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297B1 - 차량의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297B1
KR100784297B1 KR1020030031395A KR20030031395A KR100784297B1 KR 100784297 B1 KR100784297 B1 KR 100784297B1 KR 1020030031395 A KR1020030031395 A KR 1020030031395A KR 20030031395 A KR20030031395 A KR 20030031395A KR 100784297 B1 KR100784297 B1 KR 10078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doors
sealing rub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023A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이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03003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297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끝단에 부착되는 실링부재를 회전 가능토록 설계하여 도어가 닫힐 때 옷이나 기타 물품이 끼일 경우에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차량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도어는 두 개의 문짝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차량의 옆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차량의 도어에 있어서, 도어 폐쇄시 문짝이 맞닿는 전단부에 봉 형상의 실링용 고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물질이 도어 사이에 낄 경우에도 신속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차량, 전동차, 도어, 실링용 고무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Door for vehicl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60 : 문짝 51,61 : 실링용 고무
100 : 이물질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끝단에 부착되는 실링부재를 회전 가능토록 설계하여 도어가 닫힐 때 옷이나 기타 물품이 끼일 경우에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차량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수단인 차량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차량 중에 특히 대중교통수단으로 대도시에서는 지하철의 전동차와 버스가 가장 많은 수송을 부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동차나 버스는 많은 사람들이 승하차하게 되어 있는 바, 신속한 동작을 위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즉, 운전사가 버튼을 조작하여 통상 공압에 의해 물을 좌우로 당기거나 밀어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종래의 전동차에 사용되는 도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문짝(11,12)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문짝(11,1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가이드 레일(11a,12a)이 형성되어 전동차의 출입구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미도시)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하부에는 반대로 가이드 홈(12b)이 형성되어 전동차의 출입구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타고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가이드 레일과 홈의 구조 외에 바퀴를 달아 더욱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동차의 도어는 마주 보는 두 개의 문짝(11,12)이 공압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동차의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바, 도어(10)가 폐쇄되도록 동작하는 경우에 실링을 위하여 실링부재인 실링용 고무(15,16)가 각각의 문짝(11,12) 끝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링용 고무(15,16) 중에 한쪽은 중앙으로 홈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맞닿을 경우에 공기가 통과하거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참조번호 13,14는 창문을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도어는 사람의 옷자락, 머리카락 등이 두 개의 실링용 고무에 끼일 경우에 고무의 마찰력에 의해 끼인 물건이 잘 빠지지 않아 그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 뺄 수가 없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끝단에 설치되는 실링용 고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물질 등이 낄 경우에 용이하게 그 이물질을 제거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는 두 개의 문짝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차량의 옆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차량의 도어에 있어서, 도어 폐쇄시 문짝이 맞닿는 전단부에 봉 형상의 실링용 고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링용 고무의 외면은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짝의 한쪽에는 회전 가능하게 실링용 고무가 설치되고, 그 반대편의 문짝에는 홈을 갖는 실링용 고무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도어의 제1실시 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는 두 개의 문짝(50,60)이 마주 보도록 되어 있고, 상부에는 가이드 레일(50a,60a)이 형성되어 출입구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도어 폐쇄시 서로 맞닿게 되는 문짝(50,60)의 전단부들에는 각각 봉 형상의 실링용 고무(51,61)가 힌지 브래킷(50b,60b)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차량용 도어는 도 3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사람의 옷자락이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100)이 걸렸을 경우에 그 이물질(100)을 당기게 되면 실링용 고무(51,61)가 회전되면서 빠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과 동일하게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의 실링용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면이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 실링용 고무(51',61')를 사용한 것이다. 물론 동작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되나, 치형이 맞물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1실시 예보다는 이물질을 빼내는데 더 큰 힘을 요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원형의 실링용 고무(61")가 설치되고 그 반대편에는 상기 실링용 고무(61")가 안착되는 홈을 갖는 실링용 고무(51")가 설치된다. 물론 이러한 구성도 제1실시 예보다 이물질을 빼내는데 더욱 많은 힘을 요한다. 이러한 문제점과 도어 폐쇄시 이용자의 신체에 부딪쳐 상해를 입힐 염려를 예방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한 문짝(60)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출입하게 되는 실링용 고무(61")를 지지하는 힌지 브래킷(60b)을 설치한 다음, 그 후방에 스프링을 설치한 구조를 제공한다. 즉, 공압에 의해 문짝(50,60)이 닫히는 경우에 실링용 고무들(51",61")이 서로 접촉한 다음, 실링용 고무(61")와 브래킷(60b)이 함께 스프링(70)을 일정길이 압축한 후 스프링의 탄성력이 공압보다 크게 작용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도 5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때, 신체의 일부가 고무(51",61") 사이에 끼게 되면 일시적으로 스프링이 압축되기 때문에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또한, 실링용 고무(61")가 후방으로 스프링(70)을 압축하면서 밀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무(51",61")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빼내는 것도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도어는 이물질이 도어 사이에 낄 경우에도 신속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두 개의 문짝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차량의 옆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차량의 도어에 있어서,
    도어 폐쇄시 문짝이 맞닿는 전단부에 봉 형상의 실링용 고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링용 고무의 외면은 기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3. 두 개의 문짝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차량의 옆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차량의 도어에 있어서,
    도어 폐쇄시 상기 문짝이 맞닿는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 형상의 실링용 고무 및 이 봉 형상의 실링용 고무의 반대측 문짝에 설치되는 것으로 홈을 갖는 실링용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KR1020030031395A 2003-05-17 2003-05-17 차량의 도어 KR10078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395A KR100784297B1 (ko) 2003-05-17 2003-05-17 차량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395A KR100784297B1 (ko) 2003-05-17 2003-05-17 차량의 도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274U Division KR200322429Y1 (ko) 2003-05-17 2003-05-17 차량의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023A KR20040099023A (ko) 2004-11-26
KR100784297B1 true KR100784297B1 (ko) 2007-12-13

Family

ID=3737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395A KR100784297B1 (ko) 2003-05-17 2003-05-17 차량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2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04B1 (ko) 2007-12-20 2013-12-3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도어 실링구조를 구비한 프렌치식 냉장고
KR101346214B1 (ko) 2007-12-20 2013-12-3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도어 실링구조를 구비한 프렌치식 냉장고
JP2020041410A (ja) * 2014-12-26 2020-03-19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引きずり検知装置及び引き戸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359B1 (ko) * 2013-08-19 2014-11-25 희 석 김 지하철용 안전 출입문 및 이에 이용되는 끼임 방지장치
KR102621911B1 (ko) * 2018-12-14 2024-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식 스윙도어에 적용되는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0505U (ko) 1975-04-12 1976-10-21
JPS54157456U (ko) 1978-04-26 1979-11-01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0505U (ko) 1975-04-12 1976-10-21
JPS54157456U (ko) 1978-04-26 1979-11-0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04B1 (ko) 2007-12-20 2013-12-3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도어 실링구조를 구비한 프렌치식 냉장고
KR101346214B1 (ko) 2007-12-20 2013-12-3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도어 실링구조를 구비한 프렌치식 냉장고
JP2020041410A (ja) * 2014-12-26 2020-03-19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引きずり検知装置及び引き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023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493792A1 (fr) Agencement d&#39;arret de portiere pour un vehicule
KR100784297B1 (ko) 차량의 도어
KR20160081011A (ko) 지하철 차량 및 스크린 도어의 안전장치
KR200322429Y1 (ko) 차량의 도어
WO2009107551A1 (ja) ウィンドウガラス破損検出具及び破損検出装置
US7302988B2 (en) Breakaway window awning guide
US5998951A (en) Vehicular electric window safety switch
KR0176037B1 (ko) 버스 자동문의 안전 장치
US4201368A (en) Arrangement for emergency opening a vehicle door
KR101545787B1 (ko) 도어의 안전장치
EP1195279A3 (en) Guide track for a moveable window pane of a vehicle
WO2004038137A3 (fr) Poignée, notamment pour portes de vehicules automobiles
JP2011178356A (ja) ホーム柵装置
KR0124623Y1 (ko) 차량의 도어용 웨더스트립
JPH0596373U (ja) 車両用引戸の戸袋引込み検知装置
JP2001040950A (ja) 建物の間仕切り体
JP3113703U (ja) 車両用ドアの構造
CN211851347U (zh) 一种开车门防撞装置
KR100471885B1 (ko) 차량의 도어 개방 구조
JP4475701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構造
JPH0754546Y2 (ja) 鉄道車両用両引戸
KR0125085Y1 (ko) 철도승강장용 안전부스
EP1398240A3 (en) Emergency egress door
KR101902501B1 (ko)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KR100211709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