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766B1 - 정수물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물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766B1
KR102084766B1 KR1020190097466A KR20190097466A KR102084766B1 KR 102084766 B1 KR102084766 B1 KR 102084766B1 KR 1020190097466 A KR1020190097466 A KR 1020190097466A KR 20190097466 A KR20190097466 A KR 20190097466A KR 102084766 B1 KR102084766 B1 KR 10208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d water
water
drain line
reservo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규
Original Assignee
정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규 filed Critical 정동규
Priority to KR102019009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Abstract

정수물 배수장치가 개시된다. 정수물 배수장치는, 정수기의 배수 라인에 연결되며 배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기의 고온의 정수물이 유입되는 저수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드레인 라인이 연결된 저수부와, 저수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분쇄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물 배수장치{DRAIN DEVICE FOR PURIFIER WATER}
본 발명은 적절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물의 배수가 가능한 정수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특히 얼음 정수기는 정수된 물 외에도 얼음과 냉각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얼음 정수기에 살균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저장 탱크 내부의 살균도 가능하다.
상술한 살균 기능이 포함된 얼음 정수기는 통상 저장 탱크의 물(살균에 이용된 물 포함)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 유로와, 얼음이 녹은 물을 배수하기 위한 유로로 구성되며, 각각의 유로에 설치된 밸브와 펌프를 통해 물을 외부로 배수하고 있다.
한편, 정수기는 고온의 물을 공급도 가능하며, 고온의 정수물의 외부 배수도 이루어진다.
그러나, 고온의 정수물을 배수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정수물을 적절하게 냉각하는게 필요하며, 정수물에 음식물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47829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온의 정수물을 적절한 온도 이하로 유지한 상태로 배수하며,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배수하는 것이 가능한 정수물 배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수기의 배수 라인에 연결되며 배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기의 고온의 정수물이 유입되는 저수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드레인 라인이 연결된 저수부와, 저수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분쇄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분쇄부는, 저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 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저수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회전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일 수 있다.
저수부에 연결된 드레인 라인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정수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라인에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와, 구동부의 작동 상태에서 드레인 라인의 압력이 설정 압력 미만이면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정수물을 배수하는 과정에서 정수물이 저수부에 일정 시간 체류된 상태로 배수되도록 하는 고온의 정수물을 일정 온도 낮춘 상태로 안정적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부의 내부에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를 설치하여, 정수물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분쇄한 상태로 배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가 정수기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 그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물 배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수물 배수장치를 일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수물 배수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가 정수기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 그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가 정수기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 그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정수물 배수장치(100)는 정수물을 배수하는 배수 라인(11)에 설치되는 것으로 정수기로부터 배출된 정수물이 일정 시간 체류한 상태에서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쇄된 상태로 정수물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가 정수기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 그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수물 배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수물 배수장치를 일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수물 배수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100)는, 정수기(12)의 배수 그릴(12a)에 연결된 배수 라인(11)에 연결되며 배수 라인(11)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기(12)의 고온의 정수물이 유입되는 저수 공간(13)이 내부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드레인 라인(15)이 연결된 저수부(10)와, 저수부(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20)와, 분쇄부(2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부(10)는 정수기에 연결된 배수 라인(11)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수 라인(11)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물이 일시 저장되는 저수 공간(13)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저수부(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측면에 배수 라인(11)이 저수 공간(13)과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저수부(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분쇄 날부(23)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는 저수 공간(13)이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형상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수부(10)는 본 실시예에서 스테인리스 재질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정수물이 저수부(10)의 내부에 유입된 상태에서 부식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저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저수부(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 등의 내구성이 확보된 내부식성의 소정의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저수부(10)의 측면에는 저수부(10)의 저수 공간(13)에서 일정 시간 체류된 정수물이 외부로 배수되는 드레인 라인(15)이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라인(15)은 저수부(10)의 측면 상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수 라인(11)을 통해 공급된 정수물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이면 외부로 배수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드레인 라인(15)은 저수부(10)의 상측에서 저수부(10)의 측면 위치에 연결되는 바, 정수물은 저수부(10)의 내부에 유입된 상태에서 드레인 라인(15) 위치로 수위가 상승하는 시간 동안 저수부(10)의 내부에 저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정수물은 저수부(10)의 내부에서 저수 공간(13)에서 충분한 시간 체류한 상태로 드레인 라인(15)을 통해 배수되는 것이 가능하여, 적절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배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저수부(10)의 내부에는 분쇄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분쇄부(20)는 저수부(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쇄부(20)는, 저수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1)과, 회전축(21)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 날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1)은 저수부(10)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구동부(30)의 구동력에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21)의 측면에는 분쇄 날부(23)가 돌출될 수 있다.
분쇄 날부(23)는 회전축(21)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것으로, 구동부(30)의 구동력의 제공에 따라 저수부(10)의 내부에서 회전축(2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바,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분쇄 날부(23)는 회전축(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타입으로 돌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분쇄 날부(23)는 스크류 타입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분쇄 날부(23)가 회전축(21)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바, 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는 바, 저수부(10)의 내부에 저장된 정수물에 와류를 형성하면서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수물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미세 크기로 분쇄하여 배수 라인(11)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는 바, 이물질에 의해 막힘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배수 작용이 가능하다.
한편 구동부(30)는, 저수부(10)의 상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2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구동부와 구동모터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구동모터(30)는 저수부(10)의 상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구동축이 회전축(21)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100)는, 정수기의 정수물을 배수하는 과정에서 정수물이 저수부(10)에 일정 시간 체류된 상태로 배수되도록 하는 고온의 정수물을 일정 온도 낮춘 상태로 안정적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수부(10)의 내부에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20)를 설치하여, 정수물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분쇄한 상태로 배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가 정수기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 그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200)는, 저수부(10)에 연결된 드레인 라인(15)에는 배수되는 정수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1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 라인(15)을 통해 배수되는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배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가 정수기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 그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물 배수장치(300)는, 드레인 라인(15)에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210)와, 구동부(30)의 작동 상태에서 드레인 라인(15)의 압력이 설정 압력 미만이면 경고하는 경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210)는 드레인 라인(15)에 설치되어 필터부재(110)를 통과한 정수물이 배수되는 드레인 라인(15)의 압력을 센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센서(210)의 센싱 신호는 경고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경고부(220)는 압력 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드레인 라인(15)의 압력이 설정 압력 미만이면 필터부재(110)의 막힘 상태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고부(220)는 사용자의 확인을 위해 엘이디 조명 등의 표시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저수부 11...배수 라인
12...정수기 12a..배수 그릴
13...저수 공간 15...드레인 라인
20...분쇄부 21...회전축
23...분쇄 날부 30...구동부, 구동모터
110..핑터부재 210..압력 센서
220..경고부

Claims (5)

  1. 정수기의 배수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기의 고온의 정수물이 유입되는 저수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드레인 라인이 연결된 저수부;
    상기 저수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저수부에 연결된 드레인 라인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정수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
    상기 드레인 라인에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 라인의 압력이 설정 압력 미만이면 경고하는 경고부;
    를 포함하는 정수물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저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상기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 날부;
    를 포함하는 정수물 배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저수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인 정수물 배수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097466A 2019-08-09 2019-08-09 정수물 배수장치 KR102084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66A KR102084766B1 (ko) 2019-08-09 2019-08-09 정수물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66A KR102084766B1 (ko) 2019-08-09 2019-08-09 정수물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766B1 true KR102084766B1 (ko) 2020-03-09

Family

ID=6980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466A KR102084766B1 (ko) 2019-08-09 2019-08-09 정수물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7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708A (ja) * 1996-05-25 1998-04-14 Samsung Electron Co Ltd 配水器の廃水受け装置
KR101207469B1 (ko) * 2010-11-26 2012-12-13 (주)케이비시스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83B1 (ko) * 2011-11-28 2014-08-06 박창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478298B1 (ko) 2013-06-28 2015-01-02 비젼플랙스(주) 배수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정수기용 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708A (ja) * 1996-05-25 1998-04-14 Samsung Electron Co Ltd 配水器の廃水受け装置
KR101207469B1 (ko) * 2010-11-26 2012-12-13 (주)케이비시스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83B1 (ko) * 2011-11-28 2014-08-06 박창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478298B1 (ko) 2013-06-28 2015-01-02 비젼플랙스(주) 배수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정수기용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15069A1 (en) Coffee grinder
US7988852B2 (en) Water treatment assembly
US7718054B2 (en) Water treatment system
US7776209B2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KR102084766B1 (ko) 정수물 배수장치
KR101019856B1 (ko) 입형 원심 펌프의 회전식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입형 원심 펌프
KR20100004430A (ko) 디스포저
JP2006346061A (ja) コーヒー沸かし器
KR19980071900A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5886096B2 (ja) 自動逆洗式ストレーナ
JP2005211736A (ja) 生ゴミ微細粉砕ディスポーザー
JP2008290074A (ja) ミンサー機
JP4692185B2 (ja) ディスポーザおよびディスポーザを備えた流し台
KR20140032619A (ko) 분쇄구조를 개선 시킨 협잡물 파쇄기
KR20160002970U (ko) 도로파쇄기
KR100863741B1 (ko) 연삭유에 포함된 칩 분리장치
KR1002514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쇄 배출장치
KR100613395B1 (ko) 분쇄팬과 이 분쇄팬이 채택된 분쇄장치
KR200342457Y1 (ko) 슬러지용 분쇄 펌프
KR20110009756U (ko) 가변토출밸브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US1456651A (en) Food-grinding machine
KR200342466Y1 (ko) 협잡물 파쇄기
TW501944B (en) Waste processing device
KR20180085293A (ko) 커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 장치
US977209A (en) Water-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