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246B1 -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246B1
KR100781246B1 KR1020010033957A KR20010033957A KR100781246B1 KR 100781246 B1 KR100781246 B1 KR 100781246B1 KR 1020010033957 A KR1020010033957 A KR 1020010033957A KR 20010033957 A KR20010033957 A KR 20010033957A KR 100781246 B1 KR100781246 B1 KR 100781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level
rinsing
change amou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764A (ko
Inventor
최성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246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 또는 헹굼행정 진행중에 세탁조 내부로 어린이나 유아등이 빠지게 될 경우 이를 검출하여 세탁기를 제어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세탁 또는 헹굼을 실행하는 단계와, 도어 오픈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도어 오픈이 검출될 경우 저수조의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수위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설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전자동, 세탁기, 어린이, 도어, 오픈, 보호, 빠짐, 수위, 배수

Description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for securing safty of child in washing machine}
도 1은 기존의 세탁기 구조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아웃케이스 2:저수조
3:세탁조 6:배수밸브
8:도어 9:수위센서
본 발명은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 또는 헹굼행정 진행중에 부주의 등으로 인해 세탁조 내부로 어린이나 유아등이 빠지게 될 경우 이를 검출하여 세탁기를 제어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 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 작용 및 세탁날개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으로서, 센서에 의해 세탁물의 양과 종류를감지하여 세탁방법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또한 세탁수의 수위를 세탁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적절한 수위까지 급수한 후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세탁을 수행하게된다.
한편, 기존의 세탁기의 구동방식은 구동 모터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용 벨트 및 풀리등을 개재하여 세탁축으로 전달하여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거나 탈수축으로 전달하여 세탁조 겸용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방식과, BLDC 모터의 속도제어에 의해 세탁조 겸용 탈수조를 세탁 및 탈수시 각기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와 더불어, BLDC 모터를 이용하면서도 동력전달 경로를 달리 제어하여 세탁시에는 펄세이터만을 저속회전시켜 세탁을 행하고, 탈수시에는 펄세이터 및 탈수조를 동시에 고속 회전시켜 탈수를 행하는 구조도 있다.
도 1은 기존 세탁기의 일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BLDC 모터의 속도제어에 의해 세탁조를 세탁 및 탈수시 각기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방식의 세탁기 구조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아웃케이스(1) 내부로 현가장치(7)에 의해 지지되는 저수조(2)가 설치되며, 상기 저수조(2) 내에는 세탁조 겸용 탈수조(3)(이하, "세탁조" 또는 "탈수조"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칭한다)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조(3) 내부의 바닥 중심부에는 펄세이터(4)가 설치되며, 상기 저수조(2)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세탁조(3)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5)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2) 하부 타측에는 배수호스(11)가 연결되고, 상기 배수호스(11)의 관로 상에는 배수밸브(6)가 구비된다.
한편, 아웃케이스(1) 상부의 톱커버(12)에는 도어(8)가 구비되고, 상기 톱커버(12)의 소정 위치에는 수위센서(9)가 구비되며, 상기 톱커버(12) 내측에는 마이콤(도시는 생략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센서(9)와 저수조(2) 사이에는 저수조의 수위에 따른 공기압을 상기 수위센서(9)에 전달하는 압력 전달용 튜브(1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수위센서(9)로서는 통상 기계적인 구조로 된 수위센서와 반도체를 이용한 수위센서가 통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물 및 세제가 세탁조(3) 내에 투입되어 제반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세탁 시작 버튼을 선택하면 마이콤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급수가 이루어진 후 일정 시간에 걸쳐 세탁, 헹굼, 탈수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기존의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탈수 도중에 도어(8)를 열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세탁기의 동작이 멈추도록 되어 있다.
이는, 도어(8)가 열렸는데도 탈수조가 고속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안전에 위험이 초래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세탁기는 세탁 또는 헹굼 진행시, 부주의 등으로 인해 도어(8)가 열린 상태에서 키가 작은 사용자(특히, 어린이 및 유아)가 세탁기 내부로 빠지게 될 경우, 사용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어린이가 세탁 또는 헹굼 도중에 세탁조 내부로 빠지게 되는 경우에는 혼자 힘으로 빠져 나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세탁수에 얼굴이 잠길 경우 익사할 우려가 있는 등 커다란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린이가 세탁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하는 별도의 잠금수단(Child Lock)이 구비된 세탁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수단은 부품이 고가이며 잠금수단이 파손되었거나 고장날 경우에는 상기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잠금수단이 아예 없는 경우와, 잠금수단이 구비되었다 하더라도 잠금수단이 파손 또는 고장났을 경우를 막론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식을 개선하여 부주의 등으로 인해 세탁조 내부로 어린이나 유아등이 빠졌을 경우 이들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세탁 또는 헹 굼을 실행하는 단계와, 도어 오픈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도어 오픈이 검출될 경우 저수조의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수위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설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별도의 안전 장치가 없더라도 세탁기의 세탁 알고리즘의 제어에 의해 어린이나 유아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주로하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급수를 진행하는 단계와, 급수 완료 후 세탁 또는 헹굼을 실행하는 단계와, 세탁 또는 헹굼이 진행되는 도중 도어(8)가 오픈될 경우 저수조(2)의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여 수위의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범위를 넘어설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급수가 진행되고, 급수가 완료된 후에는 세탁 또는 헹굼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세탁 또는 헹굼이 진행되는 도중 도어(8)가 오픈 될 경우, 수위센서(9)는 저수조(2)의 수위를 검출하여 마이콤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마이콤에서는 도어(8) 오픈 전에 수위센서(9)를 통해 검출된 수위와 도어(8) 오픈 후에 수위센서(9)를 통해 검출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저수조(2)의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마이콤에서는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변화량 범위내에 속할 경우에는 도어(8)가 오픈되었더라도 어린이나 유아가 세탁조(3) 속에 빠지지 않은 경우로 인식하고 세탁 또는 헹굼을 계속적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범위를 넘어설 경우에는,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수행하게 된다.
즉, 마이콤에서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범위를 넘어설 경우에는, 어린이가 세탁조(3) 내에 빠짐으로써 수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세탁 및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어 오픈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은 공개특허 2001- 36342, 1998-83193, 2000-1093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과 광센서와 볼을 사용하는 방법, 스위치를 사용하는 방법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수위 검출은 저수조(2)에 압력 전달용 튜브(10)를 연결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라 공기압의 변화값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감지하는 방법을 이용하며, 기계적인 수위센서와 반도체를 이용한 수위센서가 통용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에서 도어 오픈 검출 단계는 도어(8)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어(8)가 열렸다가 닫힌 경우까지도 포함하여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8)가 열렸다가 닫힌 경우를 포함하는 이유는, 어린이가 세탁조(3) 내에 빠질 경우 도어가 계속적으로 열려 있을 수도 있으나, 어린이가 세탁조(3) 속으로 떨어질 때의 충격으로 인해 도어(8)가 닫힐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세탁 또는 헹굼 방식은 세탁날개가 교반하는 펄세이터 방식의 경우에는 펄세이터의 정지를 의미하고, 세탁조(3)가 저속으로 교반 회전하는 통돌이 방식 및 세탁조(3)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는 원심 세탁방식에서는 세탁조(3)의 정지를 의미한다.
한편,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서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은, 도어(8) 오픈 후 세탁 또는 헹굼 완료시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도어(8) 오픈 후 설정된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수위 변화량은, 설정시간과는 무관하게, 도어(8) 오픈 전에 검출된 최대 수위와 도어(8) 오픈 후부터 세탁이 완료되기 전까지에 걸쳐 검출된 최대수위와의 차이값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상기 수위 변화량은 설정시간에 대한 변화량을 기준으로 삼거나, 단위 시간에 대한 변화량을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다.
한편, 수위의 허용 변화량은 수위별로 달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 어린이 등의 몸의 대부분이 물 밖으로 노출되는 저수위일 때와 어린이 등의 몸의 대부분이 물 속에 잠기게 되는 고수위일 때와 같이 수위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도 3을 주로하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급수를 진행하는 단계와, 급수 완료 후 세탁 또는 헹굼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세탁 또는 헹굼 진행중 도어(8)가 오픈된 경우 수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수위와 그 이전에 검출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을 넘어섰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을 넘어섰을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한 도어(8)가 오픈된 경우라는 것은, 도어의 오픈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어(8)가 열렸다가 닫힌 경우도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급수가 진행되고, 급수 완료후 에는 세탁 또는 헹굼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세탁 또는 헹굼이 진행되는 도중 도어(8)가 오픈 될 경우, 수위센서(9)는 저수조(2)의 수위를 검출하여 마이콤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마이콤에서는 도어(8) 오픈전에 수위센서(9)를 통해 검출된 수위와 도어(8) 오픈 후에 수위센서(9)를 통해 검출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저수조(2) 의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게 된다.
이 때,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섰는지를 판단함에 있어 설정시간에 대한 수위 변화량을 기준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마이콤에서는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현재 도어(8)가 오픈된 상태이거나 일정 시간 전에 오픈된 적이 있다 하더라도 어린이나 유아가 세탁조(3) 속으로 빠지지 않은 경우로 인식하고 세탁 또는 헹굼을 계속적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설 경우에는,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수행하게 된다.
즉, 마이콤에서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설 경우에는, 어린이가 세탁조(3) 내에 빠짐으로써 수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세탁 및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은 저수위일 때와 고수위 일 때등 수위별로 달라지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저수위일 때 세탁조(3) 속으로 어린이등이 빠질 경우에는 수위상승치가 작고, 반대로 고수위 일 때는 수위 상승치가 크기 때문으로서, 그 이유는 저수위 일 때 빠질 경우에는 몸의 대부분이 물 밖으로 노출됨으로써 수위 상승치가 크지 않게 되지만, 고수위 일 경우에는 몸의 대부분이 물 속에 잠기게 됨으로써 수위 상승치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위상승값이 설정된 허용 변화량을 넘어섰는가를 판단할 때, 상기의 허용 변화량은 고수위에서 저수위로 갈수록 점점 작도록 알고리즘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은 단위시간당 허용 변화량 및 일정 시간 범위를 기준으로 한 허용 변화량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상기에 있어서 도어 오픈 검출단계는, 도어(8)가 계속적으로 열려 있을 수 도 있고, 어린이가 세탁조(3) 내부로 떨어질 때의 충격으로 닫힐 수도 있기 때문에, 도어(8)가 열려있는 것을 감지하거나 및 도어(8)가 일정시간 이전에 열린 적이 있었는가를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급격한 수위상승은 어린이가 세탁조(3) 내에 빠지게 됨으로써 일어 날 경우도 있지만, 사용자가 도어(8)를 열고 임의로 물을 더 넣음에 따라 일어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물을 넣었을 경우, 수위 변화로 인해 어린이 빠짐으로 인식하고 세탁기가 동작을 멈추거나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세탁기를 다시 동작시켜야 하는등의 불편함이 수반되며, 세탁기에 이러한 특성이 갖추어져 있는 지를 잘 모를 경우 사용자는 고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소책이 필요한 바, 후술하는 제3실시예는 세탁기의 기능을 조작하는 조작부에 어린이 보호모드 선택 버튼 또는 키를 둠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경우에만 어린이 보호모드가 수행되도록 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주로하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제어 방 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어린이 보호모드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어린이 보호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급수를 행한 다음 설정된 시간동안 세탁 또는 헹굼을 행한 후 배수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어린이 보호모드를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어린이 보호모드가 선택된 경우 급수를 행하는 단계와, 급수 완료 후 세탁 또는 헹굼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세탁 또는 헹굼 진행중 도어(8)가 오픈된 경우 수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수위와 그 이전에 검출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이상일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 또는 헹굼버튼을 눌러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되면, 급수가 진행되기에 앞서 어린이 보호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어린이 보호모드가 선택되었다면, 급수 완료 후에 세탁 또는 헹굼을 진행함에 있어, 도어(8)가 오픈되고 도어 오픈 전·후의 수위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세탁 및 헹굼을 중단하고 배수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시간과 무관한 수위 변화량일 수도 있고, 수위의 단위 시간당 허용 변화량 일수도 있으며, 설정된 시간 범위에 대한 수위의 허용 변화량 일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수위 변화량은 저수위일 때와 고수위 일 때등 수위별로 달라지게 설정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도어(8) 오픈 여부에 대한 검출 검출 과정 및 수위 변화량의 산출 및 허용 변화량과의 비교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원리로 진행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급수가 진행되기에 앞서 어린이 보호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어린이 보호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기존의 일반적인 세탁 또는 헹굼행정을 따라 세탁 또는 헹굼이 수행된다.
즉, 급수후 설정된 시간 동안 세탁 또는 헹굼이 이루어진 후, 설정 시간이 완료되면 세탁 또는 헹굼이 중단되고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어린이 보호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8)를 열고 임의로 많은 양의 물을 추가함에 따른 급격한 수위 상승일 경우에, 이를 수위 변화로 인해 어린이 빠짐으로 인식하고 세탁기가 동작을 멈추거나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현상이 해소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는 달리, 기본적으로는 항상 어린이 보호모드가 되어 세탁 또는 헹굼 제어가 되도록 하되, 조작부 상에 사용자에 의한 수동급수 버튼을 마련하고 사용자가 수동급수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만 수위가 급작스럽게 상승하더라도, 정상적으로 다음 행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수동급수 버튼을 선택하지 않는 한, 세탁 또는 헹굼중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면, 어린이가 빠진 것으로 판단하여 세탁 또는 헹굼을 멈추고 배수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동급수 버튼 대신에 세탁물/세탁수 추가버튼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세탁물/세탁수 추가버튼을 누르면, 수위가 허용 변화량을 넘어서더라도 세탁물 또는 세탁수에 대한 추가 투입으로 판단하여 다음 행정을 진행하고, 사용자가 세탁물/세탁수 추가버튼을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위가 급상승하면 어린이가 빠진 것으로 판단하여 세탁 또는 헹굼이 중단되고 배수가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주로 하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세탁 또는 헹굼시 뿐만 아니라 급수시에도 어린이에 대한 보호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제어 방법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급수를 행하는 단계와, 급수 도중 도어(8) 오픈이 있을 경우 수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수위와 그 이전에 검출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이상이라고 판단될 경우 급수를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는 단계와, 도어(8)가 오픈되지 않았거나 도어(8)가 오픈되더라도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이하일 경우 급수를 계속하여 설정된 수위까지 급수하는 단계와, 급수가 완료됨에 따라 세탁 또는 헹굼을 행하는 단계와, 세탁 또는 헹굼이 진행되는 도중 도어(8)가 오픈될 경우 저수조(2)의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여 수위의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범위 이상일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급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급수시에도 도어(8) 오픈이 있을 수 있으며, 세탁조(3) 내로 어린이가 빠질 수 있다.
따라서, 급수중 도어(8) 오픈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검출한 후, 수위를 검출하여 그 이전에 검출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수위 변화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범위인지를 판단하여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이상이라고 판단될 경우 급수를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게 된다.
한편, 도어(8)가 오픈되지 않았거나 도어(8)가 오픈되더라도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이하일 경우 급수를 계속하여 설정된 수위까지 급수를 완료하고, 급수가 완료됨에 따라 세탁 또는 헹굼을 행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세탁 또는 헹굼이 진행되는 도중 도어(8) 오픈이 검출된 경우에는 저수조(2)의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여 수위의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범위 이상인가를 판한하여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세탁 또는 헹굼 진행중 저수조(2)의 수위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범위를 넘어설 경우에는 어린이 빠짐으로 인식하여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세탁 또는 헹굼 진행시 뿐만 아니라 급수 진행중에도 어린이가 세탁조(3)로 빠지게 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역시 설정 시간당 허용 변화량은 저수위일 때와 고수위 일 때등 수위별로 달라지게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시간당 허용 변화량은 단위시간당 허용 변화량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임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수위가 일정 범위의 허용 변화량을 넘어설 경우, 어린이나 유아가 빠진 것으로 판단하여 세탁기의 구동 정지, 배수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 때 허용 변화량을 넘어설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세탁기의 구동 정지와 배수 및 경고신호 발생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모두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어린이 빠짐이 감지된 이후에는 배수와 구동모터 정지와 경보신호 발생등을 실행하게 되는데, 순차적으로 일어날 경우 상기 동작들의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며, 모든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어 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설 경우, 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 또는 헹굼행정 진행중에 세탁조 내부로 어린이나 유아등이 빠지게 될 경우 이를 검출하여 세탁기를 제어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별도의 안전 장치가 없더라도 세탁기의 세탁 알고리즘의 제어에 의해 어린이나 유아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세탁 또는 헹굼을 실행하는 단계와,
    도어 오픈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도어 오픈이 검출될 경우 저수조의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설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오픈은,
    도어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어가 열렸다가 닫힌 경우 까지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서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은,
    도어 오픈 후 세탁 또는 헹굼 완료시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서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은 도어 오픈 후, 설정된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변화량은,
    도어 오픈 전에 검출된 최대 수위와 도어 오픈 후부터 세탁이 완료되기 전까지에 걸쳐 검출되는 최대수위와의 차이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의 변화량은 설정시간에 대한 변화량이 기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의 변화량은 단위 시간에 대한 변화량이 기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은 수위별로 달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범위를 넘어설 경우, 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어린이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급수를 진행하는 단계와,
    급수 완료 후 세탁 또는 헹굼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세탁 또는 헹굼 진행중 도어가 오픈된 경우 수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수위와 그 이전에 검출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을 넘어섰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을 넘어섰을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11.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어린이 보호모드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어린이 보호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급수를 행한 다음 설정된 시간동안 세탁 또는 헹굼을 행한 후 배수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어린이 보호모드를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어린이 보호모드가 선택된 경우 급수를 행하는 단계와,
    급수 완료 후 세탁 또는 헹굼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세탁 또는 헹굼 진행중 도어가 오픈된 경우 수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수위와 그 이전에 검출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이상일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12. 세탁 또는 헹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급수를 행하는 단계와,
    급수도중 도어 오픈이 있을 경우 수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수위와 그 이전에 검출된 수위와의 비교를 통해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이상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위 변화량이 설정시간에 대한 허용 변화량 이상이라고 판단될 경우 급수를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는 단계와,
    도어가 오픈되지 않았거나 도어가 오픈되더라도 수위 변화량이 허용 변화량 이하일 경우 급수를 계속하여 설정된 수위까지 급수하는 단계와,
    급수가 완료됨에 따라 세탁 또는 헹굼을 행하는 단계와,
    세탁 또는 헹굼이 진행되는 도중 도어가 오픈될 경우 저수조의 수위 변화량을 산출하여 수위의 변화량이 설정된 허용 범위 이상일 경우 세탁 또는 헹굼의 진행을 중단하고 배수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KR1020010033957A 2001-06-15 2001-06-15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KR10078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57A KR100781246B1 (ko) 2001-06-15 2001-06-15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57A KR100781246B1 (ko) 2001-06-15 2001-06-15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764A KR20020095764A (ko) 2002-12-28
KR100781246B1 true KR100781246B1 (ko) 2007-11-30

Family

ID=2770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957A KR100781246B1 (ko) 2001-06-15 2001-06-15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710A (ko) * 2004-04-27 2005-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재급수 방법
CN103774380B (zh) * 2014-01-27 2016-08-31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具有人体红外识别保护功能的洗衣机及人体识别保护方法
CN107304510A (zh) * 2016-04-21 2017-10-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及其童锁的控制方法
JP6941774B2 (ja) * 2017-03-16 2021-09-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乾燥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12575518A (zh) * 2019-09-12 2021-03-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涤设备的排水控制方法
CN114753095A (zh) * 2022-04-29 2022-07-15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088A (ja) * 1992-08-26 1994-03-15 Sharp Corp 洗濯機
KR970027501A (ko) * 1995-11-21 1997-06-24 이영서 세탁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및 제어방법
JPH09201483A (ja) * 1996-01-25 1997-08-05 Sharp Corp ドラム式全自動洗濯機
JPH1157276A (ja) * 1997-08-25 1999-03-02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088A (ja) * 1992-08-26 1994-03-15 Sharp Corp 洗濯機
KR970027501A (ko) * 1995-11-21 1997-06-24 이영서 세탁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및 제어방법
JPH09201483A (ja) * 1996-01-25 1997-08-05 Sharp Corp ドラム式全自動洗濯機
JPH1157276A (ja) * 1997-08-25 1999-03-02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97-00275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0572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0710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01483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764A (ko) 200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628B2 (en) Washing machine capable of detecting leakage at water feed unit
KR100781246B1 (ko)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KR10157321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4711780B2 (ja) 洗濯機
JP3983605B2 (ja) 洗濯機
KR20030038250A (ko)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JPH0927658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30038249A (ko)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KR100741810B1 (ko) 주파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세탁기
JP2008307414A (ja) 洗濯機
KR100333599B1 (ko) 세탁기의물넘침방지방법
KR100199985B1 (ko) 일조식 세탁기 및 그의 탈수공정 제어방법
KR100223242B1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에러보정방법
KR100211245B1 (ko) 세탁기의 부력세탁 제어방법
KR100198331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제동방법
JPH11104391A (ja) 二槽式洗濯機
JPS6247559B2 (ko)
KR19990038089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037152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223240B1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해제방법
JP2002028392A (ja) 洗濯機
KR100194145B1 (ko) 드레인밸브와 샤프트브레이크를 별도로 제어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탈수작동 제어방법
KR101041906B1 (ko) 세탁기의 포풀림 제어 방법
KR94000862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방법
JP202308604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