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822B1 - 락울 보드 - Google Patents

락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822B1
KR100781822B1 KR1020010034894A KR20010034894A KR100781822B1 KR 100781822 B1 KR100781822 B1 KR 100781822B1 KR 1020010034894 A KR1020010034894 A KR 1020010034894A KR 20010034894 A KR20010034894 A KR 20010034894A KR 100781822 B1 KR100781822 B1 KR 100781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wool
weight
wool board
board
organic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855A (ko
Inventor
오츠보마사토
코지마히데토시
Original Assignee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습도환경변화에 대한 치수안정성에 뛰어난 락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는 락울에 분쇄펄프(beated pulp), 유기결합제 및 무기충전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락울 보드로서,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전 유기분량이 7.5~12중량%의 범위에 있고, 또한 분쇄펄프의 함유량이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4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락울 보드{A ROCK WOOL BOARD}
본 발명은 천정판 등의 건축용 재료 등에 사용되는 락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락울 보드를 천정판으로서 이용할 경우 강제(鋼製) 천정틀에 천정틀보드를 고정하고, 그 천정틀보드에 올려놓아 터거(tugger)(못)를 이용하여 이중 천정공법이나, 짧은 변을 T바에 올려놓고, H바를 긴 변의 홈에 끼워넣는 시스템공법이 이용되어왔지만 건축원가를 저감하기 위해 강제 천정틀에 직접 고정하여 천정틀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스부착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 비스부착공법에서는 기계나사의 체결정도를 높이기 위해 락울 보드에 분쇄펄프를 첨가하는 것이 행해진다.
또 락울 보드는 습도가 높은 장소에 시공되는 경우가 있다. 습도가 높은 환경하에서는 락울 보드는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여 휨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지만 휨이 일어나면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휨을 억제하기 위해 락울 보드에 무기충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행해진다.
또 락울 보드에는 일반적으로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결합제를 첨가 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와같이 락울 보드에는 그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성분이 첨가되고,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8-42046호 공보에는 락울에 분쇄펄프, 유기결합제 및 무기충전제를 소정의 성분조성으로 첨가한 락울 보드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락울 보드에서는 시공후에 습도환경의 변화에 의해 각 보드간에 간극이 발생하여 시공시에 비해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 보드간에 간극이 발생하는 문제는 대형의 락울 보드를 시공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온도환경변화에 대한 치수안정성에 뛰어난 락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락울 보드의 치수안정성은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에 대한 전 유기분량에 의존하고 또한 분쇄펄프의 함유량에도 의존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전 유기분량 및 분쇄펄프의 함유량을 일정 범위내에 수납하는 것으로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는 락울에 분쇄펄프, 유기결합제 및 무기충전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락울 보드로서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전 유기분량이 7.5 ~ 12중량 %의 범위에 있고, 또한 분쇄펄프의 함유량이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 ~ 4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락울 보드는 전 유기분량이 일정 범위내에 수납되고 또한 분쇄펄프의 함유량이 일정 범위내에 수납되고 있기 때문에 습도환경변화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5중량%이하의 응집제를 또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유기결합제나 무기응집제의 정착이 안정화되고 락울 보드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응집제는 고분자 응집제와 무기응집제의 쌍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무기응집제에 의해 극성을 갖는 유기물, 무기충전제의 입자가 조립화되고, 고분자 응집제로의 정착효과가 향상되며 결과로서 유기물, 무기충전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락울 보드의 강도가 한층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0중량%이하의 α형 세피오라이트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α형 세피오라이트가 유기결합제의 응집작용을 발휘하여 유기결합제의 정착이 안정화됨으로써 락울 보드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α형 세피오라이트의 섬유장은 20㎛ ~ 2㎜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섬유장이 20㎛보다 짧은 경우는 유기결합제의 응집작용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 섬유장이 2㎜보다 긴 경우는 섬유질재의 분산이 좋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5중량%이하의 발수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락울 보드를 습도변화가 심한 장소에 시공한 경우라도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여 락울 보드의 치수변화에 의해 외관이 현저하게 손상될 염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이 락울 보드의 판면의 면적은 900㎠이상 144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이 락울 보드는 치수 안정성에 뛰어나며, 특히 판면의 면적이 900㎠이상 14400㎠이하인 대형의 보드인 경우에 현저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의 적절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는 락울에 분쇄펄프, 유기결합제 및 무기충전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락울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락울로서는 예를들면 JIS A 9504에 도시하는 입상면(粒狀綿)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주재로서의 락울의 사용량은 혼합되는 다른 성분의 사용량과 서로 겸하는 것으로 규정되지만 사용량은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68~8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분쇄펄프(다음 젤이라고도 함)는 크래프트 펄프, 재생펄프, 고지(古紙)펄프 등의 펄프를 분쇄한 것으로 기계나사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젤의 사용량은 1~4중량%인 것이 필요하다. 젤의 사용량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유기결합제로서는 전분, 폴리비닐알콜, 초산 비닐 에멀젼, 아크릴 에멀젼, SBR에멀젼, CMC 및 거검(guargum)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결합제는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들의 유기결합제는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및 요소수지 중 어느 하나와 병합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및 요소수지는 내수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습도변화에 대한 락울 보드의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및 요소수지의 양은 다른 유기결합제와 병용할 경우는 유기결합제의 전 량 100중량%에 대해 30중량%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및 요소수지의 양이 30중량%를 넘으면 연소시의 열에너지를 증대시켜 방화성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VOC(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대표물질인 폼알데히드(formaldehyde)의 발생량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유기결합제의 사용량은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2~10중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결합제의 사용량이 2중량%보다도 적은 경우는 락울 보드의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10중량%보다도 많은 경우는 필연적으로 유기분이 많아져 치수안정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방화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무기충전제로서는 아타펄쟈이트(attapulgite), β형 세피오라이트, 마이카, 탈크, 버미큐라이트, 피어라이트(pearlite), 화산재를 발포시킨 중공체 및 유리를 발포시킨 중공체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충전제는 락울 보드의 표면강도가 휨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무기충전제는 단독으로 또한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기충전제의 사용량은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4 ~ 20중량%이면 바람직하다. 무기충전제의 사용량이 4중량%보다도 적은 경우는 표면강도나 휨강도가 저하하여 습도에 의한 락울 보드의 휨량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고, 또 20중량%보다 많은 경우는 강성이 강하게 되어 가공성이 저하하거나 제조효율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는 응집제를 또한 함유하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락울 보드의 강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응집제로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변성체 등의 고분자 응집제, 유산밴드 등의 무기응집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응집제는 단독으로 또한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응집제로서는 고분자 응집제와 무기응집제를 병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무기응집제에 의해 극성을 갖는 유기물, 무기충전제의 입자가 조립화되어 고분자 응집제로의 정착효과가 향상되고, 결과로서 유기물, 무기충전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락울 보드의 강도가 한층 향상한다.
응집제의 사용량은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5중량%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응집제의 사용량이 1.5중량%보다 많으면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며 또 원가에 맞는 효과를 발휘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는 α형 세피오라이트를 또한 함유하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α형 세피오라이트가 유기결합제의 응집작용을 발휘하고, 유기결합제의 정착이 안정화되어 락울 보드의 강도가 향상된다.
여기서 α형 세피오라이트는 유기결합제의 응집작용을 갖기 때문에 고분자 응집제의 대체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α형 세피오라이트는 무기물이기 때문에 고분자 응집제의 대체로서 첨가함으로서 유기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α형 세피오라이트의 섬유장은 20㎛ ~ 2㎜이면 바람직하다. 섬유장이 2㎜보다 긴 경우는 α형 세피오라이트의 분산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또 섬유장이 20㎛보다 짧은 경우는 유기결합제의 응집작용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는 또한 발수제를 함유하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습도변화가 심한 장소, 예를들면 빗물이 닿는 처마밑등의 옥외에 락울 보드를 시공한 경우라도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여 락울 보드의 치수변화에 의해 외관이 현저히 손상될 염려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발수제로서는 파라핀계 왁스 에멀젼, 실리콘수지에멀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발수제는 단독으로 또한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수제의 사용량은 락울 보드의 발수성과 강도 및 불연성을 해결하고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5중량%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전 유기분량 7.5~12중량%의 범위에 있고 또한 젤의 함유량이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4중량%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이와같이 하면 락울 보드의 치수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락울 보드는 0.15~0.20%정도의 치수변화율을 갖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치수변화율을 0.10%이하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 유기분량이 7.5중량%이상이면 락울 보드의 강도의 저하가 억제되는 점에서도 바람직하고 전 유기분량이 12중량%이하이면 방화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 젤의 함유량이 1중량%이상이면 락울 보드의 인성의 저하 및 기계나사체결의 저하가 억제되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며 젤의 함유량이 4중량%이하이면 제조시의 여수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밀도가 300~600㎏/㎥이면 바람직하다. 밀도가 300㎏/㎥보다도 작은 경우는 락울 보드의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또 밀도가 600㎏/㎥보다도 큰 경우는 락울 보드의 흡음성이나 가공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는 상기 조성성분을 일정 배합비로 조합하여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한 후 원망식 또는 장망식 등의 초조법(抄造法)에 의해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탈수건조하여 얻은 락울 보드의 표면을 절삭하거나 모양을 붙이거나, 흡음공을 형성하거나 도장칸막이를 실시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는 상기와 같은 조성성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치수안정성이 뛰어나고, 특히 락울 보드의 판면의 면적이 900㎠이상 14400㎠이하인 대형의 보드의 경우에 현저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락울 보드로서 단형의 판체를 고려한 경우 대표적인 사이즈로서는 예를들면 세로가 455㎜이고 가로가 910㎜인 것이나, 세로가 910㎜이고 가로가 910㎜인 것을 들 수 있으며, 최대 세로가 1200㎜이고 가로가 1200㎜인 것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전 조성성분을 상기한 일정 비율로 배합하는 것으로 절단가공성, 기계나사체결의 향상에 의한 시공안정성, 흡읍성 및 강도 등을 종래의 것과 같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락울 80.5중량%, 젤 4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전분 5중량%, 무기충전제로서 아타펄쟈이트 10중량% 및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0.5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하였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抄造機)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 을 행하였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락울 84중량%, 젤 2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전분 8중량%, 무기충전제로서 아타펄쟈이트 5중량%,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0.5중량%, 및 무기응집제로서 유산밴드 0.5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락울 83.3중량%, 젤 1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전분 10중량%, 무기충전제로서 β형 세피오라이트 5중량%, 및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0.7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락울 86.3중량%, 젤 2중량%, 유기결합제로서 폴리비닐알콜 6중량%, 무기충전제로서 β형 세피오라이트 5중량% 및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0.7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락울 70중량%, 젤 3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초비에멀젼 6중량%, 무기충전제로서 아타펄쟈이트 5중량%와 피어라이트 15중량%,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0.3중량%, 및 무기응집제로서 유산밴드 0.7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는 락울 71.5중량%, 젤 2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전분 5중량%와 분말상의 페놀수지 0.5중량%, 무기충전제로서 아타펄쟈이트 5중량%와 피어라이트 15중량%, 무기응집제로서 유산밴드 0.5중량% 및 섬유장이 20㎛~2㎜의 α형 세피오라이트 0.5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얻었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는 락울 71중량%, 젤 3중량%, 유기결합제로서 폴리비닐알콜 6중량%와 분말상의 페놀수지 1중량%, 무기충전제로서 아타펄쟈이트 5중량 %와 피어라이트 12중량%, 무기응집제로서 유산밴드 0.5중량%, 섬유장이 20㎛~2㎜의 α형 세피오라이트 0.5중량%, 및 발수제로서 왁스 에멀젼 1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락울 78.5중량%, 젤 7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전분 9중량%, 무기충전제로서 아타펄쟈이트 5중량% 및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0.5 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락울 79중량%, 젤 3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전분 12중량%, 무기충전제로서 아타펄쟈이트 5중량%, 및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1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락울 83중량%, 젤 6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전분 5중량%, 무기충전제로서 β형 세피오라이트 5중량% 및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0.5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 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비교예 4)
비교예 4에서는 락울 76중량%, 젤 8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전분 7중량%, 무기충전제로서 β형 세피오라이트 8중량% 및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1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했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비교예 5)
비교예 5에서는 락울 76중량%, 젤 7중량%, 유기결합제로서 전분 12중량%, 무기충전제로서 아타펄쟈이트 2중량%, 및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1중량%에 물을 가해 혼합하고, 믹서로 분산하여 농도가 5중량%정도의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했다. 다음 이 슬러리상의 원료혼합물을 장망초조기를 이용하여 초조하고, 탈수건조하여 원판을 얻었다. 또한 이 원판의 표면을 절삭가공하여 락울 보드를 제조했다. 그리고 이 락울 보드에 대해 다음에 도시하는 시험을 행했다. 이 락울 보드의 치수, 비중 및 시험결과는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성형체 시험방법)
(1) 시공후의 각 보드간에 간극발생
온도,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상온상습실 내에 있어서 기계나 사를 바로 당기는 용법에 의해 락울 보드를 시공하고, 온도 30℃, 습도 95%RH의 환경하에 24시간 방치 후, 온도 30℃, 습도 30%RH의 환경하에 24시간 방치했다. 그리고 락울 보드사이에 발생한 간극을 간극게이지로 측정했다.
또 시공된 락울 보드에 대해 외관상 문제가 없는 경우를 합격으로 하고(표 1안의 ○표로 나타냄),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불합격(표 1안 X표로 나타냄)으로 했다.
(2) 시공적정
기계나사고정을 행할 때 드라이버의 비트스토퍼가 닿아도 비트스토퍼의 자국이 남지 않는 경우를 합격으로 했다(표 1안의 ○으로 나타냄).
(3) 훅 로워링(hook lowering)힘
락울 보드에 훅을 꽂아 넣고, 훅에 정하중을 걸었을 때 최대고정하중을 구했다. 이 경우 최대고정하중이 39N이상인 경우를 합격으로 했다(표 1안의 ○로 나타냄)
(4) 습한 곳에서 견딜수 있는 휨의 정도
습한 곳에서 견딜 수 있는 휨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는 조건을 같게 하기 위해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에 있어 세로가 910㎜이고 가로가 910㎜인 동일 사이즈의 락울 보드를 이용하여 시험을 행했다. 이러한 사이즈의 락울 보드를 303핏치로 시공한 강제천정틀에 대해 양단은 225핏치에 중앙부는 300핏치로 탭핑기계나사로 이 락울 보드를 고정하고, 온도 30℃, 습도 95%RH의 환경하에 48시간 정치한 후 휨을 측정했다. 이 때 기계나사고정 직후의 수치에 대해 휨이 0.5㎜이내의 경우를 합격으로 했다(표 1안의 ○표로 나타냄).
이상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에 있어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1014740034-pat00001
표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실시예에 관한 락울 보드에서는 보드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에 의한 외관불량을 일으키지 않고 치수안정성에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 시공적정 등의 다른 시험에 있어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비교예에서는 유기분량이 많거나 또는 젤의 양이 많기 때문에 치수안정성이 좋지 않고 보드에 간극이 발생함으로써 외관불량이 발생한다. 특히 비교예 4에서는 시공적정이나 훅 로워링힘의 시험에 의해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나오고 있고 또 비교예 5에서는 무기충전제의 양이 적어 습도에 견디는 휨의 정도의 시험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나오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는 전 유기분량이 일정 범위내에 들어가 있고 또 분쇄펄프의 함유량이 일정 범위내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습도환경변화에 대한 치수안정성에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락울 보드에 의하면 시공후에서 습도환경이 변화한 경우라도 외관이 현저히 손상될 염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락 울에 분쇄펄프, 유기결합제 및 무기충전제를 혼합하여 되는 락울 보드로서,
    상기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에 대해 전 유기분량이 7.5~ 12중량%의 범위에 있고, 또한 상기 분쇄펄프의 함유량이 상기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 ~ 4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울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5중량%이하의 응집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울 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고분자 응집제와 무기응집제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울 보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0중량%이하의 α형 세피오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울 보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α형 세피오라이트의 섬유장은 2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울 보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울 보드의 전 조성성분량 100중량%에 대해 1.5중량%이하의 발수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울 보드.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울 보드의 판면의 면적은 900㎠이상 144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울 보드.
KR1020010034894A 2000-07-31 2001-06-20 락울 보드 KR100781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31960 2000-07-31
JP2000231960A JP4696343B2 (ja) 2000-07-31 2000-07-31 ロックウールボ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855A KR20020010855A (ko) 2002-02-06
KR100781822B1 true KR100781822B1 (ko) 2007-12-03

Family

ID=1872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894A KR100781822B1 (ko) 2000-07-31 2001-06-20 락울 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96343B2 (ko)
KR (1) KR100781822B1 (ko)
CN (1) CN122718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38325B (zh) * 2008-07-30 2011-09-2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可持续缓释芳香的矿棉板及其生产方法
CN104249865A (zh) * 2013-06-25 2014-12-31 廖树汉 用搪瓷生产隔热防腐防水抗撞击寿命百年的搪棉集装箱
CN104249874A (zh) * 2013-06-28 2014-12-31 廖树汉 塑料熔浆生产隔热防腐防水抗撞击寿命百年的塑棉集装箱
CN104249867A (zh) * 2013-06-28 2014-12-31 廖树汉 塑料粉生产隔热防腐防水抗撞击寿命百年的塑棉集装箱
JP6398900B2 (ja) * 2015-07-28 2018-10-0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無機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焼成体およびハニカムフィルタ
CN106007618A (zh) * 2016-05-19 2016-10-12 陆玉如 一种轻薄型石棉板
JP6575653B2 (ja) * 2018-09-04 2019-09-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無機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焼成体およびハニカムフィルタ
JP6575654B2 (ja) * 2018-09-04 2019-09-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無機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焼成体およびハニカムフィル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9991A (en) * 1977-07-08 1981-02-10 S.A. Redco Composition of a material based on mineral fibers
JPS6461599A (en) * 1987-08-26 1989-03-08 Nitto Boseki Co Ltd Mineral fiberboard
JP2000199194A (ja) * 1998-11-04 2000-07-18 Nitto Boseki Co Ltd 加熱膨張型無機質繊維フェル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3798A (ja) * 1982-03-18 1983-09-28 株式会社 興人 ロツクウ−ル混抄紙の製造方法
JPS6278139A (ja) * 1985-10-01 1987-04-10 日東紡績株式会社 鉱物質繊維ボ−ドの製造方法
JPH02259191A (ja) * 1988-03-24 1990-10-19 Tanaka Seishi Kogyo Kk ロックウールシートの製造方法
JP2638123B2 (ja) * 1988-09-13 1997-08-06 日東紡績株式会社 ロックウール系繊維板
JP2803572B2 (ja) * 1994-08-02 1998-09-24 日東紡績株式会社 ビス留め直張り用ロックウール吸音天井板
JPH09310284A (ja) * 1996-05-17 1997-12-02 Oji Paper Co Ltd 表面材用不織布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9991A (en) * 1977-07-08 1981-02-10 S.A. Redco Composition of a material based on mineral fibers
JPS6461599A (en) * 1987-08-26 1989-03-08 Nitto Boseki Co Ltd Mineral fiberboard
JP2000199194A (ja) * 1998-11-04 2000-07-18 Nitto Boseki Co Ltd 加熱膨張型無機質繊維フェ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38392A (ja) 2002-02-06
JP4696343B2 (ja) 2011-06-08
CN1227180C (zh) 2005-11-16
KR20020010855A (ko) 2002-02-06
CN1336344A (zh)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9244C2 (ru) Неорганическая плит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DE60129538T2 (de) Faserzementbaumaterialien mit zusatzstoffen niedriger dichte
JP2547008B2 (ja) 軽量断熱ボ−ド及びその製造方法
EP0511618B1 (en) Homogeneous thermal insulation board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781822B1 (ko) 락울 보드
US5126076A (en) Low-flammability structural elements, particularly boards, and process for constructing them
US6149831A (en) Perlite-based insulation board
DE2308340A1 (de) Baustoff
DE10017202C2 (de) Dämmstoff-Bauelement
US4370167A (en) Asbestos-free drywall joint compound utilizing sepiolite clay as asbestos substitute
JPS63107849A (ja) 無機質硬化体の製造方法
JP5214849B2 (ja) 木質系石膏板
JPH07237211A (ja) セメント板の製造方法
US5382287A (en) Clay and mica replacement with CMC in joint compound
RU2273620C2 (ru) Торфодревес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1784521B1 (ko) 무기계 티슈-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형 건축자재
JPH11130496A (ja) 撥水性窯業系建材の製造方法
JP4646310B2 (ja) 珪酸カルシウム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758646B2 (ja) 鉱物繊維板用組成物
DE20311928U1 (de) Dämmplatte für Bauzwecke
JP7406353B2 (ja) 無機質板、天井仕上げ材、天井構造及び無機質板の製造方法
JP3016492B2 (ja) 繊維板の製造方法
JPH0444636B2 (ko)
KR960012715B1 (ko) 암면 천정판의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858A (ko) 조습기능을 갖는 마감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