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441B1 -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441B1
KR100780441B1 KR1020060070310A KR20060070310A KR100780441B1 KR 100780441 B1 KR100780441 B1 KR 100780441B1 KR 1020060070310 A KR1020060070310 A KR 1020060070310A KR 20060070310 A KR20060070310 A KR 20060070310A KR 100780441 B1 KR100780441 B1 KR 10078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olid particle
upper casing
casing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만
Original Assignee
오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만 filed Critical 오세만
Priority to KR102006007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6Driv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부가 빈 통 형태의 몸체로서, 하단에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612)를 가진 하부 케이싱(610); 상기 하부 케이싱(610) 상측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격판(63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격판(630) 사이에 모터(660)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판(640)이 형성된 분쇄부(620); 상기 분쇄부(620) 상측에 형성되며, 연료를 배출하는 배출구(652)가 마련된 상부 케이싱(650); 상기 상부 케이싱(650) 상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싱(650)과 상기 격판(630)을 관통하여 상기 분쇄판(640)과 연결되는 회전축(662)이 형성되어 상기 분쇄판(640)을 회전시키는 모터(660);로 구성되는 고형입자 분쇄기를 이용하여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쇄하여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연료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고형입자 및 찌꺼기, 물 등의 불순물을 최대한 미세하게 분쇄하여 연소하기 좋은 미세입자 상태로 엔진에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연소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입자가 큰 불순물로 인한 부품의 마모 및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유발 되는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 불순물, 고형입자, 분쇄.

Description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Solid breaker system}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에 적용되는 격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분쇄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가 적용된 연료공급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탱크, 20 : 히터,
30 : 비중분리기, 40 : 오일필터,
50 : 부스터 펌프, 60 : 고형입자 분쇄기,
70 : 압력 조절밸브, 80 : 엔진,
90 : 우회관, 100 : 회류관,
610 : 하부 케이싱, 620 : 분쇄부,
630 : 격판, 640 : 분쇄판,
650 : 상부 케이싱, 670 : 온도센서,
680 : 공기 배출구, 660 : 모터,
662 : 회전축.
본 발명은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료에 포함된 다량의 이물질 및 고형입자를 분쇄하고 분리하여 연소효율에 미치는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악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이나 보일러를 사용함에 있어 비용의 상승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이러한 연료 비용 상승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고자 엔진의 가동시간을 최소로 유지하여 사용량을 원천적으로 줄이는 방법, 또는 엔진의 효율을 증대시켜 연소효율을 최대화 함으로서 연료의 소비를 줄이는 방법 등을 고안하여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한편, 연료는 그 질에 따라 연소효율이 높은 고가의 양질 연료와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연소효율이 낮은 저가의 연료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불순물이 많이 포함된 저가의 연료를 사용할 경우 엔진 또는 보일러에 기계적인 결함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연소효율 또한 좋지않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바, 불순물이 미량 포함된 고 품질의 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불순물이 많이 포함된 연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정제시스템을 가동하여 불순물을 걸러내서 사용함이 일반적인데, 종래에 제안되었던 정제 시스템은 연료에 포함된 수분과 입자가 큰 이물질 정도를 분리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연료가 정제된 후에도 미세한 고형입자 및 찌꺼기가 연료 속에 포함되어 있게 되었으며, 이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엉겨서 뭉치게 됨에 따라 입자가 큰 불순물로서 연료 속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미세한 고형입자 및 찌꺼기가 연료 속에 남아 있다가 뭉친 불순물은 몇 가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었는데, 연료의 연소시 효율을 낮추어 불완전 연소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기관의 연료 분사밸브를 타격하여 마모를 촉진함에 따라 부품의 단명을 초래하는 것이 그것이다.
따라서,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에 의해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료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고형입자 및 찌꺼기, 물 등의 불순물을 최대한 작은 입자로 분쇄하여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연료유에 포함된 불순물, 특히 고형입자를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미세하게 분쇄하여 이를 엔진이나 보일러 등에 공급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계적인 결함을 방지하며 연소효율 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에 적용되는 격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분쇄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가 적용된 연료공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을 살펴보면, 탱크(10)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가열하는 히터(20);
상기 히터(20)에 의해 가열된 연료를 공급받아 비중 차에 의해 이물질을 분리하는 비중분리기(30);
상기 비중분리기(30)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연료를 다시 거르는 오일필터(40);
상기 오일필터(40)에서 걸러진 연료를 고형입자 분쇄기(60)로 이송시키는 부스터 펌프(50);
상기 부스터 펌프(50)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아 고형입자를 분쇄하여 분리한 후 엔진(80)에 공급하는 고형입자 분쇄기(60);로 구성되되,
상기 고형입자 분쇄기(60)는, 내부가 빈 통 형태의 몸체로서 하단에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612)를 가진 하부 케이싱(610);과
상기 하부 케이싱(610) 상측에 형성되되, 몸체 중앙에 모터(660)으로 부터 연장된 회전축(662)이 관통하는 축공(632)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632)과 인접하여 연료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공(634)이 형성된 복수개의 격판(63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판상이되 모터(660)에 의해 회전하며 몸체 중앙에 상기 회전축(662)이 관통하는 축공(642)이 형성되고 몸체 가장자리를 따라 분쇄날(644)이 형성되어 상기 격판(630) 사이에 배치되는 분쇄판(640)이 마련된 분쇄부(620);와
상기 분쇄부(620) 상측에 형성되며, 연료를 배출하는 배출구(652)가 마련되되, 상부에 온도센서(670)와 공기배출구(680)가 형성된 상부 케이싱(650); 및
상기 상부 케이싱(650) 상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싱(650)과 상기 격판(630)을 관통하여 상기 분쇄판(640)과 연결되는 회전축(662)이 마련되어 상기 분쇄판(640)을 회전시키는 모터(660);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부는 관을 통해 연결되어 연료가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관마다 필요에 따라 밸브를 설치하여서 연료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부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히터(20)는 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가열하는 장치로서 스팀장치 또는 전열선으로 발생시킨 열로 연료를 가열하여 소정 온도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연료의 종류에 따라 60~130℃의 범위로 가열하게 되며, 이와 같이 연료를 가열함으로써 열팽창 계수가 다른 물질 간의 팽창 체적차이를 확대하고 따라서 비중 차를 크게 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데 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연료를 가열하게 되면 저온에서 응결되어있는 고형물질 및 찌꺼기(sludge)를 팽창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고형입자 분쇄기로 분쇄하는 효과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연료를 가열하면 연료의 점도가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점도가 높은 저질 연료의 유동성이 높아지게 되며, 이는 자연스럽게 엔진의 연료분사밸브에서 분사 시 작은 알갱이로 분사되기 쉬워지도록 하여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발화점이 높은 저질 연료유의 발화에 필요한 열을 이미 흡수하여 분사되므로 고형물질의 분쇄가 완료되었을 경우 양질의 연료유와 동일 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히터(20)는 이미 연료를 담아둔 탱크(10)에 미리 설치하여둔 경우 별도의 설치는 필요 없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반듯이 설치하여야 한다.
비중분리기(30)는 중력에 따른 물 또는 기타 상대적인 고중량 찌꺼기와 연료(기름) 간의 비중 차를 이용해 연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전체 체적에 비해 높이 차이가 크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한 실린더 형태로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들은 하부로 가라앉게 하여 그 침전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방식의 장치를 사용한다.
오일필터(40)는 상기 비중분리기(30)를 거친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가 큰 고형물질 또는 작은 입자의 찌꺼기가 응집되어 큰 입자가 되어있는 이물질들을 미리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이미 한번 정제를 한 연료라 하더라도 미세한 찌꺼기가 남아 있다가 서로 뭉쳐 큰 입자로 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주로 미세한 입도를 가진 망을 사용한 필터를 채택한다.
부스터 펌프(booster pump)(50)는 후술하는 고형입자 분쇄기(60) 내로 연료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연료가 공급되는 유입관(612)에 압력을 가하여 연료를 분사시킴으로써 고형 물질이 쉽게 분쇄되는 효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한 연료 공급장치에서 연료를 순환 및 공급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상승시키는 장치이다. 펌프는 기어펌프, 스크루 펌프 등을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스터 펌프(50)와 상기 고형입자 분쇄기(60) 사이에는 과도한 송출압력 제어를 위해 압력 게이지를 설치할 수 있다.
고형입자 분쇄기(60)는 물과 고형입자를 분쇄하는 장치로써 내부가 빈 통 형태의 몸체로서, 하단에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612)를 가진 하부 케이싱(610)과, 상기 하부 케이싱(610) 상측에 형성되되 복수 개의 격판(63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격판(630) 사이에 모터(660)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판(640)이 형성된 분쇄부(620) 및 상기 분쇄부(620) 상측에 형성되며, 연료를 배출하는 배출구(652)가 마련된 상부 케이싱(65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싱(650) 상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싱(650)과 상기 격판(630)을 관통하여 상기 분쇄판(640)과 연결되는 회전축(662)이 형성되어 상기 분쇄판(640)을 회전시키는 모터(660)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각 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 케이싱(610)은 내부가 빈 형태로서 부스터 펌프(50)에 의해 이송되는 연료가 유입관(612)을 통해 고속으로 유입되게 된다. 유입관(612)에는 압력 게이지를 설치하여 관내의 압력을 체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케이싱(610) 위에 형성된 분쇄부(620)는 유입관(612)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입된 연료에 의해 압력이 상승 되면, 연료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통과하는 부분이다. 이 분쇄부(620)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격판(630)과 격판(630) 사이에 배치된 분쇄판(6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격판(630)은 상기 하부 케이싱(610)의 횡단면과 같은 형상을 가지되 상기 하부 케이싱(610) 상부에서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고정되어 있으며, 그 몸체 중앙에는 모터(660)로부터 연장된 회전축(662)이 끼워지는 축공(6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위로 다수개의 통공(6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634)은 아래가 넓고 위쪽이 좁은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넓은 입구를 통해 연료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를 증가시켜 마치 분사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 케이싱(610)에서 밀려드는 연료는 상기 통공(634)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입관(612)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의 양보다 상기 통공(634)을 통해 이동되는 연료의 양이 적도록 통공(634)의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하여 연료가 고속으로 통공(634)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판(630)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가 층을 이루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이는 격판(6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최소 두 곳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격판(6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들에는 모터(660)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판 (640)이 배치된다. 이 분쇄판(640)은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에는 상기 모터(660)에서 연장된 회전축(662)이 관통하는 축공(6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분쇄날(644)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다만, 이러한 분쇄판(640)은 앞서 설명한 형상 외에 2개 또는 3~ 4개의 날을 가진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분쇄판(640)은 모터(660)를 이용하여 고속회전 하여 줄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통공(634)을 통해 분쇄부(620)로 유입되는 연료가 부딪치면서 분쇄되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하는 분쇄날(644)에 의해 분쇄되어 연료 속에 포함된 고형입자와 찌꺼기가 분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쇄판(640)은 격판(6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마다 하나를 형성하거나 또는 복수로 2~4개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3개 층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는 격판(630) 사이의 공간 크기를 고려하여 채택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설치할 경우에는 맨 아래에 배치된 분쇄판(640)에 의해 분쇄되지 않는 고형입자나 찌꺼기를 다시 한번 분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예시한 예를 통해 격판(6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두 곳 이어서 두 번의 분쇄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판(640)을 각 공간에 세 개의 층으로 형성하여 주고 있으므로 총 6회의 분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분쇄부(620)를 통과한 연료는 상부 케이싱(650)으로 이동된다. 상기 상부 케이싱(650)으로 이동된 연료는 배출구(652)를 통해 배출되어 압력 조절밸브 (70)를 거쳐 엔진(8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케이싱(650)에는 공기배출구(680)를 마련하여 상기 분쇄된 연료로부터 발생 된 공기를 배출하여 연료의 흐름을 안정되게 할 수 있으며, 더불어 온도센서(670)를 설치하여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히터(20)를 조절하여 과도한 가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싱(650) 상측에는 모터(660)가 고정되어 있는데, 회전축(662)이 연장되어 상부 케이싱(650)을 지나 분쇄부(620)를 관통하여 그 끝단이 분쇄부(620)의 맨 아래에 형성된 격판(6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된다. 분쇄부(620)에서는 분쇄판(640)이 상기 회전축(662)에 고정되어 있어서 모터(66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662)이 회전하면 분쇄판(640)이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형입자 분쇄기(60)에서 분쇄된 연료는 관을 통해 엔진(80)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연료가 이송되는 관 중간에 고형입자 분쇄기(60)를 통해 정제된 상기 연료가 엔진(80)에 공급될 때의 적정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밸브(70)를 형성하여 줄 수 있다. 더불어, 고형입자 분쇄기(60)를 통해 분쇄된 연료 중 남는 연료는 히터(20)로 연료를 공급하는 관과 한쪽 끝단이 연결된 우회관(90)을 통해 히터(20)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재차 사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우회관(90)의 작용은 엔진(80)이 가동될 경우에 의한 것으로서, 엔진(80)이 가동하기 전에 미리 연료를 정제할 수 있도록 상기 고형입자 분쇄기(60)를 통과한 연료가 상기 연료를 저장해 두는 탱크(10)에 직접 유입되는 회류관(1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회류관(100)을 통해 연료를 미리 정제할 때에 는 상기 우회관(90)으로 연료가 흐르지 않도록 밸브를 잠가주게 되며, 반대로 엔진(80)이 작동할 경우 우회관(90)을 이용할 때에는 회류관(100)으로 연료가 흐르지 않도록 밸브를 잠가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류관(100)의 구성을 통해 엔진(80) 가동 전에 미리 연료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해 둠과 아울러 정제를 하여 연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연료공급 시스템을 통해 연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최대한 제거함과 아울러, 걸러지지 않고 연료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고형입자 및 찌꺼기를 서로 뭉치지 않도록 분쇄하여 엔진에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료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고형입자 및 찌꺼기, 물 등의 불순물을 최대한 미세하게 분쇄하여 연소하기 좋은 미세입자 상태로 엔진에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연소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입자가 큰 불순물로 인한 부품의 마모 및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쇄하여 제거하는 고형입자 분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가 빈 통 형태의 몸체로서, 하단에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612)를 가진 하부 케이싱(610);
    상기 하부 케이싱(610) 상측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격판(63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격판(630) 사이에 모터(660)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판(640)이 형성된 분쇄부(620);
    상기 분쇄부(620) 상측에 형성되며, 연료를 배출하는 배출구(652)가 마련된 상부케이싱(650);
    상기 상부 케이싱(650) 상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싱(650)과 상기 격판(630)을 관통하여 상기 분쇄판(640)과 연결되는 회전축(662)이 형성되어 상기 분쇄판(640)을 회전시키는 모터(660);로 구성되되,
    상기 격판(630)은 몸체 중앙에 상기 회전축(662)이 관통하는 축공(63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축공(632)과 인접하여 연료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공(634)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634)은 입구가 넓고 출구로 갈수록 좁아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판(640)은 판상이되 몸체 중앙에 상기 회전축(662)이 관통하는 축공(642)이 형성되는 한편 몸체 가장자리를 따라 분쇄날(644)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650)의 상부에 온도센서(670)와 공기배출구(68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6. 탱크(10)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가열하는 히터(20);
    상기 히터(20)에 의해 가열된 연료를 공급받아 비중 차에 의해 이물질을 분리하는 비중분리기(30);
    상기 비중분리기(30)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연료를 다시 거르는 오일필터(40);
    상기 오일필터(40)에서 걸러진 연료를 고형입자 분쇄기(60)로 이송시키는 부 스터 펌프(50);
    상기 부스터 펌프(50)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아 고형입자를 분쇄하여 분리한 후 엔진(80)에 공급하는 고형입자 분쇄기(60);로 구성되되,
    상기 고형입자 분쇄기(60)는, 내부가 빈 통 형태의 몸체로서 하단에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612)를 가진 하부 케이싱(610);과
    상기 하부 케이싱(610) 상측에 형성되되, 몸체 중앙에 상기 회전축(662)이 관통하는 축공(632)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632)과 인접하여 연료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공(634)이 형성된 복수개의 격판(63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판상이되 모터(660)에 의해 회전하며 몸체 중앙에 상기 회전축(662)이 관통하는 축공(642)이 형성되고 몸체 가장자리를 따라 분쇄날(644)이 형성되어 상기 격판(630) 사이에 배치되는 분쇄판(640)이 형성된 분쇄부(620);와
    상기 분쇄부(620) 상측에 형성되며, 연료를 배출하는 배출구(652)가 마련되고, 상부에 온도센서(670)와 공기배출구(680)가 형성된 상부 케이싱(650); 및
    상기 상부 케이싱(650) 상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싱(650)과 상기 격판(620)을 관통하여 상기 분쇄판(640)과 연결되는 회전축(662)이 마련되어 상기 분쇄판(640)을 회전시키는 모터(660);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입자 분쇄기(60)를 통해 정제된 연료가 엔진(80)에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압력 조절밸브(70)가 더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입자 분쇄기(60)를 통과한 연료가 상기 연료를 저장해 두는 탱크(10)에 직접 유입될 있도록 회류관(100)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 시스템.
KR1020060070310A 2006-07-26 2006-07-26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 KR100780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310A KR100780441B1 (ko) 2006-07-26 2006-07-26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310A KR100780441B1 (ko) 2006-07-26 2006-07-26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441B1 true KR100780441B1 (ko) 2007-11-29

Family

ID=3908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310A KR100780441B1 (ko) 2006-07-26 2006-07-26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4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0975A (ja) 1981-10-06 1983-04-11 Meiji Milk Prod Co Ltd 油糧種子の磨砕装置
KR100339265B1 (ko) 1999-09-08 2002-05-31 박충생 극미세 분말 분쇄기
JP2004514555A (ja) * 2000-11-28 2004-05-20 エマー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変速モータを有する食品廃棄物処理器及びその動作方法
KR20050101829A (ko) * 2004-04-20 2005-10-25 나노인텍 주식회사 습식 분쇄 분산기의 미립자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0975A (ja) 1981-10-06 1983-04-11 Meiji Milk Prod Co Ltd 油糧種子の磨砕装置
KR100339265B1 (ko) 1999-09-08 2002-05-31 박충생 극미세 분말 분쇄기
JP2004514555A (ja) * 2000-11-28 2004-05-20 エマー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変速モータを有する食品廃棄物処理器及びその動作方法
KR20050101829A (ko) * 2004-04-20 2005-10-25 나노인텍 주식회사 습식 분쇄 분산기의 미립자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6365B2 (ja) 石炭・バイオマス混焼システム及び混焼方法
KR20170026637A (ko) 폐수 처리 장치, 폐수 처리 시스템, 배기 재순환 유닛, 엔진 시스템, 및 선박
KR100780441B1 (ko) 연료유 고형입자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시스템
KR101774958B1 (ko)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CN207797778U (zh) 玻璃余热回收装置
CN206315860U (zh) 一种杨树花提取物提取过程中的超微粉碎装置
KR100987037B1 (ko) 저급연료유 연소성을 높이게 하는 선박 디젤기관용 중유연료개질처리장치
JP5798087B2 (ja) 廃水処理システム、排気再循環ユニット、エンジンシステム、及び船舶
RU109512U1 (ru) Входной модуль тонкой фильтрации погружного центробежного насоса
KR101642740B1 (ko)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CN212791230U (zh) 一种用于农药生产的砂磨装置
CN209957712U (zh) 一种柴油油水分离过滤器
CN211799542U (zh) 一种具有防堵塞功能的过滤器
CN209123435U (zh) 一种水煤浆过滤设备
DE681507C (de) Verfahren zum Betriebe von Kohlenstaubfeuerungen
JP2593472Y2 (ja) スラリ濾過装置
CN111644235B (zh) 一种磨浆机
JP3554987B2 (ja) 湿式チューブミル
CN209476210U (zh) 一种高效分散机的投料防护装置
CN203928600U (zh) 一种仲钨酸铵晶体快速干燥机
CN214076866U (zh) 一种新型碎渣机
KR102382758B1 (ko) 기류식 분쇄기의 분쇄날
KR102084766B1 (ko) 정수물 배수장치
JP2573910B2 (ja) 発動機関における潤滑油補助タンク式浄油及び燃料節減装置
KR101288929B1 (ko) 디스크형 중유 유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