿게 되며 상단부는 수직홈과 동일축상으로 핸들 상부면을 관통하는 키홈으로 이어지는 로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수직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형성되는 잠김상태를 키홈을 통해서 마스터키를 투입시킴으로 상기 로드핀을 하방으로 눌러 수직홈에 삽입되었던 스토퍼를 락킹홈 내부로 이동시켜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상측 근처 외면에 함입된 쇄기홈이 더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 비상 상황시에는 외력을 가해 쇄기홈에서 파단이 일어나 잠김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키홈과 수직되게 관통되는 암나사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볼트로서 상기 키홈에 투입된 마스터키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캡이 결합되는 상단부에 상기 캡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으로는 다각형 너트 또는 안내슬롯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캡은, 스템 또는 핸들에 구비되는 구속수단에 의해서 핸들의 승하강시 동시에 상기 캡도 승하강 동작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스템 또는 핸들에 결합되는 스냅링이거나 상기 스템에 직경을 달리함으로서 마련되는 지지단 중 어느 하나로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캡의 락킹홈은, 원형, 다각형 또는 트랙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락킹홈은 오픈 또는 클로즈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는 핸들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슬로프면으로 이루어져 록킹로드의 하단부가 상기 슬로프면과 접촉되면서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템에 대해 핸들의 유격을 두기 위해 스템 상단부에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홀에는 핀을 삽입하며, 상기 핀과 맞닿도록 핸들 측면을 통해서 볼트를 결합시켜 핸들에 유격이 생기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스템의 결합은, 핸들 상면부로부터 관통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스템에 연결하되 상기 핸들에 유격을 주기 위해 상기 스템에는 날개편을 두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는 핸들에는 상기 날개편 보다 넓게 파여진 날개홈이 구비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스템의 결합은, 핸들과 스템 사이에 상기 스템과 볼트로 구속되는 덮개판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판과 핸들은 암수를 이루는 다수의 치형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고, 핸들에 유격을 주기 위해 상기 스템에 끼워지는 상기 덮개판의 내경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들간의 1피치 범위에서 핸들의 유격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니들밸브, 다이아프램 밸브, 가스밸브 등과 같은 핸들과 스템의 수직이동으로 유로가 개폐되는 밸브류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캡 사이에 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키홈은 원형, 다각형, 이형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이하, "밸브"라 부른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방편으로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요지는 단순한 구조나 형태가 아닌 기술적 사상에 있는 것이므로 이하 제시되는 도면은 하나의 일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임을 지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정도의 단순한 구조적, 형태적 변경을 가미한 실시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님을 또한 지적한다.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모든 실시예들에 공통되는 기본적인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의 밸브는 기본적으로 유로 개폐를 위한 핸 들(100)이 바디(200)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100)은 스템(300) 상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핸들과 스템은 동시에 상하로 이동되어 유로를 여닫게 되는 밸브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200)의 상단부에 캡(4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캡(400)의 하부는 개구되어 바디 상단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캡(400)은 바디(200)로부터 돌출되는 스템(300)에 끼워진 형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캡(400)의 상면부에는 다수의 락킹홈(410)이 가상적인 원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캡(400)은 바디(200) 상단부에 씌워진 채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며 핸들 (100) 및 스템(300)의 회전시에도 상기 캡(400)은 회전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수직운동 된다.
한편, 상기 스템(300) 상부와 연결되며 캡(400) 상면부와 접촉되는 핸들(100)이 구비되는데, 상기 핸들(100)에는 서로 교차되거나 동일축상을 이루는 수직홈(110)과 키홈(120)이 마련된다. 특히 상기 수직홈(110)은 상기 캡(400) 상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락킹홈(410)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수직홈(110)은 핸들(100) 하면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수직홈이 구비되는데 상기 핸들이 회전되면 어느 락킹홈과도 일치된다. 그리고 상기 키홈(120)은 핸들(100)의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직홈(110)과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혹은 수직홈(110)과 동일축상에 위치되도록 핸들(100) 상면부로부터 수직홈(110)에 연결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밸브는 락 상태인 핸들(100)을 조작하기 위해서 마스터 키(M)를 이용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는데, 핸들(100)과 캡(400)을 서로 구속시켜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편으로 락킹수단(130)이 구비된다. 상기 락킹수단(130)은 핸들(100)에 형성되는 수직홈(110)과 캡(400)에 형성되는 락킹홈(410)에 설치되는 것이며, 락 상태일 때는 핸들의 회전이 불가하다. 락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키홈(120)을 통해서 마스터키(M)를 삽입시켜 상기 핸들과 캡 간의 구속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상기 락킹수단(130)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형태 등은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는 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락킹수단(130)으로서 채택될 수 있는 첫번째 락킹수단은 탄성체(130a)와 로드핀(1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30a)는 수직홈(110) 내부에 내장되며 로드핀(130b) 역시 수직홈(110)에 설치된다. 상기 로드핀(130b)의 상단부는 상기 탄성체(130a)에 의해 지지되며 로드핀(130b)의 하단부는 캡(400)에 형성되는 다수의 락킹홈(410)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로드핀(130b)의 상단부 근처 외면에는 유도구간(131)이 마련되는데 유도구간이라 함은 핸들과 캡을 구속상태로 유지하는 로드핀을 상승시켜 락 상태를 해제함에 필요한 부분을 의미한다. 키홈을 통해서 투입되는 마스터키가 로드핀을 상승시킴에 상기 유도구간이 관여하게 된다. 상기 로드핀(130b) 구비되는 유도구간(131)은 수직홈(110)에 설치되되 상기 수직홈(110)과 직교되게 형성되는 키홈(120)에 부분적으로 걸치게 된다. 즉, 상기 로드핀(130b)이 하사점에 있을 때 유도구간(131)의 상 단부가 키홈(120)에 드러나게 되며, 상기 키홈(120)을 통해서 마스터키(M)가 삽입되면 상기 마스터키의 단부가 상기 유도구간(131)과 접촉되고 마스터키가 점차 삽입됨에 따라 로드핀(130b)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유도구간의 형태와 마스터키의 형상은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고 유도구간의 형태에 맞게 마스터키의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두번째 락킹수단(130)은 탄성체(130a), 스토퍼(130c) 및 로드핀(130b)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130a)는 캡(400)의 락킹홈(410)에 내장되며 상기 탄성체의 상부로 스토퍼(130c)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130c)의 하단부는 탄성체(130a)와 맞닿게 되며 탄성체의 탄성으로 인해 스토퍼는 상하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130c)의 상단부는 캡(400) 상면부보다 돌출되어 수직홈(110)에 끼워진 상태를 이룬다. 상기 수직홈(110)에는 로드핀(130b)이 설치되는데 상기 로드핀(130b)의 하단부는 스토퍼(130c)의 상단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로드핀(130b)의 상단부는 수직홈(1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120)으로 돌출된다. 상기 로드핀(130b)과 다수의 스토퍼(130c) 중 어느 하나가 동일축상에 있게 되면 스토퍼(130c)가 로드핀(130b)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면서 상기 스토퍼(130c)의 상단부는 상기 수직홈(110)에 삽입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 스토퍼(130c)가 락킹홈(410)과 수직홈(110) 모두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핸들(100)이 회전될 수 없는 락 상태가 되며, 락 상태의 해제를 위해서는 키홈(120)을 통해서 마스터키(M)를 삽입시켜 로드핀(130b)을 하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마스터키(M)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로드핀(130b)은 스토퍼(130c)를 눌러 스토퍼가 락킹홈(410) 내부로 들어가도록 동작된다.
세번째 락킹수단의 경우 탄성체, 스토퍼 및 로드핀을 포함하게 됨은 두번째 경우와 동일하나, 특히 수직홈과 키홈이 동일축상으로 형성되어 마스터키의 삽입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한편, 상기 락킹수단(130)을 구성함에 있어서 스토퍼(130c)를 두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의 상측 외면에 함입된 쇄기홈(132)이 형성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한데, 락 상태일 때 상기 쇄기홈이 핸들과 캡의 경계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쇄기홈(132)은 가장 취약한 부위가 되며 마스터키가 없거나 긴급한 상황시에 핸들에 큰 힘을 가해서 쇄기홈 부위에서 파단이 생기게 할 수 있다. 상기 쇄기홈에서 파단이 일어나면 스토퍼는 더 이상 핸들과 캡을 구속하지 못하는 상태로 되며 따라서 핸들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100)에는 키홈(120)을 통해 삽입되는 마스터키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암나사부(140)를 두도록 함이 좋다. 상기 암나사부(140)에는 볼트가 결합되며 상기 키홈과 수직을 이루면서 관통됨으로써 상기 볼트를 이용하여 마스터키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이름을 달리하지만 기본적인 동작방식이 핸들과 스템이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승하강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며 핸들조작이 엄격히 제한되므로 안전확보에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로서 먼저 도2와 같은 니들밸브에 적용된 경 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니들밸브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3은 캡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들밸브는 기본적으로는 바디(200)와 핸들(100) 및 스템(300)을 구비하며, 더 나아가 캡(400), 락킹수단(130) 및 핸들에 형성되는 수직홈(110)과 키홈(120)이 더 갖추어진다.
상기 캡(400)은 바디(200) 상단부에 수직이동만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캡(400)의 내면부위가 감싸게 되는 바디(200)의 상단부는 회전방지수단(210)이 된다. 상기 회전방지수단(210)으로 인해 상기 캡(400)은 회전되지는 않고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210)으로는 다각형 너트나 안내슬롯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다각형 너트를 회전방지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다각형 너트는 일반적인 니들밸브에서 바디 상단부에 결합되는 부품에 해당된다. 다각형 너트로는 육각형, 팔각형 등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것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캡의 내면부는 상기 다각형 너트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태로 가공 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캡을 다각형 너트에 맞추어 끼울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방지수단(210)으로 다각형 너트와 같은 것을 사용함이 가장 경제적인데 너트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회전방지수단(210)으로 안내슬롯을 적용할 수 있는데 도4와 같은 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캡(400)이 씌워지는 바디(200) 상단부 측면에 안내슬롯(210a)으로 수직방향으로 길다란 트랙형상의 홈을 두고 상기 캡(400)의 내면에는 상기 안내슬롯(210a)에 끼워 지도록 돌출된 안내돌기(210b)를 두어서 상기 캡이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캡(400)의 상면부에는 락킹홈(410)이 다수개 형성되는데, 가상적인 원을 이루게 되며 락킹홈(410)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미세한 조작이 필요한 경우라면 가급적 락킹홈을 조밀하게 두어 많은 갯수를 갖추도록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90도 간격으로 2개 또는 4개만을 둘 수도 있다.
상기 캡(400)은 스템(300)에 끼워져 바디(200) 상단부에 씌워지며 핸들(100) 및 스템(300)과 함께 항상 동시에 승하강되어야 하므로 스템(300) 또는 핸들(100)에 구속수단(420)을 두어서 상기 구속수단(420)에 의해 상기 캡(40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수단(420)으로 도2와 같이 스템(300)에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형성되는 지지단(420a)을 두도록 하였고, 상기 지지단(420a)에 캡(400)이 맞닿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지지단(420a)으로 인해 캡(400)은 항상 스템(300)의 수직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스템(300)의 수직이동 없이는 어떠한 외력으로도 상기 캡(400) 만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핸들(100)을 회전시킬 수 없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속수단(420)으로 지지단(420a)을 활용하였으나 스냅링(420b)을 사용하여 캡(400)을 구속시킬 수도 있다. 즉,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지지단 대신에 상기 스템 외면에 원형의 홈을 만들고 스냅링을 결합시켜 상기 스냅링에 의해서 캡이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캡(400)의 상면부에는 다수의 락킹홈(410)이 형성되 는데 상기 락킹홈(410)의 형상은 원형, 다각형 또는 트랙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5는 캡에 트랙형 락킹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캡의 평면도에 해당된다. 정원에 비교하여 트랙형 락킹홈(410)을 두게 되면 핸들 조작시 로드핀(130b)이 락킹홈(410)에 보다 쉽게 결합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6은 상기 락킹홈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부분 단면도를 보여준다.
경우에 따라서 밸브의 조작과 관련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만 밸브조작을 엄격히 제한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즉, 밸브의 오픈이나 클로즈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는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해도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6과 같이 상기 락킹홈(410)의 일측은 직각으로 형성시키고 타측에는 슬로프면(415)을 두어서 상기 락킹홈(410)에 결합되는 로드핀(130b)의 하단부가 상기 슬로프면(415)과 접촉되면서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슬로프면(415)이 형성된 방향으로 핸들(100)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별도의 마스터키(M)를 이용하여 로드핀(130b)를 조작시킬 필요가 없게 됨을 의미하며,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반드시 마스터키(M)가 있어야만 조작이 가능하다.
상기 핸들(100)에는 교차되게 수직홈(110)과 키홈(1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수직홈(110)과 락킹홈(410)에는 락킹수단(130)이 설치된다. 상기 락킹수단(130)은 로드핀(130b)과 탄성체(130a)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드핀(130b)이 탄성체(130a)인 스프링 등과 같은 것에 의해 상단부가 지지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핀(140)은 탄성체(130)에 의해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되고 따라서 상기 로드핀(130b)의 하단 부는 캡(400)의 락킹홈(410)에 끼워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로드핀(130b)의 하단부가 락킹홈(41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핸들(100) 조작이 불가능하며, 핸들 조작을 위해서는 상기 로드핀(130b)을 상승시켜 락킹홈(410)으로부터 이탈되게 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키홈(120)을 통해서 삽입되어 상기 로드핀(130b)을 상승시킬 수 있는 마스터키(M)가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로드핀(130b)의 상단 근처 외면에 유도구간(131)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넥(neck)부를 두도록 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마스터키의 형상을 만들어 마스터키가 키홈을 따라 삽입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로드핀이 상승되도록 하였다.
첨부되는 도7은 바람직한 마스터키의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일측 단부는 경사면을 이루면서 두 갈래로 나누어지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두 갈래로 나누어진 부분을 포크날(P)이라 부르며 상기 포크날(P)이 유도구간(131)과 접촉된 상태로 마스터키(M)가 점차 키홈(120)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경사면으로 인해 로드핀(130b)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유도구간(131) 및 이에 대응하게 성형되는 마스터키는 제시된 넥(neck) 형태 외에도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 예로는 상기 로드핀 상단부 근처에 관통되는 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마스터키 단부가 홀에 삽입됨에 따라 로드핀이 점차 상승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실시예로서 제시된 니들밸브에 있어서 상기 핸들(100)은 캡(400)의 상면부를 통해 관통되는 스템(300)의 상단부와 고정됨으로써 핸들(100)의 회전력이 스템(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핸들(100)과 스템(30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단순 히 볼트로 고정시키거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수단이 동원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경우에는 핸들(100)에 설치되는 로드핀(130b)이 캡(400)에 마련되는 락킹홈(41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핸들(100)을 회전시켰을 때 락킹홈(410)에 로드핀(130b)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되면 맞을때 까지 미세한 조작을 실시해야만 한다. 즉, 이것은 스템과 핸들이 유격없이 완전 고정된 형태로 연결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밸브는 핸들(100)과 스템(300)간에 유격없이 완전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포함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핸들과 스템의 결합시 핸들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템(300) 상단부에 천공홀(310)을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홀(310)에 핀(102)을 삽입한 후 핸들(100) 측면을 통해서 볼트(101)를 체결하여 상기 볼트(101)가 핀(102)을 가압하는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핸들과 스템간에 유격이 생겨 로드핀을 락킹홈에 원활히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상기 볼트와 핀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천공홀에 핀에 상당하도록 비나사부로 매끈하게 가공된 볼트 말단부를 끼우도록 하고 볼트의 나사부는 핸들과 나사결합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천공홀에 끼워지는 볼트의 비나사부의 직경은 천공홀 보다는 작으므로 핸들에 유격을 부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캡(400)과 바디(200) 상단면과의 사이에 스프링(S)이 설치되는 구조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S)은 그 자체가 특별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캡(400)을 상측으로 밀어 핸들(100) 하부면과 캡(400) 상부면이 적절한 접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스템에 설치되는 구속수단으로서의 스냅링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서 캡은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첨부되는 도8은 또 다른 락킹수단의 실시가능한 예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에 해당된다. 여기에 제시되는 락킹수단(130)들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임을 지적하며, 핸들과 캡을 구속하되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핸들의 락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상기 락킹수단(130)으로 언급한 유도구간(131)을 갖는 로드핀(130b)과 탄성체(130a) 외에 로드핀(130b), 스토퍼(130c) 및 탄성체(130a)를 갖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130a)는 락킹홈(410)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130a) 위로 스토퍼(130c)가 놓이게 된다. 상기 스토퍼(130c)는 탄성체(130a)에 의해 상측으로 힘을 받게 되며 수직홈(110)에는 로드핀(130b)이 삽입되어있다. 상기 수직홈(110)과 락킹홈(410) 중 어느 하나가 일치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130c)의 상단부가 로드핀(130b) 하단부를 밀어올리면서 캡(400) 상면부로부터 돌출되어 수직홈(110)에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130c)가 락킹홈(410) 및 수직홈(110) 양측 모두에 걸친 상태가 되면 핸들(100)은 락 상태로 되어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며, 핸들 조작을 위해서는 키홈(120)을 통해서 마스터키(M)를 삽입하여 로드핀(130b)을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스토퍼(130c)가 락킹홈(410) 내부로 들어가게 한 후에야 핸들 조작이 가능하다.
수직홈(110)에 설치되는 로드핀(130b)을 조작하기 위해 키홈(120)이 형성되 는데, 상기 키홈(120)은 수직홈(110)과 직교되는 방향 또는 동일축상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키홈의 방향은 밸브가 사용될 장소 등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키홈(120)에 삽입되어 락 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마스터키(M)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핸들(100)에는 키홈(120) 방향과 수직되게 암나사부(140)를 형성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키홈에 삽입된 마스터키를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스토퍼(130c)의 외면에 함입된 쇄기홈(132)을 두는 것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쇄기홈(132) 부위는 취약한 부분이 되어 핸들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일 먼저 손상이 되는 부위가 된다. 상기 스토퍼(130c)에 형성되는 쇄기홈(132)은 비상시 핸들조작을 강제적으로라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는 것이며, 핸들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스토퍼의 쇄기홈에서 파단이 일어나 핸들의 락 상태는 해제되어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에 구비되는 키홈의 형상은 다각형이나 원형 또는 이형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형이라 함은 정형적인 사각형, 원형 등을 제외한 직선과 곡선의 결합과 같은 비정형적인 형태를 의미한다.
마스터키의 형상도 락킹수단의 변경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면 되는 것이므로 첨부 도면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본 제2실시예에서는 흔히 엘피지 가스통에 설치되는 밸브(이하, 가스밸브라 부른다)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도9는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밸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에 해당되며 도10은 핸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기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바디(200)와 캡(400) 및 핸들(100)이 구비되며, 상기 캡(400)은 바디(200) 상단부를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바디(200) 상단부에 형성되어 캡(400)의 수직운동을 가능케 하는 회전방지수단(210)으로는 너트나 안내슬롯 등 어느 것이나 적용가능하다.
특히, 본 예의 경우에는 캡(400)이 핸들(100) 및 스템(300)과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속수단(420)으로 스냅링(420b)을 적용한 경우를 보여주는데, 상기 스냅링(420b)은 핸들(100) 하단부 외면에 결합되어져 상기 캡(400)과 접촉되는 형태를 갖추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형태를 달리하여 스템(300)에 스냅링(420b)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핸들(100)에는 수직홈(110)과 키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110)에는 락킹수단(130)이 내장됨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외 캡(400)의 상면에 형성된 락킹홈(410) 등도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밸브의 동작방식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들(100)과 스템(300)의 연결 방식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다른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핸들(100)을 스템(300)에 연결함에 있어서 핸들(100) 상면부로부터 볼트(101-1)를 관통시켜 스템(300)과 나사결합시키게 되는데 스템(300)에 대해 핸들(100)이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스템(300)의 상단부 외면에는 돌출되는 날개편(320)을 두도록 하며, 이에 대응하여 핸들(100)에는 날개편(320) 보다 넓게 형성되는 날개홈(150)을 두어서 상기 날개홈(150) 영역 내에서 날개편(32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핸들(100)은 스템(3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101-1)를 이용하여 구속되는데 상기 핸들은 스템에 대해 회전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핸들은 날개편과 날개홈간의 차이만큼의 각도범위에서 유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캡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락킹홈에 어느 한 방향으로의 회전은 자유롭도록 하기 위해 슬로프면을 두는 구조는 특히 본 제2실시예와 같은 가스밸브에 적용될 때 유용하다. 보통 엘피지 가스통은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되는데 건물 외부 혹은 옥상 등에 위치된다. 따라서 누구든지 엘피지 가스통에 접근이 가능하고 밸브의 조작 또한 용이하다. 사용중에는 밸브를 열어두어야 하고 장기간 미 사용인 경우에는 밸브를 닫아두는 것이 안전한데, 이 경우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밸브를 이용하여 한 방향으로만 밸브 조작이 자유롭도록 해두면 안전사고의 측면에서 큰 효능이 있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다이아프램 밸브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은 제3실시예로서 다이아프램 밸브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에 해당되며, 도 12은 스템에 핸들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다이아프램 밸브에 적용된 본 발명 역시 기본 구성요소는 바디(200), 캡(400), 핸들(100)을 포함하여 상기 핸들(100)에는 마스터키(M)에 의해 수직운동되는 로드핀(130b)이 설치되어져 있고 바디(200)의 상단부에 수직운동만이 가능한 캡(400)이 구비된다.
본 예의 경우 회전방지수단(210)으로 다각형 너트를 사용했고 구속수단(420)으로는 스냅링(420b)을 이용하였다. 타 실시예와 특별히 차이가 있는 부분은 핸들과 스템의 결합방식에 있으며 이것은 다이아프램 밸브의 특성에 기인한다.
본 제3실시예에서는 핸들(100)이 직접 스템(300)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간접적인 방식으로 스템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400) 상측으로 핸들(100)이 설치되는데 상기 핸들(100)과 스템(300) 사이에 덮개판(50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덮개판(500)은 볼트(101-2)에 의해서 스템(300)과 연결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볼트(101-2)의 말단부가 스템(300)의 회전홈(301)에 끼워진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스템(300)에 끼워지는 덮개판(500)의 내경면에는 다수의 요철(510)이 원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스템(300)은 사각형 단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인해 상기 덮개판(500)은 이웃한 요철(510)간의 1피치 범위내에서 덮개판(500)에 유격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 덮개판(500)과 핸들(100)의 연결은 핸들의 상측 내면과 덮개판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암수 치형(t)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핸들(100)의 조작을 위해서는 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400) 상면부에 형성되는 락킹홈(410)에 끼워진 로드핀(130b)를 마스터키(M)를 이용하여 이탈시킨 후 핸들을 돌려 개폐동작을 실시한다. 상기 핸들(100)을 돌리게 되면 덮개판(500)이 회전되며 상기 덮개판(500)은 스템(300)과 연결된 상태이므로 스템(300)이 최종적으로 회전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 된다. 그리고 핸들(100)을 원하는 각도 만큼 회전시킨 후에는 로드핀(130b)을 하강시켜 락킹홈(410)에 삽입되게 한다. 이것은 마스터키(M)를 키홈(120)으로부터 제거하면 로드핀(130b)이 탄성체(130)에 의해서 하강되므로서 달성된다. 상기 덮개판(500)과 스템(300)의 연결시 덮개판(500) 내경면에 다수의 요철(510)을 두었기 때문에 상기 덮개판은 요철이 이루는 1피치 범위내에서 유격이 생기므로 상기 덮개판과 연결되는 핸들도 유격이 생겨 원활하게 로드핀을 락킹홈에 삽입시킬 수 있다.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중복요소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제시한 3가지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작동원리는 바디 상부에 설치되는 캡을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핸들에 상기 캡 상면부에 구비되는 락킹홈에 끼워지는 로드핀을 두어서 마스터키에 의해서만 핸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로드핀은 락킹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밸브 조작을 위해서는 로드핀의 유도구간에 맞게 가공된 마스터키를 키홈에 삽입시켜 로드핀를 상승시켜야 한다. 이러한 상태로 전환된 후에야 핸들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으로 스템과 핸들은 상승 또는 하강되는데 이때 캡도 함께 승하강된다. 따라서 핸들 조작 후 핸들의 위치 변경이 있더라도 마스터키를 제거하면 로드핀은 다시 하강 되어 락킹홈에 끼워져 핸들 조작이 불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밸브는 마스터키를 이용해서만 조작이 가능하므로 안전이 극도로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밸브로서 매우 유용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은 밸브의 설치로 고의나 부주의로 인한 밸브 조작에 따른 폭발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재산상 및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데 보탬이 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1)

  1. 유로 개폐를 위한 핸들이 바디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은 스템 상단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바디 내부의 유로를 여닫게 되는 밸브에 있어서,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스템에 끼워지며 수직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단부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면부 가장자리에는 가상적인 원을 이루면서 다수의 락킹홈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 상면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스템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락킹홈에 대응하는 하나의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과 동일축상 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이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수직홈과 락킹홈에 설치되어 핸들과 캡을 서로 구속시켜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키홈을 통해서 투입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잠김 상태가 해제되어 핸들의 조작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수직홈 내부에 내장되는 탄성체와;
    상단부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하단부는 락킹홈에 끼워지며 상단부 근처 외면에 유도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도구간이 수직홈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에 부분적으로 걸치게 되는 로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마스터키가 키홈을 통해서 투입되어 상기 유도구간과 접촉됨에 따라 상기 로드핀이 상승되어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구간은,
    직경이 감소되어 함몰되는 넥(neck)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캡의 락킹홈에 내장되는 탄성체와;
    하단부가 상기 탄성체와 맞닿게 설치되어 상단부가 캡 상면부로 출몰되는 스토퍼와;
    상기 수직홈에 설치되되, 하단부는 상기 스토퍼와 맞닿게 되며 상단부는 수직홈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으로 돌출되는 로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수직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형성되는 잠김상태를 키홈을 통해서 마스터키를 투입시킴으로 상기 로드핀을 하방으로 눌러 수직홈에 삽입되었던 스토퍼를 락킹홈 내부로 이동시켜 잠김상태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 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캡의 락킹홈에 내장되는 탄성체와;
    하단부가 상기 탄성체와 맞닿게 설치되어 상단부가 캡 상면부로 출몰되는 스토퍼와;
    상기 수직홈에 설치되되, 하단부는 상기 스토퍼와 맞닿게 되며 상단부는 수직홈과 동일축상으로 핸들 상부면을 관통하는 키홈으로 이어지는 로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수직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형성되는 잠김상태를 키홈을 통해서 마스터키를 투입시킴으로 상기 로드핀을 하방으로 눌러 수직홈에 삽입되었던 스토퍼를 락킹홈 내부로 이동시켜 잠김상태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측 근처 외면에 함입된 쇄기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키홈과 수직되게 관통되는 암나사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볼트로서 상기 키홈에 투입된 마스터키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캡이 결합되는 상단부에 상기 캡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다각형 너트 또는 안내슬롯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스템 또는 핸들에 구비되는 구속수단에 의해서 핸들의 승하강시 동시에 상기 캡도 승하강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스템 또는 핸들에 결합되는 스냅링이거나 상기 스템에 직경을 달리함으로서 마련되는 지지단 중 어느 하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락킹홈은,
    원형, 다각형 또는 트랙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홈은,
    오픈 또는 클로즈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는 핸들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슬로프면으로 이루어져 로드핀의 하단부가 상기 슬로프면과 접촉되면서 상승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에 대해 핸들의 유격을 두기 위해 스템 상단부에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홀에는 핀을 삽입하며, 상기 핀과 맞닿도록 핸들 측면을 통해서 볼 트를 결합시켜 핸들에 유격이 생기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5.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스템의 결합은,
    핸들 상면부로부터 관통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스템에 연결하되 상기 핸들에 유격을 주기 위해 상기 스템에는 날개편을 두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는 핸들에는 상기 날개편 보다 넓게 파여진 날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6.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샹기 핸들과 스템의 결합은,
    핸들과 스템 사이에 상기 스템과 볼트로 구속되는 덮개판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판과 핸들은 암수를 이루는 다수의 치형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고, 핸들에 유격을 주기 위해 상기 스템에 끼워지는 상기 덮개판의 내경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들간의 1피치 범위에서 핸들의 유격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니들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가스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다이아프램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20.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캡 사이에 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은,
    원형, 다각형, 이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KR1020070055763A 2007-06-08 2007-06-08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KR10078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763A KR100786037B1 (ko) 2007-06-08 2007-06-08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US12/663,674 US8585010B2 (en) 2007-06-08 2007-07-09 Valve operated by a master key
PCT/KR2007/003322 WO2008150043A1 (en) 2007-06-08 2007-07-09 Valve operated by a master key
EP20070768662 EP2165102A4 (en) 2007-06-08 2007-07-09 VALVE ACTUATED BY A MAIN KEY
TW96136182A TWI331196B (en) 2007-06-08 2007-09-28 Valve operated by a master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763A KR100786037B1 (ko) 2007-06-08 2007-06-08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037B1 true KR100786037B1 (ko) 2007-12-17

Family

ID=3914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763A KR100786037B1 (ko) 2007-06-08 2007-06-08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85010B2 (ko)
EP (1) EP2165102A4 (ko)
KR (1) KR100786037B1 (ko)
TW (1) TWI331196B (ko)
WO (1) WO200815004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74B1 (ko)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
KR20160149458A (ko) * 2015-06-18 2016-12-28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키타입 밸브장치
KR20180047140A (ko) * 2016-10-31 2018-05-10 아래스 주식회사 유량 제어 밸브용 핸들
KR101890580B1 (ko) * 2017-06-08 2018-09-28 디케이락 주식회사 임의 조작 방지 볼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73B1 (ko) * 2007-03-20 2007-10-19 주식회사 비엠티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는 밸브
ES2399701B1 (es) * 2011-04-05 2013-12-12 Rafael Alcaráz Sencianes Llave de tres posiciones para suministros de agua.
US20130256570A1 (en) * 2012-04-02 2013-10-03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Valve and hydraulic controller
JP2014160424A (ja) 2013-02-20 2014-09-04 Smc Corp 流量制御装置
US20160169637A1 (en) * 2014-11-12 2016-06-16 Raymond Lee Eng Impact activated explosion simulator
JP7046084B2 (ja) * 2017-09-26 2022-04-01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ワンタッチ式ロックバルブと原料容器
KR102022008B1 (ko) * 2017-11-21 2019-09-18 주식회사 세바 지침 보정이 가능한 개폐량 조절밸브
CN109357071A (zh) * 2018-12-07 2019-02-19 天津国际机械有限公司 一种由介质压力控制的球阀锁定机构
KR20240000587A (ko) * 2021-05-27 2024-01-02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807A (ja) * 1997-01-08 1998-07-31 Kubota Corp 弁体の所定開度保持装置
KR200287662Y1 (ko) * 2002-06-12 2002-08-30 이성희 자물쇠가 일체로 형성된 도시가스 공급용 밸브
JP2004011880A (ja) * 2002-06-11 2004-01-15 Tabuchi Corp 水栓の開閉制御機構
JP2005048870A (ja) * 2003-07-29 2005-02-24 Mitsuwa Gas Kiki Kk ロック機構付ガス栓
KR200388434Y1 (ko) * 2005-04-18 2005-06-29 주식회사 비엠티 핸들 스톱퍼가 구비된 개폐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229A (en) * 1897-11-23 Lock for stop-cocks
US557943A (en) * 1896-04-07 Device for locking or unlocking valves
BE358421A (ko) *
US506087A (en) * 1893-10-03 James m
US846257A (en) * 1905-04-21 1907-03-05 James Charles Stratiff Safety-cock.
US924423A (en) * 1908-12-10 1909-06-08 Edward A Brandenburg Locking device for valves.
US1079847A (en) * 1911-10-28 1913-11-25 Emory B Dunkel Train-pipe cock and operating mechanism therefor.
US1059138A (en) * 1912-10-11 1913-04-15 Granville Gaither Combination-faucet.
US1412720A (en) * 1921-05-12 1922-04-11 Szafranski Casey Valve lock
US2234052A (en) * 1940-07-12 1941-03-04 John Hollis Gleason Valve
US3334654A (en) * 1965-09-27 1967-08-08 Deltrol Corp Operating and read-out means for needle valves and the like
US3699998A (en) * 1970-12-11 1972-10-24 Frank Baranowski Jr Calibrated pressure regulator
US4483366A (en) 1980-07-31 1984-11-20 Leonard Labita Locking valve
IT1258340B (it) * 1992-01-16 1996-02-26 Co Ra Di Lardieri Salvatore Valvola a farfalla perfezionata per l'intercettazione di sostanze sfuse o fluide in particolare per i settori farmaceutico, chimico e alimentare
US5598724A (en) * 1995-12-26 1997-02-04 Primeau; Mario Butterfly valve safety lock
KR100768773B1 (ko) * 2007-03-20 2007-10-19 주식회사 비엠티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는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807A (ja) * 1997-01-08 1998-07-31 Kubota Corp 弁体の所定開度保持装置
JP2004011880A (ja) * 2002-06-11 2004-01-15 Tabuchi Corp 水栓の開閉制御機構
KR200287662Y1 (ko) * 2002-06-12 2002-08-30 이성희 자물쇠가 일체로 형성된 도시가스 공급용 밸브
JP2005048870A (ja) * 2003-07-29 2005-02-24 Mitsuwa Gas Kiki Kk ロック機構付ガス栓
KR200388434Y1 (ko) * 2005-04-18 2005-06-29 주식회사 비엠티 핸들 스톱퍼가 구비된 개폐밸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74B1 (ko)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
KR20160149458A (ko) * 2015-06-18 2016-12-28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키타입 밸브장치
KR101693273B1 (ko) * 2015-06-18 2017-01-05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키타입 밸브장치
KR20180047140A (ko) * 2016-10-31 2018-05-10 아래스 주식회사 유량 제어 밸브용 핸들
KR101868812B1 (ko) 2016-10-31 2018-06-20 아래스 주식회사 유량 제어 밸브용 핸들
KR101890580B1 (ko) * 2017-06-08 2018-09-28 디케이락 주식회사 임의 조작 방지 볼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85010B2 (en) 2013-11-19
EP2165102A1 (en) 2010-03-24
US20100218830A1 (en) 2010-09-02
EP2165102A4 (en) 2011-06-08
WO2008150043A1 (en) 2008-12-11
TWI331196B (en) 2010-10-01
TW200848645A (en)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037B1 (ko)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US6398184B1 (en) Lock device and lock method for knife gate valves
US20120152564A1 (en) Horizontal production tre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418515B2 (en) Valve operated by a master key
US20150144823A1 (en) Dual seal fire safe stem packing orientation
US9790714B1 (en) Locking cover assembly for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a utility shut off valve
ITBS990062A1 (it) Valvola o rubinetto con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l&#39;otturatore.
US20020078721A1 (en) Security lock assembly for shut-off valve
EP2880341B1 (en) Improved pipeline apparatus
KR100856735B1 (ko) 락킹 수단을 구비한 매뉴얼 밸브 장치
KR101221432B1 (ko)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US2843152A (en) Combined valve actuating and locking means
RU2746011C2 (ru) Вентильная система
US8806906B1 (en) Actuator lock-out bracket
EA025320B1 (ru) Блок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двумя функциями защиты для блокировки винта и способ блокировки винта
KR101314494B1 (ko) 밸브너트 록킹장치
RU104203U1 (ru) Крышка люка с зап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плита крышки люка
US20040103942A1 (en) Valve lock mechanism
US9217514B1 (en) Actuator lock-out bracket
KR100948851B1 (ko) 분기 차단 장치
CN217815281U (zh) 一种阀门快速开关和锁定装置
WO2010124409A1 (en) Manually-locking linearly-actuated hand valve
WO2021079349A1 (en) Lockout system and method
KR100465535B1 (ko) 볼 밸브 상에 액츄에이터 탑재를 고려한 핸들 잠금장치
KR200419148Y1 (ko) 가스누출차단기의 중심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