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017B1 -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017B1
KR100785017B1 KR1020060050478A KR20060050478A KR100785017B1 KR 100785017 B1 KR100785017 B1 KR 100785017B1 KR 1020060050478 A KR1020060050478 A KR 1020060050478A KR 20060050478 A KR20060050478 A KR 20060050478A KR 100785017 B1 KR100785017 B1 KR 100785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ample
pcr
voltage
electrodi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6438A (ko
Inventor
이헌주
정성영
김준호
황규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017B1/ko
Priority to US11/746,722 priority patent/US8715965B2/en
Priority to EP07109428A priority patent/EP1865075B1/en
Publication of KR2007011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22Electro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5/00Nucleic acid analysis characterised by mode or means of detection
    • C12Q2565/60Detection means characterised by use of a special device
    • C12Q2565/629Detection means characterised by use of a special device being a microfluidic dev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전기투석하여 상기 시료의 이온 강도를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 시료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기투석, 전기분해, 핵산, PCR, 혈액

Description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A method of amplifying a nucleic acid from a whole blo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전기분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원을 통하여 20 V의 전압을 인가하여, 10mA의 전류를 40 초 동안 인가하고 상기 시료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전기투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혈액을 100 V의 전압을 인가하여 15분 동안 전기투석한 후, 스핀다운 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하게 처리된 각 시료를 PCR 반응물의 총 부피에 대하여 0.5% 내지 30%의 범위로 사용하여 PCR 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하게 처리된 각 시료를 PCR 반응물의 총 부피에 대하여 3% 내지 20%의 범위로 사용하여 PCR 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1,000 대장균/㎕의 농도로 대장균을 포함하는 혈액을 다양하게 처리하고 이를 3% 내지 20%의 양으로 PCR 반응액에 첨가하고 PCR 한 다음, 얻어지는 PCR 반응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적 핵산을 효과적으로 증폭하거나 검출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핵산을 시료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시료 중에 PCR을 저해하는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상기 PCR을 저해하는 물질의 예에는 적혈구가 포함된다. 따라서, PCR에서 혈액을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에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혈액을 총 반응액 중 약 1.5%이상으로 포함하는 경우, PCR 산물이 효과적으로 얻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혈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4,407,942호에는 암모늄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적혈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704,884호에는 a)전혈 시료를 적혈구 파괴 용액과 혼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용액은 50mM 내지 100mM의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약 0.001 중량% 내지 약 0.1 중량%의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고, pH는 6 내지 8인 용액인 단계; b) 상기 얻어진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전혈 시료로부터 백혈구 펠렛을 형성시키는 단계; c) 상등액을 제거한 후, 상기 백혈구 펠렛을 상기 파괴 용액의 신선한 시료 중에서 세척하는 단계 및 d) 상기 백혈구 펠렛을 원심분리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내지 d) 단계는 약 20 분 내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935,825호에는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pH 보다 높은 pH에서 PCR이 수행되는 신규한 PCR 증폭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284,117호에는 핵산, 단백질 및/또는 세포의 전자적 수송에 사용된 저부피 용액의 이온강도를 낮추기 위한 장치로서, 루멘을 갖는 관형 분자량 컷-오프 막, 이온교환 수지, 전기투석 전극 및 상기 막, 전기투석 전극 및 수지를 둘러싸고 포장하는 (housing)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막은 상기 챔버에 이르는 입구 및 출구 포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 막은 상기 수지 내 및 가운데 임베드되어 있고, 상기 챔버는 흐름성 물질을 상기 챔버 내부 및 밖으로 교환하기 위한 입구 및 출구 포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전극들은 간격이진 축 정렬 (spaced axial alignment)로 상기 막에 대하여 상기 챔버의 맞은 편 상에 위치하고 있는 장치 및 상기 전기투석 전극들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부피 용액의 이온강도를 낮추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많은 양의 혈액을 직접적으로 PCR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혈액을 전기투석 및/또는 전기분해 처리함으로써, 혈액 중의 PCR 저해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투석을 이용하여 혈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혈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전기투석하여 상기 시료의 이온 강도를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 시료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전기투석하여 상기 시료의 이온 강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한다. 혈액 시료를 전기투석함으로써, 혈액 중의 이온 물질이 제거되어 상기 혈액 시료는 이온 강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PCR에 있어서 반응저해제로 작용하는 이온 물질이 제거되는 동시에, 저장액화되어 적혈구가 파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투석"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전기투석 장치에는 이온 교환막이 사용된다. 이들 막은 극성 전기장 하에서 특정한 이온이 막을 통과하는 것을 촉진한다. 사용시에 높은 농도의 원하지 않는 이온을 가진 액체는 하나이상의 벽에 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는 구획을 통과하고, 상기 액체가 상기 구획을 통과함에 따라 이온들이 상기 구획으로부터 이웃하는 구획으로 제거된다. 이온들이 제거되는 상기 구획을 일반적으로 희석 구획 (diluting compartment)이라고 하고, 이온들이 이동하여 오는 상기 구획을 농축 구획 (concentrating compartment)이라고 한다. 또한, 세포 파괴와 같은 낮은 효율의 이온 분리로 충분한 경우, 이온교환막을 분자량 컷-오프 막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자량 컷-오프 막에는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벽에 분자량 컷- 오프 막을 포함하는 희석 구획에 혈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막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이온 물질을 상기 희석 구획으로부터 농축 구획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컷-오프 막 자체는 저분자량 이온 물질, 단백질, 핵산 및 세포의 자유 이송을 위한 임의의 적절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자량 컷-오프 막은 컷-오프는 제거하고자 하는 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1 kDa 내지 500 kDa의 분자량 컷-오프를 갖는 것일 있다. 또한, 상기 막은 재생된 셀룰로즈, 폴리에테르술폰 (PES), 폴리술폰 (PS) 및 폴리비닐디플루오라이드 (PVDF) 등의 재질로 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들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에 사용되는 전압은 직류로 전기투석에 사용되는 전압의 세기는 10V 내지 200V일 수 있으며, 수초에서 수분 사이의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 시료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이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683,195호, 제4,683.202호, 및 제4,965,188호에 PCR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원용에 의하여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진다. PCR은 적절한 조건하에서 DNA 폴리머라제와 같은 중합제 및 dNTP의 존재하에서 프라이머를 표적 핵산 ("주형(template)"이라고도 한다)의 가닥에 혼성화 하는 것과 관련된다. 일단 프라이머 연장 산물이 변성되면, 상기 주형의 한 카피가 제조된 것이며, 어닐링, 연장 및 변성의 주기를 원하는 회수만큼 수행하여 표적 핵산과 동일한 서열을 가진 핵산의 양을 지수적으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 시료는 추가적인 단백질 추출과정 없이 PCR 반응의 주형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CR은 상기 전기 투석된 혈액 시료를 반응액의 0.1%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를 주형으로 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전기투석하는 단계 전에 상기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전기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전기투석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을 전기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전기분해"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의미로서 사용되어진다. 즉, 전기분해란 이온투과성 막에 의하여 분리된 캐소드 챔버와 애노드 챔버에 각 전해질 용액을 첨가하고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압에 의한 전류의 적용에 의하여 반응을 비자발적인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는 상기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 또는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을 캐소드 챔버에 첨가하고 전압을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인가되는 전압은 1V 내지 100V일 수 있으며, 전기분해 시간은 수초 내지 수십 분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기분해에 의하여, 캐소드 챔버 중에 있는 혈액 시료 또는 전기투석된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막의 지질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게 되나, 본 발명이 특정한 기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전기분해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분해된 혈액 시료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는 상기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 또는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을 캐소드 챔버에 첨가하고 전압을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인간되는 전압은 1V 내지 100V일 수 있으며, 전기분해 시간은 수초 내지 수십 분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혈액의 전기분해
본 실시예에서는 혈액 (whole blood)을 캐소드 챔버에 채우고, 전기분해를 실시하여 전기분해가 혈액의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전기분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캐소드 챔버 (30) 및 애노드 챔버 (40)로 구성되며, 이들은 분자량 컷-오프 막인 셀로판 막 (20)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캐소드 챔버 (30)와 애노드 챔버 (40)는 각각 전극 (10)을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어 있 다. 애노드 챔버 (40)에는 전해액으로서 5ml의 300 mM Ns2SO4로 채웠으며, 캐소드 챔버 (30)에는 인간 혈액 5 ml를 채웠다.
도 2는 상기 전원을 통하여 20 V의 전압을 인가하여, 10mA의 전류를 40 초 동안 인가하고 상기 시료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분해가 일어남에 따라 혈구가 파괴되고 혈액의 색이 투명하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색이 변하는 것은 적혈구로부터 유래된 헴 (heme)이 전기분해되어 변성됨으로써 초래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2: 혈액의 전기투석
본 실시예에서는 혈액 (whole blood)을 희석 구획에 채우고, 전기투석을 실시하여 전기투석이 혈액의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전기투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2개의 벽이 분자량 컷-오프 막인 셀로판 막(20)으로 구성된 희석 구획 (60) 및 상기 희석 구획에 이웃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농축 구획 (50)으로 구성되며, 상기 농축 구획 (50)은 전극 (10)을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극 사이의 간격은 6 cm이고, 전극 면적은 80 cm2이었다. 상기 농축 구획에는 증류수 200 ml를 각각 채웠고, 희석 구획에는 인간 혈액 5 ml를 채웠다.
상기 전원을 통하여 100 V의 전압을 15분 동안 인가하였으며, 농축 구획에서의 전도도가 너무 높아져 전류가 너무 많이 흐르면 상기 2개의 농축 구획에서 증류 수를 순환시켜 전도도를 낮추면서 최대 전류가 100 mA 이하게 되도록 하였다.
도 4는 혈액을 100 V의 전압을 인가하면서 15분 동안 전기투석한 후, 스핀다운 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투석에 의하여 적혈구가 파괴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온물질들이 희석구획으로부터 농축구획으로 이동하여 혈액의 이온 강도가 낮아짐으로써 적혈구가 파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전기투석을 이용함으로써, 혈액의 희석 없이 적혈구를 파괴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대장균 DNA 을 포함하는 혈액을 주형으로 한 PCR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혈액을 처리하고, 여기에 10,000 대장균 DNA/㎕의 농도로 대장균 DNA를 포함시킨 시료를 주형으로 한 PCR을 수행하였다.
주형으로 사용된 혈액은, 처리되지 않은 혈액, 전기분해된 혈액, 전기투석된 혈액, 및 전기투석된 후 전기분해된 혈액이었다. 상기 전기분해는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2ml의 혈액을 캐소드 챔버에 채우고, 애노드 챔버에 2ml의 Na2SO4를 넣고 50V 전압을 15분 동안 인가하였으며, 최대 전류가 30mA가 되도록 조절하면서 수행되었다. 전기투석은 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5ml의 혈액을 희석 구획에 넣고, 2개의 이웃하는 농축 구획에는 200ml의 증류수를 넣고 100 V 전압을 15 분 동안 인가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전기투석 후의 상기 전기분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행되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하게 처리된 혈액을 추가의 단백질 추출 단계를 거치지 않 고, 다양한 양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및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표적 서열은 대장균 게놈 DNA)를 사용하였으며, 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초기 변성, 95 ℃에서 1분 동안, 변성 95 ℃에서 5초, 어닐링 62 ℃에서 13초 및 연장 72 ℃에서 15초를 30회 반복한 다음, 최종 연장 72 ℃에서 1분 동안 수행하였다. PCR 반응물 조성은 다음 표 1과 같았다.
표 1.
조성(㎕) 1 2 3 4 5 6
1x버퍼 5 5 5 5 5 5
dNTP 1 1 1 1 1 1
포워드프라이머 1 1 1 1 1 1
리버스 프라이머 1 1 1 1 1 1
BSA 5 5 5 5 5 5
Taq 0.5 0.5 0.5 0.5 0.5 0.5
증류수 35.25 35 34 33 30.5 20.5
대장균 DNA 1 1 1 1 1 1
시료 0.25 0.5 1.5 2.5 5 15
총 부피 50 50 50 50 50 50
총부피에대한 혈액 함량(%) 0.5 1 3 5 10 30
도 5는 다양하게 처리된 각 시료를 PCR 반응물의 총 부피에 대하여 0.5% 내지 30%의 범위로 사용하여 PCR 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은 총 부피 PCR 반응액 부피의 0.5%까지 첨가하였을 경우, PCR 산물이 얻어졌으며 그 이상일 경우에는 PCR 산물이 얻어지지 않았다 (A). 또한, 전기분해 또는 전기투석만으로 각각 처리한 시료는 PCR 반응액의 5%까지 포함되어도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B 또는 C), 전기투석한 후 전기분해 처리된 시료의 경우에는 10%까지 포함되어도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D).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혈액을 30%까지 사용한 경우, PCR 도중에 고체화되었으나, 전기분해 및 전기투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시료의 경우에는 고체화되지 않았다 (도시하지 않음).
실시예 4: 대장균을 포함하는 혈액을 주형으로 한 PCR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대장균을 포함하는 혈액을 처리하고,이를 주형으로 한 PCR을 수행하였다.
주형으로 사용된 혈액은 각각 1,000 대장균/㎕, 100 대장균/㎕, 및 10 대장균/㎕의 농도로 대장균을 포함하는 혈액으로서, 처리되지 않은 혈액, 전기분해된 혈액, 전기투석된 혈액, 및 전기투석된 후 전기분해된 혈액이었다. 상기 전기분해는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2ml의 혈액을 캐소드 챔버에 채우고, 애노드 챔버에 2ml의 Na2SO4를 넣고 50V 전압을 15분 동안 인가하였으며, 최대 전류가 30mA가 되도록 조절하면서 수행되었다. 전기투석은 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5ml의 혈액을 희석 구획에 넣고, 2개의 이웃하는 농축 구획에는 200ml의 증류수를 넣고 100 V 전압을 15 분 동안 인가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전기투석 후의 상기 전기분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행되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하게 처리된 혈액을 추가의 단백질 추출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다양한 양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및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표적 서열은 대장균 게놈 DNA)를 사용하였으며, 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초기 변성, 95 ℃에서 1분 동안, 변성 95 ℃에서 5초, 어닐링 62 ℃에서 13초 및 연장 72 ℃에서 15초를 30회 반복한 다음, 최종 연 장 72 ℃에서 1분 동안 수행하였다. PCR 반응물 조성은 다음 표 2와 같았다.
표 2.
조성(㎕) 1 2 3 4
1x버퍼 5 5 5 5
dNTP 1 1 1 1
포워드프라이머 1 1 1 1
리버스 프라이머 1 1 1 1
BSA 5 5 5 5
Taq 0.5 0.5 0.5 0.5
증류수 35 34 31.5 26.5
시료 1.5 2.5 5 10
총 부피 50 50 50 50
총부피에대한 혈액 함량(%) 3 5 10 20
도 6은 다양하게 처리된 각 시료를 PCR 반응물의 총 부피에 대하여 3% 내지 20%의 범위로 사용하여 PCR 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되지 않은 혈액은 대장균의 농도에 관계없이 총 PCR 반응액 부피의 3%로 첨가하였을 경우, PCR 산물이 얻어지지 않았다 (C). 이는 혈액 중의 PCR 반응 저해제에 의하여 PCR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전기분해만으로 각각 처리한 시료는 100 대장균/㎕을 포함하는 경우 PCR 반응액의 3%, 1,000 대장균/㎕을 포함하는 경우 PCR 반응액의 10%까지 포함되어도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B). 또한, 전기투석한 후 전기분해 처리된 시료의 경우에는 100 대장균/㎕을 포함하는 경우 PCR 반응액의 5%, 1,000 대장균/㎕을 포함하는 경우 PCR 반응액의 20%까지 포함되어도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A). 이는 최적화되는 경우, 이들보다 더 높은 혈액 농도에서도 PCR이 가능할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1,000 대장균/㎕의 농도로 대장균을 포함하는 혈액을 다양하게 처리 하고 이를 3% 내지 20%의 양으로 PCR 반응액에 첨가하고 PCR 한 다음, 얻어지는 PCR 반응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되지 않은 혈액의 경우 3%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짙은 색을 띠었으며, 20%의 경우 고체화되었다. 전기분해된 혈액의 경우 색은 옅어지며, 전기투석된 후 전기분해된 경우 더 옅은 색을 띠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전기분해 및 전기투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혈액을 처리하는 경우, PCR이 현저하게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에 의하면, 많은 양의 혈액을 주형으로서 PCR 반응액에 사용할 수 있어 핵산 증폭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혈액 내에 존재하는 표적 핵산, 예를 들면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6)

  1.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전기투석하여 상기 시료의 이온 강도를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 시료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투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벽에 분자량 컷-오프 막을 포함하는 희석 구획에 혈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막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이온 물질을 상기 희석 구획으로부터 농축 구획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컷-오프 막은 1kDa 내지 500 kDa의 분자량 컷-오프를 갖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은 직류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 구획은 2개의 마주보는 벽면이 분자량 컷-오프 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은 10 V 내지 200 V인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R은 상기 전기 투석된 혈액 시료를 반응액의 0.1% 내지 30%를 주형으로 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하는 단계 전에 상기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전기분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기투석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을 전기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분해는 이온투과성 막에 의하여 분리된 캐소드 챔버와 애노드 챔버에 각 전해질 용액을 첨가하고 전압을 인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캐소드 챔버에는 상기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 또는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은 1 V 내지 100 V인 방법.
  12. 삭제
  13.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전기분해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분해된 혈액 시료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분해는 이온투과성 막에 의하여 분리된 캐소드 챔버와 애노드 챔버에 각 전해질 용액을 첨가하고 전압을 인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캐소드 챔버에는 상기 혈액을 포함하는 시료 또는 상기 전기투석된 혈액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은 1 V 내지 100 V인 방법.
  16. 삭제
KR1020060050478A 2006-06-05 2006-06-05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 KR10078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78A KR100785017B1 (ko) 2006-06-05 2006-06-05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
US11/746,722 US8715965B2 (en) 2006-06-05 2007-05-10 Method of amplifying nucleic acid from blood
EP07109428A EP1865075B1 (en) 2006-06-05 2007-06-01 A method of amplifying nucleic acid from bl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78A KR100785017B1 (ko) 2006-06-05 2006-06-05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438A KR20070116438A (ko) 2007-12-10
KR100785017B1 true KR100785017B1 (ko) 2007-12-12

Family

ID=3831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478A KR100785017B1 (ko) 2006-06-05 2006-06-05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15965B2 (ko)
EP (1) EP1865075B1 (ko)
KR (1) KR100785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889B1 (ko) 2006-09-2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투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투석 방법
JP6217637B2 (ja) * 2012-07-25 2017-10-25 ソニー株式会社 核酸増幅反応用試料の調製方法及び核酸増幅反応用試料の調製装置
US9758773B2 (en) 2014-02-14 2017-09-12 Agilent Technologies, Inc. Thermostable type-A DNA polymerase mutant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inhibitors in blo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463A (ko) * 1989-04-17 1990-11-13 제이. 제프리 헐리 완전혈액 또는 pbmc 부분으로부터 핵산을 추출하여 증폭시키며 검사하는 방법
KR100601972B1 (ko) 2004-11-03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와 비드를 이용한 상 분리에 의한 핵산의 정제 장치및 방법
KR100601974B1 (ko) 2004-11-25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드의 상이한 레이저 흡수에 의한 핵산의 정제 장치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556A (en) 1980-02-07 1981-12-22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preparing cryopreserved blood
US4407942A (en) 1981-01-29 1983-10-04 Atomic Energy Of Canada Limited Fluorescent detection of DNA damage
US4965188A (en) 1986-08-22 1990-10-23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amplifying, detecting, and/or cloning nucleic acid sequences using a thermostable enzyme
US4683195A (en) 1986-01-30 1987-07-28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amplifying, detecting, and/or-cloning nucleic acid sequences
US4683202A (en) 1985-03-28 1987-07-28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amplifying nucleic acid sequences
US5437774A (en) 1993-12-30 1995-08-01 Zymogenetics, Inc. High molecular weight electrodialysis
JP3541963B2 (ja) 1994-03-09 2004-07-14 豊田工機株式会社 加工装置
US5935825A (en) 1994-11-18 1999-08-10 Shimadzu Corporation Process and reagent for amplifying nucleic acid sequences
JP3193295B2 (ja) * 1995-07-07 2001-07-3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透析装置
EP1075548A1 (de) * 1998-05-04 2001-02-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lektrische, integrierte nucleinsäureisolierung, -reinigung und -detektion
US6284117B1 (en) * 1999-12-22 2001-09-04 Nanoge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mall molecules and ions from low volume biological samples
EP1730276B8 (en) 2004-02-26 2010-07-21 DELTA Dansk Elektronik, Lys og Akustik Method, chip,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on of biological materials
US7488596B2 (en) 2004-12-17 2009-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fluidic device comprising electrolysis device for cell lysis and method for electrochemically lysing cell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463A (ko) * 1989-04-17 1990-11-13 제이. 제프리 헐리 완전혈액 또는 pbmc 부분으로부터 핵산을 추출하여 증폭시키며 검사하는 방법
KR100601972B1 (ko) 2004-11-03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와 비드를 이용한 상 분리에 의한 핵산의 정제 장치및 방법
KR100601974B1 (ko) 2004-11-25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드의 상이한 레이저 흡수에 의한 핵산의 정제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5075B1 (en) 2012-09-12
US8715965B2 (en) 2014-05-06
KR20070116438A (ko) 2007-12-10
EP1865075A1 (en) 2007-12-12
US20070281307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6337B2 (ja) 細胞またはウイルス溶解用の電気分解素子を備える微小流体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細胞またはウイルスの溶解方法
Qu et al. Ultrafiltration (UF) membrane fouling caused by cyanobateria: Fouling effects of cells and extracellular organics matter (EOM)
US20060037860A1 (en) Small separation apparatus
JP2008532753A (ja) 電気濾過方法
KR100785017B1 (ko) 혈액으로부터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
KR100624471B1 (ko) 세포 분해용 전기분해 장치를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 및그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적으로 용해하는 방법
US4426323A (en) Selected recovery of proteins from fermentation broths
US4146455A (en) Process for treating whey
Majewska-Nowak Treatment of organic dye solutions by electrodialysis
DE69733755T2 (de) Elektrode-einfang von nukleinsäuren
US10391456B2 (en) Electrolyte chemistry and improved stack performance in high brine concentration electrodialysis
US4180451A (en) Apparatus for treating whey
Aider et al. Potential of continuous electrophoresis without and with porous membranes (CEPM) in the bio-food industry
US9909164B2 (en) Method for preparing sample for 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 and preparation device of sample for 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
KR20090058221A (ko) 시료 중의 세포 집단으로부터 죽은 세포를 선택적으로파쇄하는 방법
CN107058515A (zh) 一种微囊藻毒素降解菌的快速高效筛选方法
CN112892220A (zh) 一种高效的活性蛋白分离方法与装置
AU2017344755B2 (en) Electrophoresis device
KR100624447B1 (ko) 은 나노 입자를 이용한 핵산의 정제 방법
US20230127490A1 (en) Electrophoresis device
KR101985432B1 (ko) 핵산 추출을 위한 소변 시료 전처리 방법
RU217103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рмовой добавки из сока растений
JPH02258032A (ja) 脱塩方法
CN112979746A (zh) 一种蛋清中活性蛋白同步分离的方法与装置
CN104415661A (zh) 一种生物大分子的分离技术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