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730B1 - 키타입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키타입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730B1
KR102304730B1 KR1020210063838A KR20210063838A KR102304730B1 KR 102304730 B1 KR102304730 B1 KR 102304730B1 KR 1020210063838 A KR1020210063838 A KR 1020210063838A KR 20210063838 A KR20210063838 A KR 20210063838A KR 102304730 B1 KR102304730 B1 KR 10230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ocking
valve device
type val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민
Original Assignee
삼원그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그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그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타입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에 의해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좋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키타입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이동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중공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핸들부재와, 상기 몸체를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하단은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핸들부재와 연결되는 결합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타입 밸브 장치{a key type valve device}
본 발명은 키타입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에 의해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좋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키타입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물질을 수송하기 위한 수송관(파이프)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수송관에는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밸브의 내부에는 유로의 개폐를 위한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된 핸들을 조작하여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로 누구나 손쉽게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실수나 외부인의 고의적인 조작으로 부주의한 유로의 개폐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산업용 기계장치에 연결된 수송관은 장치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노출되며, 진동으로 인해 핸들의 위치가 변화되어 자동으로 유로가 개폐전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비계획적인 유로의 개폐 전환은 유로에 연결된 각종 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 작업자의 지속적인 감시 감독이 요구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693273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단부에 수송관이 연결되는 커플링 결합부(11)가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각 수송관의 내부유로(1a,2a)와 연통되는 개폐유로(12)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로(12)의 내부에 배치각도에 따라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14)가 구비된 바디부(10); 상기 개폐부재(14)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2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3)의 상부와 연통되는 키관통부(21)가 형성된 핸들부(20); 상기 가이드부(23)에 탄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하강시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22)을 통과하여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 형성된 잠금홈(1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2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부가 상기 키관통부(2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연장된 한쌍의 잠금바(30a)와, 상기 각 잠금바(30a)의 상단부를 일체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바(30b)를 포함하는 락킹핀(30); 및 상기 락킹핀(30)이 상기 잠금홈(1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키관통부(21)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30)을 상승시키는 잠금해제키(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693273호에 기재된 기술은 허가받은 사용자만이 밸브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락킹핀(30)은 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핸들부(20)가 회전한 상태에서도 락킹핀(30)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바디부(10)의 상면에 직각을 이루도록 3개의 잠금홈(16)을 형성하여야 하고 각 잠금홈(16)의 간격은 정확하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가공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 핸들부(20)에 형성되는 관통공(22)의 마모나 열변형에 따라 락킹핀(30)의 구성하는 잠금바(30a)의 간격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잠금 해제후 다시 잠금시킬때, 잠금바(30a)가 잠금홈(16)에 삽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잠금바(30a)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밸브의 구조상 직경이 크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좋지 않아 강한 힘으로 핸들부(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잠금바(30a)가 휘어지게 되어 정상적인 락킹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3273호(2016.12.30.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부재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부재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개폐부재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키를 사용하여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키타입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가 이동하는 몸체의 상면 일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락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에는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도록 승강하는 락킹부재가 구비되는데, 상기 락킹부재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핸들부재의 회전상태에 따라 직선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락킹홈에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가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핸들부재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락킹홈 및 락킹부재의 내구성이 좋아 장시간 사용에도 변형이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키타입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이동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중공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핸들부재와, 상기 몸체를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하단은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핸들부재와 연결되는 결합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상면 일측에는 길이방향과 수직되도록 직선 형상의 락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설치홈에는 상기 락킹홈에 대응되도록 락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의 일측으로 레버부재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키가 삽입되도록 상기 설치홈과 연통되는 키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승강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공에 삽입되도록 승강 가이드핀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핀의 외측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레버부재의 전단 하부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키의 전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로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는 상기 제2경사면의 단부에 상기 제1절개홈의 단부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턱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상면 일측에는 회전 가이드핀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부재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부재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개폐부재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키를 사용할 경우에만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체가 이동하는 몸체의 상면 일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락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에는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도록 승강하는 락킹부재가 구비되는데, 상기 락킹부재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핸들부재의 회전상태에 따라 직선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락킹홈에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가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핸들부재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락킹홈 및 락킹부재의 내구성이 좋아 장시간 사용에도 변형이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키타입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키타입 밸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키타입 밸브 장치의 락킹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핸들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키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락킹부재와 락킹홈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핸들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키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타입 밸브 장치의 락킹부재와 락킹홈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키타입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유체가 이동하도록 중공(110)이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중공(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12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120)를 회전시키는 핸들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각각 연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파이프나 호스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상하 관통하도록 결합봉(150)이 설치되는데, 상기 결합봉(150)의 하부는 상기 개폐부재(120)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핸들부재(200)와 연결되어 핸들부재(200)를 회전시켜 상기 개폐부재(120)를 제어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재(200)를 회전시켜 개폐부재(120)를 통하여 몸체(100)의 중공(110)을 통하여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내부의 중공(110)과 연통되도록 제1결합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130)에 상기 결합봉(150)이 삽입되는데, 상기 결합봉(150)의 하단에는 결합돌부(154)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12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부(154)가 삽입되는 결합홈(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부(154)의 상단에는 플랜지(152)가 형성되어 결합봉(150)이 상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핸들부재(200)의 하부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제2결합공(21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봉(150)이 후술할 설치홈(210)으로 삽입되어 고정너트(156)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길이방향과 수직되도록 락킹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설치홈(210)에는 상기 락킹홈(140)에 대응되도록 락킹부재(2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홈(210)의 하면에는 상기 락킹부재(220)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작동공(216)이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재(220)의 하부가 상기 작동공(216)을 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락킹홈(140)에 삽입되어 핸들부재(2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락킹홈(140)은 직선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락킹부재(220)는 사각판 형상의 가로부재(222)와 세로부재(224)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216) 역시 락킹부재(220)에 대응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핸들부재(200)의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가로부재(222) 또는 세로부재(224)가 상기 락킹홈(216)에 삽입될 때, 개폐부재(120)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개방하게 되며 그러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부재(200)의 회전한 각도에 따라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로부재(222) 또는 세로부재(224)가 직선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락킹홈(140)에 삽입됨으로써, 그 지지력이 커지게 되어 핸들부재(20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락킹홈 및 락킹부재의 내구성이 좋아 장시간 사용에도 변형이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재(220)를 구성하는 상기 가로부재(222)의 일측으로 레버부재(226)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200)의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홈(210)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키공(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키공(240)에는 키(300)가 삽입되는데, 상기 키(300)는 상기 레버부재(226)의 하부를 지지하여 레버부재(226)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락킹부재(220) 전체가 상부로 이동하여 락킹홈(140)에서 이격되어 핸들부재(2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부재(226)의 전단 하부에는 제1경사면(228)이 형성되고, 상기 키(300)의 전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228)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320)이 형성되어 상기 키(300)를 키공(240)에 삽입할 때, 상기 제1,2경사면(228,320)에 의해 레버부재(226)을 용이하게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부재(226)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승강 가이드공(227)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10)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공(227)에 삽입되도록 승강 가이드핀(230)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가이드핀(230)의 외측에는 상기 레버부재(226)을 하방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232)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부재(2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락킹부재(220)가 상기 락킹홈(140)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로부재(222)의 하부에는 상기 키(300)가 삽입되는 제1절개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키(300)의 단부에는 상기 제2경사면(320)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걸림턱(330)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절개홈(223)의 단부에 걸림지지됨으로써, 상기 키(300)를 키공(24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핸들부재(2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키(300)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절개홈(310)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재(226)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승강 가이드핀(230)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키(300)의 단부가 제1절개홈(223)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회전 가이드핀(160)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부재(200)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핀(160)이 삽입되는 회전 가이드공(2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가이드공(214)은 상기 설치홈(210)의 하면에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 가이드공(214)는 상기 제2결합공(212)을 중심점으로 하여 90°의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핸들부재(20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 가이드핀(160)과 회전 가이드공(214)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회전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90°만큼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락킹부재(220)를 구성하는 가로부재(222) 또는 세로부재(224)가 상기 락킹홈(1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타입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에 의해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좋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키타입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중공
120 : 개폐부재 130 : 제1결합공
140 : 락킹홈 150 : 결합봉
160 : 회전 가이드핀 200 : 핸들부재
210 : 설치홈 220 : 락킹부재
230 : 승강 가이드핀 240 : 키공
300 : 키 310 : 제2절개홈
320 : 제2경사면 330 : 걸림턱

Claims (7)

  1. 유체가 이동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중공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핸들부재와,
    상기 몸체를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하단은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핸들부재와 연결되는 결합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상면 일측에는 길이방향과 수직되도록 직선 형상의 락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설치홈에는 상기 락킹홈에 대응되도록 락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의 일측으로 레버부재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키가 삽입되도록 상기 설치홈과 연통되는 키공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승강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공에 삽입되도록 승강 가이드핀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핀의 외측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의 전단 하부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키의 전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는 상기 제2경사면의 단부에 상기 제1절개홈의 단부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턱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 일측에는 회전 가이드핀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입 밸브 장치.
KR1020210063838A 2021-05-18 2021-05-18 키타입 밸브 장치 KR10230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38A KR102304730B1 (ko) 2021-05-18 2021-05-18 키타입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38A KR102304730B1 (ko) 2021-05-18 2021-05-18 키타입 밸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730B1 true KR102304730B1 (ko) 2021-09-28

Family

ID=7792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838A KR102304730B1 (ko) 2021-05-18 2021-05-18 키타입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7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74B1 (ko)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
KR101693273B1 (ko) 2015-06-18 2017-01-05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키타입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74B1 (ko)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
KR101693273B1 (ko) 2015-06-18 2017-01-05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키타입 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273B1 (ko) 키타입 밸브장치
KR950008997A (ko) 유량제어밸브
US8418515B2 (en) Valve operated by a master key
US20050199292A1 (en) Fluid device actuator with manual override
KR102304730B1 (ko) 키타입 밸브 장치
TWM531979U (zh) 電子陰極鎖
RU2005104112A (ru) Блок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двери
KR101479295B1 (ko) 가스밸브 안전장치
US10794514B2 (en) Security blow out proof valve assembly
EP0964193B1 (en) Fluid control valve
KR102370641B1 (ko) 볼밸브용 핸들잠금장치
US703626A (en) Stop for window-blinds.
KR20180008944A (ko)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
KR101974473B1 (ko) 퓨즈콕 내장형 가스차단장치
KR100914852B1 (ko) 오동작방지 수동밸브
KR102129812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레버 작동 방향 전환장치
KR102091245B1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진공 배관용 수동 밸브 장치
KR20190027893A (ko) 로크아웃 표지 장치 및 밸브
KR102162593B1 (ko) 마스터 키 잠금식 밸브
KR102048484B1 (ko) 퓨즈콕
KR200360334Y1 (ko)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KR20090004046A (ko) 잠금기능을 갖는 밸브
KR200216406Y1 (ko) 창문용 잠금장치
KR200273477Y1 (ko) 잠금기능을 갖는 볼밸브
KR200494568Y1 (ko) 피팅 오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