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911A -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 - Google Patents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911A
KR20100036911A KR1020087030008A KR20087030008A KR20100036911A KR 20100036911 A KR20100036911 A KR 20100036911A KR 1020087030008 A KR1020087030008 A KR 1020087030008A KR 20087030008 A KR20087030008 A KR 20087030008A KR 20100036911 A KR20100036911 A KR 2010003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tight
seawater
ship
immersion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059B1 (ko
Inventor
도오루 기따무라
마사요시 다니
구니아끼 야마또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703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0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2Double bottoms; Tank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24Arrangements of watertight doors in bulkheads
    • B63B43/32Arrangements of watertight doors in bulkheads of non-slid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종래 선박의 손상시에 있어서의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선박의 선 바닥의 보이드 공간을 형성하는 최하층의 수밀 갑판에 원격으로 개방 가능한 해수 도입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선박의 선측 외판 등이 파손되어, 해수가 선 내에 진입한 경우, 최하층의 수밀 갑판에 구비된 해수 도입 수단을 개방함으로써, 선 내에 진입한 해수를 보이드 공간에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은 방대한 예비 부력인 보이드 공간을, 일종의 해수 밸러스트 탱크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선박의 복원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자동차 운반선, 수밀 도어, 해수 도입 구멍, 침수 표시기,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

Description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RESTORATION ABILITY RECOVERING DEVICE OF THE SHIP AND CAR CARRI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손상시에 있어서의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손상시에 있어서의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객선 등의 복수의 구획을 갖는 선체에 있어서, 손상시의 침수량을 제약함으로써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접하는 구획을 구획하기 위한 벽 요소이며, 소정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내화성을 갖는 주 벽 요소와, 주 벽 요소와 협동하여 인접하는 구획을 구획하기 위한 벽을 형성하고 또한 주 벽 요소의 하방에 위치하는, 내부에 액체를 충전시키지 않은 내화성을 갖는 부가 요소를 구비하고, 또한 부가 요소는, 인접하는 구획 사이의 가열 기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동시에, 인접 구획의 한쪽에 해수가 진입했을 때에는 인접하는 구획의 다른 쪽으로의 해수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워터 트랩(Water Trap)을 설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 따르면, 워터 트랩에 의해 선체의 손상에 의해 인접 구획의 한쪽에 해수가 침입한 경우에는 다른 구획에도 해수가 진입하게 된 다.
이에 의해, 선체 내부의 복수의 구획에 침수시킨 상태로 되어, 선체의 축 둘레의 회전 모멘트를 억제할 수 있고, 선체의 복원 성능이 향상된다.
그러나, 자동차 운반선 등에 상기한 워터 트랩을 적용하는 경우, (a) 차량 탑재 구획 내에 복수의 벌크헤드(수밀 격벽)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구획의 제한을 받고, (b) 차량 탑재 갑판 사이에 수밀 미끄럼 도어 등으로 구획을 나누어야만 하고, (c) 차량 탑재 구획을 나눔으로써 물량이 증가하여 비용 상승으로 되고, (d) 차량 탑재 구획을 나눔으로써 물량이 증가하여 선체 중량이 증가하고(L/W 증가), (e) 차량 탑재 구획을 나눔으로써 건조시의 작업 효율이 악화되고, (f) 차량 탑재 구획을 나눔으로써 승무원의 작업 효율이 악화되고, (g) 차량 탑재 제약이 발생하여 탑재 대수가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하등의 대책을 행하지 않은 경우, 자동차 운반선 등에 있어서 손상시에 있어서의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GoM(가로 메타센터 높이)의 요구값이 커져, GoM의 요구값이 커지면 운항시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 제한을 받고, 차량의 적재 제한을 받으면 오퍼레이션의 폭이 좁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혹은, 손상시에 있어서의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게 중심 강하용의 밸러스트가 필요하게 되어 자동차 운반선 등에서는 차량 탑재 대수가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 바닥의 편평한 주 선체와, 이 주 선체의 선 바닥 하부에 해수 출입 압력 전달 개방 구멍과 공기 제거 벤트관을 갖는 침수조 외부 선각을 부가하여 침 수조 보조 선체를 구성하고, 주 선체의 선 바닥 하부와 침수조 보조 선체의 내부 사이에 접합 고정 킬(깊은 용골)을 설치하고, 종래 선박 이론을 기초로 한 선의 기능을 감당하는 주 선체와, 새로운 개념을 포함하는 선의 전복 방지 기능을 담당하는 침수조 보조 선체로 형성(구성)함으로써, 외관상의 무게 중심을 하부로 이동하여 전복하기 어렵도록 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에서는, 무게 중심 강하용의 밸러스트를 설치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차량 탑재 대수가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995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7-30449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선 바닥 부근에 방대한 보이드 공간(파이프 공간) 등의 예비 부력을 갖는 선박에 있어서, 그 보이드 공간(파이프 공간) 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선박의 손상시에 있어서의 복원성을 확보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각 발명은,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으로서, 각각 이하에 서술하는 각 수단을 채용한 것이다.
(1) 제1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는,
선박의 선 바닥의 보이드 공간 상의 최하층의 수밀 갑판에 원격으로 개방 가능한 해수 도입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제2 수단은, 제1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수밀 갑판의 현측 근방에 개방된 해수 도입 구멍과,
상기 해수 도입 구멍의 하면을 폐색하는 수밀 도어와,
상기 수밀 도어를 개방하는 수밀 도어 개방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제3 수단은, 제1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수밀 갑판의 현측 근방에 개방된 해수 도입 구멍과,
상기 해수 도입 구멍을 둘러싸도록 상기 수밀 갑판의 하면에 설치된 수밀 상자와,
상기 수밀 상자의 측면에 개방된 제2 해수 도입 구멍과,
상기 제2 해수 도입 구멍을 폐색하는 수밀 도어와,
상기 수밀 도어를 개방하는 수밀 도어 개방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제4 수단은, 제2 또는 제3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밀 갑판 상에 설치된 침수 검지 장치와,
상기 침수 검지 장치가 침수를 검지한 것을 표시하는 침수 표시기와,
상기 수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상기 수밀 도어 개방 장치에 출력하는 수밀 도어 조작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제5 수단은, 제4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비수밀 구획에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침수 표시기 및 상기 수밀 도어 조작기는, 상기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제6 수단은, 제5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선박의 상태가 입력되는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과,
상기 상기 침수 검지 장치로부터의 침수를 검지한 신호와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에 입력된 상기 선박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상기 수밀 도어를 자동 개방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자동 개방이라 판정한 경우에 수밀 도어를 개방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개방 판정기와,
상기 수밀 도어 조작기로부터의 조작 신호 및 상기 자동 개방 판정기로부터의 조작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수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상기 수밀 도어 개방 장치에 출력하는 수동/자동 절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제7 수단은, 제5 또는 제6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이드 공간에 수위계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에 상기 수위계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이드 공간 내의 해수의 레벨을 표시하는 해수 레벨 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제8 수단은, 제1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보이드 공간 내에 설치된 해수 도입 개폐 밸브와,
상기 해수 도입 개폐 밸브에 접속되고 상기 수밀 갑판에 개방하는 해수 도입관을 갖는 동시에,
상기 수밀 갑판 상의 상기 수밀 도어의 근방에 설치된 침수 검지 장치와,
상기 침수 검지 장치가 침수를 검지한 것을 표시하는 침수 표시기와,
상기 해수 도입 개폐 밸브를 조작하는 밸브 원격 조작 막대와,
상기 밸브 원격 조작 막대의 선단부에 설치된 밸브 조작 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제9 수단은, 제1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수밀 갑판의 현측 근방에 개방된 해수 도입 구멍과,
상기 해수 도입 구멍을 둘러싸도록 상기 최하층의 수밀 갑판의 하면에 설치된 수밀 상자와,
상기 수밀 상자의 측면에 개방된 제2 해수 도입 구멍을 갖는 동시에,
상기 수밀 갑판 상의 상기 수밀 도어의 근방에 설치된 침수 검지 장치와,
상기 침수 검지 장치가 침수를 검지한 것을 표시하는 침수 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제10 수단은, 제1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수밀 갑판의 좌우현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기 제거관을 연통하는 종통 연통관이고,
상기 수밀 갑판 상의 선측 외판의 근방에 설치된 침수 검지 장치와,
상기 침수 검지 장치가 침수를 검지한 것을 표시하는 침수 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제11 수단은, 제8 내지 제10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이드 공간에 수위계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수위계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이드 공간 내의 해수의 레벨을 표시하는 해수 레벨 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제12 수단의 자동차 운반선은,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은, 상기한 각 수단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원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선측 외판 등이 파손되어, 해수가 선 내에 진입한 경우, 최하층의 수밀 갑판에 구비된 해수 도입 수단을 개방함으로써, 선 내에 진입한 해수를 보이드 공간(파이프 공간)에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은 방대한 예비 부력인 보이드 공간(파이프 공간)을, 일종의 해수 밸러스트 탱크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선박의 복원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운반선
2 : 선측 외판
3 : 선 바닥 외판
4 : 건현 갑판
5a, 5b : 수밀 갑판
6 : 차량 탑재용의 비수밀 갑판
7 : 밸러스트 탱크
8, 8a : 보이드 공간
9 : 배관
10 : 공기 제거관
11 : 침수 검지 장치
12 : 수위계
13 : 해수 도입 구멍
14 : 수밀 상자
15 : 제2 해수 도입 구멍
16 : 수밀 도어
17 : 해수 도입관
18 : 해수 도입 개폐 밸브
19 : 밸브 원격 조작 막대
20 : 밸브 조작 핸들
21 : 종통 연통관
22 : 스토퍼
23 : 유압 실린더 장치
24 : 수밀 도어 개방 장치
25 : 해수 도입 수단
30 :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
31 : 침수 표시기
32 : 자동 개방 판정기
33 : 수동/자동 절환기
34 : 수동의 수밀 도어 조작기
35 : 해수 레벨 표시기
36 :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
L1 : 검출 신호선
L2 : 해수 레벨 검출 신호선
L3 : 밸브 조작 신호선
L4 : 개방 조건 신호선
CS : 차량 탑재 구획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 도6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정면 단면도이다.
우선, 도1, 도2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운반선(1)은 선측 외판(2)과 선 바닥 외판(3)에 의해 횡단면 형상이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자동차 운반선(1)의 내부는, 건현 갑판(4)(차량 반출입 갑판, 수밀 갑판), 복수층의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a, 5b) 및 다수층의 차량 탑재용의 비수밀 갑판(6)이 설치되어 있다.
즉, 자동차 운반선(1)의 상하 방향 중앙 부근에는 수밀의 건현 갑판(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건현 갑판(4)에는, 차량이 롤 온ㆍ롤 오프하기 위해 도시 생략한 선외 램프가 연결되어 있다.
자동차 운반선(1)에 최하부에는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a)이 설치되고, 건현 갑판(4)의 상부에도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건현 갑판(4)과 상부의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b) 사이, 건현 갑판(4)과 최하부의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a) 사이에는, 적어도 1층 이상의 차량 탑재용의 비수밀 갑판(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의 수밀 갑판(5b)의 상부에도 복수층(5 내지 7층)의 차량 탑재용의 비수밀 갑판(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건현 갑판(4), 복수층의 수밀 갑판(5a, 5b), 다수층의 비수밀 갑판(6) 사이에 다수층(예를 들어, 10 내지 12층)의 차량 탑재 구획(CS)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최하부의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a) 아래에는 밸러스트 탱크(7)(혹은 연료 탱크 등)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의 경우에는, 선 바닥 손상시에 연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중으로 할 필요가 있어, 선 바닥 외판(3)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
선 바닥 외판(3)과 최하부의 수밀 갑판(5a) 혹은 밸러스트 탱크(7)(혹은, 연료 탱크 등)의 탱크 바닥판 사이에는 보이드 공간(8)(파이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보이드 공간(8)에는 밸러스트수, 연료 등 반송용의 다수본의 배관(9)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보이드 공간(8)(혹은 보이드 공간)은, 밸러스트(고정, 혹은 해수) 등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고, 방대한 예비 부력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은, 이 보이드 공간(8)의 방대한 예비 부력을 갖고 있으면서, 예비 부력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는 선박에 대해 잔존 복원력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 선박에서는, 만재 상태에서는 요구값을 만족하기는 하나, 특히 경하 상태에서는 잔존 복원력이 부족하고, 요구값을 만족할 수 없는 선박이 많이 보여지고 있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즉, 종래 선박에서는, 경하 상태 등에서는 침수 후의 가로 경사에 의한 영향 등이 기인하여, 복원력(GZ) 부족에 빠지는 것이라 생각하고, 본 실시 형태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있어서는, 가로 경사의 시정 및 무게 중심 강하책에 의한 가로 메타센터 높이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사고 방식에서는, 침수 구획의 용적을 줄이고, 손상시의 잔존 복원력을 확보하는 것이 통례이나, 본 실시 형태의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따르면, 만재 상태에서는 요구값을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방대한 예비 부력을 유효 활용하여 잔존 복원력을 확보하기 위해, 침수 용적을 늘리고 침수 후의 흘수를 깊게 하여, 복원력(GZ) 확보를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혹은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는, 상술한 구성에 부가하여, 최하부의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의 좌우의 선측 외판(2) 부근에 개방된 해수 도입 구멍(13)에, 수밀 도어(16)(수밀 햇치 등의 형태의 것도 포함함)가 설치되어 있다.
수밀 도어(16)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 도입 구멍(13)의 플랜지 등에, 일단부가 힌지 핀 등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부가 스토퍼(22)(키 등의 형태의 것도 포함함)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스토퍼(22)에는 유압 실린더 장치(2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22) 및 유압 실린더 장치(23)에 의해 구성된 수밀 도어 개방 장치(24)를 구동시킴으로써, 스토퍼(22)가 수밀 도어(16)로부터 벗어나, 수밀 도 어(16)가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밀 도어 개방 장치(24)는 스토퍼(22) 및 유압 실린더 장치(23)에 의해 구성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밀 도어(16)의 개방 및 폐쇄를 행하는 개폐용 유압 실린더로 해도 좋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유압 실린더 장치(23)는 유압 실린더뿐만 아니라,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각종 밸브류 및 밸브류를 구동하는 전자기 코일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격으로 개방 조작 가능한 해수 도입 수단(25)은 해수 도입 구멍(13), 플랜지, 수밀 도어(16), 스토퍼(22), 유압 실린더 장치(2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 자동차 운반선(1) 등에 있어서는, 최하부의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a)에 햇치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햇치는 다수의 볼트 너트 등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햇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햇치에 근접하여 다수의 너트를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최하부의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a)에 설치된 해수 도입 수단(25)은, 원격 조작에 의해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햇치 등과는 달리, 그 장소에 해수가 침수해도 간단하게 원격으로 해수 도입 수단(25)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a) 상의 최하층의 차량 탑재 구획(CS) 내에는 침수 검지기, 텔레비젼 카메라 혹은 레벨 스위치 등의 침수 검지 장치(11)가 설 치되어 있다. 이 침수 검지 장치(11)는, 좌우현의 선측 외판(2) 부근에, 선수미 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예를 들어, 선수 부근, 중앙, 선미 부근의 적어도 3군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수 검지 장치(11)는, 예를 들어 선측 외판(2) 내면에 전선, 광파이버 등을 붙여 두어, 선체가 손상되고, 전선, 광파이버가 절단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침수를 검지하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보이드 공간(8) 내에는, 유입된 해수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계(12)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선박에 있어서는, 보이드 공간(8) 내에는 해수를 도입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선 바닥 외판(3) 상면 부근에 간단한 레벨 스위치(예를 들어, 빌지 펌프 운전/정지용의 플로트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는 정도였다.
본 실시 형태의 것에서는, 보이드 공간(8) 내에 해수를 도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이드 공간(8) 내에 수위계(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위계(12)는, 예를 들어 보이드 공간(8)의 하부, 상부, 중앙 위치의 적어도 3군데에 레벨 스위치(플로트 스위치)를 설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위계(12) 대신에, 측심관을 채용해도 좋다.
한편, 자동차 운반선(1)의 선박의 건현 갑판(4)보다 상방의 비수밀 구획, 예를 들어 조타실, 하역 관리실 등에는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와 수밀 도어(16)를 구동하는 수밀 도어 개방 장치(24)는 밸브 조작 신호선 L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와 침수 검지 장치(11)는 검출 신호선 L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와 수위계(12)는 해수 레벨 검출 신호선 L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에는 침수 표시기(31)(침수 표시 램프, 혹은 텔레비전 화상), 수동/자동 절환기(33)(절환 스위치), 수동의 수밀 도어 조작기(34)(누름 버튼식 혹은 스위치), 해수 레벨 검출 신호선 L2를 통해 입력된 보이드 공간(8) 내의 해수 레벨을 표시하는 해수 레벨 표시기(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에는 자동 개방 판정기(32) 및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36)도 구비하고 있다.
이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36)에 입력되는 선박의 상태(자동 개방 판정 조건)로서는, 예를 들어 자동차 운반선(1)이 경하 상태라고 하는 신호, 기존의 흘수계에 의해 계측된 자동차 운반선(1)의 흘수가 소정값(경하 상태) 이하라고 하는 흘수계로부터의 신호, 혹은 자동차 운반선(1)이 허용값 이상 기울어 있다고 하는 경사계로부터의 신호, 자동차 운반선(1)이 강한 충격을 받았다고 하는 충격 가속도계로부터의 신호, 강풍이라고 하는 풍속계로부터의 신호 등이 있다.
이들 각 자동 개방 판정 조건은 개방 조건 신호선 L4를 통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36)에 입력된 신호는 자동 개방 판정기(32)에 송신된다.
자동 개방 판정기(32)는, 검출 신호선 L1을 통해 수신한 침수 검지 장치(11)로부터의 침수를 검지한 신호와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36)으로부터의 선박의 상태(자동 개방 판정 조건)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들 신호를 기초로 자동 개방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침수 검지 또한 이상 경사일 때, 혹은 침수 검지, 또한 얕은 흘수(경하 상태)인, 이상 경사져 있는, 강한 충격을 받은, 강풍이라는 모든 조건이 겹쳤을 때 등에, 자동 개방 필요라고 판정한다.
자동 개방 판정기(32)에서, 자동 개방 필요라고 판정된 경우는 수밀 도어(16)를 개방하는 조작 신호를 수동/자동 절환기(33)에 출력한다.
수동/자동 절환기(33)는, 수동으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수동의 수밀 도어 조작기(34)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여 수밀 도어 개방 장치(24)에 밸브 조작 신호선 L3을 통해 송신하고, 자동으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자동 개방 판정기(32)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여 밸브 조작 신호선 L3을 통해 송신한다.
또한,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 내의 각 조작기, 연산 처리기는, 개개의 전기 회로에 의해 구성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자동차 운반선(1)의 운항을 통괄 제어 감시하는 컴퓨터를 구비한 조선 제어 감시반 등에 있어서, 서브 프로그램 혹은 서브 시퀀스 등의 형태의 것도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혹은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자동차 운반선(1)의 선측 외판(2) 등이 손상되고, 해수가 최하층의 차량 탑재 구획(CS) 내에 진입하면, 그 상태는 침수 검지 장치(11)에 의해 검지되고, 검지 신호는 검출 신호선 L1을 통해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에 송신된다.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에서는, 침수 표시기(31)(침수 표시 램프, 혹은 텔레비전 화상)에, 그 정보가 표시된다.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에 있어서, 수동/자동 절환기(33)가「수동」으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 조작원이, 침수 표시기(31)에 의해 해수가 최하층의 차량 탑재 구획(CS) 내에 진입한 것을 확인하고, 수동의 수밀 도어 조작기(34)를 조작한다.
그러면, 그 조작 신호는, 밸브 조작 신호선 L3을 통해 수밀 도어 개방 장치(24)의 유압 실린더 장치(23)에 송신되고, 유압 실린더 장치(23)는 구동하여 스토퍼(22)가 수밀 도어(16)로부터 벗어나, 수밀 도어(16)가 개방된다.
또한,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의 수동/자동 절환기(33)가「자동」으로 절환되어 있었던 경우, 침수 검지 장치(11)로부터 침수 검지 신호를 검출 신호선 L1을 통해 수신하면, 침수 표시기(31)(침수 표시 램프, 혹은 텔레비전 화상)에 그 정보가 표시되는 동시에, 자동 개방 판정기(32)에 송신된다.
그리고, 자동 개방 판정기(32)에서는,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36)으로부터 자동 개방 조건 신호를 수신하고 있었던 경우, 해수가 최하층의 차량 탑재 구획(CS) 내에 진입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면, 자동 개방 판정기(32)로부터, 즉시 밸브 조작 신호선 L3을 통해 수밀 도어 개방 장치(24)의 유압 실린더 장치(23)에 유압 실린더 장치(23)를 구동하는 조작 신호가 발신된다.
수밀 도어 개방 장치(24)에서는, 유압 실린더 장치(23)에 의해 스토퍼(22)는 수밀 도어(16)로부터 벗어나, 수밀 도어(16)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해수 도입 수단(25)은 원격으로 개방 조작된다.
수밀 도어(16)가 개방되면, 최하층의 차량 탑재 구획(CS) 내에 진입한 해수는 수밀 도어(16)를 통해 보이드 공간(8) 내에 진입한다.
또한, 보이드 공간(8) 내에 진입한 해수의 상태(수위)는, 수위계(12)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 신호는 해수 레벨 검출 신호선 L2를 통해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 내의 해수 레벨 표시기(35)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동차 운반선(1)의 선측 외판(2) 등이 파손되어, 해수가 선 내에 진입한 경우, 최하층의 수밀 갑판(5a)에 구비된 해수 도입 수단(25)을 개방함으로써, 선 내에 진입한 해수를 보이드 공간(8)에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은 방대한 예비 부력인 보이드 공간(8)을, 일종의 해수 밸러스트 탱크로서 기능 시킬 수 있어, 자동차 운반선(1)의 복원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보이드 공간(8) 내에 저류된 해수는, 도시 생략한 통상의 빌지 펌프 등에 의해 선 밖으로 배출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3(및 도2)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것은, 도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같이 수밀 갑판(5a)에 수밀 도어(16)가 직접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수 밀 갑판(5a)의 좌우현에 각각 해수 도입 구멍(13)이 개방되고, 각 해수 도입 구멍(13)을 둘러싸는 수밀 상자(14)가 수밀 갑판(5a)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고, 이 각 수밀 상자(14)의 측면에 제2 해수 도입 구멍(15)이 개방되고, 이 각 제2 해수 도입 구멍(15)에 수밀 도어(16)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수밀 도어(16)는, 도2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밀 상자(14)의 측면에, 상단부가 힌지 핀 등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밀 도어(16)는 스토퍼(22) 및 유압 실린더 장치(23)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으로 개방 조작 가능한 해수 도입 수단(25)은, 해수 도입 구멍(13), 수밀 상자(14), 플랜지, 제2 해수 도입 구멍(15), 수밀 도어(16), 도2에 도시한 스토퍼(22), 유압 실린더 장치(2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밀 갑판(5a)의 좌우현의 각 해수 도입 구멍(13)에는, 보이드 공간(8) 내에 고형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레이팅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 제거관(10)과 수밀 상자(14)는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침수 검지 장치(11), 수위계(12),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 침수 표시기(31), 자동 개방 판정기(32), 수동/자동 절환기(33), 수동의 수밀 도어 조작기(34), 해수 레벨 표시기(35),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36) 등은, 도1, 도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동 시에, 수밀 도어(16)는 힌지 핀 등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해수의 유입시에는 해수의 유입력에 의해 수밀 도어(16)는 개방되나, 반대의 경우는 폐쇄되기 때문에, 역지 밸브로서 기능하고, 밸러스트 탱크(7) 내에 유입한 해수가 다시 외부에 누출되는 일이 없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4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것은, 도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의 수밀 도어(16) 등 대신에, 해수 도입 개폐 밸브(18)가 설치되어 있다.
즉, 차량 탑재용의 수밀 갑판(5a)의 선체 중앙 부근에 해수 도입관(17)이 접속되고, 해수 도입관(17)의 선단부에 해수 도입 개폐 밸브(18)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해수 도입 개폐 밸브(18)는, 건현 갑판(4)으로부터 상방까지 연장하는 밸브 원격 조작 막대(19) 및 밸브 원격 조작 막대(19)의 상단부에 설치된 밸브 조작 핸들(20)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격으로 개방 조작 가능한 해수 도입 수단(25)은 해수 도입관(17), 해수 도입 개폐 밸브(1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침수 검지 장치(11), 수위계(12),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 침수 표시기(31), 해수 레벨 표시기(35) 등은, 도1, 도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해수 도입 개폐 밸브(18), 밸브 원격 조작 막대(19) 및 밸브 조작 핸들(20) 대신에, 원격 조작의 해수 도입 개폐 밸브(18)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4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수 도입 개폐 밸브(18)에는 원격 조작용의 밸브 조작 신호선 L3이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개방 판정기(32), 수동/자동 절환기(33), 수동의 수밀 도어 조작기(34),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36)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도5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것은, 도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것에 대해, 수밀 도어(16)를 생략한 것이다.
즉, 각 수밀 상자(14)의 측면은, 각각 해수 도입 구멍(13)이 개방된 만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보이드 공간(8a)은, 차량 탑재 구획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차량 탑재 구획(CS)과 같은 설비(화재 검지기, 스프링쿨러, 조명 등)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기 제거관(10)은 수밀 상자(14)에 통하도록 해도 좋고, 겹치지 않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원격으로 개방 조작 가능한 해수 도입 수단(25)은 해수 도입 구 멍(13), 수밀 상자(14), 플랜지, 제2 해수 도입 구멍(1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침수 검지 장치(11), 수위계(12),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 침수 표시기(31), 해수 레벨 표시기(35) 등은, 도1, 도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장치가 간소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도6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것은, 자동차 운반선(1)의 선측 외판(2)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공기 제거관(10)을 이용하여, 선수미 방향으로 선측 외판(2)을 따라 연장하는 동시에 복수개의 공기 제거관(10)을 연통하는 종통 연통관(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종통 연통관(21)은, 건현 갑판(4)보다 하방에 있어서, 수밀 갑판(5a)의 상부의 차량 탑재 구획(CS) 및 하부의 차량 탑재 구획(CS)에 2개(좌우현 합하여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으로 개방 조작 가능한 해수 도입 수단(25)은 공기 제거관(10), 종통 연통관(21)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자동차 운반선(1)의 선측 외판(2)이 손상되었을 때에, 이 종통 연통관(21)도 동시에 파손, 파열한다.
그러면, 해수는, 파손된 부위로부터 종통 연통관(21), 공기 제거관(10)을 통해 보이드 공간(8) 내로 유입한다.
그 밖의 침수 검지 장치(11), 수위계(12),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30), 침수 표시기(31), 해수 레벨 표시기(35) 등은, 도1, 도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장치가 간소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이드 공간(8)은 차량 탑재 구획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것과 같이 차량 탑재 구획(CS)과 같은 설비(화재 검지기, 스프링쿨러, 조명 등)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 구체적 구조에 다양한 변경을 가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2)

  1. 선박의 선 바닥의 보이드 공간 상의 최하층의 수밀 갑판에 원격으로 개방 가능한 해수 도입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수밀 갑판의 현측 근방에 개방된 해수 도입 구멍과,
    상기 해수 도입 구멍의 하면을 폐색하는 수밀 도어와,
    상기 수밀 도어를 개방하는 수밀 도어 개방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수밀 갑판의 현측 근방에 개방된 해수 도입 구멍과,
    상기 해수 도입 구멍을 둘러싸도록 상기 수밀 갑판의 하면에 설치된 수밀 상자와,
    상기 수밀 상자의 측면에 개방된 제2 해수 도입 구멍과,
    상기 제2 해수 도입 구멍을 폐색하는 수밀 도어와,
    상기 수밀 도어를 개방하는 수밀 도어 개방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 갑판 상에 설치된 침수 검지 장치와,
    상기 침수 검지 장치가 침수를 검지한 것을 표시하는 침수 표시기와,
    상기 수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상기 수밀 도어 개방 장치에 출력하는 수밀 도어 조작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비수밀 구획에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침수 표시기 및 상기 수밀 도어 조작기는, 상기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선박의 상태가 입력되는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과,
    상기 상기 침수 검지 장치로부터의 침수를 검지한 신호와 자동 개방 조건 입력단에 입력된 상기 선박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상기 수밀 도어를 자동 개방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자동 개방이라 판정한 경우에 수밀 도어를 개방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개방 판정기와,
    상기 수밀 도어 조작기로부터의 조작 신호 및 상기 자동 개방 판정기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수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상기 수밀 도어 개방 장치에 출력하는 수동/자동 절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드 공간에 수위계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복원력 감시 제어 장치에 상기 수위계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이드 공간 내의 해수의 레벨을 표시하는 해수 레벨 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보이드 공간 내에 설치된 해수 도입 개폐 밸브와,
    상기 해수 도입 개폐 밸브에 접속되고 상기 수밀 갑판에 개방하는 해수 도입관을 갖는 동시에,
    상기 수밀 갑판 상의 상기 수밀 도어의 근방에 설치된 침수 검지 장치와,
    상기 침수 검지 장치가 침수를 검지한 것을 표시하는 침수 표시기와,
    상기 해수 도입 개폐 밸브를 조작하는 밸브 원격 조작 막대와,
    상기 밸브 원격 조작 막대의 선단부에 설치된 밸브 조작 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수밀 갑판의 현측 근방에 개방된 해수 도입 구멍과,
    상기 해수 도입 구멍을 둘러싸도록 상기 최하층의 수밀 갑판의 하면에 설치 된 수밀 상자와,
    상기 수밀 상자의 측면에 개방된 제2 해수 도입 구멍을 갖는 동시에,
    상기 수밀 갑판 상의 상기 수밀 도어의 근방에 설치된 침수 검지 장치와,
    상기 침수 검지 장치가 침수를 검지한 것을 표시하는 침수 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도입 수단은, 상기 수밀 갑판의 좌우현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기 제거관을 연통하는 종통 연통관이고,
    상기 수밀 갑판 상의 선측 외판의 근방에 설치된 침수 검지 장치와,
    상기 침수 검지 장치가 침수를 검지한 것을 표시하는 침수 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드 공간에 수위계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수위계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이드 공간 내의 해수의 레벨을 표시하는 해수 레벨 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반선.
KR1020087030008A 2008-08-12 2008-08-12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 KR10115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30008A KR101152059B1 (ko) 2008-08-12 2008-08-12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30008A KR101152059B1 (ko) 2008-08-12 2008-08-12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911A true KR20100036911A (ko) 2010-04-08
KR101152059B1 KR101152059B1 (ko) 2012-06-08

Family

ID=4221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008A KR101152059B1 (ko) 2008-08-12 2008-08-12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0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3945A1 (en) * 2020-03-13 2021-06-17 Almeida Giovani Ferreira De Hydromotive lift
KR20230067373A (ko) * 2021-11-09 2023-05-16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KR20230067380A (ko) 2021-11-09 2023-05-16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KR20230067368A (ko) * 2021-11-09 2023-05-16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11A (ko) 2014-07-01 2016-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하강 철회식 밸러스트 탱크
KR101751313B1 (ko) * 2015-09-22 2017-06-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 모니터링을 통한 개폐구 차단 장치 및 이를 통한 선박의 개폐구 차단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3945A1 (en) * 2020-03-13 2021-06-17 Almeida Giovani Ferreira De Hydromotive lift
KR20230067373A (ko) * 2021-11-09 2023-05-16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KR20230067380A (ko) 2021-11-09 2023-05-16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KR20230067368A (ko) * 2021-11-09 2023-05-16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차량 운반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059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059B1 (ko) 선박의 복원력 회복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 운반선
JP4814120B2 (ja) 船舶の復原力回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運搬船
EP2868569A1 (en) Ship
US20110088608A1 (en) Ballast-free ship
JP5931602B2 (ja) 船舶
WO2010018618A1 (ja) 船舶の復原力回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運搬船
EP3464052B1 (en) Anti-sinking and anti-fire safety system for boats
KR101293480B1 (ko) 선박 침몰 방지장치
US8087370B2 (en) Ship stability recovery system and car carri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1757274B1 (ko) 로우어 카고 홀드 침수 방지용 수밀 장치를 구비한 선박
CN102910267B (zh) 船舶的复原力恢复装置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JP6241669B2 (ja) 船舶
KR20160003411A (ko) 하강 철회식 밸러스트 탱크
SE537544C2 (sv) Roll-on/roll-off-färja samt kaj för sådan färja
US5101750A (en) Tanker ship hull for reducing cargo spillage
US5388541A (en) Tanker ship design for reducing cargo spillage
KR101727787B1 (ko) 안전 수밀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100563635B1 (ko) 침몰 방지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
JP2005104187A (ja) タンカーのダクト装置
RU63769U1 (ru) Система спасения терпящих бедствие кораблей
KR20130141054A (ko)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KR101605118B1 (ko) 부유식 화물적재구조를 가진 선박
GB2299058A (en) Ferry Safety System
Yamato et al. Development of “stability recovery system” that maintains ship stability at the time of damage ensuring cargo loading capacity and easing restrictions on the hull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