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458A - 키타입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키타입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458A
KR20160149458A KR1020150086436A KR20150086436A KR20160149458A KR 20160149458 A KR20160149458 A KR 20160149458A KR 1020150086436 A KR1020150086436 A KR 1020150086436A KR 20150086436 A KR20150086436 A KR 20150086436A KR 20160149458 A KR20160149458 A KR 20160149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opening
locking pin
lock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273B1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47Spindles or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키의 삽입 여부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잠금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양단부에 수송관이 연결되는 커플링 결합부가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각 수송관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개폐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의 내부에 배치각도에 따라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개폐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키관통부가 형성된 핸들부; 상기 가이드부에 탄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하강시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킹핀; 및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키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을 상승시키는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키타입 밸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키타입 밸브장치{key type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키타입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의 삽입 여부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잠금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키타입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물질을 수송하기 위한 수송관(파이프)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수송관에는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밸브의 내부에는 유로의 개폐를 위한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된 핸들을 조작하여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로 누구나 손쉽게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실수나 외부인의 고의적인 조작으로 부주의한 유로의 개폐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산업용 기계장치에 연결된 수송관은 장치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노출되며, 진동으로 인해 핸들의 위치가 변화되어 자동으로 유로가 개폐전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비계회적인 유로의 개폐 전환은 유로에 연결된 각종 장치의 내구성의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 작업자의 지속적인 감시 감독이 요구되었다.
이에, 허가받은 사용자만이 밸브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키를 이용하여 핸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밸브가 고안된 바 있으나, 장치의 내구성이 낮고 복잡한 부품이 요구됨에 따라 장치의 유지 및 생산을 위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고내구성을 갖되 경제적인 비용으로 생산가능한 밸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287276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의 삽입 여부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잠금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키타입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단부에 수송관이 연결되는 커플링 결합부가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각 수송관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개폐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의 내부에 배치각도에 따라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개폐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키관통부가 형성된 핸들부; 상기 가이드부에 탄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하강시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킹핀; 및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키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을 상승시키는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키타입 밸브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락킹핀은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가 상기 키관통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연장된 한쌍의 잠금바와, 상기 각 잠금바의 상부를 일체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홈은 상기 잠금바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키관통부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잠금바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의 이탈시 상기 연결바의 승강폭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상기 잠금해제키의 전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의 하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전단부를 따라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잠금해제키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후방에 상기 락킹핀의 상승상태가 가고정되도록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상기 연결바가 탄발 삽입되는 가고정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관통부의 상부에는 상기 락킹핀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락킹핀의 하단부에는 상기 잠금홈의 테두리에 슬라이드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협관화되는 삽입유도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잠금홈은 상기 개폐유로가 개방 및 폐쇄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각 배치각도에서 상기 핸들부가 잠금되도록, 상기 락킹핀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키타입 밸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잠금해제키의 삽입시에만 상기 핸들부의 조작 및 그에 따른 개폐유로의 개폐 전환이 가능하므로 외부의 진동으로 인한 핸들부의 유동이나 비허가된 작업자에 의한 핸들부의 조작이 방지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잠금해제키는 가고정홈에 탄발 삽입된 연결바를 통해 별도의 그립 없이도 키관통부에 삽입된 상태로 가고정될 수 있으므로, 핸들부의 조작 중 외부 진동 등에 의해 이탈되어 분실되거나 의도되지 않은 위치에서 잠금바가 하강되어 잠금홈에 걸리는 등 불편함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잠금바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연결바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두개소의 잠금홈에 견고하게 구속되면서도 하나의 잠금해제키로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으며, 강제적인 외력 인가시에도 외력을 두개소로 분산하여 지지하므로 변형 및 파단 등 손상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락킹핀의 구속을 위한 잠금홈이 바디부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간소한 부품 구성으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의 락킹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에서 잠금해제키의 삽입에 따른 잠금 및 해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에서 핸들부의 회전각도에 따른 락킹핀의 구속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의 지지바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의 락킹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에서 잠금해제키의 삽입에 따른 잠금 및 해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에서 핸들부의 회전각도에 따른 락킹핀의 구속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키타입 밸브장치(100)는 바디부(10), 핸들부(20), 락킹핀(30), 그리고 잠금해제키(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타입 밸브장치(100)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 유동을 단속하되, 밸브장치(100)의 개폐를 위한 핸들부(20)가 잠금해제키(40)의 삽입시에만 조작가능하도록 하여 진동에 의한 자동적인 핸들부(20)의 유동 내지는 허가된 작업자 이외의 핸들부(20) 조작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바디부(10)는 양단부에 수송관(1,2)이 연결되는 커플링 결합부(11)가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각 수송관(1,2)의 내부유로(1a,2a)와 연통되는 개폐유로(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10)는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내식성을 갖되, 각 수송관(1,2)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일정이상의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 혹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 PVC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수송관(1,2)은 일반적인 산업분야에서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파이프 내지 합성수지파이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바디부(10)는 중앙부를 따라 개폐유로(12)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유로(12)는 내주에 돌설된 단턱부(13)에 의해 중앙부와 양측부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유로(12)의 중앙부인 단턱부(13) 사이의 공간에는 개폐부재(14)가 장착되며, 상기 개폐유로(12)의 양측부인 단턱부(13)의 외측부에는 수송관(1,2)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부(10)는 2개의 관형부재(10a,10b)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관형부재(10a)에는 개폐유로(12)를 형성하는 내부 중공에 단턱부(1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제2관형부재(10a)의 일단부는 제1관형부재(10a)의 내부 중공에 삽입 및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관형부재(10a)의 단턱부(13)와 대향되는 단턱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유로(12)의 중앙부 양측을 따라 단턱부(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13) 사이 공간에 개폐부재(14)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 결합부(11)는 바디부(10)에서 개폐유로(12)의 양측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감싸는 외측관부(11a)와, 볼트부재(11b), 그리고 실링부재(11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재(11b)는 상기 외측관부(11a)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재(11b)에는 상기 외측관부(11a)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내주를 따라 가압돌기부(11d)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부(11d) 및 상기 외측관부(11a)의 단부 사이에 실링부재(11c)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송관(1,2)은 상기 외측관부(11a)의 내부를 따라 단턱부(13)까지 삽입되며, 상기 볼트부재(11b)가 회전 결합되면 실링부재(11c)가 상기 수송관(1,2)의 외주를 가압 고정하되 외측관부(11a)의 내주와 상기 수송관(1,2) 외주 사이의 틈을 실링하며 각 수송관(1,2)이 커플링 결합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유로(12)의 내부에는 배치각도에 따라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4)는 상기 개폐유로(12)의 중앙부인 단턱부(13) 사이에 장착되며, 내부에 개폐공(14a)가 형성되어 배치각도에 따라 상기 개폐유로(12)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공(14a)의 관통방향과 상기 개폐유로(12)의 길이방향이 일치되면 상기 개폐유로(12)가 완전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공(14a)의 관통방향이 개폐유로(12)의 길이방향으로부터 벗어날수록 개폐유로(12)의 개방면적이 줄어들어 유동 유량이 감소되며, 개페공(14a)의 관통방향이 개폐유로(12)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 개폐유로(12)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4)와 상기 단턱부(13) 사이에는 실링부재(14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는 상기 개폐부재(14)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연결공(15)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15)을 통해 개폐부재(14)와 핸들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부(20)는 상기 개폐부재(14)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상세히, 개폐부재(14)의 상단에는 결합축(k)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k)은 상기 핸들부(2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20)와 개폐부재(14)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축(k)의 하단부는 상기 개폐부재(14)의 상단부에 키결합 내지 기어결합되고, 상기 결합축(k)의 상부는 상기 핸들부(20)와 키결합 내지 기어결합되어 결합축(k), 개폐부재(14), 핸들부(20)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20)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축(k)이 관통되는 결합공(2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5)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축(k)의 상단에 결합되는 너트부재(n)의 삽입을 위한 너트홈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20)의 하부 일측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22)의 상부를 따라 상하방향의 가이드부(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22)이 형성된 하부 일측은 상기 너트홈부(26)의 외곽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핸들부(20)에는 상기 가이드부(23)의 상부와 연통되는 키관통부(21)가 형성되며, 상기 키관통부(21)는 상기 핸들부(20)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23)의 상부 공간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키관통부(21)를 통해 삽입된 잠금해제키(40)가 상기 가이드부(23)에 배치된 상기 락킹핀(30)의 승강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락킹핀(30)은 상기 가이드부(23)에 탄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하강시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22)을 통과하여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 형성된 잠금홈(1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20)의 회전을 구속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연결공(15)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20)의 회전조작시 상기 관통공(22)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락킹핀(30)은 상기 가이드부(23)를 따라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하측 방향으로 탄발 지지되어 하단부가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핸들부(2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2)이 상기 잠금홈(16)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면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는 상기 잠금홈(16)의 내부로 삽입되어 구속되며,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가 바디부(10)에 구속되고, 상기 핸들부(20)가 상기 락킹핀(20)에 구속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해제키(40)는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가 상기 잠금홈(1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키관통부(21)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30)을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잠금해제키(40)는 작업자에 의해 그립되는 그립부(43)로부터 락킹핀(30)을 승강시키는 쐐기형 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핸들부(2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23)까지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잠금해제키(40)의 단면 형상은 상기 키관통부(2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핸들부(20)에 탄발적으로 승강되는 락킹핀(30)이 구비되어 락킹핀(30)이 상승되도록 잠금해제키(40)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개폐유로(12)의 개폐를 위한 핸들부(2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외부의 진동으로 인한 핸들부(20)의 유동이나 비허가된 작업자에 의한 핸들부(20)의 조작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장치(100)를 통한 유체의 흐름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핀(30)을 구속하기 위한 잠금홈(16)이 상기 바디부(10)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간소한 부품 구성으로 제품의 생산 비용 및 조립 공정이 개선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락킹핀(30)은 한쌍의 잠금바(30a)와 연결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잠금바(30a) 및 상기 연결바(30b)는 상기 락킹핀(30)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바(30a) 및 상기 연결바(30b)는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바(30a)는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23)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가 상기 키관통부(2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30b)는 상기 각 잠금바(30a)의 상부를 일체로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락킹핀(30)은 'ㄱ'자 형상으로 구비된 한쌍의 잠금바(30a)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절곡된 각 잠금바(30a)의 상부측 단부가 연결바(30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20)의 가이드부(23) 및 관통공(22)은 상호 이격된 한쌍의 잠금바(30a)에 대응하여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핸들부(20)는 핸들몸체부(20a)와 커버부(20b)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몸체부(20a)에는 결합축(k)이 통과하는 결합공(25)이 형성되며, 결합공(25)의 상부에 너트홈부(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홈부(26)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너트부재(n)가 너트홈부(26)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축(k)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홈부(26)의 외곽에는 가이드부(23) 및 관통공(22)이 형성되며, 가이드부(23) 및 관통공(22)은 각 잠금바(30a)의 위치에 대응하여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가이드부(23)의 상부 공간은 상기 키관통부(21)와 연결되며, 상기 키관통부(21)는 상기 가이드부(23)와 연결된 부분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락킹핀(30)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핀(30)의 잠금바(30a)는 상기 가이드부(23)의 내부로 삽입되며, 잠금바(30a)의 절곡된 상부 및 연결바(30b)는 상기 키관통부(21)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바(30b)는 상기 잠금해제키(40)의 삽입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20b)는 상기 키관통부(21)와 가이드부(23)의 연결부분 및 상기 너트홈부(26)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잠금바(30a)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연결바(30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므로, 두개소의 잠금홈(16)에 견고하게 구속되면서도 하나의 잠금해제키(40)를 통해 두개소에 대한 구속이 한번에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연결공(15)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20)의 회전시 상기 관통공(22)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관통공(22)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부분 중 개폐부재(14)에 의해 개폐유로(12)가 차단되는 핸들부(20)의 닫힘 각도에서의 관통공(2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유로(12)가 개방되는 핸들부(20)의 열림 각도에서의 관통공(2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핸들부(20)의 닫힘 각도 및 열림 각도에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잠금홈(16)은 핸들부(20)가 열림 각도에서 잠금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 핸들부(20)의 열림 각도에서의 각 잠금바(30a) 위치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며, 핸들부(20)가 잠금 각도에서 잠금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핸들부(20)의 닫힘 각도에서의 각 잠금바(30a) 위치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핸들부(20)가 열림 각도 및 닫힘 각도에서 각각 잠금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잠금홈(16)은 한쌍의 잠금바(30a)에 대응하여 쌍으로 구비되되, 핸들부(20)의 열림 각도 및 닫힘 각도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락킹핀(30)이 연결바(30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한쌍의 잠금바(30a)로 구비되어 핸들부(20)의 잠금시 한쌍의 잠금바(30a)가 한쌍의 잠금홈(16)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잠금된 핸들부(20)에 강제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가해진 외력이 각 잠금바(30a) 및 잠금홈(16)에 의해 분산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20)에 가해진 외력은 각 가이드부(23)를 따라 두개의 잠금(30a)로 분산되어 전달되며, 하나의 잠금바(30a) 내지 하나의 잠금홈(16)에 가해지는 외력이 감소되므로 락킹핀(30)의 휘어짐, 파단, 잠금홈(16)의 벌어짐 등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핀(30)의 상단부가 절곡되도록 구비되어, 락킹핀(30) 및 잠금해제키(40)의 연계 동작을 위한 별도의 구성 부품 없이 락킹핀(30)의 절곡된 상부가 키관통부(21)에 배치되어 잠금해제키(40)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키관통부(21)의 상부에는 상기 락킹핀(30)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24)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4)는 상기 커버부(20b)에서 상기 키관통부(21)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핀(30)이 핸들몸체부(20a)에 장착되면 상기 잠금바(30a)가 상기 가이드부(23)에 삽입되고 상기 키관통부(21)에 상기 연결바(30b)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몸체부(20a) 및 상기 커버부(20b)가 결합되면 상기 키관통부(21)에 배치된 연결바(30b)가 상기 탄성부재(24)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홈(16)의 위치와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 내지 관통공(22)의 위치가 일치되면 상기 잠금바(30a)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홈(16)의 내부로 삽입되며, 잠금홈(16)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핸들부(20)가 잠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잠금홈(16)의 테두리에 슬라이드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협관화되는 삽입유도부(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는 잠금바(30a)의 하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유도부(31)는 상기 락킹핀(30)의 하단부 외주로부터 경사지거나 라운드진 형태로 좁아지는 쐐기형 내지 반구형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경사 내지 라운드진 형태의 삽입유도부(31)는 락킹핀(30)의 하강시 잠금홈(16)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걸림 없이 부드럽게 슬라이드되어 상기 잠금홈(1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해제키(40)의 해제시 상기 잠금바(30a)가 잠금홈(16)의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기만 하면, 상기 삽입유도부(31)가 잠금홈(16)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잠금홈(16)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핀(30)이 상기 잠금홈(16)의 테두리에 걸리는 등의 오작동이 방지되어 핸들부(20)가 안정적으로 잠금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키관통부(21)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잠금바(30a)가 상기 잠금홈(16)으로부터의 이탈시 상기 연결바(30b)의 승강폭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락킹핀(30)은 상부가 절곡되어 상기 키관통부(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키관통부(21)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바(30b)의 상승에 따라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상기 잠금홈(16)에 삽입된 깊이보다 상기 연결바(30b)의 승강폭이 큰 경우 상기 핸들부(20)의 구속 상태에서 벗어나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바(30b)가 배치된 상기 키관통부(21)의 상하방향 폭은 잠금바(30a)가 잠금홈(16)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연결바(30b)의 승강폭에 대응하여 설정되며, 이는 상기 키관통부(21)의 상하방향 폭이 락킹핀(30)의 구속해제시 요구되는 연결바(30b)의 승강폭보다 같거나 크게 설정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키(40)의 전단부에는 상기 연결바(30b)의 하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부(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해제키(40)의 단부가 키관통부(21)의 하면부에 밀착되는 쐐기형의 단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잠금해제키(40)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연결바(30b)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30b)가 슬라이드부(4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잠금해제키(40)의 측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41)의 경사방향으로 부드럽게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키(40)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41)의 후방에 상기 락킹핀(30)의 상승상태가 가고정되도록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상기 연결바(30b)가 탄발 삽입되는 가고정홈(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고정홈(42)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잠금홈(16)의 외부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연결바(30b)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고정홈(42)은 연결바(30b)의 탄발 삽입시 딸깍하는 클릭감을 부여함으로써, 잠금해제키(40)가 상기 락킹핀(30)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깊이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손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해제키(40)가 정확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과도한 삽입시 발생될 수 있는 잠금해제키(40)의 단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키(40)는 상기 가고정홈(42)에 삽입된 연결바(30b)에 의해 측방향 유동이 제한되며 작업자가 별도로 그립하지 않더라도 키관통부(21)에 삽입된 상태로 가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부(20)의 조작을 위해 삽입된 잠금해제키(40)가 외부 진동 등으로 이탈되어 분실되거나 의도되지 않은 위치에서 잠금바(30a)가 하강되어 잠금홈(16)에 걸리는 등 불편함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개폐유로(12)가 개방 및 폐쇄되는 상기 개폐부재(14)의 각 배치각도에서 상기 핸들부(20)가 잠금되도록, 상기 락킹핀(30)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핸들부(20)의 닫힘 각도에서 잠금바(30a)를 고정하는 닫힘 잠금홈(16d)과, 상기 핸들부(20)의 열림 각도에서 잠금바(30a)를 고정하는 열림 잠금홈(16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림 잠금홈(16e) 및 상기 닫힘 잠금홈(16d)은 한쌍으로 구비된 잠금바(30a)에 대응하여 각각이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핸들부(20)의 각 배치각도에서 잠금바(30a) 중 하나의 위치가 중첩되는 경우에 전체 잠금홈(16)의 갯수가 홀수로 구비되어 하나의 잠금홈(16b)이 열림 잠금홈(16e) 및 닫힘 잠금홈(16d)으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부(20)가 닫힘 각도 및 열림 각도에서 각각 잠금될 수 있으면서도, 잠금바(30a)의 구속을 위한 잠금홈(16)의 갯수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각 잠금바(30a) 사이 간격은 잠금바(30a)의 회전반경에 2의 제곱근을 곱한 수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잠금바(30a)의 회전반경을 따라 상호 90도의 사이각을 갖도록 배치된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20)가 열림 각도인 경우, 시계방향을 따라 배치된 3개의 잠금홈 중 첫번째(16c) 및 두번째 잠금홈(16b)에 각 잠금바(30a)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첫번째(16c) 및 두번째 잠금홈(16b)은 열림 잠금홈(16e)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20)가 닫힘 각도인 경우, 시계방향을 따라 배치된 3개의 잠금홈 중 두번째(16b) 및 세번째 잠금홈(16a)에 각 잠금바(30a)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두번째(16b) 및 세번째 잠금홈(16a)은 닫힘 잠금홈(16d)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두번째 잠금홈(16b)은 열림 잠금홈(16e) 및 닫힘 잠금홈(16d)으로 공유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잠금홈(16)이 개폐유로(12)가 개방되는 핸들부(20)의 각도 및 개폐유로(12)가 폐쇄되는 핸들부(20)의 각도에 대응하여 형성됨에 따라 핸들부(20)가 열린 상태 및 폐쇄 상태 각각에 대해 잠금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잠금홈(16)은 상기 핸들부(20)의 닫힘 및 열림 각도 이외에도 개폐유로(12)의 개방면적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핸들부(20)의 배치각도 각각에 따라 다단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타입 밸브장치의 지지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바(6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로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락킹핀(30)의 하부에는 지지바(6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바(60)는 양단부에 상기 각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61)이 형성되어 상기 각 잠금바(30a)의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락킹핀(30)이 핸들부(20) 내에서 상하 이동되되 상기 잠금바(30a)의 측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상기 각 잠금바(30a)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60)는 잠금바(30a) 사이의 간격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관통공(22)의 마모나 열변형에 따른 확장/손상 시에도 잠금바(30a)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락킹핀(30)의 형상을 고정함으로써 각 잠금바(30a)가 잠금홈(16)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동작 신뢰성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바(60)는 상기 관통공(22)과 상기 삽입홀(61)이 정렬되도록 상기 핸들부(20)의 하면부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락킹핀(30)의 상승시 잠금바(30a)의 하단부가 핸들부(20) 및 바디부(10) 사이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60)의 두께를 상기 핸들부(20) 및 바디부(10)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비하여 별도의 결합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60)는 내마모성과 저마찰력을 갖는 황동 등의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핸들부(20) 및 바디부(1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여 핸들부(2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키타입 밸브장치 10: 바디부
11: 커플링 결합부 12: 개폐유로
13: 단턱부 14: 개폐부재
20: 핸들부 21: 키관통부
22: 관통공 23: 가이드부
30: 락킹핀 30a: 잠금바
30b: 연결바 31: 삽입유도부
40: 잠금해제키 41: 슬라이드부
42: 가고정홈

Claims (5)

  1. 양단부에 수송관이 연결되는 커플링 결합부가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각 수송관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개폐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의 내부에 배치각도에 따라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개폐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키관통부가 형성된 핸들부;
    상기 가이드부에 탄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하강시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킹핀; 및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키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을 상승시키는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키타입 밸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핀은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가 상기 키관통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연장된 한쌍의 잠금바와,
    상기 각 잠금바의 상부를 일체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홈은 상기 잠금바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관통부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잠금바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의 이탈시 상기 연결바의 승강폭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상기 잠금해제키의 전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의 하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전단부를 따라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잠금해제키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후방에 상기 락킹핀의 상승상태가 가고정되도록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상기 연결바가 탄발 삽입되는 가고정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관통부의 상부에는 상기 락킹핀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락킹핀의 하단부에는 상기 잠금홈의 테두리에 슬라이드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협관화되는 삽입유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홈은 상기 개폐유로가 개방 및 폐쇄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각 배치각도에서 상기 핸들부가 잠금되도록, 상기 락킹핀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장치.
KR1020150086436A 2015-06-18 2015-06-18 키타입 밸브장치 KR10169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36A KR101693273B1 (ko) 2015-06-18 2015-06-18 키타입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36A KR101693273B1 (ko) 2015-06-18 2015-06-18 키타입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458A true KR20160149458A (ko) 2016-12-28
KR101693273B1 KR101693273B1 (ko) 2017-01-05

Family

ID=5772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436A KR101693273B1 (ko) 2015-06-18 2015-06-18 키타입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2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19B1 (ko) * 2019-09-20 2020-09-08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록킹 밸브
KR102311898B1 (ko) * 2020-05-12 2021-10-13 주식회사 아스플로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 및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의 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166B1 (ko) 2015-11-24 2017-07-11 아래스 주식회사 마스터 키 잠금식 밸브
KR101868812B1 (ko) * 2016-10-31 2018-06-20 아래스 주식회사 유량 제어 밸브용 핸들
KR101945780B1 (ko) 2017-05-11 2019-02-11 삼미기계주식회사 잠금유닛이 구비된 이중밸브
KR102370641B1 (ko) * 2020-11-24 2022-03-04 하이록코리아 주식회사 볼밸브용 핸들잠금장치
KR102304730B1 (ko) 2021-05-18 2021-09-28 삼원그린 주식회사 키타입 밸브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4184U (ko) * 1988-09-20 1990-03-27
KR19990067225A (ko) 1995-11-10 1999-08-16 유진 에이 가아가로 쥬니어 혼합밸브용 볼밸브 카트리지
JPH11270200A (ja) * 1998-03-24 1999-10-05 Seiko Kogyo Kk ガス・水道のバルブ停止装置
KR100786037B1 (ko) * 2007-06-08 2007-12-17 주식회사 비엠티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KR101377474B1 (ko)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4184U (ko) * 1988-09-20 1990-03-27
KR19990067225A (ko) 1995-11-10 1999-08-16 유진 에이 가아가로 쥬니어 혼합밸브용 볼밸브 카트리지
JPH11270200A (ja) * 1998-03-24 1999-10-05 Seiko Kogyo Kk ガス・水道のバルブ停止装置
KR100786037B1 (ko) * 2007-06-08 2007-12-17 주식회사 비엠티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KR101377474B1 (ko)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19B1 (ko) * 2019-09-20 2020-09-08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록킹 밸브
KR102311898B1 (ko) * 2020-05-12 2021-10-13 주식회사 아스플로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 및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의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273B1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273B1 (ko) 키타입 밸브장치
US9404587B2 (en) Lockout tagout for semiconductor vacuum valve
US9109409B2 (en) Safety latch lock
KR100786037B1 (ko)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되는 밸브
MXPA06004181A (es) Elevador de tuberias con puerta giratoria.
EP2137443B1 (en) Valve operated by a master key
CN107013097A (zh) 挂锁
CN107709697B (zh) 环空隔离阀组件
KR101479295B1 (ko) 가스밸브 안전장치
BR112017007490B1 (pt) Armadura que possui um alojamento
KR101450644B1 (ko) 볼 밸브
KR20080107830A (ko) 밸브잠금장치
KR101756166B1 (ko) 마스터 키 잠금식 밸브
KR101221432B1 (ko)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KR102304730B1 (ko) 키타입 밸브 장치
RU2647826C1 (ru) Устройство цепного стопора и цепи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м цепной стопор
US9976672B2 (en) Handle lock for valve
KR102182044B1 (ko) 잠금기능이 구비된 볼 밸브
KR102370641B1 (ko) 볼밸브용 핸들잠금장치
KR200494568Y1 (ko) 피팅 오프너
KR101894033B1 (ko) 케이블 고정이 용이한 밸브 잠금장치
KR100914852B1 (ko)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KR102048484B1 (ko) 퓨즈콕
KR200495722Y1 (ko)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KR200427751Y1 (ko) 캐비넷 도어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