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480B1 -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 Google Patents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480B1
KR100785480B1 KR1020060093583A KR20060093583A KR100785480B1 KR 100785480 B1 KR100785480 B1 KR 100785480B1 KR 1020060093583 A KR1020060093583 A KR 1020060093583A KR 20060093583 A KR20060093583 A KR 20060093583A KR 100785480 B1 KR100785480 B1 KR 10078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il
steering gear
hydraulic oil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원
김상철
김재후
정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2Steering gear with fluid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4Steering gear power assisted; power driven, i.e. using steering engine
    • B63H25/18Transmitting of movement of initiating means to steering engine
    • B63H25/22Transmitting of movement of initiating means to steering engine by fluid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는 스티어링 기어의 오일 석션 포인트보다 적정 높이 상향 배치되어 내부에 작동유를 보관하며, 스티어링 기어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배관과 스티어링 기어로부터 작동유를 회수하는 회수배관이 각각 연결되는 제 1 탱크와, 상기 제 1 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탱크 내의 잔여 작동유 부족을 감지하여 경고하는 수준감지기와 상기 제 1 탱크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탱크 내의 작동유의 부족 시 보충시킬 작동유를 보관하는 제 2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내의 작동유를 상기 제 1 탱크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사이에 배관된 제 1 배관라인과, 상기 제 1 탱크 내의 과잉 작동유를 상기 제 2 탱크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사이에 배관된 제 2 배관라인, 및 상기 제 2 탱크로부터 상기 제 1 탱크로 보충시킬 작동유를 압송시키도록, 상기 제 1 배관라인 상에 설치된 펌프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 오일 탱크(Oil tank), 수준감지기, 배관라 인, 작동유, 펌프.

Description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Combined steering gear oil tank}
도 1은 종래 기술에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실시예를 이용한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실시예 101: 제 1 탱크
103: 수준감지기 105: 제 1 탱크오일게이지
107: 에어브리더오일필터 111: 제 1 배관라인
113: 펌프 115: 아이솔레이션밸브
117: 회수배관 119: 송급배관
121: 제 2 배관라인 131: 아이플레이트
151: 제 2 탱크 153: 클리닝커버
157: 볼트 159: 너트
161: 제 2 탱크오일게이지 163: 벤트(Vent)
173: 드레인플러그 177: 드레인배관
179: 드레인밸브
본 발명은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는 선박 내 대형 기계시스템 중 하나로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기계시스템이다.
이러한 스티어링 기어에는 주조타장치와 보조조타장치와 유압구동장치(Power actuating system) 및 제어장치(Control system)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주조타장치는 항해 상태에서 선박을 조종하기 위한 장치로서, 키를 유효하게 구동하는 데 필요한 키조작기와 조타를 위한 동력장치 및 그 부속장치들에 의해 러더스탁(Rudder stock)에 회전력을 인가한다. 그리고 보조조타장치는 주조타장치가 손상된 경우에 필요한 장치로서, 주조타장치와는 별개의 장치이다. 그리고 유압구동장치는 작동유의 흐름을 조절하여 발생된 유압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제어장치는 조타실(Navigating Bridge)로부터 각 장치들에 필요한 동작신호를 명령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티어링 기어는 그 작동방식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대별되어 지는 데, 램(Ram)형 스티어링 기어와 베인(Vane)형 스티어링 기어가 그것이다.
이때, 램형 스티어링 기어는 베인형 스티어링 기어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는데, 특히, 램형 스티어링 기어는 틸러(Tiller)와 액츄에이터(실린더와 램 등을 포함)가 서로 분리된 독립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틸러 취부, 실린더 누유 체크, 오일 씰 교환 등이 용이하다.
그런데 이러한 램형 스티어링 기어는 오일 석션 포인트(Oil Suction Point)보다 상부에 위치해야할 익스팬션탱크(Expansion tank)의 배치조건에 따라, 익스팬션탱크와 스토리지탱크가 분리된 형태의 오일 탱크를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를 도시한 개념도인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는 오일 석션 포인트 보다 상향 배치되도록, 선미측벽(transom wall) 상부에 설치되는 익스팬션탱크(1)와, 상기 익스팬션탱크(1)의 하부 인접된 바닥면(Deck) 상에 설치되는 스토리지탱크(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 분리된 상기 익스팬션탱크(1)와 상기 스토리지탱크(3)는 복수 개의 배관라인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도면에서는 두 개의 배관라인(5, 7)만을 도시하였다. 그 중 하나는 상기 스토리지탱크(3)에서 상기 익스팬션탱크(1)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배관라인(5)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익스팬션탱크(1)에서 상기 스토리지탱크(3)로 작동유 과잉분을 재저장시키는 저장배관라인(7)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는 익스팬션탱크(1)와 스토리지탱크(3)가 서로 분리된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공급배관라인(5)과 저장배관라인(7)이 불필요하게 길어져 그 배치 및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따랐으며, 각종 배관들이 바닥, 벽면, 천장 등에 돌출 형성되어 설치 후에도 작업자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익스팬션탱크(1)는 스티어링 기어의 오일 석션 포인트 보다 상향 배치되어야 하므로 선미측벽 상부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익스팬션탱크(1)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별도의 플랫폼(9)과, 상기 플랫폼(9)을 지지해 줄 구조물(11)과, 상기 플랫폼(9)으로 진입할 수 있는 사다리(13) 등을 설치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많은 공수 및 비용이 추가 소요되어, 제품 경쟁력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기어에 작동유를 제공하는 제 1 탱크와, 제 1 탱크 내의 작동유 부족 시 추가적으로 공급할 작동유를 예비 보관하는 제 2 탱크를 복합형으로 구성하여, 불필요한 플랫폼, 구조물 및 사다리와 복잡한 각종 배관라인들을 주변에 설치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복합형 스티어링 오일 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는 스티어링 기어의 오일 석션 포인트보다 적정 높이 상향 배치되어 내부에 작동유를 보관하며, 스티어링 기어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송급배관과 스티어링 기어로부터 작동유를 회수하는 회수배관이 각각 연결되는 제 1 탱크와 상기 제 1 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탱크 내의 잔여 작동유 부족을 감지하여 경고하는 수준감지기와 상기 제 1 탱크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탱크 내의 작동유의 부족 시 보충시킬 작동유를 보관하는 제 2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내의 작동유를 상기 제 1 탱크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사이에 배관된 제 1 배관라인과 상기 제 1 탱크 내의 과잉 작동유를 상기 제 2 탱크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사이에 배관된 제 2 배관라인 및 상기 제 2 탱크로부터 상기 제 1 탱크로 보충시킬 작동유를 압송시키도록, 상기 제 1 배관라인 상에 설치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탱크의 일측에는 내부 공간의 유지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한 클리닝커버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클리닝 커버에 의해 상기 제 2 탱크 내부의 청소가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제 1 탱크 또는 상기 제 2 탱크의 일측면에는 보관된 작동유의 용량 확인을 위한 오일게이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일 게이지는 작업 관리자가 외부에서 각각의 탱크 내부에 보관된 오일의 용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상하 눈금이 새겨진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탱크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외부에서 작동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역할과, 상기 제 1 탱크의 내부 압력 안정을 위한 통기구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에어브리더오일필터(Air breather oil filte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어브리더오일필터에는 외부에서 작동유를 주입 시,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인렛필터(Inlet filter)가 내장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인렛필터에 의해서 새로운 작동유 공급 시 깨끗한 작동유만이 걸러지게 되어 장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탱크의 상부면 일측부에는 상기 제 2 탱크의 내부 압력 안정을 위한 통기구인 벤트(Vent)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러한 벤트는 일종의 공기통로로서, 상기 제 2 탱크 내부의 작동유 체적변화에 따른 내부 압력 변화에 부응해 적절한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하여, 내부 압력 변화로 인한 위험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제 1 배관라인 상에는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의 분리 시 상기 제 1 탱크로부터의 작동유 외부 누유를 방지하는 아이솔레이션밸브(Isolation Valve)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시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가 분리될 경우, 상기 제 1 배관라인을 통해 상기 제 1 탱크의 작동유가 외부로 누유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유 누유를 차단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배관라 인 상에는 별도의 아이솔레이션밸브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탱크의 하부면 일측부에는 상기 제 2 탱크 내부에 보관된 작동유의 배출을 조절하는 드레인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드레인 수단은 상기 제 2 탱크의 하부면에 형성된 드레인홀에 끼움결합 가능한 마개 형상의 드레인플러그 및 작동유 배출을 위한 드레인배관, 상기 드레인배관 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조절하는 드레인밸브로 구성된 드레인밸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펌프는 수조작이 가능한 핸드펌프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탱크의 상부면 일측에는 크레인 운반 시 셰클(Shackle)과 체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아이플레이트(Eye plate)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 일 탱크의 실시예(100)는 스티어링 기어의 오일 석션 포인트보다 적정 높이 상향 배치되는 제 1 탱크(101), 상기 제 1 탱크(10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 2 탱크(151),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에 각각 연결된 제 1 배관라인(111)과 제 2 배관라인(121), 상기 제 1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 부족을 감지하여 경고하는 수준감지기(103) 및 상기 제 1 배관라인 상에 설치된 펌프(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탱크(101)는 스티어링 기어에 공급할 작동유를 보관하는 장치로서, 일측에는 작동유를 스티어링 기어까지 내보내는 송급배관(119)과 작동유를 다시 회수하는 회수배관(117)이 복수 개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력에 의해 작동유가 스티어링 기어로 자연스럽게 송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탱크(101)의 위치는 스티어링 기어의 오일 석션 포인트보다 적정 높이(예를 들면, 500mm) 상향 배치된다.
스티어링 기어의 동작 중 이러한 제 1 탱크(101) 내에는 적정 용량 이상의 작동유가 항시 보관되어있어야 하므로, 잔여 작동유의 부족을 감지하기 위하여 수준감지기(103, Level switch)가 이용된다. 이때, 상기 수준감지기(103)는 상기 제 1 탱크(101) 내부에 설치된다. 만일 이러한 수준감지기(103)에서 상기 제 1 탱크(101) 내부의 잔여 작동유 부족을 감지한 경우, 엔진룸(미도시) 또는 조타실(미도시)에 구비된 경보기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탱크(101)의 일측에는 보관된 작동유의 용량 확인을 위한 제 1 탱크오일게이지(10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탱크오일게이지(105)로는 상하 눈금이 새겨진 투명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데, 유리 또 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 1 탱크오일게이지(105)는 후술될 제 2 탱크오일게이지(161)와 크기만 다르며, 그 형상 및 소재가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탱크(101)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에어브리더오일필터(107, Air breather oil filter)가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브리더오일필터(107)는 외부에서 상기 제 1 탱크(101) 내부로 작동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역할과, 상기 내부 압력 안정을 위한 통기구 역할을 겸용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브리더오일필터(107)의 내부에는 작동유 주입 시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인렛필터(Inlet filter)가 내장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탱크(101)의 상부면 일측에는 복수 개의 아이플레이트(131, Eye plate)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아이플레이트(131)는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실시예(100)를 운반할 때, 크레인의 셰클(미도시, Shackle)과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셰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부재이다. 또한, 상기 아이플레이트(131)는 선박 운항중 발생 가능한 진동 보강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박 운항 중 예측하지 못한 진동발생으로 상기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탱크의 실시예(100)에 과도한 진동이 발생 시 선미 벽으로부터 서포트(미도시, Support)를 연결하여 상기 아이플레이트(131)에 볼팅(Bolting) 체결시킴으로써 진동을 감쇠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실시예(100)에 내구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탱크(101)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탱크(101) 내의 작동유 부족 시 보충시킬 작동유를 예비 보관하는 제 2 탱크(151)가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실시예(100)에서는 복층 구조로 일체화된 상하 탱크 중 상기 제 1 탱크(101)가 익스팬션탱크(Expansion tank)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 2 탱크(151)가 스토리지탱크(Storage tank)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탱크(151)의 용적이 상기 제 1 탱크(101)의 용적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각 선급 규칙에서는 스토리지탱크의 용량으로 하나의 액츄에이팅 시스템(Power Actuating System)과 여유분을 가질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파워 액츄에이팅 시스템이란 틸러(Tiller)를 구동시키는 실린더 램(Cylinder Ram)을 의미하는데, 하나의 실린더 램의 오일용량과 배관라인에 저장된 오일용량을 합하면 스토리지탱크의 용적을 결정지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탱크의 실시예(100)는 상기 제 1 탱크(101)의 하부면에 상기 제 1 탱크(101) 내의 작동유 부족 시 보충시킬 작동유를 예비 보관하는 제 2 탱크(151)가 결합되어 있는 복층 구조의 일체화된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앞서 도 1에서 살펴보았던 익스팬션탱크(1)와 스토리지탱크(3)가 분리된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에 비해 설치 배관라인이 대략 60% 이상 감소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선급 규칙에서 언급된 바 있는 여유분의 오일량을 절감할 수 있게 하므로, 더욱 경제적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탱크(151)의 일측에서는 클리닝커버(153, Cleaning cover)가 볼트(159)와 너트(157)를 포함하는 클리닝커버체결수단(155)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클리닝커버(153)를 떼어내면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작업자의 상반신이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탱크(151)의 일측에는 보관된 작동유의 용량 확인은 위한 제 2 탱크오일게이지(161)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탱크오일게이지(16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탱크오일게이지(105)에 비해 크기만 비교적 클 뿐 그 형상 및 소재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탱크(151)의 상부면 일측에는 벤트(163, Vent)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벤트(163)는 공기 통기구의 역할을 하는 짧은 관형 부재로서, 상기 제 2 탱크(151) 내부의 작동유 체적변화에 따른 내부 압력 변화에 부응해 적절한 공기 흐름이 발생되도록 하여, 내부 압력 변화로 인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상기 제 2 탱크(151)의 하부면 일측부에는 상기 제 2 탱크(151) 내부에 보관된 작동유의 배수를 조절하는 드레인수단(173, 175)이 구비되어 있다. 그 중 하나는 마개 형상의 드레인플러그(173, Drain plug)이며, 나머지 하나는 드레인배관(177)과 상기 드레인배관(177) 상에 설치된 드레인밸브(179)를 포함하는 드레인밸브세트(175, Drain valve set)이다. 상기 드레인플러그(173)는 상기 제 2 탱크(151)의 하부면에 형성된 드레인홀에 끼움결합 가능한 마개 형상의 장치로서, 끼워진 상기 드레인플러그(173)를 빼냄으로써 상기 제 2 탱크(151) 내에 보관된 작동유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밸브세트(175)는 상기 드레인밸브(179)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 2 탱크(151) 내에 보관된 작동유를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탱크(101)와 상기 제 2 탱크(151) 사이에는 두 개의 배관라인(111, 121)이 연결된다. 상기 제 1 탱크(101)와 상기 제 2 탱크(151)의 하단부 사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연결된 것이 제 1 배관라인(111)이며, 상기 제 1 탱크(101)와 상기 제 2 탱크의 상단 사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연결된 것이 제 2 배관라인(121)이다.
상기 제 1 배관라인(111)은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탱크(151)로부터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탱크(101)로 보충시킬 작동유를 공급하는 배관라인이며, 상기 제 2 배관라인(121)은 상기 제 1 배관라인(111)과는 달리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탱크(101)로부터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탱크(151)로 과다 공급된 잉여분의 작동유를 공급하는 배관라인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1 배관라인(111)에는 작동유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압송시킬 수 있도록 펌프(113)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펌프(113)로 수조작이 가능한 핸드펌프를 이용하였지만,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기펌프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 1 배관라인(111)에는 아이솔레이션밸브(115, Isolation valve)가 설치되어 있다. 유사시 상기 제 1 탱크(101)와 상기 제 2 탱크(151)가 분리되어야 할 경우, 상기 제 1 배관라인(111)을 통해 상기 제 1 탱크(101)의 작동유가 외부로 누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배관라인(111) 상에 설치된 아이솔레이션밸브(115)를 닫으면 작동유의 외부 누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의 일실시예를 이용한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기어에 공급한 작동유를 보관하는 제 1 탱크(101)의 측면에는 스티어링 기어로 작동유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작동유 송급배관(119)과 회수배관(117)이 연결되어 있다. 선박의 조타실에서 조타신호 지령이 인가되면 전기모터(180)가 동작된다. 이때, 상기 송급배관(119)을 따라 유입된 작동유는 실린더(183) 및 램(18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츄에이터(181)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전기모터(180)의 동작에 의해 유압을 가지게 된 작동유는 상기 실린더(183) 내부에서 상기 램(185)을 전진 또는 후퇴시킨다. 이러한 결과 상기 램 사이에 맞물린 틸러(190, Tiller)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적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스티어링 기어의 작동 중 상기 제 1 탱크(101) 내부에 보관된 작동유가 부족될 경우, 상기 제 1 탱크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기 제 2 탱크(151)로부터 추가 작동유가 보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는 스티어링 기어에 공급하는 작동유를 보관하는 제 1 탱크(Expansion tank)와 제 1 탱크 내의 작동유 부족 시 추가로 보충시킬 작동유를 보관하는 제 2 탱크(Storage tank)를 복층구성으로 일체화하여, 종전 각 탱크의 분리사용에서 요구되었던 플랫폼, 사다리 및 각종 지지구조물의 설치에 드는 공수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는 스티어링 기어 오일 석션 포인트보다 상향 위치되어야 하는 설치조건으로 인하여 선미 측벽(transom wall)에 부착 사용되던 제 1 탱크(Expansion tank)를 제 2 탱크(Storage tank)와 복층구성으로 결합시켜 일체화하여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작동유 배관라인을 간소화 시킬 수 있어 제품 유지보수에 편리하며, 장애물 돌출로 인한 작업자의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는 제 1 탱크와 제 2 탱크간의 필수 요소(예:오일라인 파이프, 핸드펌프, 아이솔레이션 밸브 등)들을 모두 포함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종래에 수행되어 오던 각 탱크의 설치 후 후행 작업으로 상기 필수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설치 및 플러싱(Flushing)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 물량 절감 및 생산성을 극대화 시켜주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스티어링 기어의 오일 석션 포인트보다 적정 높이 상향 배치되어 내부에 작동유를 보관하는 제 1 탱크;
    상기 제 1 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탱크 내의 잔여 작동유 부족을 감지하여 경고하는 수준감지기;
    상기 제 1 탱크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탱크 내의 작동유의 부족 시 보충시킬 작동유를 보관하는 제 2 탱크;
    상기 제 2 탱크 내의 작동유를 상기 제 1 탱크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사이에 배관된 제 1 배관라인;
    상기 제 1 탱크 내의 과잉 작동유를 상기 제 2 탱크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 사이에 배관된 제 2 배관라인; 및
    상기 제 2 탱크로부터 상기 제 1 탱크로 보충시킬 작동유를 압송시키도록, 상기 제 1 배관라인 상에 설치된 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탱크가 스티어링 기어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송급배관과 스티어링 기어로부터 작동유를 회수하는 회수배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가 복층구성으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탱크의 일측에는 내부 공간의 유지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한 클리닝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탱크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외부에서 작동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역할과, 상기 제 1 탱크의 내부 압력 안정을 위한 통기구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에어브리더오일필터(Air breather oil filter)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탱크의 상부면 일측부에는 상기 제 2 탱크의 내부 압력 안정을 위한 통기구인 벤트(Vent)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관라인 상에는 상기 제 1 탱크와 상기 제 2 탱크의 분리 시 상 기 제 1 탱크로부터의 작동유 외부 누유를 방지하는 아이솔레이션밸브(Isolation Valve)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탱크의 하부면 일측부에는,
    상기 제 2 탱크의 하부면에 형성된 드레인홀에 끼움결합 가능한 마개 형상의 드레인플러그; 및
    작동유 배출을 위한 드레인배관, 상기 드레인배관 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조절하는 드레인밸브로 구성된 드레인밸브세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탱크 내부에 보관된 작동유의 배출을 조절하는 드레인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수조작이 가능한 핸드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KR1020060093583A 2006-09-26 2006-09-26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KR10078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83A KR100785480B1 (ko) 2006-09-26 2006-09-26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83A KR100785480B1 (ko) 2006-09-26 2006-09-26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480B1 true KR100785480B1 (ko) 2007-12-13

Family

ID=3914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583A KR100785480B1 (ko) 2006-09-26 2006-09-26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4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837A (ja) 2002-11-21 2004-06-17 Japan Hamuwaaji Kk ロータリーベーン式舵取機のバルブブロ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837A (ja) 2002-11-21 2004-06-17 Japan Hamuwaaji Kk ロータリーベーン式舵取機のバルブブロック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7076B2 (ko)
US20130036962A1 (en) Mounting method of thruster
US10472038B1 (en) Hydraulic fluid reservoirs for steering actuators on outboard motors
CN113386900A (zh) 一种兼具消防、舱底和压载功能的船舶水系统
JP2008201308A (ja) 船舶の復原力回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運搬船
KR100785480B1 (ko) 복합형 스티어링 기어 오일 탱크
US8840438B2 (en) Hydraulic system for a watercraft
KR20100036911A (ko)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
KR101501970B1 (ko) 긴급 상황의 경우에 오염 유발 액체를 회수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부유 선박 및 이러한 오염 유발 액체의 회수 방법
NO20160708A1 (no) Stabiliseringsinnhentingssystem for et skip.
JP4866311B2 (ja) 油圧回路保護装置
US10850824B2 (en) Redundant steering system for waterborne vessels
JPH0577781A (ja) タンカーの交通装置
CN102910267B (zh) 船舶的复原力恢复装置
KR101864741B1 (ko) 선박
CN102407928B (zh) 船用液压升降烟囱
CN210439997U (zh) 一种高压泥浆泵和完井泵安全阀泄放系统
JP4221219B2 (ja) ハイドロフォータンクユニット及び船内給水システム
CN115750475B (zh) 一种滚装船电动顶推系统及装置
US20020134210A1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sorting diagnostic strips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CN110139797B (zh) 船形浮体结构物
JPS624052Y2 (ko)
KR19990084014A (ko) 유압구동형 선미추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5214557B2 (ja) 作動油タ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