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833B1 - 푸시버튼장치 및 푸시버튼장치들을 포함한 크로노그래프시계 - Google Patents

푸시버튼장치 및 푸시버튼장치들을 포함한 크로노그래프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833B1
KR100779833B1 KR1020000020872A KR20000020872A KR100779833B1 KR 100779833 B1 KR100779833 B1 KR 100779833B1 KR 1020000020872 A KR1020000020872 A KR 1020000020872A KR 20000020872 A KR20000020872 A KR 20000020872A KR 100779833 B1 KR100779833 B1 KR 10077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ushbutton
pin
lever
pushbutt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749A (ko
Inventor
알폰스브론
Original Assignee
에따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끄 데보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끄 데보슈 filed Critical 에따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끄 데보슈
Publication of KR2000007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8Operation exclusively by axial movement of a push-button, e.g. for chronograph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 G04B27/004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having several simultaneous functions, e.g. stopping or starting the clockwork or the h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32Operating force
    • H01H2227/034Regul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6Application timepie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푸시버튼 장치는 평면 지지수단(2)에서 회전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스터드에 대하여 삼각형으로 배치된 두 다른 핀들(14,16)과 베이스(22)와 제 1 및 제 2 아암(28,32)을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컷아웃 부분(21)을 포함하는 제 2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2)는 기능이 활성화 되도록 하나이상의 제어수단(24)과 가이드램프(3)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가이드 수단(23)을 지지한다.
강체아암(28)은 레버(11)의 제 1 핀(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가요성 아암(32)은 비작동위치에서 제 2핀(16)의 지지수단으로 작용하는 노치(34)를 자유단부에 가진다. 상기 노치(34)는 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통과함으로써 클릭킹을 제공하고 가요성 아암(32)을 가압하며 제 2핀(16)이 슬리이드 되는 것에 대하여 U자 형상의 컷아웃 부분(21)의 외부를 향하여 경사진 외부 변부(38)를 가지는 부리형상의 팁(36)에 의해 연장된다.

Description

푸시버튼장치 및 푸시버튼장치들을 포함한 크로노그래프시계{PUSH-BUTTON MECHANISM AND TIMEPIECE FITTED WITH SUCH MECHANISMS}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고 정지위치에 배열된 푸시버튼장치의 제 1 실시예를 개략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푸시버튼에 하중이 가해질 때 본 발명을 따르는 푸시버튼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개략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조절기능을 가지는 두 가지 형태의 핀(pin)들을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따르는 푸시버튼장치를 포함하고 스위치오프된 상태에 있을 때 크로노그래프 시계의 운동학적 연결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스타트(start) 또는 스톱(stop)기능의 푸시버튼이 가압될 때 도 4에 도시된 푸시버튼장치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부호설명*
1,1a,1b.....푸시버튼장치 2.....평면지지부재
25,25a,25b.....스터드 34....노치
38........외측변부 41,45....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촉각 또는 청각에 의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표시하도록 클릭(click)기능을 제공하며, 시계내부의 제위치에 설치될 때 기계적 제어요소의 반작용력에 작용하거나 전기접촉부를 스위치연결하도록 푸시버튼에 가해지는 하중이 조절될 수 있는 푸시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푸시버튼장치에 제공된 푸시버튼들에 의해 크로노그래프가 가지는 세 가지 기능들 즉, 스톱(stop)/스타트(start) 및 영점 리셋기능이 제어될 수 있는 크로노그래프시계 또는 스톱와치(stop watch)와 같은 시계에 관한 것이다.
매우 단순한 제어수단으로서 푸시버튼은 개략적으로 스템(stem) 또는 한쪽 단부가 밀폐된 작은 중공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템은 시계프레임의 횡방향 통로내에서 미끄럼운동하며 상기 스템헤드(head)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에 의해 정지위치에 고정되고 스템헤드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작동위치로 이동된다. 탄성수단은 주로 상기 횡방향 통로내에 수용되고 상기 시계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적어도 한 개의 단부에 의해 시계프레임에 고정되고 스템의 마주보는 단부들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헤드에 고정시키는 판스프링 또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음향원의 스위치연결 또는 불빛과 같이 시계의 정상적인 작동이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는 적용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재료와 조립기술에 관한 다수의 변형예가 존재할지라도 상기 제어수단은 만족할 만하다.
다른 경우,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사용자는 선택된 기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을지라도 선택된 기능이 실제로 작동하는 것을 확실히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기계식 또는 전자식 크로노그래프 시계에 있어서, 푸시버튼을 가압하여 시간측정을 개시하거나 중지시키는 명령이 사용자가 주시해야 하는 행위와 동시에 수행되어, 사용자는 더 이상 크로노그래프의 정상작동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푸시버튼을 가압할 때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클릭기능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 4,451,719호에 의하면, 나선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해 스템이 튜브내에서 미끄럼운동하고, 기능이 수행되기 바로 전에 클릭기능을 형성하도록 상기 튜브의 넥(neck)을 통과하는 탄성요소가 스템에 제공된다. 상기 장치의 문제점에 의하면, 탄성요소가 마모됨에 따라 클릭기능이 점차로 불분명해지고, 단지 스프링의 압축상태를 조절하여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일본 실용신안 제 7812/79 호에 의하면, 탄성수단이 금속스트립을 가지고, 금속스트립의 한쪽 단부가 케이스의 바닥에 고정되며, 금속스트립의 자유단부가 푸시버튼을 정지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푸시버튼의 종방향을 따라 U 자형상으로 구부러지는 부분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된다. 탄성을 가진 자유부분이 플레이트의 스터드에 대해 지지되고 단부에서 초과두께를 가지며, 푸시버튼이 가압될 때 스터드는 클릭기능을 형성하며 초과두께를 통과한다. 가해지는 압력은 푸시버튼에 대한 금속스트립에 의존하고 U자형상의 연장부가 가지는 자유부분에 의존하며 금속스트립과 스터드가 가지는 위치들의 상태위치에 의존하는 하중들의 결과이므로, 필연적으로 제조공차 및 조립공차가 변화하여, 푸시버튼에 가해지는 하중이 관련되는 한, 각 장치들의 공차들이 제어될 수 없다.
복잡한 운동학적 연결체인을 위해 푸시버튼이 이용될 때, 클릭기능이 만족스럽게 감지되지 못하도록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클릭기능을 형성하는 장치를 가진 푸시버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푸시버튼장치의 탄성귀환수단이 판스프링으로 제공되고, 푸시버튼의 헤드에 가해지는 하중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버튼에 의해 하중이 작용하여 클릭기능을 형성하고 귀환수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평면들내에서 평면지지부재와 평행하게 운동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기계적 작동 또는 전기적 작동을 형성하는 푸시버튼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 1 부재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지지부재에 부착된 스터드에서 레버의 단부들 중 한 개의 단부에 의해 레버가 피봇운동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스터드에 대해 삼각형구조로 배열된 제 1 핀과 제 2 핀을 포함하고, 기다란 형상의 제 2 부재가 베이스를 형성하며 U자형상을 가진 절단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가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는 평면지지부재에 부착된 안내램프를 따라 미끄럼운동하는 안내수단 및, 레버와 접촉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한 개이상의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재의 제 1 아암이 강성을 가지고 자유단부를 가지며, 상기 레버의 제 1 핀위에서 상기 자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아암이 가요성을 가지고 자유단부에서 노치를 가지며, 상기 레버의 제 2 핀은 정지위치에서 상기 노치위에 배열되고, 상기 노치가 부리형상의 팁까지 연장되며, 상기 팁은 상기 절단부분의 외측부를 향하는 외측변부를 가지고, 푸시버튼에 의해 하중이 강성의 제 1 아암에 작용하고 가요성의 제 2 아암이 압축되어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클릭기능을 형성할 때 레버의 제 2 핀이 상기 외측변부에 대해 미끄럼운동한다.
단지 푸시버튼장치의 다른 부품들과 조립할 때 발생하는 문제에 기인하여, 각 아암의 변부들이 모두 평행하지는 않은 부재에 의해 상기 기다란 제 2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시계와 같이 높이가 감소되어 소형화되어야 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푸시버튼장치를 형성하는 두 개의 부재들은 균일한 두께의 플레이트로 절단되고, 레버는 삼각형구조를 가지며, U자형상의 제 2 부재는 상대적으로 넓은 강성의 제 1 아암 및 상대적으로 좁은 가요성의 제 2 아암을 포함한다. 일정한 가요성을 가진 재료가 두 개의 부재들을 형성할 수 있지만, 스프링강과 같은 금속합금 또는 금속이 시계와 같이 긴 수명을 요구되는 적용예에서 선택될 수 있다.
레버위에 구성된 두 개의 핀들과 스터드의 상대위치들 또는 제 2 부재가 가지는 제 2 아암의 길이 또는 제 2 아암의 단부에 형성된 팁의 외측변부가 가지는 경사와 같이 두 개의 부재들이 가지는 기하학적 구조를 설계할 때, 정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하중이 고려될 수 있다. 팁의 외측변부가 가지는 경사를 이용하면, 서로 다른 가압력이 요구되는 푸시버튼장치들이, 단지 상기 팁의 외측변부를 적합하게 기계가공하여 동일한 거친 부품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푸시버튼장치를 시계에 장착한 후에 정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하중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푸시버튼장치는 푸시버튼에 가해지는 하중(F)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가요성을 가진 제 2 아암의 만곡점을 수정하거나 강성을 가진 제 1 아암에 대한 제 2 아암의 초기거리를 수정하기 위하여 상기 절단부분의 마주보는 변부들사이에 상기 조절수단이 배열된다.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절수단이 원통형 몸체를 가진 핀에 의해 제공되고, 가요성을 가진 제 2 아암의 만곡점을 수정하기 위하여,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의 평행한 변부들사이에 노치들이 배열되고, 상기 노치들사이에 형성된 여러 개의 위치들이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핀에 점유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핀은 그루브 또는 요홈을 가진 타원형 몸체를 가진다. 상기 제 1 아암과 제 2 아암의 변부들내에 형성되고 캠으로서 작동하며 서로 마주보는 요홈구조의 노치들사이에 상기 핀이 배열되고, 캠의 방향에 따라 조절하중이 추가로 발생된다. 상기 핀은 제 2 부재에 구성된 두 개의 아암들사이에 밀어 넣어지거나 결합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용하면, 푸시버튼장치가 특히 복잡한 운동학적 체인장치에 작용되어야 할 때 제조공차에 기인하여 장치마다 변화할 수 있는 작용하중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제조라인에서 제조되는 모든 푸시버튼장치들의 푸시버튼에 대해 동일한 작용하중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로 다른 푸시버튼장치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스타트/스톱 푸시버튼과 영점리셋 푸시버튼을 포함한 크로노그래프 시계와 같이, 동일한 시계가 여러 개의 푸시버튼들을 포함할 때, 푸시버튼들이 작용하는 푸시버튼장치들에 의해 서로 다른 작용하중이 형성되더라도, 푸시버튼들에 대해 가해지는 하중은 동일하다.
U자형상을 가진 제 2 부재의 베이스에 구성된 제어수단이 안내수단과 일체구성되고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서 평면지지부재를 향하는 베이스의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체구성된 제어 및 안내수단은 상기 제 2 부재의 평면과 수직인 평면으로 구부러진 베이스의 연장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푸시버튼에 의해 강성의 제 1 아암에 압력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해질 때, 스터드가 안내램프를 따라 미끄럼운동하여 전기접촉부를 스위치연결하거나 기계적 요소를 이동시킨다. 스터드의 운동을 두 개의 단부위치들사이로 제한하고 예를 들어, 톱니구조를 가진 크라운이 한 개의 톱니만큼 전진하도록 평면지지부재 또는 평면지지부재에 부착된 또 다른 부재내부에 배열된 타원형 구멍(hole)에 의해 상기 안내램프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두 개의 기능들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거나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같은 제 2 제어수단과 제어 및 안내수단이 푸시버튼장치에 구성된다.
또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포함한 본 발명의 푸시버튼장치에 의하면, 기술적인 이유 또는 미적인 이유에서 시계의 중간부분에 배열될 수 있는 푸시버튼에 대하여 부재들의 위치가 자유롭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을 참고할 때, 평면지지부재(2)위에 푸시버튼장치(1)가 장착되고, 상기 평면지지부재(2)는 시계운동장치의 플레이트(plate)와 같이 케이스의 바닥부 또는 바닥부에 부착된 장착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의 푸시버튼장치(1)가 정지위치에 배열되고 즉 푸시버튼(4)에 대해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 푸시버튼장치(1)의 위치가 도시된다. 푸시버튼장치(1)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제어부재가 레버(5)에 의해 평면지지부재(2)위에 제공되고, 스위치연결되는 전기접촉부가 접촉플레이트(6)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따르는 한 개이상의 푸시버튼장치를 포함하는 구조에 따라 단지 한 개의 기능 또는 두 개이상의 기계적 기능 또는 전기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면지지부재(2)에 대해 평행하고 배열되고 서로에 대해 운동하는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에 의해 상기 푸시버튼장치(1)가 구성된다.
평면지지부재(2)에 부착된 스터드(12)위에서 레버(11)가 피봇운동하고, 상기 레버(11)에 의해 제 1 부재(10)가 구성된다. 상기 레버(11)는 삼각형구조로 배열된 다른 두 개의 제 1 핀(14)과 제 2 핀(16)을 포함한다. 도 1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레버(11)에 부착된 제 1 핀(14)과 제 2 핀(16)은 상기 레버(11)의 표면위에 배열된다. 상기 제 1 핀(14)과 제 2 핀(16)은 평면지지부재(2)를 향해 동일한 방향을 가지고 상기 스터드(12)와 동일한 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제 1 부재(1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구조를 가지고, 제 1 부재의 정확한 형상은 푸시버튼장치가 설치되는 다른 부품들에 의존한다.
제 2 부재(20)는 기다란 형상을 가지고, 제 2 부재(20)의 중간부분은 U자형상의 절단부분(21)을 포함하며 베이스(22), 강성의 제 1 아암(28) 및 가요성의 제 2 아암(3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아암(28)의 자유단부(29)가 레버(11)의 제 1 핀(14)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2아암(32)의 자유단부(33)가 부리형상의 팁(36)으로 연장되는 노치(34)를 포함하고, 상기 팁(36)의 외측변부(38)가 상기 절단부분(21)의 외측부를 향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푸시버튼장치가 정지위치에 배열될 때, 제 1 아암(28)과 제 2 아암(32)이 경미하게 클램핑되어 레버(11)에 부착된 제 2 핀(16)이 노치(34)의 하부에 대해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 2 핀(16)이 배열된다. 상기 평면지지부재(2)에 대해 수직으로 구성되고 베이스(22)의 스터드(25)로서 구성되는 안내수단(23)이 상기 베이스(22)에 제공된다. 상기 안내수단(23)은 베이스(22)의 연장부를 접어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내수단(23)이 안내램프(3)를 따라 미끄럼운동하고, 두 개의 레그들에 의해 상기 평면지지부재(2)에 고정되는 바(bar)로서 상기 안내램프(3)가 개략도시된다. 기계적 기능 또는 전기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24)이 베이스(22)의 연장부(26) 또는 스터드(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암(28)과 제 2 아암(32)이 가지는 강성 또는 가요성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기술 및 특히 각 아암들의 구성부분들을 변경하여 제공될 수 있다. 가장 경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제 2 부재(20)를 금속시트와 같이 균일한 두께의 판으로 절단하고 강성의 제 1 아암(28)과 가요성의 제 2 아암(32)을 가지도록 제 1 아암(28)과 제 2 아암(32)의 폭을 선택한다.
도 2를 참고할 때, 푸시버튼(4)에 의해 하중(F)이 강성의 제 2 아암(28)에 가해질 때 푸시버튼장치(1)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의 푸시버튼장치와 비교할 때, 도 2의 푸시버튼장치(1)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수단(40)에 의해 제 2 아암(32)의 만곡점이 변화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되고 원통형 몸체(43)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헤드(42,44)들을 가진 핀(41)에 의해 상기 조절수단(40)이 제공된다. 강성의 제 1 아암(28)과 가요성의 제 2 아암(32)의 마주보는 변부들내에 노치(28a,32a)들이 구성되고, 상기 노치(28a,32a)들사이에 형성된 여러 개의 위치들이 상기 핀(41)에 의해 점유된다. 예를 들어, 상기 형태의 푸시버튼장치(1)는 위치설정을 위한 네 개의 노치들을 가지고, 작용하중이 핀(40)의 위치에 관한 함수로서 측정된다.
Figure 112006508951367-pat00007
삭제
*는 핀(40)이 제거되는 위치임.
핀이 한 개의 위치로부터 다음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작용하중은 약 10 %만큼 변화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아암(28)과 제 2 아암(32)의 마주보는 변부들이 그루브구조의 벽을 가진 단지 한 개의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변부들사이에 핀(45)이 삽입되며, (도 3B를 참고할 때,) 축을 따라 그루브를 가진 타원형 단면의 몸체(46)에 의해 상기 핀(45)의 헤드(47,48)들이 연결된다. 마주보는 두 개의 노치(28a,32a)들사이에 형성되고 캠(cam)으로서 작동하는 경사를 따라 상기 핀(45)이 가요성의 제 2 아암(32)에 대해 기계적 편향작용을 제공하고, 작용하중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고할 때, 하중(F)이 푸시버튼(4)에 의해 가해질 때 상기 평면지지부재(2)위에서 푸시버튼장치(1)가 점유하는 새로운 위치가 도시된다. 레버(11)가 스터드(12)주위에서 회전운동하고 제 2 부재(20)를 구동한다. 상기 제 2 부재(20)의 베이스(22)가 안내수단(23)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수단(23)이 안내램프(3)에 의해 직선운동을 수행하면, 강성의 제 1 아암(28)은 제 1 핀(14)주위에서 회전운동하여, 제 2 핀(16)은 노치(34)로부터 이탈하고 클릭기능을 형성하며 팁(36)의 외측변부(38)를 따라 제 2 핀(16)이 미끄럼운동한다. 상기 팁(36)에 구성된 외측변부(38)의 경사에 의해 제 1 아암(28)에 가해지는 하중(F)이 변화될 수 있다. 제 2핀(16)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안내수단(23)으로서 작동하는 스터드(25)가 레버(5)와 같은 기계적 제어수단을 이동시키고, 베이스(2)의 연장부(26)는 접촉플레이트(6)를 스위치연결한다. 레버(5)와 접촉플레이트(6)의 배열에 따라, 레버 및 접촉플레이트가 동시에 작동하거나 연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푸시버튼(4)이 구속해제될 때, 제 2 아암(32)이 가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장치(1)가 (도 1의) 초기위치로 귀환한다.
기어트레인과 모든 관련 제어장치들없이 도시한 도 4 및 도 5를 참고할 때, 와인딩(winding) 스템에 구성된 핀(7)의 측부들에서 크로노그래프 시계가 본 발명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푸시버튼장치(1a,1b)들을 포함하고, 푸시버튼(4a,4b)들을 이용하여 크로로그래프 시계의 스타트/스톱 기능 및 영점 리셋기능이 각각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두 개의 푸시버튼장치(1a,1b)들에 의해 작동되는 운동학적 체인구성이 미국특허 제 5,113,382 호에 설명되고 중첩된 두 개의 원형 제어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캠들은 푸시버튼장치(1a,1b)들을 포함한 부분에서 명확한 도시를 위해 도면에서 생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푸시버튼장치(1a)는 한편으로 제어캠(50)위에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한 세트의 레버(55) 및 브레이크(57)들위에 작용한다. 상기 제어캠(50)의 외측부가 톱니(51)들을 가져서, 푸시버튼(4a)이 가압될 때마다 스터드(25a)에 의해 제어캠(50)이 한 스텝만큼 회전구동될 수 있다. 톱니(51)가 가지는 톱니개수의 절반의 개수를 가지는 노치(52)들과 스터드(53)들이 제어캠(50)의 내측부에 연속배열된다. 도 5를 참고할 때, 푸시버튼(4a)에 하중이 가해지면 스터드(25a)가 (도 4의) 정지위치로부터, 안내램프(3)로서 작동하는 타원형 구멍(hole)(8)내부로 이동하고 제어캠(50)을 한 스텝만큼 이동시킨다. 이때 베이스의 연장부(27)가 레버(55)를 통해 브레이크(57)에 작용하여 브레이크를 상승시켜서, 크로노그래프 시계의 휠(58)이 구속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영점으로 리셋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톱퍼부재(59)가 제어캠(60)위에서 회전운동한다.
동일한 작동원리를 가지고 영점 리셋을 위한 푸시버튼장치(1b)에 대하여, 제어캠(60)의 외측부에 한 개의 구동노치(61)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노치(61)에 스터드(25b)가 연결되며, 스터드(25b)를 스터드의 최초위치로 귀환시키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귀환수단이 상기 제어캠(60)에 구성된다. 상기 제어캠(60)의 내측부가 노치(63)들을 포함하여, 다이알의 주변부에 분포되고 카운터들에 형성되는 해머들이 하트형상의 리셋용 캠들위로 운동하며, 도면들에서 상기 해머들 및 리셋용 캠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Claims (15)

  1. 푸시버튼(4)에 의해 하중(F)이 작용하여 클릭기능을 형성하고 귀환수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평면들내에서 평면지지부재(2)와 평행하게 운동하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를 포함하고, 기계적 작동 또는 전기적 작동을 형성하는 푸시버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10)가 레버(11)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지지부재(2)에 부착된 스터드(12)에서 레버(11)의 단부들 중 한 개의 단부에 의해 레버(11)가 피봇운동하며, 상기 레버(11)는 상기 스터드(12)에 대해 삼각형구조로 배열된 제 1 핀(14)과 제 2 핀(16)을 포함하고, 기다란 형상의 제 2 부재(20)가 베이스(22)를 형성하며 U자형상을 가진 절단부분(21)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2)가 제 1 아암(28) 및 제 2 아암(32)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22)는 평면지지부재(2)에 부착된 안내램프(3)를 따라 미끄럼운동하는 안내수단(23) 및, 레버(5)와 접촉플레이트(6)를 작동시키는 한 개이상의 제어수단(24)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재(20)의 제 1 아암(28)이 강성을 가지고 자유단부(29)를 가지며, 상기 레버(11)의 제 1 핀(14)위에서 상기 자유단부(29)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아암(32)이 가요성을 가지고 자유단부(33)에서 노치(34)를 가지며, 상기 레버(11)의 제 2 핀(16)은 정지위치에서 상기 노치(34)위에 배열되고, 상기 노치(34)가 부리형상의 팁(36)까지 연장되며, 상기 팁(36)은 상기 절단부분(21)의 외측부를 향하는 외측변부(38)를 가지고, 푸시버튼(4)에 의해 하중(F)이 강성의 제 1 아암(28)에 작용하고 가요성의 제 2 아암(32)이 압축되어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클릭기능을 형성할 때 레버(11)의 제 2 핀(16)이 상기 외측변부(38)에 대해 미끄럼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36)에 구성된 외측변부(38)의 경사에 의해 상기 제 1 아암(28)에 가해지는 하중(F)이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4)에 가해지는 하중(F)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40)이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아암(28)에 대하여 제 2 아암(32)의 만곡점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조절수단(40)이 상기 절단부분(21)의 평행한 변부들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40)은 원통형 몸체를 가진 핀(4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아암(28)과 제 2 아암(32)의 평행한 변부들에 마주보게 배열된 노치(28a,32a)들사이에 형성된 위치들이 상기 핀(41)에 의해 점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41)이 상기 노치(28a,32a)들의 위치들 중 한 개의 위치로부터 다음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푸시버튼(4)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F)이 10 %만큼 변화하도록 핀(41)의 위치설정하기 위한 노치(28a,32a)들이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40)이 그루브를 가진 타원형 몸체의 핀(45)에 의해 형성되고, 그루브를 가지고 마주보게 배열된 두 개의 노치들사이에 상기 타원형몸체가 배열되며, 강성을 가진 제 1 아암(28)과 가요성을 가진 제 2 아암(32)의 변부들내에 배열된 상기 노치들이 캠으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7. 제 4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28)과 제 2 아암(32)의 마주보는 변부들사이에 형성되는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핀(41,45)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수단(23)은 제 2 부재(20)에 구성된 베이스(22)의 스터드(25)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25)가 전기적 작동 또는 기계적 작동을 위한 제어수단(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24)은 베이스(22) 또는 베이스(22)의 연장부(27)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지지부재(2)내에 형성된 타원형 구멍(8)에 의해 상기 안내램프(3)가 제공되고, 타원형 구멍(8)이 가지는 두 개의 단부위치들사이에서 스터드(25a)의 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푸시버튼이 한 번 가압되어 톱니구조의 크라운이 한 스텝만큼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가 플레이트로부터 절단되고, 레버(11)가 삼각형구조를 가지며, 절단부분이 폭이 큰 제 1 아암(28) 및 폭이 작은 가요성의 제 2 아암(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절단되는 상기 플레이트가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15. 제 1 항의 푸시버튼장치를 포함한 크로노그래프시계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장치가 와인딩스템의 측부들에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푸시버튼장치에 의해 크로노그래프의 스타트 또는 스톱기능과 영점 리셋기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를 포함한 크로노그래프시계.
KR1020000020872A 1999-04-22 2000-04-20 푸시버튼장치 및 푸시버튼장치들을 포함한 크로노그래프시계 KR100779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746/99 1999-04-22
CH74699 1999-04-22
CH0746/99 1999-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749A KR20000071749A (ko) 2000-11-25
KR100779833B1 true KR100779833B1 (ko) 2007-11-28

Family

ID=419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872A KR100779833B1 (ko) 1999-04-22 2000-04-20 푸시버튼장치 및 푸시버튼장치들을 포함한 크로노그래프시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70251B1 (ko)
JP (1) JP4409707B2 (ko)
KR (1) KR100779833B1 (ko)
CN (1) CN1140860C (ko)
HK (1) HK1032118A1 (ko)
SG (1) SG92696A1 (ko)
TW (1) TW4344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3033B1 (en) * 1999-12-02 2006-11-07 Advanced Input Devices Uk Limited Actuator for a switch
US6952528B2 (en) * 2003-12-03 2005-10-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ariable force camera control
JPWO2006126258A1 (ja) * 2005-05-25 2008-12-25 富士通株式会社 剛性調節機構
ATE460689T1 (de) * 2006-12-13 2010-03-15 Longines Montres Comp D Mechanismus für die zeigerstellung eines stundenanzeigers
JP5536623B2 (ja) * 2010-02-03 2014-07-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クロノグラフ時計
CH705461A1 (fr) * 2011-09-05 2013-03-15 Manuf Roger Dubuis Sa Dispositif de commande pour pièce d'horlogerie.
CN106094489B (zh) * 2016-08-25 2018-10-09 烟台持久钟表有限公司 一种塔钟机芯防掉针结构
EP3418813A1 (fr) * 2017-06-23 2018-12-26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Dispositif de commande a couronne-poussoir pour un objet portable de petites dimens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215A (ko) * 1993-03-23 1994-10-20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라테 날짜표시기가 있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6246A (en) * 1980-10-21 1985-01-29 Kabushiki Kaisha Suwa Seikosha Timepiece construction
CH645235GA3 (ko) 1981-04-23 1984-09-28
JPH0684991B2 (ja) * 1984-01-13 1994-10-2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電子時計
US5339297A (en) * 1989-06-19 1994-08-16 Seiko Epson Corporation Switching arrangement for applying battery voltage to circuitry block in an analog timepiece
CH678911B5 (ko) 1990-04-12 1992-05-29 Ebauchesfabrik Eta A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215A (ko) * 1993-03-23 1994-10-20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라테 날짜표시기가 있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특1994-0022215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749A (ko) 2000-11-25
SG92696A1 (en) 2002-11-19
JP2000321381A (ja) 2000-11-24
TW434465B (en) 2001-05-16
JP4409707B2 (ja) 2010-02-03
CN1140860C (zh) 2004-03-03
US6270251B1 (en) 2001-08-07
CN1271873A (zh) 2000-11-01
HK1032118A1 (en)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833B1 (ko) 푸시버튼장치 및 푸시버튼장치들을 포함한 크로노그래프시계
EP1975956B1 (en) Trigger Switch
US2417169A (en) Snap switch
CN110199369A (zh) 用于键盘的键模块以及键盘
US6494615B2 (en) Control device with a snap function and watch fitted therewith
US20080023315A1 (en) Switch device
JPH0636039B2 (ja) 時計の制御装置
US2684418A (en) Actuating mechanism
US4200778A (en) Electric keyboard of snap-contact type
JP4899644B2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機構
JP2008021528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604910Y2 (ja) プッシュ・プッシュスイッチのロック構造
EP1046963B1 (fr) Mécanisme à bouton-poussoir et pièce d'horlogerie munie de tels mécanismes
JPH0528667Y2 (ko)
JPH0451388Y2 (ko)
CN1122892C (zh) 多功能按钮接触夹板
US2507428A (en) Electrical apparatus
JPH05114330A (ja) 時計ムーブメント用押圧子機構
JP4187638B2 (ja) クリック機構
JPS5939387Y2 (ja) 連動スイツチ
JP3052484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の変位拡大機構
JP3372937B2 (ja) 押釦スイッチ
JPH05266755A (ja) 押釦スイッチ
JPH09134644A (ja) スイッチ装置
JPH076577Y2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