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126B1 - 와이어 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126B1
KR100785126B1 KR1020060069503A KR20060069503A KR100785126B1 KR 100785126 B1 KR100785126 B1 KR 100785126B1 KR 1020060069503 A KR1020060069503 A KR 1020060069503A KR 20060069503 A KR20060069503 A KR 20060069503A KR 100785126 B1 KR100785126 B1 KR 100785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mber
tip
slider
pressin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명기
윤수열
Original Assignee
성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명기 filed Critical 성명기
Priority to KR102006006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12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부재의 단부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부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부재 모따기 장치는, 와이어부재가 이송되는 이송공을 구비한 본체; 상기 이송공 주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공을 향해 이동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가압슬라이더; 및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선단에 제공되고, 와이어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진 반원형 홈을 가진 가압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와이어부재의 단부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부를 용이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와이어부재의 결합 내지는 조립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부재의 취급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와이어, 모따기, 이송공, 가압슬라이더, 반원형, 홈

Description

와이어 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APPARATUS FOR CHAMFERING OF WIRE MEMBER AND METHOD FOR CHAMFERING THEREOF}
도 1a 및 도 1b는 탄성지지유닛에 적용된 와이어부재의 종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부재의 모따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모따기 장치에 의한 가압 및 절단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모따기 장치에 의한 압입 및 벤딩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모따기 장치에 의해 와이어부재의 단부에 모따기부가 가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어어 부재의 모따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 : 벤딩슬라이더 12, 16, 14, 18 : 가압슬라이더
13, 17 : 압입슬라이더 15 : 절단슬라이더
40 : 본체 41 : 이송공
50 : 와이어부재
본 발명은 와이어부재의 단부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부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따기(Chamfering)라 함은 축과 구멍의 결합, 부재와 부재 사이의 용접 등과 같이 부재와 부재 사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거나 부재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버(burr)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각종 부재의 모서리 부분을 깍아 내는 기계가공 공정의 일종이다.
한편, 도 1은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탄성지지유닛을 예시한 것으로, 이 탄성지지유닛(9)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단변부(1a) 및 2개의 장변부(1b)를 구비한 와이어부재(1), 이 와이어부재(1)의 각 장변부(1b)에 끼워지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2), 각 장변부(1b)의 자유단부(1c)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 한 쌍의 코일 스프링(2)에 의해 장변부(1b)의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이동브라켓(4) 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3)은 그 일측에 결합홈(3a)을 가지고, 이 결합홈(3a)의 내경으로 장변부(1b)의 자유단부(1c)가 결합된다.
하지만, 와이어부재(1)는 그 장변부(1b)의 자유단부(1c)를 모따기 가공이 용이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모따기 가공이 이루어지지 못한 자유단부(1c)를 고정브라켓(3)의 결합홈(3a)에 결합시킬 때 와이어부재(1)가 휘게 되어 그 결합 내지는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와이어부재 등과 같이 원형단면을 가지면서 그 직경이 작은 부재들은 그 단부의 모서리 부분을 깍아내는 모따기 가공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려움에 따라 와이어부재의 단부는 통상 모따기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그 결합 내지는 조립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와이어부재의 단부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부를 용이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와이어부재의 결합 내지는 조립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부재의 취급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부재 모따기 장치는,
와이어부재가 이송되는 이송공을 구비한 본체;
상기 이송공 주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공을 향해 이동가능 한 적어도 한 쌍의 가압슬라이더; 및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선단에 제공되고, 와이어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진 반원형 홈을 가진 가압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공 주변에는 이송공을 향해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절단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슬라이더는 그 선단에 절단팁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공 주변에는 이송공을 향해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벤딩슬라이더 및 한 쌍 이상의 압입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절단슬라이더는 그 선단에 상기 와이어부재를 절곡시키는 벤딩팁을 가지며,
상기 압입슬라이더는 그 선단에 상기 와이어부재의 일측을 압입하는 압입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방법은,
이송되는 와이어부재의 일측을 반원형 홈을 가진 적어도 한 쌍의 가압팁에 의해 와이어부재의 외주면을 원주형태로 가압하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와이어부재의 가압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압단계 전에는 와이어부재의 가압되지 않은 부분을 압입팁에 의해 압입하는 압입단계 및 압입된 와이어부재를 절곡하는 벤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장치는 이송공(41)이 형성된 본체(40)를 포함한다.
본체(40)는 그 중앙 부분에 돌기(42)가 형성되고, 이 돌기(42)는 와이어부재(50)가 이송되어 통과하는 이송공(41)을 가진다.
이 본체(40)의 정면에는 벤딩슬라이더(11), 절단슬라이더(15), 가압슬라이더(12, 16, 14, 18), 압입슬라이더(13, 17) 등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슬라이더(11~18)들에는 슬라이더(11~18)들을 개별적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구동부(31~38)를 구비하고, 이 구동부(31~38)들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31a~38a) 및 이 회전판(31a~38a)의 회전에 연동하는 가동링크(31d~38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판(31a~38a)에는 원호상의 가이드홈(31b~38b)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31b~38b)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31c~38c)가 가동링크(31d~38d)의 선단에 형성됨으로써 회전판(31a~38a)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동링크(31d~38d)는 가이드홈(31b~38b)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가동링크(31d~38d)의 타측단부는 각 슬라이더(11~18)의 후단에 힌지결합된다.
즉, 구동부(31~38)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11~18)의 직 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벤딩슬라이더(11)는 그 선단에 벤딩팁(21)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벤딩팁(21)은 벤딩슬라이더(11)가 이송공(41)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이송공(41)을 통과하는 와이어(50)를 일측으로 눌러붙여 절곡시킨다.
한 쌍의 제1가압슬라이더(12, 16)들은 이송공(41)에 대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각 가압슬라이더(12, 16)의 선단에는 제1가압팁(22, 26)들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가압팁(22, 26)의 선단에는 하나 이상의 반원형 홈(22a, 26a)을 가지고, 반원형 홈(22a, 26a)은 그 반경이 와이어부재(30)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가압슬라이더(12, 16)들이 이송공(41)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가압팁(22, 26)의 반원형 홈(22a, 26a)들은 와이어부재(50)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와이어부재(50)의 외주면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가압되어 원주방향의 피가압홈(52)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가압슬라이더(12, 16)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가압슬라이더(14, 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압슬라이더(14, 18)들은 그 선단에 제2가압팁(24, 28)을 구비하고, 제2가압팁(24, 28)은 그 선단에 하나 이상의 반원형 홈(24a, 28a)을 가진다.
이러한 한 쌍의 제2가압슬라이더(14, 18)들은 제1가압슬라이더(12, 16)와 교번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와이어부재(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피가압홈(52)이 와이어부재(50)의 내경방향으로 보다 더 진입되도록 한다.
한 쌍의 압입슬라이더(13, 17)는 이송공(41)에 대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 압입슬라이더(13, 17)의 선단에는 압입팁(23, 27)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압입팁(23, 27)들은 그 선단에 평탄한 압입면(23a, 27a)을 가진다.
압입슬라이더(13, 17)들이 이송공(41)을 향해 상호 마주보게 이동함에 따라 압입팁(23, 27)의 압입면(23a, 27a)이 와이어부재(50)의 일측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평탄화된 피압입면(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입팁(23, 27)에 의해 형성된 와이어부재(50)의 피압입면(51)은 와이어부재(50)가 다른 조립부재측에 결합된 경우 그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와이어부재(50)의 피압입면(51)에 의해 와이어부재(50)의 벤딩가공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피압입면(51)은 가압팁(24, 28)에 의한 피가압홈(52)의 전후측 그 어디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절단슬라이더(15)는 그 선단에 날카로운 절단팁(25)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절단슬라이더(15)가 이송공(41)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절단팁(25)이 와이어부재(50)의 일측을 절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따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공정도로서, 본 발명의 모따기 방법은 와이어부재(30)를 이송시켜 이송공(41)으로 통과시키는 이송단계(S1), 이송된 와이어부재(30)의 일측지점에 원주방향의 피가압홈(52)을 형성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단계(S2), 가압단계(S2)에서 형성된 원주방향의 피가압홈(52)을 절단하는 절단단계(S3)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송단계 내지 절단단계(S1-S3)는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공(41)을 통해 이송되는 와이어부재(50)의 일측지점을 향해 한 쌍의 제1가압슬라이더(12, 16)가 상호 마주보게 이동되면 제1가압팁(22, 26)들은 와이어부재(50)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이때, 제1가압팁(22, 26)의 반원형 홈(22a, 26a)들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재(5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가압하여 와이어부재(50)의 외주 일측지점에 원주방향의 피가압홈(52)을 형성하고, 그런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팁(22, 26)들은 제1가압슬라이더(12, 16)에 의해 이격된다.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슬라이더(15)의 이동에 의해 절단팁(25)이 와이어부재(50)의 피가압홈(52)의 중앙부분을 절단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재(50)의 단부측에 모따기부(55)가 형성된다.
이렇게 와이어부재(30)의 단부측에 모따기부(55)가 형성된 후에 각종 후가공단계(S4)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는 압입슬라이더(13, 17)의 압입팁(23a, 27a)에 의해 와이어부재(30)측에 소정의 피압입면(51)을 형성시키는 압입단계(S5) 및 벤딩슬라이더(11)의 벤딩팁(21)에 의해 와이어부재(30)를 일측으로 벤딩시키는 벤딩단계(S6)을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압입단계(S5) 및 벤딩단계(S6)는 상술한 가압단계(S2) 및 절단단계(S3) 사이에 또는 각 단계(S1, S2, S3)의 전후에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와이어부재의 단부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부를 용이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와이어부재의 결합 내지는 조립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부재의 취급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와이어부재가 이송되는 이송공을 구비한 본체;
    상기 이송공 주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공을 향해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압슬라이더;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선단에 제공되고, 와이어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진 반원형 홈을 가진 가압팁;
    상기 이송공 주변에는 이송공을 향해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절단슬라이더; 및
    상기 절단슬라이더의 선단에 구비된 절단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 주변에는 이송공을 향해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벤딩슬라이더 및 한 쌍 이상의 압입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슬라이더는 그 선단에 상기 와이어부재를 절곡시키는 벤딩팁을 가지며,
    상기 압입슬라이더는 그 선단에 상기 와이어부재의 일측을 압입하는 압입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장치.
  4. 이송되는 와이어부재의 일측을 반원형 홈을 가진 한 쌍의 가압팁에 의해 와이어부재의 외주면을 원주형태로 가압하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와이어부재의 가압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계 전후에는 와이어부재의 일부분을 압입팁에 의해 압입하는 압입단계 및 와이어부재를 절곡하는 벤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부재의 모따기 방법.
KR1020060069503A 2006-07-25 2006-07-25 와이어 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 KR100785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503A KR100785126B1 (ko) 2006-07-25 2006-07-25 와이어 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503A KR100785126B1 (ko) 2006-07-25 2006-07-25 와이어 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126B1 true KR100785126B1 (ko) 2007-12-11

Family

ID=3914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503A KR100785126B1 (ko) 2006-07-25 2006-07-25 와이어 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1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3533A (ja) 1981-11-30 1983-06-03 Fujitsu Ltd 角形線材のせん断・面取り方法
JPS60146614A (ja) 1984-01-11 1985-08-02 Ube Ind Ltd 切断機
JPH05318A (ja) * 1991-06-26 1993-01-08 Asahi Sanac Kk 線材供給装置における切断端自動面取装置
JPH0569201A (ja) * 1991-09-10 1993-03-23 Tokin Corp リード線面取り機
KR20000058446A (ko) * 2000-05-25 2000-10-05 빈필원 와샤 제조방법
KR20030055227A (ko) * 2003-06-12 2003-07-02 권상덕 차동장치의 피니언샤프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3533A (ja) 1981-11-30 1983-06-03 Fujitsu Ltd 角形線材のせん断・面取り方法
JPS60146614A (ja) 1984-01-11 1985-08-02 Ube Ind Ltd 切断機
JPH05318A (ja) * 1991-06-26 1993-01-08 Asahi Sanac Kk 線材供給装置における切断端自動面取装置
JPH0569201A (ja) * 1991-09-10 1993-03-23 Tokin Corp リード線面取り機
KR20000058446A (ko) * 2000-05-25 2000-10-05 빈필원 와샤 제조방법
KR20030055227A (ko) * 2003-06-12 2003-07-02 권상덕 차동장치의 피니언샤프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0775B (zh) 旋转传递装置
JP4508925B2 (ja) 回転電機のヨークおよびヨークの製造方法
WO2009081948A1 (ja) 部材の圧入方法および圧入装置
CN106134016B (zh) 接触部件的带条
US10730096B2 (en) Joint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KR100785126B1 (ko) 와이어 부재의 모따기 장치 및 그 모따기 방법
CN106487168B (zh) 叠片铁芯的分离夹具、分离装置以及分离方法
JP2004255385A (ja) 筒状金属ケースの製造方法
WO2014126123A1 (ja) 雌端子及び端子製造装置
CN110005712B (zh) 用于轴承元件的固定元件
JPH11156461A (ja) 円筒体の製造方法
JP2012143038A (ja) マグネット・リテーナ及びそれを有する永久磁石式電動機並びにその組み立て方法
JP5090844B2 (ja) 駆動力伝達用プーリの製造方法
JP6159646B2 (ja) 自在継手の組立方法および自在継手の組立装置
JP7052434B2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の製造方法
EP1180465A3 (en) Elastic shaft coupl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upling element
JP6291832B2 (ja) 自在継手の製造方法
CN108351263B (zh) 轭铁盖、转矩检测装置以及电动助力转向装置、轭铁盖的制造方法以及电动助力转向装置的制造方法
JP5765732B2 (ja) ばね組立体とその製造方法
JP2020102943A (ja) セグメントコイルの形成方法
CN212881036U (zh) 一种用于夹取微型积木的工具
JP2006159214A (ja) フープ成形方法
JP2003227546A (ja) 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351264B (zh) 轭铁盖、电动助力转向装置及它们的制造方法以及转矩检测装置
JP3616821B2 (ja) 挿入ガイド付カシ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