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722B1 -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722B1
KR100779722B1 KR1020070017117A KR20070017117A KR100779722B1 KR 100779722 B1 KR100779722 B1 KR 100779722B1 KR 1020070017117 A KR1020070017117 A KR 1020070017117A KR 20070017117 A KR20070017117 A KR 20070017117A KR 100779722 B1 KR100779722 B1 KR 100779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ed
chain
sorting
wind power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종성
Original Assignee
함종성
에이치에스리싸이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종성, 에이치에스리싸이클링(주) filed Critical 함종성
Priority to KR102007001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의 이물질 등이 선별된 혼합재활용품이 다단의 크기선별컨베이어를 이송하면서 재활용품의 대,중,소에 따라서 선별되도록 하고, 또한 대,중,소의 재활용품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투입되는 풍력선별기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재활용품의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유리병분배구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로 분배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수지를 효율적으로 선별 수거하여 재활용품의 선별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다른 물질이 석이지 않기 때문에 고 순도의 합성수지를 선별할 수 있는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거된 혼합재활용품이 구동원(101)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휠(111,121,131)들이 높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체인휠(111,121,131)들에 체인(112,122,132)들의 주행간격이 서로 다른 제 1, 2, 3 체인군(110,120,130)으로 배치된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100)에 통과되어, 재활용품의 크기에 따라서 각 저장조(40)에 저장되도록 되고, 상기 각 저장조(40)에 크기별로 분리 선별된 재활용품이 풍력수단(210)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불어넣어지는 풍력선별기(200)에서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210)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220)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230)로 분배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수거된 재활용가능한 혼합재활용품이 구동원(101)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휠(111,121,131)이 높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체인휠(111,121,131)들에 체인(112)들이 주행하도록 하는 제 1 체인군(110)과, 상기 제 1 체인군(110)의 체인휠(111)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122)이 주행하는 제 2 체인군(120)과, 상기 제 2 체인군(120)의 체인휠(121)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132)이 주행하는 제 3 체인군(130)으로 이루어진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100)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크기별로 수거된 저장조(40)의 재활용품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210)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투입되는 풍력선별기(200)의 다단 경사통로(250)들에 순차적으로 정렬 투입되도록 하여, 재활용품의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210)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210)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220)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230)로 분배 배출된다.
제 1,2,3 체인군,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 체인휠, 체인, 구동원, 구동기어, 종동기어, 풍력선별기, 풍력수단, 유리병분배구, 합성수지병분배구,경사통로

Description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Select apparatus of plastics of Use}
도 1 은 본 발명의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의 시스템 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의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의 시스템의 측면도,
도 3a,b,c 는 본 발명의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에서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의 평면, 측면 및 정면도,
도 4 은 본 발명의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에서 풍력선별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동선별라인 20 : 스트레이트 세퍼레이터
30 : 경사컨베이어 40 : 저장조
50 : 게이트 60 : 개폐수단
70 : 이송컨베이어 80 : 에스컬레이터
100 :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 101 : 구동원
102 : 구동기어 113,123,133 : 종동기어
110,120,130 : 제 1, 2, 3체인군 111,121,131 : 체인휠
112,122,132 : 체인 200 : 풍력선별기
210 : 풍력수단 220 : 유리병분배구
230 : 합성수지병분배구 240 : 호퍼
250 : 경사통로 300 : 유리병저장통
400 : 합성수지병저장통
본 발명은 재활용 가능한 혼합재활용품의 크기와 재활용품중에서 수지를 분리 선별할 수 있는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의 이물질 등이 선별된 혼합재활용품이 다단의 크기선별컨베이어를 이송하면서 재활용품의 대,중,소에 따라서 선별되도록 하고, 또한 대,중,소의 재활용품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투입되는 풍력선별기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재활용품의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로 분배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수지를 효율적으로 선별 수거하여 재활용품의 선별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다른 물질이 석이지 않기 때문에 고 순도의 합성수지를 선별할 수 있는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활용 가능 물품을 수거하게 되면 금속, 비철금속, 플라스틱, 유리등과 같은 종류별로 선별하고, 또 나아가서는 선별된 재활용 가능 물품에서도 색상별로 세분화하여 선별하여야만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재활용 가능 물품을 선별할 때에는 자동화로 가능한 부분이 있고, 특성상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부분이 있다. 자동화로 가능한 부분은 주로 크기별로 선별하는 공정이나, 금속을 선별하는 공정 등에 주로 사용되고, 플라스틱과 유리 및 비철금속 선별작업과 아울러 색상별 선별작업은 주로 수작업에 의해 선별되고 있다. 또한 재활용 가능 물품의 재활용 효율은 이러한 선별공정들이 자동화될 수록 그리고 자동으로 진행되는 구간에 설치된 장치들의 성능에 따라 생산성 효율이 좌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선별 공정들이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또 크기별로 선별하는 장치들 즉 세퍼레이터(SEPARATOR)가 바이브레이션 또는 드럼스크린식 세퍼레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바이브레이션 세퍼레이터는 가이드바의 마모가 심하고 이물낌 현상 및 이중적재현상이 발생하여 수시로 점검 및 청소해 주어야 하거나 교환해주어야 하고, 또 가이드바의 교체가 난해하여 작업시간의 지체에 따른 가동률저하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고, 가이드바가 고가이므로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드럼스크린 세퍼레이터는 메쉬의 마모 및 눈메꿈 현상이 잦아 수시로 유지 보수 및 교체작업을 실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교체시 스크린 교체시간이 장시간 지체됨에 따른 가동율 저하됨과 아울러 유지보수비의 증가 및 보수 또는 교체작업시 안전사고의 발생이 내재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페트병은 가볍고 성형성이 좋아 대형 음료용기에 주로 사용한다. 이러 한 페트병은 잘 썩지 않으므로 그대로 버려질 경우 환경이 오염되는 우려가 있고, 또 페트병이 고가의 합성수지이므로 버려질 경우에는 경제적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이를 수거하여 칩상태로 하여 재활용한다.
더구나, 혼합된 재활용품 중에서 수지를 수거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고, 더욱이 수지 중에서 PET, PE, PP수지의 선별 수거는 숙련자가 아니면 분별하여 수거할 수 없고 또한 일일이 확인하여 분리 수거하는 관계로 재활용품의 선별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거된 재활용가능한 혼합재활용품이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휠이 높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체인휠들에 체인들이 주행하도록 하는 제 1 체인군과, 상기 제 1 체인군의 체인휠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이 주행하는 제 2 체인군과, 상기 제 2체인군의 체인휠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이 주행하는 제 3 체인군으로 이루어진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가 구성되어 재활용품의 크기에 따라서 각 저장조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각 저장조에 크기별로 분리 선별된 재활용품이 풍력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불어넣어지는 풍력선별기에서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로 분배 배출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거된 혼합재활용품이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휠들이 높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체인휠들에 체인들의 주행간격이 서로 다른 제 1, 2, 3 체인군으로 배치된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에 통과되어, 재활용품의 크기에 따라서 각 저장조에 저장되도록 되고, 상기 각 저장조에 크기별로 분리 선별된 재활용품이 풍력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불어넣어지는 풍력선별기에서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로 분배 배출되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거된 재활용가능한 혼합재활용품이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휠이 높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체인휠들에 체인들이 주행하도록 하는 제 1 체인군과, 상기 제 1 체인군의 체인휠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이 주행하는 제 2 체인군과, 상기 제 2체인군의 체인휠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이 주행하는 제 3 체인군으로 이루어진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크기별로 수거된 저장조의 재활용품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투입되는 풍력선별기의 다단 경사통로들에 순차적으로 정렬 투입되도록 하여, 재활용품의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로 분배 배출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의 시스템 사시도이고, 또한 도 2 은 본 발명의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의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또한 도 3a,b,c 는 본 발명의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에서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의 평면, 측면 및 정면도이고, 또한 도 4 은 본 발명의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에서 풍력선별기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재활용품 투입, 스트레이트 세퍼레이터(20) 및 경사컨베이어(30)를 거치면서 대형이체류, 직물, 폐지류 및 끈류 등이 선별된다.
상기 경사컨베이어(30)를 거친 혼합재활용품은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100)를 주행하며, 혼합재활용품 중에서 크기가 큰 재활용품과, 중간크기 재활용품 및 작은크기 재활용품이 분리되어 선별되고 각 저장조(40)들에 저장된다.
각 저장장조에는 게이트(50)가 개폐수단(60)들에 의하여 각각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게이트(50)의 열림에 의하여 재활용품은 이송컨베이어(70)에서 에스컬레이터(80)로 주행한다.
에스컬레이터(80)의 주행되는 재활용품은 수동선별라인(10)에서 100ml병, 브라운병, 화이트병, 그린병, 밀크팩, PET, PE, PP수지 등이 수작업에 의하여 선별되어 각각 100ml병저장탱크(11), 브라운병저장탱크(12), 화이트병저장탱크(13), 그린병저장탱크(14), 밀크팩저장탱크(15), PET저장탱크(16), PE저장탱크(17), PP수지저장탱크(18) 등이 분리 선별된다.
미처 분리 선별되지 않은 재활용품은 블로워의 풍력수단(210)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불어넣어지는 풍력선별기(200)에서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유리병분배구(220)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230)로 분배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와 같이 수거된 혼합재활용품이 구동모터의 구동원(101)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휠(111,121,131)들이 높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체인휠(111,121,131)들에 체인(112,122,132)들의 주행간격이 서로 다른 제 1, 2, 3 체인군(110,120,130)으로 배치된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100)에 통과되어, 재활용품의 크기에 따라서 각 저장조(40)에 저장되도록 된다.
즉,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100)는 구동모터의 구동원(101)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휠(111,121,131)이 높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체인휠(111)들에 체인(112)들이 주행하도록 하는 제 1 체인군(110)과, 상기 제 1 체인군(110)의 체인휠(111)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122)이 주행하는 제 2 체인군(120)과, 상기 제 2 체인군(120)의 체인휠(121)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132)이 주행하는 제 3 체인군(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의 구동원(101)의 구동기어(102)와 이맞물림되는 제 1 체인군(110)의 종동기어(113)에 제 2 체인군(120)의 종동기어(123)가 이맞물리되고, 또한 제 2 체인군(120)의 종동기어(123)에 제 3 체인군(130)의 종동기어(133)가 이맞물림되어 각 체인휠(111,121,131)들에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 경사컨베이어(30)를 거친 혼합재활용품은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100)를 주행하며, 혼합재활용품 중에서 크기가 큰 재활용품과, 중간크기 재활용품 및 작은크기 재활용품이 분리되어 선별되고 각 저장조(40)들에 저장된다.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100)는 주행간격이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 르게 예를 들어 맨위의 제 1 체인군(110)은 간격을 크게, 또한 중간 제 2 체인군(120)은 위에 제 1 체인군(110) 보다 작은 간격으로, 또한 맨 아래의 제 3 체인군(130)은 작은 간격으로 유지 주행토록함으로서, 컨베이어의 주행과 함께 크기가 큰 재활용품과, 중간크기 재활용품 및 작은크기 재활용품이 분리 선별되고 각 저장조(40)들에 저장된다.
그리고, 각 저장조(40)에는 게이트(50)가 개폐수단(60)들에 의하여 각각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게이트(50)의 열림에 의하여 재활용품은 이송컨베이어(70)에서 에스컬레이터(80)로 주행한다. 예를 들어 큰 재활용품의 저장조(40)의 게이트를 열은 경우에는 큰 재활용품이 이송컨베이어(70)에 주행하여 에스컬레이터(80)를 통하여 수동선별라인(10)으로 투입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동선별라인(10)에서 100ml병, 브라운병, 화이트병, 그린병, 밀크팩, PET, PE, PP수지 등이 수작업에 의하여 선별되어 각각 100ml병저장탱크(11), 브라운병저장탱크(12), 화이트병저장탱크(13), 그린병저장탱크(14), 밀크팩저장탱크(15), PET저장탱크(16), PE저장탱크(17), PP수지저장탱크(18) 등이 분리 선별되어 재활용 공정라인에서 재활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수동선별라인(10)을 거치지 않고 대,중,소로 분리 선별된 재활용품을 바로 풍력선별기(200)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수동선별라인(10)을 거쳐서 미처 선별되지 않은 재활용품을 풍력선별기(200)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풍력선별기(200)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 위의 호퍼(240) 로부터 다단 경사통로(250)가 단계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블로워의 풍력수단(210)이 설치되어 제어기(도시생략)에 의하여 풍력을 제어 설정하여 압축된 공기가 분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풍력수단(210)은 후술하는 유리병분배구(220)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230)의 위쪽의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압축된 공기가 분출될 수 있다.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210)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투입되는 풍력선별기(200)의 다단 경사통로(250)들에 순차적으로 정렬 투입되도록 하여, 재활용품의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210)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210)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220)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230)로 분배 배출된다.
즉, 비교적 무거운 유리병은 유리병분배구(220)로 분배되고, 또한 비교적 가벼운 합성수지용기는 합성수지용기분배구(230)로 분배된다.
상기 유리병분배구(220)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230)에 배출된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는 각각의 유리병저장통(300)과 합성수지용기저장통(400)에 분배 저장되어 재활용 공정에서 재활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초기의 이물질 등이 선별된 혼합재활용품이 다단의 크기선별컨베이어를 이송하면서 재활용품의 대,중,소에 따라서 선별되도록 하고, 또한 대,중,소의 재활용품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투입되는 풍력선별기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재활용품의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로 분배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수지를 효율적으로 선별 수거하여 재활용품의 선별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다른 물질이 석이지 않기 때문에 고 순도의 합성수지를 선별할 수 있다.

Claims (3)

  1. 수거된 혼합재활용품이 구동원(101)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휠(111,121,131)들이 높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체인휠(111,121,131)들에 체인(112,122,132)들의 주행간격이 서로 다른 제 1, 2, 3 체인군(110,120,130)으로 배치된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100)에 통과되어, 재활용품의 크기에 따라서 각 저장조(40)에 저장되도록 되고, 상기 각 저장조(40)에 크기별로 분리 선별된 재활용품이 풍력수단(210)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불어넣어지는 풍력선별기(200)에서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210)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220)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230)로 분배 배출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거된 재활용가능한 혼합재활용품이 구동원(101)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휠(111,121,131)이 높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체인휠(111,121,131)들에 체인(112)들이 주행하도록 하는 제 1 체인군(110)과, 상기 제 1 체인군(110)의 체인휠(111)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122)이 주행하는 제 2 체인군(120)과, 상기 제 2 체인군(120)의 체인휠(121)들의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체인(132)이 주행하는 제 3 체인군(130)으로 이루어진 다단크기선별컨베이어(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크기별로 수거된 저장조(40)의 재활용품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210)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투입되는 풍력선별기(200)의 다단 경사통로(250)들에 순차적으로 정렬 투입되도록 하여, 재활용품의 유리병과 합성수지용기가 풍력수단(210)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비산되면서 비중의 차이에 따라서 풍력수단(210)으로부터 거리 차이를 두고 분기된 유리병분배구(220)와 합성수지용기분배구(230)로 분배 배출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KR1020070017117A 2007-02-20 2007-02-20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KR100779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117A KR100779722B1 (ko) 2007-02-20 2007-02-20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117A KR100779722B1 (ko) 2007-02-20 2007-02-20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722B1 true KR100779722B1 (ko) 2007-11-26

Family

ID=3908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117A KR100779722B1 (ko) 2007-02-20 2007-02-20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7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9324A (zh) * 2019-08-01 2019-10-25 三门踱哒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饮料瓶罐自动分类回收设备
CN110404781A (zh) * 2019-09-02 2019-11-05 郑晓伟 一种残管分拣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795A (ko) * 2004-03-05 2004-04-01 김승래 낙하와 바람을 이용한 폐기물 선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795A (ko) * 2004-03-05 2004-04-01 김승래 낙하와 바람을 이용한 폐기물 선별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10-2004-27795호 A
등록실용신안공보 20-351064호 Y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9324A (zh) * 2019-08-01 2019-10-25 三门踱哒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饮料瓶罐自动分类回收设备
CN110369324B (zh) * 2019-08-01 2020-03-24 三门踱哒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饮料瓶罐自动分类回收设备
CN110404781A (zh) * 2019-09-02 2019-11-05 郑晓伟 一种残管分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856B2 (en) Air separation of recyclable material
US49293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able materials
US5485925A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ed debris
KR100779722B1 (ko)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장치
KR100733707B1 (ko)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방법
KR20200091581A (ko) 재활용품의 수지 분리 구별 장치
KR102160806B1 (ko)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US20230294106A1 (en) Systems for separating copper from shredder residue
KR100314687B1 (ko) 재활용쓰레기 선별 시스템
WO2014106687A1 (en) Roller conveyor and reverse vending machine
KR200225996Y1 (ko) 재활용 가능 물품 선별 시스템
JP2002119943A (ja) 廃棄物の資源化方法及びその資源化施設
KR100377489B1 (ko) 재활용 가능 물품 선별 시스템
JP2001038298A (ja) 塵芥混合物を分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20051515A (ko) 재활용품 선별시스템의 계단컨베이어 처짐방지장치
JP2002119923A (ja) 廃棄物の資源化方法及びその資源化施設
KR20090034614A (ko) 생활쓰레기 자동선별 처리방법
KR20120051514A (ko) 투척방식의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0437984Y1 (ko) 공용압축기를 구비한 재활용품 선별장치
CN216224746U (zh) 一种模块化设计的建筑垃圾处理生产线
KR20120053641A (ko) 경사컨베이어방식의 재활용품 선별장치
JP2992245B2 (ja) ふるい分け搬送装置
KR200298981Y1 (ko) 재활용품의 분리 수거장치
KR20120051509A (ko) 롤러방식의 재활용품 선별장치
CN112958454A (zh) 一种生活垃圾分类回收无害化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