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929B1 - 연결되는 2개의 유체 도관의 단부 부분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연결되는 2개의 유체 도관의 단부 부분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929B1
KR100784929B1 KR1020060047070A KR20060047070A KR100784929B1 KR 100784929 B1 KR100784929 B1 KR 100784929B1 KR 1020060047070 A KR1020060047070 A KR 1020060047070A KR 20060047070 A KR20060047070 A KR 20060047070A KR 100784929 B1 KR100784929 B1 KR 10078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ib
sleeve member
end portions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740A (ko
Inventor
야노스 케르테즈
게르하르트 바쳐
Original Assignee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5027825A external-priority patent/EP1726862B1/d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22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연결장치는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유체 도관의 단부 부분과 축을 가지는 커플링 부재와 상기 축을 둘러싸는 외측면과 축을 둘러싸는 내측면을 구비한다. 상기 단부 부분의 외주면에서 제 1 고정 리브는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플링 부재의 내측면에서, 외주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 리브는 커플링 부재의 각각의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탄성적으로 신장하여 상기 연결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단부 부분에 동축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고정 리브는 제 1 고정 리브 뒤에서 체결되며 상기 단부 부분은 서로 밀봉되어 연결된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외주면 방향으로 폐쇄된 원통형 슬리브이다.
연결장치

Description

연결되는 2개의 유체 도관의 단부 부분의 연결장치{Connecting arrangement with end sections of two fluid conduits to be connected}
도 1은 축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연결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분리된 상태에서의 도 1에 따른 연결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연결 장치의 슬리브를 변형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작은 스케일로 도시된 도 3에 따른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슬리브의 다른 변형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작은 스케일로 도시된 도 8에 따른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따른 슬리브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따른 슬리브의 다른 변형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슬리브의 축방향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XVI-X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따른 슬리브의 다른 변형례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작은 스케일로 도시된 도 17에 따른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IXX-I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슬리브 15: 돌출부
12: 슬리브 부재 18: 고정 리브
69: 레그 67: 슬리브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유체 도관의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축에 대하여 연장되는 외측과 축에 대하여 연장되는 내측을 구비한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고정 리브는 단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원주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2 고정 리브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각각의 축단부의 인접부에서 커플링 부재의 내측상에서 외주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단부 부분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폭을 넓혀서 동축방향으로 연결되며 일측 단부 부분은 타측 단부 부분에 대하여 동축방향으로 밀봉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고정 리브는 연결 위치에서 제 1 고정 리브 뒤에 체결된다.
EP 1 378 701 A1에 설명된 유형의 연결 장치에서, 커플링 부재는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며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스테이(stay)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타원 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링의 내부에는 체결 노즈(nose)의 형태로 고정 리브가 제공된다. 상기 링에 유체 도관의 단부 부분을 삽입하면, 상기 링은 링의 체결 노즈가 상기 단부 부분의 고정 리브 뒤에 체결될 때까지 단부부분상에 제공된 고정 리브에 의해 탄성적으로 폭이 확대된다. 이러한 연결된 상태에서, 작은 곡률을 가진 링의 구역과 단부 부분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존재하며, 상기 여유공간으로 인하여 분리시에는 링의 반경방향 압축을 가하게 된다. 상기 링과 상기 단부 부분 사이의 분리를 위한 여유 공간과 스테이 사이의 넓은 중간 공간으로 인하여, 상기 커플링 부재에 삽입된 유체 도관의 단부가 더럽혀질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하여, 반복적으로 연결하고 분리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반대방향으로의 횡방향 힘이 상기 단부상에 가해지면 연결부가 분리될 위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부 부분의 연결 위치가 오염될 위험을 방지하고 갑작스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형의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플링 부재는 원주방향으로 폐쇄된 원형상의 원통 슬리브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슬리브는 오염에 대한 단부 부분의 연결 위치의 추가 적인 밀봉 효과와 횡방향 힘에 대한 연결 위치의 추가적인 보강부를 제공한다.
상기 슬리브는 원주방향으로 약 적어도 80°및 180° 미만으로 연장되는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bending-resistant sleeve segment)를 구비하며, 이에 용착되거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탄성의 슬리브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이웃하는 모서리를 구비한다. 내굴곡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슬리브에 추가적인 보강부를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단부 부분의 연결 위치에 추가적인 보강부를 제공하게 된다.
탄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는 원주방향으로 측면 돌출부를 구비한 내굴곡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를 오버랩하게 되며, 상기 돌출부는 내굴곡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에 용착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돌출부는 상기 슬리브를 다룰때에 상기 슬리브의 그립력(grip)을 향상시키고 상기 슬리브 부재들간의 연결부의 경직도 또는 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서, 상기 단부를 위하여 삽입되는 한계를 형성하는 정지 리브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며, 일단부는 그 자유단부를 구비한 정지 리브에 대하여 안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정지 리브에 대하여 안착되는 쇼울더를 구비한다. 상기 정지 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횡방향 경직도를 추가적으로 증가시키며, 연결위치에서 밀봉되도록 하게 한다.
상기 정지 리브는 내굴곡성의 슬리브의 일체형 부분과 탄성의 상기 슬리브의 일체형 부분으로 형성되는 리브 부재를 포함한다. 탄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의 일체형 부분이 되는 리브 부재는 적어도 그 탄성으로 인하여 연결부에서의 밀봉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정지 리브가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재료이며 탄성의 슬리브 부재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때, 상기 정지 리브는 그 원주면 전체에 대하여 연결부에 밀봉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굴곡-경직 슬리브는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는 재료의 리세스가 매립되는 외측에 리세스를 구비한다. 상기 리세스에 매립된 탄성 재료는 상기 슬리브를 잡았을때 슬리브상에서 추가적인 그립성능 향상을 가져온다.
또한,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정지 리브는 굴곡-경직 슬리브 부재에 제공된 개구를 통하여 리세스의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에 일체형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정지 리브 및 리세스에서의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는 단일의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슬리브는 단단한 고무 또는 강화 및/또는 크로스링크된 엘라스토머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단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탄성을 가짐과 함께 충분한 내굴곡성을 가진다.
대신에, 상기 제 2 고정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슬리브는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 리브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 2 고정 리브의 원주방향 영역에 대하여, 금속 또는 경질의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원주방향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레그를 구비하는 실린더 부분은 상기 슬리브의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에 매립되어, 상기 레그는 상기 제 2 고정 리브로 돌출한다. 이러한 슬리브의 구조에서, 금속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실린더 부분의 영역에는 내굴곡성의 슬리브가 존재하게 되며 그들 사이에는 단부를 연결하고 분리하도록 슬리브를 확장시키는 탄성의 슬리브 부재가 있다.
마지막 실시예에서, 상기 슬리브의 내측상에서, 상기 단부의 삽입 한계를 위한 정지 리브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정지 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를 포함한다. 동시에 상기 정지 리브는 상기 단부의 연결 위치를 밀봉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슬리브의 제 2 고정 리브는 상기 슬리브 원주면의 적어도 약 80° 및 180°이하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 리브 뒤에서, 그루브는 단부의 외주면 방향으로 제공되며; 상기 그루브의 축방향 폭은 제 1 고정 리브의 축방향 폭에 대응된다. 이러한 그루브로 인하여 상기 슬리브가 정지 리브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상기 단부의 삽입 한계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커플링 단부 부분이 정지 쇼울더를 구비하지 않을 때에 상기 단부 부분에서 다른 단부 부분이 푸시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슬라이딩할 수 없는 단부 부분 중 하나에 예비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슬리브에 삽입된 단부의 끝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단부상의 일측 단부의 제 1 고정 리브 중 하나의 위치는, 2개의 방향으로 돌출된 캠이 이러한 단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제공되어, 2개의 캠은 상기 제 1 고정 리브의 반경방향 높이에 부합하는 반경방향 높이로 돌출된다. 이러한 캠으로 인하여 상기 슬리브의 단부의 고정 리브가 상기 캠에 안착될 때까지 상기 슬리브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고 후속적으로 상기 슬리브로부터 단부를 당겨서 캠에 제공된 단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에서, 상기 제 1 고정 리브는 상기 단부의 전체 원주에 대하여 연장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연결 장치는 단부 부분(3, 4)을 구비한 2개의 유체 도관(1, 2)(도시된 실시예는 호스 형상의 도관을 도시하고 있음); 각각의 단부 부분(3, 4) 중 하나와 상기 도관(1, 2)을 연결하는 2개의 유니온 너트(5, 6); 원주방향으로 폐쇄된 원형의 원통 슬리브(7) 형상의 커플링 부재 및 밀봉 링(8)을 포함한다. 모든 부품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단부 부분(3, 4) 및 상기 유니온 너트(5, 6)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니온 너트(5, 6)에 의해 서로 상기 단부 부분(3, 4)과 상기 유체 도관(1, 2)을 연결하는 대신에, 이러한 부품들은 플라스틱 재료로 된 일체형 부품으로 구성된다. 또한, 2개의 상기 단부 부분(3, 4) 중 적어도 하나는 파이프 소켓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라디에이터의 내부에서 냉각 코일의 행태인 냉각수 라인에 연결되는 차량의 라디에이터의 파이프 소켓 연결부일 수 있다. 이 경우, 대응 단부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7)는 슬리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PBN),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에틸렌 아미드(PPA)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 중 하나의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슬리브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9)는 내굴곡성을 가진다. 엘라스토머 재료의 삽입부(10)는 상기 슬리브 부재(9)의 외측에 사출성형된다. 상기 삽입부(10)에는 상기 슬리브(7)상의 그립 성능을 증대시키도록 리세스(11)가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삽입부는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다. 대신에, 상기 슬리브 부재(9)는 그 외측상에서 주름진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부재(9)와 삽입부(10)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는 열가소성의 재료로 된 탄성의 슬리브 부재(12)는 상기 슬리브 부재(9) 및 삽입부(10)에 사출성형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9) 및 삽입부(10)는 용착됨으로써 슬리브 부재(12)에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7)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게 된다. 상기 슬리브 부재(12)의 열가소성이며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가화처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V: vulcanized thermoplastic elastomer),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TEEE: thermoplastic ether ester elastomer), 에틸렌 프로필렌고무(EPDM: ethylene propylene rubber), 불화 고무(FKM: fluorinated rubber), 불화실리콘, 액체 실리콘 고무(LSR: liquid silicone rubber),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중 어느 하나의 재료이다. 상기 슬리브 부재(9)는 80도 내지 180도, 바람직하게는 약 140도 내지 160도의 영역에서 슬리브(7)의 원주방향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9)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리브(13)를 구비한 단부의 주변부의 내측에 제공되며 경사진 플랭크(14: 도 2)를 구비한 원주방향 단부 부분상에 제공된다.
상기 슬리브(7)의 회전가능성을 나타내는 원호 형상의 이중 화살표를 중심에 구비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5)가 탄성의 슬리브 부재(12)의 외측에 제공된다.
축방향 중심에서의 슬리브(7)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정지리브(17, 도 1)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정리 리브의 부재들은 상기 탄성의 슬리브 부재(12)의 영역에서는 도면부호 17a로 표시되고, 상기 단단한 턴성의 슬리브 부재(9)의 영역에서는 도면부호 17b로 표시된다. 정지 리브 부재(17a)는 탄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12)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며, 정지 리브 부재(17b)는 단단하며 탄성을 가진 상기 슬리브 부재(9)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한다.
단부 부분(3, 4)에는 그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리브(18)가 제공된다. 상기 유체 도관(1, 2)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 부분(3, 4)는 상기 슬리브(7)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단부 부분(4)에 삽입되는 단부 부분(3)의 환형 그루브에 밀봉링(8)이 삽입된 후에 연결된다. 상기 단부 부분(4)에 대하여 소정의 상대적 각 위치로 상기 슬리브(7)에 상기 단부 부분(3, 4)를 삽입하면, 상기 슬리브(7)는 상기 슬리브(7)의 고정 리브(13)가 상기 고정 리브(18)에 결합되고 각각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19, 20)의 단부 부분(3, 4)의 고정 리브(18) 뒤에서 체결될 때까지 단부 부분(3, 4)의 고정 리브(18)를 가로질러 통과할 때 탄성적으로 반경방향으로 확대된다. 동시에, 상기 단부(3, 4)는 상기 정지 리브(17)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정지 리브(17)에 단부 부분(3)이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부분(3)에는 쇼울더(21)가 제공된다. 상기 단부 부분(3)의 그루브(19)는 원주방향의 환형 그루브이다. 비교하여, 상기 단부 부분(4)의 그루브(20)는 원주에 대하여 완전히 연장되지 않지만 상기 단부 부분(4)의 고정 리브(18)의 반경방향 높이에 부합하는 반경방향 높이로 돌출하는 2개의 캠(22)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2개의 캠(22)은 단부 부분(4)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게 위치되며, 상기 캠에는 경사진 플랭크가 제공된다. 상기 슬리브(7)의 고정 리브(13)의 축방향 폭은 상기 그루브(19, 20)의 축방향 폭에 대응하게 된다. 상기 단부 부분(3, 4)를 상기 슬리브(7)에 삽입하면, 상기 슬리브(7)의 고정 리브(13)는 각각 상기 단부 부분(3, 4)의 그루브(19, 20)를 경계짓는 플랜지(23, 24)와 접촉하게 된다. 도 1에 따른 연결 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12)는 상기 캠(22)에 대하여 그 단부에서 안착된다. 이러한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슬리브(7)는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리브(13)는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9)의 일단부에서 캠(22)의 대응하여 경사진 플랭크 및 확대된 슬리브(7)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각 위치에서, 상기 단부 부분(3) 및 가요성의 유체 도관(1)과 함께 상기 슬리브(7)는 단부 부분(4)으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상기 슬리브(7)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단부상에 예비 장착될 수 있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유체 도관(1, 2)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탄성의 슬리브 부재(12)가 캠(22)에 정렬되는 각 위치에서 연결되는 유체 도관(2) 및 단부 부분(4)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지 리브(17)는 상기 슬리브(7)에 단부 부분(3, 4)의 삽입을 위한 깊이의 한계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밀봉링(8)의 밀봉작용에 추가하여 단부 부분(3, 4)의 연결 위치에 밀봉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23, 24)에는 리브가 제공되어, 상기 슬리브(7)를 회전시에 상기 단부 부분(3, 4)을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증진된 그립 성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슬리브(7)에 대한 다소 수정된 슬리브(27)를 도시한다. 이러한 슬리브(7)를 닮은 슬리브(27)의 부분은 슬리브(7)의 대응 부분에 대하여 20 만큼 증가된 도면부호로 표시되며,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탄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32)에 대하여 사용된 것과 동일한 열가소성 재료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정지 리브(37)는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29) 및 열가소성 슬리브 부재(32)의 내측에 사출성형된다. 동시에, 상기 정지 리브(37)의 탄성 재료는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29)에 제공된 리세스(31)에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29)에 제공된 개구(30)를 통하여 사출성형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29)의 외측은 상기 슬리브(27)의 수동 회전을 촉진시키도록 그립 성능이 증진된 표면(33)을 제공한다.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정지 리브(37)는 상기 슬리브(7)의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9)의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9)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 정지 리브(17)의 구역보다 단부 부분(3, 4)의 연결 위치를 더 양호하게 밀봉하고; 상기 정지 리브(17)는 상기 슬리브 부재(12)와 동일한 탄성 재료의 탄성의 슬리브 부재(12)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장점을 구비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슬리브(7)의 다른 변형례인 슬리브(47)를 도시한다. 상기 슬리브(7)를 닮은 슬리브(47)의 부분은 슬리브(7)의 대응 부분에 대하여 30만큼 증가된 도면부호로 표시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슬리브(7)로부터 변형예로서, 탄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42)에는 단단한 탄성의 슬리브 부재(39)의 리세스에 사출성형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39)에 용착되는 측면 돌출부(43)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43)는 단단한 탄성의 슬리브 부재(39)를 구비한 탄성의 슬리브 부재(42)의 연결부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슬리브(7)의 탄성의 슬리브 부재(12)의 돌출부는 생략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슬리브 부재(42)의 탄성 재료는 그립 성능을 충분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슬리브(7)에 대하여 변형된 슬리브(57)가 도시된다. 상기 슬리브(7)의 부분을 닮은 슬리브(57)의 부분은 슬리브(7)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도면부호가 50 증가되어 표시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슬리브(57)는, 전체 주변부에 대하여, 단단한 탄성 재료, 예를 들어, 단단한 고무 또는 강화되고/강화되거나 가황처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일체형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슬리브 부재(9)의 고정 리브(13)(전자는 슬리브 부재(12)의 일체형 부분임)는 슬리브(57)의 원주방향으로 약 80도 내지 100도, 바람직하게는 약 90도로 가로질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 부재(9)는 얇은 슬리브 부재(12)보다 덜 탄성적으로 신장되어서, 상기 슬리브(57)는 신장되거나 확대될 수 있게된다. 상기 돌출부(15)에 추가하여, 상기 슬리브(57)에는 슬리브(57)의 그립 성능을 증대시키도록 외주면에 대하여 분포된 축방향 리브(56)가 제공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슬리브(7)의 변형예에 대한 다른 슬리브(67)를 나타낸다. 상기 슬리브(7)의 부분을 닮은 슬리브(67)의 부분은 슬리브(7)의 대응 부분에 대하여 도면부호가 60 증가되어 표시되며,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진다.
고정 리브(73) 및 정지 리브(17)를 포함하여 슬리브(67)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슬리브(7)의 슬리브 부재(12)와 동일한 탄성적 신장력을 가진 재료를 그 전체 외주부에 구비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따른 슬리브 부재(9)와 같은 단단한 탄성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으로 된 원통형부(68)는 고정 리브(73)의 외주부 영역에서 매립된다. 상기 원통형 부분(68)은 상기 고정 리브(73)로 돌출되는 그 외주면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레그(69)를 구비한다. 상기 레그(69)는 외주면 방향으로 중단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자세히 도시도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Claims (15)

  1.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유체 도관(1, 2)의 단부 부분(3, 4);
    상기 유체 도관의 중심축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둘러싸는 외측면과 상기 가상의 축을 둘러싸는 내측면을 구비하는 커플링 부재(7; 27; 37; 47; 57; 67)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로서,
    상기 단부 부분(3, 4)의 원주방향에서, 연결된 상태의 상기 커플링 부재와 오버랩되는 부분에 외측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 리브(18)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커플링 부재(7; 27; 37; 47; 57; 67)의 내측에서, 내측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 2 고정 리브(13; 73)는 상기 커플링 부재(7; 27; 37; 47; 57; 67)의 상기 가상의 축의 방향 단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커플링 부재(7; 27; 37; 47; 57; 67)는 탄성적으로 신장됨으로써 상기 연결 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단부 부분(3; 4)에 동축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고정 리브(18) 뒤에서 제 2 고정 리브(13; 73)가 체결되어 상기 단부 부분(3; 4)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커플링 부재(7; 27; 37; 47; 57; 67)는 중공의 원통형상의 슬리브(7; 27; 37; 47; 57; 67) 인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7; 27; 37; 47; 57; 67)는 외주면 방향으로 80도 내지 180도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9; 29; 39)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는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는 재료로 된 탄성의 슬리브 부재(12; 32; 42)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의 슬리브 부재(12; 32; 42)는 상기 탄성의 슬리브 부재의 모서리와 상기 내굴곡성 슬리브 부재의 모서리를 서로 대향시켜 용착시키거나 서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9; 29; 39)에 연결되는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탄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42)는 외주면 방향으로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39)를 오버랩하는 측면 돌출부(43)를 구비하며, 상기 측면 돌출부(43)는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39)에 용착되는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7; 27; 37; 47; 57; 67)의 내측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부 부분(3, 4)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정지 리브가 제공되며, 상기 단부 부분 중 하나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정지 리브에 대하여 안착되는 자유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 부분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부분(3)은 상기 정지 리브에 대하여 안착되는 쇼울더(21)를 구비하는 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리브(17)는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9; 39)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리브 부재(17b)와, 탄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리브 부재(17a)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리브(37)는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며 탄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32)의 일체형 부분이 되는 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내굴곡성의 상기 슬리브 부재(29)는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33)가 박혀있는 리세스(31)가 제공된 외측면을 구비하는 연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리브(37)는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며, 내굴곡성의 슬리브 부재(29)에 제공된 개구(30)를 통하여 리세스(31)에서 상기 정지 리브는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연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7)는 단단한 고무, 강화 엘라스토머, 크로스링크된 엘라스토머, 또는 강화되고 크로스링크된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일체형 부분이 되는 연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67)와 제 2 고정 리브(73)는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 리브(73)는 외주면방향으로 이격되며,
    금속 또는 단단한 탄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부분(68)은 슬리브와 제 2 고정 리브(73)의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에 박혀지게되며,
    상기 원통형 부분(68)은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레그(69)가 제공된 외주면 모서리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 부분(68)은, 상기 레그(69)가 제 2 고정 리브(73)로 돌출되도록 박혀지게 되는 연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7; 67)의 내측면은 단부 부분(3, 4)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도록 제공된 정지 리브(17)를 구비하며, 상기 정지 리브(17)는 상기 슬리브의 내측면의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연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리브(13; 73)는 상기 슬리브(7; 27; 37; 47; 57; 67)의 외주면 방향으로 80도 내지 180도로 연장되는 연결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분(3, 4)의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19, 20)는 상기 제 1 고정 리브(18) 뒤에 제공되며, 상기 그루브는 제 1 고정 리브(13; 73)의 축방향 폭에 부합하는 축방향 폭을 구비하는 연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분 중 하나의 단부 부분(4)의 제 1 고정 리브(18)들 중 하나의 고정 리브 뒤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캠(22)은 상기 슬리브(7; 27; 37; 47; 57; 67)에 삽입된 상기 단부 부분 중 제 2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단부 부분 중 제 1 단부상에서 상기 단부 부분(4)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2개의 상기 캠은 상기 제 1 고정 리브(18)의 반경방향 높이에 해당하는 반경방향 높이로 돌출되는 연결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리브(18)는 상기 단부 부분(3, 4)의 전체 외주면에 대하여 연장되는 연결장치.
KR1020060047070A 2005-05-27 2006-05-25 연결되는 2개의 유체 도관의 단부 부분의 연결장치 KR100784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4267.7 2005-05-27
DE102005024267 2005-05-27
EP05027825.8 2005-12-20
EP05027825A EP1726862B1 (de) 2005-05-27 2005-12-20 Verbindungsanordnung mit koaxialen Endabschnitten zweier zu verbindender Fluidleitungen
EP06008914A EP1726865B1 (de) 2005-05-27 2006-04-28 Verbindungsanordnung mit Endabschnitten zweier zu verbindender Fluidleitungen
EP06008914.1 2006-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40A KR20060122740A (ko) 2006-11-30
KR100784929B1 true KR100784929B1 (ko) 2007-12-11

Family

ID=3695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070A KR100784929B1 (ko) 2005-05-27 2006-05-25 연결되는 2개의 유체 도관의 단부 부분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74596B2 (ko)
EP (1) EP1726865B1 (ko)
JP (1) JP4304525B2 (ko)
KR (1) KR100784929B1 (ko)
CA (1) CA2547732A1 (ko)
NO (1) NO20062396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6088B1 (de) * 2007-12-14 2009-06-15 A & S Umwelttechnologie Ag Muffe zum verbinden von zumindest zwei rohren
US8092416B2 (en) 2008-03-28 2012-01-10 Vitalmex Internacional S.A. De C.V.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blood pump without trapping air bubbles
DE202008006612U1 (de) * 2008-05-15 2008-08-07 Parker Hannifin Gmbh & Co. Kg Anschluss- und Verbindungsvorrichtung für Hochdruckleitungen
WO2009151938A1 (en) * 2008-05-27 2009-12-17 Springseal Inc. Pipe coupling assembly
DE102008048040B4 (de) * 2008-09-19 2013-03-07 Norma Germany Gmbh Steckkupplung
DE102010015022A1 (de) * 2010-04-14 2011-10-20 Rehau Ag + Co. Hausinstallationsrohrsystem sowie dessen Verwendung
DE102010031288A1 (de) 2010-07-13 2012-01-19 Mahle International Gmbh Kupplungseinrichtung, Kurbelgehäuseentlüftungseinrichtung und Frischluftanlage
DE102012204305A1 (de) * 2012-03-19 2013-09-19 Robert Bosch Gmbh Dicht umspritzt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m Erstellen eines solchen Bauelements
US10859194B2 (en) 2013-05-20 2020-12-08 Steere Enterprises, Inc. Clean air duct and retaining clip and assembly thereof
US9664321B2 (en) 2013-05-20 2017-05-30 Steere Enterprises, Inc. Clean air duct and retaining clip and assembly thereof
WO2017037660A1 (en) * 2015-09-04 2017-03-09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onnectors for conduits
USD809656S1 (en) 2016-06-10 2018-02-06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onnector for a breathing circuit
DE102016117830A1 (de) * 2016-09-21 2018-03-22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für Medienleitungen sowi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Medienleitungen
US10947938B2 (en) 2017-06-21 2021-03-16 Steere Enterprises, Inc. Air duct assembly with a secured seal
US10975992B1 (en) 2017-07-01 2021-04-13 Principle CNC Mfg, Inc. Liquid manure hose coupler
JP6969964B2 (ja) * 2017-10-12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配管部結合構造
USD940861S1 (en) 2020-03-03 2022-01-1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onnector for a respiratory system conduit
CN111174012B (zh) * 2020-03-14 2021-07-30 绍兴上虞中塘电器五金厂 一种可拆卸管插接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1588A (en) 1996-06-27 1999-07-13 Friatec Aktiengesellschaft Push-in pipe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806A (en) * 1909-05-18 1912-11-12 American Bridge Company Hose-coupling.
US2452219A (en) * 1945-08-10 1948-10-26 Bergvall Knut Lennart Device for the joining of tubes
GB1167076A (en) 1967-06-12 1969-10-15 Danite Hard Metal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Couplings.
CH488959A (de) 1969-03-26 1970-04-15 Fischer Ag Georg Einstellbares Stützelement zur Verstärkung von nachgiebigen Rohren, insbesondere von Rohren aus Kunststoff
GB1365151A (en) 1972-08-31 1974-08-29 Hepworth Iron Co Ltd Pipe couplings
CH600228A5 (ko) * 1976-10-13 1978-06-15 Hobas Eng Ag
US4229028A (en) * 1978-12-20 1980-10-21 Universal Sewer Pipe Company Pipe coupler
SE419793B (sv) * 1980-01-04 1981-08-24 Nolic I Borlenge Ab Borlenge S Anordning for lasning av ror- och slangkopplingar
CH651368A5 (de) * 1981-06-17 1985-09-13 Hobas Eng Ag Rohrkupplung.
DE3702246C1 (de) 1987-01-27 1988-03-10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eines Schlauches mit einem Rohr
JP3425482B2 (ja) 1994-11-25 2003-07-14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パイプの接続具
DE19756987C2 (de) * 1997-12-20 2001-05-23 Daimler Chrysler Ag Lösbare Rohrverbindung, insbesondere für luftführende Rohre
DE19855674A1 (de) * 1998-12-02 2000-06-08 Voss Armaturen Steckkupplung
US6991270B2 (en) 2000-12-27 2006-01-31 Toyoda Gosei, Co., Ltd. Hose coupling assembly
JP2002295774A (ja) 2001-04-03 2002-10-09 Onda Seisakusho:Kk ヘッダー
US6565129B2 (en) * 2001-06-21 2003-05-2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Quick connect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vices
ATE342466T1 (de) * 2002-07-03 2006-11-15 Ems Chemie Ag Schnellverbindung zum verbinden von zwei rohrend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1588A (en) 1996-06-27 1999-07-13 Friatec Aktiengesellschaft Push-in pipe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40A (ko) 2006-11-30
JP4304525B2 (ja) 2009-07-29
US7874596B2 (en) 2011-01-25
EP1726865B1 (de) 2010-02-24
US20070001458A1 (en) 2007-01-04
CA2547732A1 (en) 2006-11-27
EP1726865A3 (de) 2009-03-18
EP1726865A2 (de) 2006-11-29
JP2006329428A (ja) 2006-12-07
NO20062396L (n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929B1 (ko) 연결되는 2개의 유체 도관의 단부 부분의 연결장치
CN1869497B (zh) 具有两根待连接的流体管的端部部分的连接装置
RU2324102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цевыми участками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для жидкости
US5829483A (en) Hose
KR101330458B1 (ko) 배기 장치
ES2699580T3 (es) Método para instalar una junta
CA2549317C (en) Pipe fitting with composite gasket assembly
EP1715237A2 (en) Pipe fitting with composite gasket assembly
MXPA01002985A (es) Miembro de cubierta de tipo de fuelle.
US20190203837A1 (en) Seal
US11555320B2 (en) Drainage device for above-ground pool and above-ground pool
US8544932B2 (en) Fuel inlet tube for automobiles
KR102273554B1 (ko)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CN100529501C (zh) 用于波形管的连接件
US6447026B2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two pipes
CN102635746B (zh) 管道或软管连接结构
US20110159971A1 (en) Boot comprising an attachment region with at least two circumferential outside ribs
EP1327812A2 (en) Corrugated tubing assembly with integrated quick connector
JP2011202767A (ja) 可撓管接続構造
JP2008082432A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締結構造
JP6793695B2 (ja) グロメット
EP2927551B1 (en) Connection sleeve and manifold cabinet
JP2010025255A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KR20180080769A (ko) 에어 인테이크 호스
CN114658849A (zh) 密封环和软管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