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58B1 -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58B1
KR101774958B1 KR1020150159624A KR20150159624A KR101774958B1 KR 101774958 B1 KR101774958 B1 KR 101774958B1 KR 1020150159624 A KR1020150159624 A KR 1020150159624A KR 20150159624 A KR20150159624 A KR 20150159624A KR 101774958 B1 KR101774958 B1 KR 101774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ewage
compartment
water
filt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229A (ko
Inventor
윤성구
Original Assignee
윤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구 filed Critical 윤성구
Priority to KR102015015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9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3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욕탕 등과 같이 온수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시설에서 배수 집수정의 하수에 포함된 오물을 작은 입자 형태로 분쇄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는 집수정(10)의 상부에 하수 공급관(20)이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내부에 여과망 하우징(30)이 배치되어, 집수정(10)과 여과망 하우징(30) 사이에 유도간극(40)이 형성되며, 여과망 하우징(30)이 중간 거름망(31)에 의해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로 구분되고,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에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각각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둘레와 하부면에 다수개의 공기분사기(70)가 장착되고, 집수정(10)의 둘레에 배수구(11)가 형성되고, 배수구(11)가 1차 파쇄기(5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집수정(10)에 하수의 수면(Wf)이 배수구(11)와 일치되게 유지됨으로써, 여과망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는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하수의 수면(Wf)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DISPOSER IN THE SUMP TANK}
본 발명은 목욕탕 등과 같이 온수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시설에서 배수 집수정의 하수에 포함된 오물을 작은 입자 형태로 분쇄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정의 내부에 여과망 하우징이 배치되어, 집수정과 여과망 하우징 사이에 유도간극이 형성되며, 여과망 하우징의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에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가 각각 배치되고, 집수정의 둘레와 하부면에 다수개의 공기분사기가 장착되고, 여과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가 하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29685(2015년 9월 14일, 출원)에 "하수 폐열회수 및 여과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하수 폐열회수 및 여과 장치는 집수정의 배출관에서 제 1 내지 제 3 하수공급 분기관으로 분기되고, 제 1 내지 제 3 하수공급 분기관에 제 1 내지 제 3 밸브가 각각 장착되며, 제 1 내지 제 3 하수공급 분기관이 제 1 내지 제 3 리버스 탱크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리버스 탱크의 제 1 내지 제 3 하수 배출관이 샌드 여과기의 하수 공급관에 연결되고, 제 1 내지 제 3 하수 배출관에 각각 제 4 내지 제 6 밸브 및 제 3 내지 제 5 펌프가 각각 장착되며, 샌드 여과기의 여과수 배출관에서 제 1 내지 제 3 여과수 분배 공급관으로 분기되고, 제 1 내지 제 3 여과수 분배 공급관에 제 10 내지 제 12 밸브가 각각 장착되고, 제 1 내지 제 3 여과수 분배 공급관에 제 1 내지 제 3 리버스 탱크가 각각 연결되며, 제 1 내지 제 3 리버스 탱크의 제 1 내지 제 3 온수 배출관에 제 13 내지 제 15 밸브가 각각 장착되며, 제 1 내지 제 3 온수 배출관이 열교환기의 온수 공급관과 연결되고, 온수 공급관에 제 1 펌프가 장착된다.
그러나, 하수 폐열회수 및 여과 장치는 집수정에 롤러형 분쇄기와 거름망이 장착되어 있지만, 하수의 오물을 롤러형 분쇄기가 충분히 분쇄하지 못하고, 심지어 오물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이 롤러형 분쇄기가 들러붙어, 롤러형 분쇄기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수정의 내부에 여과망 하우징이 배치되어, 집수정과 여과망 하우징 사이에 유도간극이 형성되며, 여과망 하우징의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에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가 각각 배치되고, 집수정의 둘레와 하부면에 다수개의 공기분사기가 장착되고, 여과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가 하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에 의해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소정의 크기로 분쇄될 뿐만 아니라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에 의해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분쇄되는 동안, 공기분사기에서 에어가 분사되어,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하부로 가라앉지 않고 계속해서 부유하게 되고,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 수중에서 분쇄 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머리카락 등과 같이 공기중에서 잘 분쇄되지 않는 것들을 충분히 분쇄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 등에 의해 1차 파쇄기 및 2차 파쇄기가 파손되거나 여과망 하우징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는 집수정의 상부에 하수 공급관이 배치되고, 집수정의 내부에 여과망 하우징이 배치되어, 집수정과 여과망 하우징 사이에 유도간극이 형성되며, 여과망 하우징이 중간 거름망에 의해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로 구분되고,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에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가 각각 배치되고, 집수정의 둘레와 하부면에 다수개의 공기분사기가 장착되고, 집수정의 둘레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가 1차 파쇄기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집수정에 하수의 수면이 배수구와 일치되게 유지됨으로써, 여과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가 하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망 하우징에는 2mm 지름의 여과구멍이 타공되고, 중간 거름망에는 5mm 지름의 여과구멍이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는 상기 1차 파쇄기가 배치된 상부 격실을 커버하도록, 상부 격실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여과망과, 상부 여과망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로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정은 2개의 가로 패널과 2개의 세로 패널이 사각형 형태로 배열되며, 가로 패널의 측단부과 새로 패널의 절곡 플랜지부와 맞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은 상단에 호퍼부가 형성된 상부 통, 중간 통 및 하부 통으로 구성되고, 상부 통의 하부 플랜지와 중간 통의 상부 플랜지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중간 통의 하부 플랜지부와 하부 통의 상부 플랜지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망 하우징은 2개의 가로 패널과 2개의 세로 패널로 구성되며, 가로 패널의 절곡 플랜지부와 새로 패널의 측단이 맞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망 하우징은 상부 통, 중간 통 및 하부 통으로 구성되고, 상부 통의 하부 플랜지와 중간 통의 상부 플랜지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중간 통의 하부 플랜지부와 하부 통의 상부 플랜지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맞대어진 상부 통의 하부 플랜지와 중간 통의 상부 플랜지에 하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제 1 통공이 형성되며, 서로 맞대어진 중간 통의 하부 플랜지부와 하부 통의 상부 플랜지에 하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제 2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파쇄기는 제 1 및 제 2 샤프트가 집수정 및 여과망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샤프트에 제 1 모터의 구동축이 연결되고, 제 2 샤프트에 제 2 모터의 구동축이 연결되며, 제 1 샤프트에 큰 원판형 커터와 작은 원판형 커터가 교번되게 장착되고, 제 2 샤프트에 큰 원판형 커터와 작은 원판형 커터가 교번되게 장착되어, 제 1 샤프트의 작은 원판형 커터와 제 2 샤프트의 큰 원판형 커터가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 1 샤프트의 큰 원판형 커터와 제 2 샤프트의 작은 원판형 커터가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1차 파쇄기는 제 1 및 제 2 샤프트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샤프트에 제 1 모터의 구동축이 연결되고, 제 2 샤프트에 제 2 모터의 구동축이 연결되며, 제 1 샤프트에 다수개의 원판형 커터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고, 제 2 샤프트에 다수개의 원판형 커터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원판형 커터 사이에 원판형 커터의 측면 둘레에 배치된 그라인딩 팁과 원판형 커터의 측면 둘레에 배치된 그라인딩 팁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는 상기 집수정의 배수구와 침전 탱크의 투입구가 제 1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침전탱크의 배수구가 제 2 연결관에 의해 샌드 여과기에 연결되어, 침전 탱크에서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침전 방식으로 1차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는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에 의해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소정의 크기로 분쇄될 뿐만 아니라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에 의해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분쇄되는 동안, 공기분사기에서 에어가 분사되어,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하부로 가라앉지 않고 계속해서 부유하게 되고, 1차 파쇄기와 2차 파쇄기 수중에서 분쇄 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머리카락 등과 같이 공기중에서 잘 분쇄되지 않는 것들을 충분히 분쇄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 등에 의해 1차 파쇄기 및 2차 파쇄기가 파손되거나 여과망 하우징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집수정 및 여과망 하우징을 각각 작은 몇개의 통으로 분리할 수 있어, 집수정 및 여과망 하우징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고, 분쇄기를 편리하게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집수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여과망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1차 분쇄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원판형 커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목욕탕 등과 같이 온수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시설에서 배수 집수정으로 배출되는 하수에는 평균 28℃ ~ 29℃의 열원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폐열회수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29685(2015년 9월 14일, 발명의 명칭 : 하수 폐열회수 및 여과 장치)호가 출원되었다. 그러나, 집수정으로 공급되는 하수에서 열원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하수에 포함된 오물을 잘게 분쇄하는 것이 요구되고, 본 발명은 이러한 하수에 포함된 오물을 잘게 분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는 집수정(10)의 상부에 하수 공급관(20)이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내부에 여과망 하우징(30)이 배치되어, 집수정(10)과 여과망 하우징(30) 사이에 유도간극(40)이 형성되며, 여과망 하우징(30)이 중간 거름망(31)에 의해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로 구분되고,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에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각각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둘레와 하부면에 다수개의 공기분사기(70)가 장착되고, 집수정(10)의 둘레에 배수구(11)가 형성되고, 배수구(11)가 1차 파쇄기(5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집수정(10)에 하수의 수면(Wf)이 배수구(11)와 일치되게 유지됨으로써, 여과망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는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하수의 수면(Wf)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여과망 하우징(30)에는 2mm 지름의 여과구멍이 타공되고, 중간 거름망(31)에는 5mm 지름의 여과구멍이 타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는 하수 공급관(20)을 통해 여과망 하우징(30)의 내부로 하수가 공급되면,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1차 파쇄기(50) 및 2차 파쇄기(60)에 의해 분쇄되고, 2mm 이하로 분쇄된 오물이 여과망 하우징(30)을 통해 하수와 함께 유도간극(40)으로 안내되며, 하수의 수면(Wf)이 1차 파쇄기(50)의 상부에 배치된 집수정(10)의 배수구(11)까지 도달되면, 분쇄된 오물을 포함하는 하수가 배수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여과망 하우징(30)의 내부로 공급된 하수의 오물은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에 배치된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에 의해 2mm 이하로 분쇄되며,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에 의해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분쇄되는 동안, 집수정(10)의 둘레와 하부면에 배치된 다수개의 공기분사기(70)에서 에어가 분사되어,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하부로 가라앉지 않고 계속해서 부유하게 된다. 그리고,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수중에서 분쇄 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머리카락 등과 같이 공기중에서 잘 분쇄되지 않는 것들을 충분히 분쇄할 수 있어, 머리카락 등에 의해 1차 파쇄기(50) 및 2차 파쇄기(60)가 파손되거나 여과망 하우징(3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또한, 상기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는 1차 파쇄기(50)가 배치된 상부 격실(32)을 커버하도록, 상부 격실(32)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여과망(34)과, 상부 여과망(34)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로팅 장치(80)를 더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너무 큰 오물이 1차 파쇄기(50)가 배치된 상부 격실(32)로 공급되는 것을 상부 여과망(34)이 차단하게 되고, 플로팅 장치(80)에 의해 집수정(10)에서 하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정(10)은 2개의 가로 패널(12)과 2개의 세로 패널(13)이 사각형 형태로 배열되며, 가로 패널(12)의 측단부과 새로 패널(13)의 절곡 플랜지부(131)와 맞댄 상태에서 볼트(121)와 너트(123)에 의해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볼트(121)와 너트(123)를 풀고, 파손된 가로 패널(12) 또는 새로 패널(13)을 교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또한, 상기 집수정(10)은 상단에 호퍼부(155)가 형성된 상부 통(15), 중간 통(16) 및 하부 통(17)으로 구성되고, 상부 통(15)의 하부 플랜지(152)와 중간 통(16)의 상부 플랜지(162)가 볼트(도시하지 않음)와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고, 중간 통(16)의 하부 플랜지부(164)와 하부 통(17)의 상부 플랜지(172)가 볼트(도시하지 않음)와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집수정(10) 또는 여과망 하우징(30)이 파손되었을 경우, 플랜지에서 볼트와 너트를 풀러 파손된 통만을 교체하거나, 상부 통(15), 중간 통(16) 및 하부 통(17)을 분리한 후 여과망 하우징(30)을 수리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여과망 하우징(30)은 2개의 가로 패널(31)과 2개의 세로 패널(32)로 구성되며, 가로 패널(31)의 절곡 플랜지부(311)와 새로 패널(32)의 측단이 맞댄 상태에서 볼트(313)와 너트(314)에 의해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여과망 하우징(30)은 상부 통(33), 중간 통(34) 및 하부 통(35)으로 구성되고, 상부 통(33)의 하부 플랜지(331)와 중간 통(34)의 상부 플랜지(342)가 볼트(도시하지 않음)와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고, 중간 통(34)의 하부 플랜지부(344)와 하부 통(35)의 상부 플랜지(351)가 볼트(도시하지 않음)와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맞대어진 상부 통(33)의 하부 플랜지(331)와 중간 통(34)의 상부 플랜지(342)에 하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제 1 통공(36)이 형성되며, 서로 맞대어진 중간 통(34)의 하부 플랜지부(344)와 하부 통(35)의 상부 플랜지(351)에 하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제 2 통공(37)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통(33)의 하부 플랜지(331)와 중간 통(34)의 상부 플랜지(342)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집수정(10)의 상부 통(15)의 하부 플랜지(152)와 중간 통(16)의 상부 플랜지(162) 사이에 배치되며, 볼트와 너트에 의해 동시에 결합되고, 중간 통(34)의 하부 플랜지부(344)와 하부 통(35)의 상부 플랜지(351) 또한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집수정(10)의 중간 통(16)의 하부 플랜지부(164)와 하부 통(17)의 상부 플랜지(172) 사이에 배치되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동시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여과망 하우징(30)은 상부 통(33), 중간 통(34) 및 하부 통(35)을 각각 분리하여 파손된 것만을 교체하거나, 상부 통(33), 중간 통(34) 및 하부 통(35)을 분리한 후, 고장난 1차 파쇄기(50) 또는 2차 파쇄기(60)를 수리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1차 파쇄기(50)는 제 1 및 제 2 샤프트(51, 52)가 집수정(10) 및 여과망 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샤프트(51)에 제 1 모터(M1)의 구동축이 연결되고, 제 2 샤프트(52)에 제 2 모터(M2)의 구동축이 연결되며, 제 1 샤프트(51)에 큰 원판형 커터(53)와 작은 원판형 커터(54)가 교번되게 장착되고, 제 2 샤프트(52)에 큰 원판형 커터(55)와 작은 원판형 커터(56)가 교번되게 장착되어, 제 1 샤프트(51)의 작은 원판형 커터(54)와 제 2 샤프트(52)의 큰 원판형 커터(55)가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 1 샤프트(51)의 큰 원판형 커터(53)와 제 2 샤프트(52)의 작은 원판형 커터(56)가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1차 파쇄기(50)는 제 1 모터(M1)와 제 2 모터(M2)에 의해 제 1 샤프트(51)와 제 2 샤프트(52)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교번되게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1 샤프트(51)의 작은 원판형 커터(54)와 제 2 샤프트(52)의 큰 원판형 커터(55) 사이로 그리고 제 1 샤프트(51)의 큰 원판형 커터(53)와 제 2 샤프트(52)의 작은 원판형 커터(56) 사이로 유입된 오물들이 수중에서 분쇄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대안으로, 상기 1차 파쇄기(50)는 제 1 및 제 2 샤프트(51', 52')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샤프트(51')에 제 1 모터(M1')의 구동축이 연결되고, 제 2 샤프트(52')에 제 2 모터(M2')의 구동축이 연결되며, 제 1 샤프트(51')에 다수개의 원판형 커터(53')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고, 제 2 샤프트(52')에 다수개의 원판형 커터(55')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원판형 커터(53') 사이에 원판형 커터(53')의 측면 둘레에 배치된 그라인딩 팁(54')과 원판형 커터(55')의 측면 둘레에 배치된 그라인딩 팁(56')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원판형 커터(53')와 원판형 커터(55)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1차 파쇄기(50)는 제 1 모터(M1')와 제 2 모터(M2')에 의해 제 1 샤프트(51')와 제 2 샤프트(52')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교번되게 회전하게 됨으로써, 원판형 커터(53')의 그라인딩 팁(54')과 원판형 커터(55')의 그라인딩 팁(56')이 오물을 마쇄하게 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공기분사기(70)는 연결관(75)을 통해 공기 압축기(73)의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집수정(10)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는 상기 집수정(10)의 배수구(11)와 침전 탱크(90)의 투입구가 제 1 연결관(P1)에 의해 연결되고, 침전탱크(90)의 배수구가 제 2 연결관(P2)에 의해 샌드 여과기(100)에 연결되어, 침전 탱크(90)에서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침전 방식으로 1차적으로 분리된다.
10 : 집수정 20 : 하수 공급관
30 : 여과망 하우징 40 : 유도간극
50 : 1차 파쇄기 60 : 2차 파쇄기

Claims (10)

  1. 집수정(10)의 상부에 하수 공급관(20)이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내부에 여과망 하우징(30)이 배치되어, 집수정(10)과 여과망 하우징(30) 사이에 유도간극(40)이 형성되며, 여과망 하우징(30)이 중간 거름망(31)에 의해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로 구분되고,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에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각각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둘레와 하부면에 다수개의 공기분사기(70)가 장착되고, 집수정(10)의 둘레에 배수구(11)가 형성되고, 배수구(11)가 1차 파쇄기(5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집수정(10)에 하수의 수면(Wf)이 배수구(11)와 일치되게 유지됨으로써, 여과망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는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하수의 수면(Wf)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1차 파쇄기(50)가 배치된 상부 격실(32)을 커버하도록, 상부 격실(32)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여과망(34)과, 상부 여과망(34)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로팅 장치(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 하우징(30)에는 2mm 지름의 여과구멍이 타공되고, 중간 거름망(31)에는 5mm 지름의 여과구멍이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10)은 2개의 가로 패널(12)과 2개의 세로 패널(13)이 사각형 형태로 배열되며, 가로 패널(12)의 측단부과 새로 패널(13)의 절곡 플랜지부(131)와 맞댄 상태에서 볼트(121)와 너트(123)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10)은 상단에 호퍼부(155)가 형성된 상부 통(15), 중간 통(16) 및 하부 통(17)으로 구성되고, 상부 통(15)의 하부 플랜지(152)와 중간 통(16)의 상부 플랜지(162)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중간 통(16)의 하부 플랜지부(164)와 하부 통(17)의 상부 플랜지(172)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6. 집수정(10)의 상부에 하수 공급관(20)이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내부에 여과망 하우징(30)이 배치되어, 집수정(10)과 여과망 하우징(30) 사이에 유도간극(40)이 형성되며, 여과망 하우징(30)이 중간 거름망(31)에 의해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로 구분되고,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에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각각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둘레와 하부면에 다수개의 공기분사기(70)가 장착되고, 집수정(10)의 둘레에 배수구(11)가 형성되고, 배수구(11)가 1차 파쇄기(5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집수정(10)에 하수의 수면(Wf)이 배수구(11)와 일치되게 유지됨으로써, 여과망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는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하수의 수면(Wf)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여과망 하우징(30)은 2개의 가로 패널(31)과 2개의 세로 패널(32)로 구성되며, 가로 패널(31)의 절곡 플랜지부(311)와 새로 패널(32)의 측단이 맞댄 상태에서 볼트(313)와 너트(314)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7. 집수정(10)의 상부에 하수 공급관(20)이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내부에 여과망 하우징(30)이 배치되어, 집수정(10)과 여과망 하우징(30) 사이에 유도간극(40)이 형성되며, 여과망 하우징(30)이 중간 거름망(31)에 의해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로 구분되고, 상부 격실(32)과 하부 격실(33)에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각각 배치되고, 집수정(10)의 둘레와 하부면에 다수개의 공기분사기(70)가 장착되고, 집수정(10)의 둘레에 배수구(11)가 형성되고, 배수구(11)가 1차 파쇄기(5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집수정(10)에 하수의 수면(Wf)이 배수구(11)와 일치되게 유지됨으로써, 여과망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는 1차 파쇄기(50)와 2차 파쇄기(60)가 하수의 수면(Wf)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여과망 하우징(30)은 상부 통(33), 중간 통(34) 및 하부 통(35)으로 구성되고, 상부 통(33)의 하부 플랜지(331)와 중간 통(34)의 상부 플랜지(342)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중간 통(34)의 하부 플랜지부(344)와 하부 통(35)의 상부 플랜지(351)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맞대어진 상부 통(33)의 하부 플랜지(331)와 중간 통(34)의 상부 플랜지(342)에 하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제 1 통공(36)이 형성되며, 서로 맞대어진 중간 통(34)의 하부 플랜지부(344)와 하부 통(35)의 상부 플랜지(351)에 하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제 2 통공(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파쇄기(50)는 제 1 및 제 2 샤프트(51, 52)가 집수정(10) 및 여과망 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샤프트(51)에 제 1 모터(M1)의 구동축이 연결되고, 제 2 샤프트(52)에 제 2 모터(M2)의 구동축이 연결되며, 제 1 샤프트(51)에 큰 원판형 커터(53)와 작은 원판형 커터(54)가 교번되게 장착되고, 제 2 샤프트(52)에 큰 원판형 커터(55)와 작은 원판형 커터(56)가 교번되게 장착되어, 제 1 샤프트(51)의 작은 원판형 커터(54)와 제 2 샤프트(52)의 큰 원판형 커터(55)가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 1 샤프트(51)의 큰 원판형 커터(53)와 제 2 샤프트(52)의 작은 원판형 커터(56)가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파쇄기(50)는 제 1 및 제 2 샤프트(51', 52')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샤프트(51')에 제 1 모터(M1')의 구동축이 연결되고, 제 2 샤프트(52')에 제 2 모터(M2')의 구동축이 연결되며, 제 1 샤프트(51')에 다수개의 원판형 커터(53')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고, 제 2 샤프트(52')에 다수개의 원판형 커터(55')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원판형 커터(53') 사이에 원판형 커터(53')의 측면 둘레에 배치된 그라인딩 팁(54')과 원판형 커터(55')의 측면 둘레에 배치된 그라인딩 팁(56')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10)의 배수구(11)와 침전 탱크(90)의 투입구가 제 1 연결관(P1)에 의해 연결되고, 침전탱크(90)의 배수구가 제 2 연결관(P2)에 의해 샌드 여과기(100)에 연결되어, 침전 탱크(90)에서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침전 방식으로 1차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KR1020150159624A 2015-11-13 2015-11-13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KR10177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624A KR101774958B1 (ko) 2015-11-13 2015-11-13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624A KR101774958B1 (ko) 2015-11-13 2015-11-13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229A KR20170056229A (ko) 2017-05-23
KR101774958B1 true KR101774958B1 (ko) 2017-09-05

Family

ID=5905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624A KR101774958B1 (ko) 2015-11-13 2015-11-13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3952A (zh) * 2018-11-09 2019-01-11 王永 一种环保节能的防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7439B (zh) * 2017-12-15 2020-05-19 广东五月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处理的多级破碎装置
CN108311190A (zh) * 2018-03-22 2018-07-24 深圳高佳研机械研究设计有限公司 一种化工石膏用研磨机
CN109205912B (zh) * 2018-11-23 2021-09-03 李恒赳 一种加速头发降解的污水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783A (ja) * 2000-04-07 2001-10-19 Toto Ltd 洗浄タンク
JP2007253142A (ja) * 2006-03-20 2007-10-04 Shinyo Sangyo Kk レトルト食品袋等水中破砕洗浄及び有機物分解浄化排水装置。
KR100939519B1 (ko) * 2009-08-05 2010-02-03 (주)현대산기 목재 분쇄 장치
KR100989414B1 (ko) * 2010-03-15 2010-10-26 대송환경개발(주) 정화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783A (ja) * 2000-04-07 2001-10-19 Toto Ltd 洗浄タンク
JP2007253142A (ja) * 2006-03-20 2007-10-04 Shinyo Sangyo Kk レトルト食品袋等水中破砕洗浄及び有機物分解浄化排水装置。
KR100939519B1 (ko) * 2009-08-05 2010-02-03 (주)현대산기 목재 분쇄 장치
KR100989414B1 (ko) * 2010-03-15 2010-10-26 대송환경개발(주) 정화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3952A (zh) * 2018-11-09 2019-01-11 王永 一种环保节能的防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229A (ko)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958B1 (ko) 집수정용 오물분쇄장치
CN104107828A (zh) 一种高效垃圾处理器
CN107583356B (zh) 一种废水预处理设备
CN108640317A (zh) 一种污水处理过滤箱
CN111704309A (zh) 一种研磨机用水循环装置
CN217148799U (zh) 一种建筑施工废水回收处理装置
CN205367807U (zh) 一种隔油池
KR20090068422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
CN208553315U (zh) 一种污水处理用固液分离装置
CN208667290U (zh) 一种铝提纯废水处理装置
CN215465123U (zh) 一种水循环利用的洗砂设备
CN211620162U (zh) 一种絮凝沉淀污水除杂装置
CN209619019U (zh) 一种新型建筑污水处理装置
CN206204050U (zh) 一种用于生活污水排水装置的水处理装置
CN216755678U (zh) 一种路桥施工用污水处理装置
CN205435100U (zh) 一种污水过滤装置及污水处理系统
CN204981377U (zh) 一种用于自来水生产的v型金属膜滤池
CN209740850U (zh) 一种废水回收利用池
CN104107830A (zh) 一种厨用垃圾处理器
CN203486419U (zh) 一种自排污水垃圾处理分装箱
CN212833129U (zh) 一种石油化工用油水分离装置
CN219817443U (zh) 一种混凝土废料回收装置
CN204035172U (zh) 一种台式垃圾处理器
CN220928119U (zh) 一种防堵塞型建筑给排水管道
CN209537044U (zh) 一种含油污水处理用废弃油料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