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247B1 -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247B1
KR100782247B1 KR1020020004072A KR20020004072A KR100782247B1 KR 100782247 B1 KR100782247 B1 KR 100782247B1 KR 1020020004072 A KR1020020004072 A KR 1020020004072A KR 20020004072 A KR20020004072 A KR 20020004072A KR 100782247 B1 KR100782247 B1 KR 100782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support member
spinning reel
fixed shaft
guid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840A (ko
Inventor
모리세타이세이
히토미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15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829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15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349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6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베일 암에 있어서, 줄 흔들림에 의한 불편이 생기기 어렵게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베일 암(7)은, 제1 및 제2 로터 암(5, 6)의 선단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에 있어서, 제1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8, 9)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제공된 라인 롤러(12)와, 라인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10)과, 고정축 커버(11)와, 고정축 커버와 제2 베일 지지 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베일(13)과, 줄 흔들림 억제부(37)를 구비한다. 줄 흔들림 억제부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고정축 돌출측에 다른 부분보다 돌출하여 라인 롤러로 낚싯줄을 유도하기 위한 낚싯줄 유도면(37a)을 가지고 있다.
스피닝 릴, 낚싯줄 안내 기구, 줄 흔들림 억제부, 고정축 커버, 스풀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Device for Guiding Fishing Line of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베일 암의 선단부의 요부반절단면도(要部半截斷面圖).
도 3은 베일 암의 선단부의 평면도.
도 4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측의 단면 부분도.
도 5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측의 베일 암의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도 4의 VI-VI 단면도.
도 7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단면 모식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 7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3: 로터
4: 스풀 5, 6: 제1 및 제2 로터 암
7: 베일 암 8, 9: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
10: 고정축 11: 고정축 커버
12: 라인 롤러 13: 베일
18: 도금층 31: 장착부
32: 롤러 지지부 33: 연결부
36: 외주부 37, 137: 줄 흔들림 억제부
37a, 137a: 낚싯줄 유도면 37b: 줄 흔들림 저지면
137b: 낚싯줄 계지 요부 137c: 연동 요부
본 발명은, 낚싯줄 안내 기구, 특히, 스피닝 릴의 한 쌍의 로터 암의 선단에 제공되고 스풀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에는,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 기구가 제공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 기구는, 한 쌍의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베일 지지 부재와, 한 쪽의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그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과, 고정축의 타단에 고정된 고정축 커버와, 고정축 커버에 일단이 장착된 베일과, 라인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베일의 타단은, 베일 지지 부재의 다른 쪽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 베일의 일단은 절곡하여 고정축 커버의 측정부(側頂部)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라인 롤러는, 고정축 커버와 베일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서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낚싯줄 안내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을 스풀에 권취할 때에, 베일을 줄 권취 자세측으로 요동시키고 핸들을 돌린다. 그러면, 낚싯줄은 베일로 유도되어 고정축 커버를 거쳐 라인 롤러의 외주면으로 안내되어 접촉한다. 그리고, 라인 롤러로 안내되어 낚싯줄의 방향이 바뀌어지고 스풀 외주에 권취된다.
상기 종래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줄 권취시에 장치로부터 물고기가 벗어나거나 하여 낚싯줄의 장력이 약해졌을 때, 라인 롤러로부터 낚싯줄이 떠나는, 소위 줄 흔들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낚싯줄은, 관리 낚시터에서 수행하는 송어 낚시와 같이 가느다란 낚싯줄을 사용하는 낚시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줄 흔들림이 생기면, 스풀의 줄 권취부의 후방, 그리고 스풀의 내부로 침입하여 얽히는 줄 빠짐이나 줄이 뒤틀리는 줄 꼬임 등의 현상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이 생긴 상태에서 핸들을 돌리면, 베일 지지 부재나 스풀에 낚싯줄이 얽히기 쉬워진다. 베일 지지 부재나 스풀에 낚싯줄이 얽히면, 핸들을 회전시킬 수 없고, 낚싯줄이 끊어지거나 나아가 다른 부위에 얽히거나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줄 흔들림에 의한 불편이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의 전방에 배치된 로터의 제1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줄 안내 자세일 때 스풀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라인 롤러와, 고정축과, 고정축 커버와, 베일과, 줄 흔들림 억제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는, 제1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제공되고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한다. 고정축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둘출하고 라인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다. 고정축 커버는, 고정축의 선단에 제공되고 라인 롤러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이다. 베일은, 고정축 커버와 제2 베일 지지 부재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낚싯줄을 라인 롤러로 안내하는 것이다. 줄 흔들림 억제부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고정축 돌출측에 다른 부분보다 돌출하여 배치되고 라인 롤러로 낚싯줄을 유도하기 위한 낚싯줄 유도면을 가지는 것이다.
이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줄 권취 자세로 베일을 닫은 상태에서 핸들을 돌리면, 낚싯줄은 베일로 유도되어 고정축 커버를 거쳐 라인 롤러의 외주면으로 안내되어 접촉한다. 이 때, 낚싯줄에 장력이 작용하고 있을 때에는 라인 롤러에 의해 순조롭게 스풀로 낚싯줄이 안내되지만, 낚싯줄의 장력이 약해지면 라인 롤러로부터 낚싯줄이 떠나려고 한다. 그러나 줄 흔들림 억제부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고정축 돌출측에 다른 부분보다 돌출하여 배치되고 상기 줄 흔들림 억제부에 라인 롤러로 낚싯줄을 유도하기 위한 낚싯줄 유도면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이 라인 롤러로부터 떠나는 줄 흔들림이 생겨도 낚싯줄에 장력이 작용하면 즉시 원래의 라인 롤러로 안내된다. 이 결과, 낚싯줄의 장력이 약해져 줄 흔들림이 생겨도, 그것에 의 한 불편이 생기기 어려워 진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줄 흔들림 억제부는, 라인 롤러의 낚싯줄 안내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된 줄 흔들림 저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라인 롤러의 낚싯줄 안내 부분에 대향하여 줄 흔들림 저지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의 장력이 약해져도 줄 흔들림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2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줄 흔들림 저지부는, 라인 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낚싯줄을 계지 가능한 계지(係止) 요부(凹部)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계지 요부에 의해 라인 롤러에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라인 롤러의 축방향으로 낚싯줄이 떠나는 것을 저지하기 쉽기 때문에, 줄 흔들림이 한층 더 생기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는, 제1 로터 암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형의 장착부와, 고정축이 고정되고 라인 롤러가 장착되는 원형의 롤러 지지부와, 장착부와 롤러 지지부를 연결하는 대략 균일한 두께로 성형된 연결부를 가지며, 줄 흔들림 억제부는, 연결부에 고정축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리브이다. 이 경우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줄 흔들림 억제부를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고 회전 밸런스가 무너지기 어려워지며, 저렴하게 줄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줄 흔들림 억제부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스풀 측에 배치되고 제1 로터 암에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동축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연동하여 요동하는 요동 부재이다. 이 경우에는, 줄 흔들림 억제부가 별체로, 또한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함께 요동하므로,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일체로 내지 일체적으로 제공하는 것보다도 형상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는 것과 동시에,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고정이나 계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5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요동 부재는, 제1 베일 지지 부재가 줄 안내 자세로부터 줄개방 자세로 요동할 때, 제1 베일 지지 부재보다 소정 각도 지연되어 요동한다. 이 경우에는, 줄 흔들림 억제부가 지연되게 요동하므로, 낚싯줄 안내 기구를 줄 개방 자세 측으로 요동했을 때, 줄 흔들림 억제부에 대해 위상차가 생기게 하여 줄 개방 자세에서 라인 롤러로부터 낚싯줄이 떠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는, 외주부와 소정의 기준점과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제1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체 내부에 제공되고 외주부와 기준점과의 거리가 바깥쪽을 향해 상기 제1 거리보다 서서히 작아지도록 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줄 엉킴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임의의 위치를 소정의 기준점으로 정하고 이 기준점으로부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까지의 사이의 최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체를 정의하고, 이 구체 내에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는, 낚싯줄이 안내 가능한 바깥쪽을 향해서, 기준점과 외주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소정의 기준점에서 줄엉킴을 일으켜,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에서 낚싯줄이 걸리는 경우에도, 권취 동작에 의해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의 걸림 위치가 기준점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마침내 빠져 버리고, 그것과 동시에 기준점에서의 줄엉킴도 해소된다. 따라서, 줄엉킴이 용이하게 해소된다. 더욱이, 외주부에 경질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이 접촉하면서 이동할 때에 제1 베일 지지 부재가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7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기준점은 상기 고정축 커버와 베일과의 접합점이다. 이 경우는, 줄엉킴을 일으키기 쉬운 고정축 커버와 베일과의 접합점을 기준점으로 정하는 것으로, 기준점에서 줄엉킴을 일으킬 경우에서도, 줄엉킴의 해소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는, 제1 및 제2 로터 암에 외측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풀와 양 로터 암과의 틈새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는, 외주부에 경질 피막을 가지고 있다. 이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낚싯줄 안내 기구를 줄 개방 자세측으로 요동시켜 캐스팅을 한다. 이 때, 바람 등의 영향에 의해 줄 흔들림이 생겨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에 낚싯줄이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에 경질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주부의 경도가 높아지고, 줄 흔들림이 생긴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에 접촉해도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금속의 경질 피막에 의해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에서 낚싯줄이 미끄러지기 쉬워지고, 줄 흔들림이 생긴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얽히기 어려워진다. 더욱이, 금속 경질 피막은, 전해 도금법이나 비전해 도금법 등의 각종 도금법, 진공 증착법이나 스패터링(spattering)이나 이온 플레이팅(plating) 등의 각종 물리 증착법(PVD), 및 플라스마 화학 증착법(CVD)이나 유기 금속 화학 증착법(CVD) 등의 각종 화학 증착법 등의 각종 박막 형성법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0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는 합성 수지제이고, 경질 피막은 금속 도금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금속 도금 처리에 의해 매끄러운 경질 피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0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는 합성 수지제이고, 경질 피막은 도장 처리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경화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막의 경화 처리에 의해 경질 피막을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0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고정축 커버는 합성 수지제이고, 표면에 경질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축 커버에도 경질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캐스팅 후에 낚싯줄 안내 기구를 줄안내 자세로 하여 낚싯줄이 베일로부터 고정축 커버를 거쳐 라인 롤러로 안내될 때, 고정축 커버가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14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0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고정축 커버는 금속제이고, 고정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축 커버와 고정축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부품수가 적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3 또는 제14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고정축 커버의 선단은, 대체로 원추 형상이고, 베일의 일단은 원추의 정점 부근에서 능선부와 매끄럽게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베일과 고정축 커버와의 접합 부분의 단차가 생기기 어려워지므로, 베일로부터 고정축 커버로 낚싯줄이 안내될 때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려워져, 나아가 낚싯줄의 미끄러짐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6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1 또는 제12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 또는 고정축 커버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염화 비닐 수지의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을 혼합한 합성 수지제이다. 이 경우에는, 다른 합성 수지에 비해, 예를 들어 무전해도금법에 의한 경질 피막을 표면에 형성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제17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6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 또는 고정축 커버는, ABS와 PC를 40:60 내지 60:40의 범위로 혼합한 합성 수지제이다. 이 경우에는, 강도를 유지해 표면에 경질 피막을 형성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제18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1 또는 제13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경질 피막은, 무전해도금 처리법에 의해 형성된 팔라듐(Pd) 도금층이다. 이 경우에는, 전해 도금법에 의한 크롬 도금 등보다 저렴하게 경질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표면이 보다 평활하게 되어 낚싯줄이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9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상기 제10 형태의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는 경금속제이고, 경질 피막은 금속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스이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연질인 금속을 이용해도 간단하게 경질 피막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스피닝 릴은, 핸들(1)을 가지는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와,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되고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의 상부에는, 스피닝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2)의 내부에는,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나, 스풀(4)을 회전축심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 등이 제공되어 있다.
로터(3)는 회전축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로터 암(5) 및 제2 로터 암(6)을 가지고 있고, 상기 양 로터 암(5, 6)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양 로터 암(5, 6)의 선단에는 낚싯줄 안내 기구로서의 베일 암(7)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7)은, 줄 개방 자세와 줄 권취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하고, 또한 베일 반전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핸들(1)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한다.
[베일 암의 구성]
베일 암(7)은, 제1 로터 암(5)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베일 지지 부재(8)와, 제2 로터 암(6)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베일 지지 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베일 암(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선단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10)과, 고정축(10)의 타단에 제1 베일 지지 부재(8)와 간격을 두고 제공된 고정축 커버(11)와, 고정축(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라인 롤러(12)와, 제2 베일 지지 부재(9)와 고정축 커버(11)과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베일(13)을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8)는, 제1 로터 암(5)의 선단 외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베일 지지 부재(9)는, 제2 로터 암(6)의 선단 외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양 베일 지지 부재(8, 9)는, 고강도 합성 수지제이다.
제1 베일 지지 부재(8)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5)에 고정 볼트(30)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형의 장착부(31)와, 고정축(10)이 고정되고 라인 롤러(12)가 장착되는 원형의 롤러 지지부(32)와, 장착부(31)와 롤러 지지부(32)를 연결하는, 대략 균일한 두께로 성형된 연결부(33)를 가지고 있다. 롤러 지지부(32)는, 장착부(31)에 대해 뒤틀린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계단식의 관통공(34; 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4)에는, 고정축(10)을 제1 베일 지지 부재(8)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35)가 관통하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외주부(36)의 길이 방향의 능선(36a)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축 커버(11)와 베일(13)과의 접합점(단차가 생기는 점)인 기준점 P로부터 능선(36a)까지의 최대 거리인 제1 거리 R1을 반경으로 하는 구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준점 P로부터 능선(36a)까지의 거리 R1a 및 R1b는 바깥쪽을 향해 제1 거리 R1보다 서서히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거리 R1b는 거리 R1a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외주부(36)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능선(36b)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준점 P로부터 능선(상방시단면에 있어서의 외주부; 36b)까지의 최대 거리인 제2 거리 R2를 반경으로 하는 구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준점 P로부터 능선(36b)까지의 거리 R2a는 바깥쪽을 향해 제2 거리 R2보다 서서히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거리 R2와 제1 거리 R1은 동일한 길이이다.
이러한 범위로 외주부(36)의 형상을 설정하면, 예를 들어 기준점(P)에서 줄 엉킴을 일으켜,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외주부에서 낚싯줄이 걸리는 경우에서도, 권취 동작에 의해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외주부의 걸림 위치가 기준점(P)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결국에는 빠져 버려서, 그것과 동시에 기준점(P)에서의 줄 엉킴도 해소된다. 따라서, 줄 엉킴이 용이하게 해소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연결부(33)는, 대략 균일한 두께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는, 다른 부분보다 내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되고 라인 롤러(12)로 낚싯줄을 유도하기 위한 낚싯줄 유도면(37a)과 줄 흔들림 저지면(37b)을 가지는 줄 흔들림 억제부(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줄 흔들림 억제부(37)는, 연결부(33)에 고정축(10)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리브이고, 낚싯줄 유도면(37a)은, 리브의 선단에 라인 롤러(12)의 외주면을 향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줄 흔들림 저지면(37b)은, 라인 롤러(1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줄 흔들림 억제부(37)는, 줄 흔들림이 생겨서 라인 롤러(12)로부터 낚싯줄이 이반(離反)해도, 이반한 낚싯줄을 라인 롤러(12)를 향해 안내하므로, 줄 흔들림에 의한 불편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8)는, 모재부로서의 합성 수지제의 본체부(17)와, 본체부(17)의 외주부에 형성된 경질 피막으로서의 도금층(18)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17)는, 예를 들어, ABS 수지와 PC 수지를 50% 씩 혼합한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ABS 수지와 PC 수지와의 혼합 비율은, 40:60에서 60:40까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이면, 얻을 수 있는 합성 수지제의 제1 베일 지지 부재(8)가 강도를 유지하여 표면에 도금층(18)을 형성하기 쉽다. 도금층(18)은, 예를 들어, 비전해 도금법인 화학 도금법에 의해 형성된 팔라듐(Pd) 도금층이다. 이러한 팔라듐 도금층은, 크롬 도금층에 비해 저렴하고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낚싯줄의 미끄러짐이 좋아지고, 더욱이, 합성 수지보다 경도가 높아지므로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금속 광택을 얻을 수 있으므로 고급감을 연출할 수 있고 내구성도 높아진다.
여기서, 도금층(18)은, 예를 들어, 무전해 도금 처리법에 의해 형성된 팔라듐(Pd) 도금층이다. 이 경우에는, 전해 도금법에 의한 크롬 도금 등보다 염가로 경질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표면이 보다 평활하게 되어 낚싯줄이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줄 흔들림이 생겨 낚싯줄이 외주부(36)에 접촉해도 외주부가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베일(13)은, Ni-Ti합금등의 초탄성을 가지는 형상 기억 합금제의 선재로 구성되고, 제2 베일 지지 부재(9)와 고정축 커버(11)에 양단이 예를 들어, 코킹(caulking) 고정되어 있다. 베일(13)은, 스풀(4)의 둘레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배치되고, 낚싯줄을 고정축 커버(11)로 유도한다.
고정축(10)은, 스텐레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단이 고정축 커버(11)로부터 연장하고 있고, 선단이 제1 베일 지지 부재(8)에 형성된 롤러 지지부(32)에 고정 나사(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롤러 지지부(32)는,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선단에 원반 형상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축(10)은, 고정축 커버(11)의 정점이 소정의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해서 롤러 지지부(32)에 끼워 넣어져 있다.
고정축 커버(11)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고정축(10)에 회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여 연결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1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점이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대략 원추 형상이고, 그 정점(11a)은, 고정축(10)의 축심을 기준으로 해서 릴의 후방향 및 스풀(4)의 지름 방향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이 원추의 정점(11a) 부근에 베일(13)이 능선부(11b)와 매끄럽게 접합되어 있다. 이 베일(13)과 고정축 커버(11)와의 접합부의 중심은, 원추의 정점(11a)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고정축 커버(11)의 낚싯줄 안내측과 역측의 능선부(11c)에는, 함몰된 결손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11)도,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재부로서의 본체부(17)과, 본체부(17) 표면에 형성된 경질 피막으로서의 도금층(18)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17)는, 예를 들어, ABS 수지와 PC 수지를 50% 씩 혼합한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ABS 수지와 PC 수지와의 혼합 비율은, 40:60에서 60:40까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이면, 얻을 수 있는 합성 수지제의 고정축 커버(11)도 강도를 유지하여 표면에 경질의 도금층(18)을 형성하기 쉽다.
라인 롤러(12)는, 스텐레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대략 통 형상의 부재이고, 고정축(10)에 베어링(20)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20)은, 롤러 지지부(32)와 고정축 커버(11)의 사이에서 고정축(10)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베어링(20)의 내륜(20a)의 일단은, 롤러 지지부(32)에 맞닿아 접하고(이하에서는, "맞닿아 접하다"의 의미로서, "당접하다"를 사용한다.), 타단은 고정축 커버(11)와의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21)에 당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내륜(20a)이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라인 롤러(12)는, 베어링(20)의 외륜(20b)에 고정축 커버(11)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안내부인 둘레홈(12a)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라인 롤러(12)는, 베어링(20)의 외륜(20b)의 롤러 지지부(32)측의 단면에 계지하도록 안쪽으로 돌출하는 계지부(12b)를 내주면에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라인 롤러(12)는, 고정축 커버(11)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고, 고정축 커버(11)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항상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라인 롤러(12)의 롤러 지지부(32)측의 단면(端面)과, 롤러 지지부(32)와의 사이에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제의 스러스트(thrust) 받침 링(22)이 배치되어 있다. 스러스트 받침 링(22)은, 라인 롤러(12)가 롤러 지지부(32)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낚싯줄의 안내 동작]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7)을 줄 개방 자세로 넘어뜨려 낚싯대를 전방으로 진출시킨다. 그러면, 루어(인조 미끼) 등의 장치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4)로부터 풀려 나간다. 이 때, 바람 등의 영향에 의해 낚싯줄이 흔들리고, 베일 암(7)을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켰을 때에, 제1 베일 지지 부재(8)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외주부(36)에 경질 피막인 도금층(1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베일 지지 부재(8)가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줄 흔들림에 의해 기준점 P와의 사이에서 줄 엉킴이 생겨도,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외주부(36)의 형상이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싯 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8)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캐스팅 후에 핸들(1)에 의해 로터(3)를 회전시키면, 베일 암(7)은, 베일 반전 기구에 의해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한다. 그리고 로터(3)의 회전에 의해 낚싯줄은 베일(13)로부터 고정축 커버(11)을 거쳐 라인 롤러(12)로 안내되어 스풀(4)에 감긴다. 이 때, 낚싯줄은 라인 롤러(12)의 둘레홈(12a)을 통해 스풀(4)로 안내된다. 여기서, 고정축 커버(11)의 표면에 도금층(1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낚싯줄이 순조롭게 안내된다. 또한, 표면의 경도가 높아져, 낚싯줄이 표면을 문지르면서 이동해도, 고정축 커버(11)의 표면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낚싯줄의 통과에 따라 라인 롤러(12)는 베어링(20)의 작용으로 가볍게 회전하므로, 낚싯줄에는 큰 저항력이 걸리지 않고 순조롭게 통과할 수가 있다.
또한, 바람 등의 영향에 의해 낚싯줄이 라인 롤러(12)로부터 떨어져서 줄 흔들림이 있어도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스풀(4)측으로 돌출하는 줄 흔들림 억제부(3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반한 낚싯줄이 재차 라인 롤러(12)를 향해 안내되어 줄 흔들림에 의한 불편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브에 의해 줄 흔들림 억제부(37)를 제1 베일 지지 부재(8)에 형성했지만, 일체로 형성되는 줄 흔들림 억제부(37)의 형태는 리브에 한정되지 않는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베일 지지 부재(8)를 제1 로터 암(5)의 외측에 배치했지만, 제1 베일 지지 부재(8)를 제1 로터 암(5)의 안쪽에 배치해도 괜찮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줄 흔들림 억제부(37)를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했지만,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별도로 설치해도 좋다. 줄 흔들림 억제부(137)는, 고정 볼트(30)에 의해 제1 베일 지지 부재(8)과 함께 제1 로터 암(5)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줄 흔들림 억제부(137)는, 제1 베일 지지 부재(8)의 내측면을 따르는 형상을 취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고, 낚싯줄을 라인 롤러(12)를 향해 유도하는 낚싯줄 유도면(137a)을 가지고 있다. 낚싯줄 유도면(137a)은, 고정축(10)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고 축방향과 교차하는 면이다. 줄 흔들림 억제부(137)는, 또한, 낚싯줄 계지 요부(137b; 凹部)와 연동 요부(137c)를 가지고 있다. 낚싯줄 계지 요부(137b)는, 줄 흔들림 억제부의 선단에 돌출부분으로부터 함몰되어 제공되고, 줄 빠짐이 발생한 낚싯줄을 계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계지 요부(137b)는, 줄 권취 자세일 때 제1 베일 지지 부재(8)로부터 약간 노출하고 있다. 연동 요부(137c)는, 제1 베일 지지 부재(8)과 대향하는 면에 소정 각도(
Figure 112002002254492-pat00001
)로 형성된 원호상으로 형성된 기다란 홈이고, 제1 베일 지지 부재(8)으로부터 돌출하는 계지 돌기(39)에 계지된다. 여기에서는, 제1 베일 지지 부재(8)가 줄 권취 자세로부터 줄 개방 자세로 소정 각도(
Figure 112002002254492-pat00002
) 요동하면, 줄 흔들림 억제부(137)가 요동을 개시한다. 따라서, 줄 흔들림 억제부(137)와 제1 베일 지지 부재(8)는 소정 각도(
Figure 112002002254492-pat00003
)의 위상 차이를 가지고 요동한다. 한편,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할 때에는, 도시하지 않는 계지 구조에 의해 같은 위상으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면 낚싯줄 계지 요부(137b)가 크게 노 출하여 낚싯줄이 라인 롤러(12)로부터 떠나는 것을 방해하기 어려워진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7)의 표면에 도금층(18)을 형성했지만,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금층(18) 위에 표면 피막층으로서 경질의 전해 도금층이나 각종 박막 형성법에 의해 금속 또는 비금속의 박막층(19)을 더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금층(18)상에 전해 도금법에 의해 니켈 크롬 도금으로 구성되는 박막층(19)을 더 형성해도 좋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경질 피막으로서 비전해 도금법에 의한 도금층을 예시했지만, 금속 박막층의 형성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해 도금법이나 비전해 도금법 등의 각종 도금법, 진공 증착법이나 스패터링법(spattering)이나 이온 플레이팅(plating) 등의 각종 물리 증착법(PVD), 및 플라스마 화학 증착법이나 유기 금속 화학 증착법 등과 같은 각종 화학 증착법 등의 각종 박막 형성법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경질 피막을 도장 처리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경화 처리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막의 경화 처리에 의해 경질 피막을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합성 수지로서 ABS 수지, PC 수지, 폴리에스텔 수지와의 혼합 수지를 이용했지만, 그러한 단체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염화 비닐 수지의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을 혼합한 합성 수지제라도 좋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베일 지지 부재(8)를 합성 수지제로 했지만,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교적 연질의 금속을 이용하고 경질 피막을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해 생성된 금속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 는, 비교적 연질인 금속을 이용해도 간단하게 경질 피막을 얻을 수 있다.
(h)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축 커버(11)를 합성 수지제로 하고, 고정축(10)을 스텐레스 합금제로 했으나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축 커버(11)을 금속제로 하여 고정축(10)과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고정축 커버(11)의 표면에 경질 피막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줄 흔들림 억제부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고정축 돌출측에 다른 부분보다 돌출하여 배치되고 그 줄 흔들림 억제부에 라인 롤러로 낚싯줄을 유도하기 위한 낚싯줄 유도면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이 라인 롤러로부터 떨어져도 즉시 원래의 라인 롤러로 안내된다. 이 결과, 낚싯줄의 장력이 약해져 줄 흔들림이 생겨도, 그것에 의한 불편이 생기기 어려워 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에 경질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주부의 경도가 높아지고, 줄 흔들림이 발생한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에 접촉해도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금속의 경질 피막에 의해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에서 낚싯줄이 미끄러지기 쉬워져, 줄 흔들림이 발생한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얽히기 어려워진다.

Claims (19)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의 전방에 배치된 로터의 제1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줄 안내 자세일 때 스풀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제공되고 상기 낚싯줄을 상기 스풀로 안내하는 라인 롤러와,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라인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선단에 제공되고 상기 라인 롤러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고정축 커버와,
    상기 고정축 커버와 상기 제2 베일 지지 부재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낚싯줄을 상기 라인 롤러로 안내하는 베일과,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상기 고정축 돌출측에 다른 부분보다 돌출하여 배치되고 상기 라인 롤러로 낚싯줄을 유도하기 위한 낚싯줄 유도면을 가지는 줄 흔들림 억제부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 흔들림 억제부는, 상기 라인 롤러의 낚싯줄 안내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된 줄 흔들림 저지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 흔들림 저지부는, 상기 라인 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낚싯줄을 계지 가능한 계지 요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로터 암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형의 장착부와, 상기 고정축이 고정되고 상기 라인 롤러가 장착되는 원형의 롤러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와 롤러 지지부를 연결하는 대략 균일한 두께로 성형된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줄 흔들림 억제부는, 상기 연결부에 상기 고정축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리브인,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 흔들림 억제부는,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상기 스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로터 암에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동축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연동하여 요동하는 요동 부재인,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부재는,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가 상기 줄 안 내 자세로부터 상기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할 때,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보다 소정 각도 지연되어 요동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주부는, 상기 외주부와 소정의 기준점과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제1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체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외주부와 상기 기준점과의 거리가 바깥쪽을 향해 상기 제1 거리보다 서서히 작아지도록 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은 상기 고정축 커버와 상기 베일과의 접합점인,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로터 암에 외측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일 지지 부재는, 외주부에 경질 피막을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는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경질 피막은 금속 도금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는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경질 피막은 도장 처리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경화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커버는 합성 수지제이고, 표면에 경질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커버는 금속제이고, 상기 고정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커버의 선단은, 대체로 원추 형상이고, 상기 베일의 일단은 상기 원추의 정점 부근의 능선부와 매끄럽게 접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 또는 상기 고정축 커버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염화 비닐 수지의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을 혼합한 합성 수지제인,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 또는 상기 고정축 커버는, 상기 ABS와 상기 PC를 40:60 내지 60:40의 범위로 혼합한 합성 수지제인,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8.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피막은, 무전해도금 처리법에 의해 형성된 팔라듐(Pd) 도금층인,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는 경금속제이고, 상기 경질 피막은 금속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스인,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1020020004072A 2001-01-24 2002-01-24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100782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15597 2001-01-24
JPJP-P-2001-00015598 2001-01-24
JP2001015598A JP4582919B2 (ja) 2001-01-24 2001-01-24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1015597A JP4553494B2 (ja) 2001-01-24 2001-01-24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840A KR20020062840A (ko) 2002-07-31
KR100782247B1 true KR100782247B1 (ko) 2007-12-05

Family

ID=2660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072A KR100782247B1 (ko) 2001-01-24 2002-01-24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72041B2 (ko)
EP (1) EP1226754B1 (ko)
KR (1) KR100782247B1 (ko)
CN (1) CN1214714C (ko)
AT (1) ATE282308T1 (ko)
DE (1) DE60201919D1 (ko)
MY (1) MY117235A (ko)
SG (1) SG96678A1 (ko)
TW (1) TW5043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166A (ja) * 2002-10-07 2004-04-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US7568650B2 (en) * 2005-04-20 2009-08-04 Kore Gear, Inc. Level wind mechanism
JP2013202006A (ja) 2012-03-29 2013-10-0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US9363987B2 (en) * 2013-04-19 2016-06-14 Shimano Inc. Line roller and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using same
JP7492435B2 (ja) * 2019-11-26 2024-05-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案内機構
US11317614B2 (en) * 2019-11-26 2022-05-03 Shimano Inc.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009A (ja) * 1994-07-28 1996-02-13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H10117644A (ja) * 1996-10-16 1998-05-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装置
JPH10276629A (ja) * 1997-04-04 1998-10-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アーム
JP2000236784A (ja) * 1999-02-22 2000-09-0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40496A (fr) * 1947-02-13 1948-12-14 Mepps Crochet de récupération dit <au doigt> pour moulinets de pêche à tambour fixe
US3834644A (en) 1972-11-28 1974-09-10 C Stackawicz Fishing reel and appurtenance
US4982912A (en) * 1989-01-23 1991-01-08 Urso Charles L Line control device for axial delivery reels
US5379958A (en) * 1990-05-11 1995-01-10 Daiwa Seiko, Inc. Fishline guide mechanism in spinning reel for fishing
US5662283A (en) * 1992-07-15 1997-09-02 Zebco Corporation Fishing reel with line holding feature
US5669565A (en) * 1992-07-15 1997-09-23 Zebco Corporation Anti-jamming mechansim for bail assembly on fishing reel
EP0585947B1 (en) * 1992-09-04 1999-05-19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US5839681A (en) * 1992-10-16 1998-11-24 Daiwa Seiko Fish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FR2723512B1 (fr) * 1994-08-12 1996-09-20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galet de guidage de fil adaptable.
JP3020824B2 (ja) * 1994-12-28 2000-03-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5845858A (en) * 1996-01-11 1998-12-08 Daiwa Seiko, Inc. Fishing spinning reel
FR2766664B1 (fr) * 1997-08-04 1999-09-17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dispositif de demelage du fil
JP2001061382A (ja) * 1999-08-30 2001-03-1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009A (ja) * 1994-07-28 1996-02-13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H10117644A (ja) * 1996-10-16 1998-05-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装置
JPH10276629A (ja) * 1997-04-04 1998-10-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アーム
JP2000236784A (ja) * 1999-02-22 2000-09-0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72041B2 (en) 2003-06-03
KR20020062840A (ko) 2002-07-31
US20020096588A1 (en) 2002-07-25
CN1366815A (zh) 2002-09-04
SG96678A1 (en) 2003-06-16
EP1226754A1 (en) 2002-07-31
MY117235A (en) 2004-05-31
ATE282308T1 (de) 2004-12-15
EP1226754B1 (en) 2004-11-17
DE60201919D1 (de) 2004-12-23
TW504363B (en) 2002-10-01
CN1214714C (zh)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511B2 (en) Component assembly for fishing reel
KR100782247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EP1228688B1 (en) Spinning-reel line-guiding apparatus
JP200129916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H11113461A (ja) 両軸受リール
US6149087A (en) Fishline guide arrangement for spinning reel
KR100409172B1 (ko) 낚시용스피닝릴
JP45829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47085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装置
JP455349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TW200421975A (en) Rotor for a spinning reel
JP407822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回転規制装置
JPH1175629A (ja) 釣糸係止具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JP3102670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28977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65174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4138139B2 (ja) 釣糸係止具
JP200234537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407822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4249347B2 (ja) 釣糸係止具
JP412846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CN116195560A (zh) 钓鱼用旋压式卷线器
JP404500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101703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0228936A (ja) 釣り用リールの発音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