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664B1 -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664B1
KR100777664B1 KR1020040027913A KR20040027913A KR100777664B1 KR 100777664 B1 KR100777664 B1 KR 100777664B1 KR 1020040027913 A KR1020040027913 A KR 1020040027913A KR 20040027913 A KR20040027913 A KR 20040027913A KR 100777664 B1 KR100777664 B1 KR 10077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vehicle
telephone
us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413A (ko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4009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06Call dive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특히 사용자가 휴대하던 이동전화기를 꺼내어 핸즈프리 장치의 홀더에 장착하여 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운전 중에 통화를 할 수 있는 핸즈프리 이동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 본 발명의 이동통신 방법 및 시스템은 다수 사용자의 사용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차량 이동전화기는 다른 유용한 기능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전화, 핸즈프리, 자동차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s}
도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2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른 형태의 블록구성도.
도3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블록구성도.
도4는 운전자의 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스피커.
도5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차량 이동전화기가 등록된 사용자의 모든 통신에 사용될 것을 알려주는 문자메시지의 예시.
도6은 다양한 취소 선택기능을 나타내는 메시지의 예시.
도7은 취소 문자메시지의 다양한 예시.
도8은 차량 이동전화기 및 전원선을 나타냄.
도9는 운전자가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패널.
도10은 차량 이동전화기에서 발신되는 중계요청 메시지의 예시.
도11은 개인 이동전화기에서 발신되는 중계요청 메시지의 예시.
도12는 키를 사용하지 않고 원격조정으로 자동차 문을 열 수 있는 리모트키.
도13은 4개의 전화번호에 대한 코드 할당을 나타냄
도14는 차량의 도어를 열도록 명령하는 문자메시지의 예시.
도15는 차량의 도어를 열도록 명령하는 문자메시지의 다른 형식의 예시.
도16은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도록 명령하는 문자메시지의 예시.
도17은 유선전화기.
도18은 차량 이동전화기와 입력패널의 연결 상태도.
도19는 사용자 개인단말기로 지정되어 온 통신이 중계되어 차량 이동전화기에서 수신됨을 등록된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문자메시지의 예시.
도20은 차량 이동전화기와 입력패널과 차량 중앙제어부 사이의 연결상태도.
도21은 코드 할당 메시지의 예시.
도22는 지문센서를 갖는 입력패널.
도23은 통화버튼과 온/오프버튼이 설치된 차량 핸들.
도24는 암호화된 문자.
도25는 어느 종류의 통신을 차량용 이동전화에 중계할 것인지 이동전화국에 명령하는 문자메시지의 예시.
도26은 지정되어 오는 통신을 차량용 이동전화에 중계할 것인지 아니면 중복전송(duplicate)할 것인지 이동전화국에 명령하는 문자메시지의 예시.
도27은 어느 종류의 종료 조건을 사용할 것인지 이동전화국에 명령하는 문자메시지의 예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동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전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동통신은 편리성과 이동성을 주고 있지만, 차량 운전 중에 이동전화기를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화기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들어 있을 때에는 운전중에 전화를 걸거나 받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제조업체에서 이른바 "핸즈프리" 장치를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인 핸즈프리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전화기를 핸즈프리 장치의 홀더에 장착하고 선을 연결하면 전화기를 손을 사용하여 귀와 입에 대지 않고도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차량에 탈 때마다 이동전화기를 꺼내어 홀더에 장착하고 선을 연결하는 것은 편리하지 못하다. 또한 운전자가 이동전화기를 홀더에 장착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도 많고, 때로는 차량에서 내릴 때에 이동전화기를 놓고 내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차량 승차 시 운전시에 전화기를 핸즈프리 장치의 홀더에 장착하여 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진정한 핸즈프리 이동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사용자가 휴대하던 이동전화기를 꺼내어 핸 즈프리 장치의 홀더에 장착하고 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운전중에 통화를 할 수 있는 진정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사용자의 사용을 지원가능한 이동통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과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
셀룰러방식, 위성방식 이동전화 등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있다. 또한, CDMA, GSM, IMT-2000 등 이동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있다. 본 발명은 어떠한 종류의 이동통신 시스템과 어떠한 종류의 기술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동통신의 작동 메카니즘은 매우 복잡하지만, 대략적인 블록구성도는 도1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동전화기(110)가 이동통신 전화회사 시스템(112)을 통해 다른 전화기(이동전화(111) 또는 임의의 종류의 전화시스템)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동전화기(120)는 전화회사 시스템(121)을 통해 유선전화기(122)와 연결될 수 있다 (도2 참조).
전화회사 시스템(139) 내의 실제 시스템 구성은 매우 복잡한데, 많은 하위 구성요소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3에서와 같이, 전화회사 시스템(139)에는 기지국(132), 기지국 통제부(133), 이동전화 스위칭센터(134), 인증센터(135) 등이 포함된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화회사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 이동전화 사용자와 이동전화 또는 여타 종류의 전화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연결시키는 필요한 모든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전화기가 켜져 있는 때를 통상, 대기상태(stand-by mode)라고 부른다. 이러한 대기상태일 때 이동전화기는 전화회사 시스템에 계속적으로 신호를 보낸다. 대기상태에서 사용자는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다. 전화가 오면 이동전화기가 울리고 사용자는 특정 버튼을 눌러서 전화를 받을 수 있다. 폴더형 전화기와 같은 모델의 경우에는 폴더를 열어서 전화를 받을 수 있다. 이동전화기를 끄면 이동전화기는 전화회사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중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기는 온/오프 버튼(153)을 이용하여 온오프될 수 있다 (도5 참조).
실시예1
최근에 이동전화기가 그 편리성과 이동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전화기는 운전중에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운전을 하게 되면 운전자의 손이 핸들을 잡아야 하고 방향지시기를 사용해야 된다. 특히, 전화기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들어 있을 때에는 운전중에 전화를 걸거나 받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제조업체에서 소위 "핸즈프리" 장치를 시판하고 있다. 일반적인 핸즈프리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이동전화기를 핸즈프리 장치의 홀더에 장착하고 선을 연결하여야, 전화기를 손으로 잡아 귀와 입에 대지 않고도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일부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 자체의 음향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할 때마다 이동전화기를 꺼내어 홀더에 장착하고 선을 연결하는 것 또한 불편한 일이다. 또한, 운전자가 이동전화기를 홀더에 장착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도 많고, 때로는 차량에서 내릴 때에 이동전화기를 놓고 내리는 경우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차량용으로 별도의 이동전화기가 제공된다. 즉, 사용자는 두 개의 이동전화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하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것이고(개인 이동전화기), 다른 하나는 차량에 설치되는 것이다(차량 이동전화기). 본 발명에서, "개인 이동전화기" 또는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란 용어는 사용자가 실제로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전화기 또는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이는 또한 PDA나 기타 다른 유형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차량 이동전화기" 또는 "차량용 이동통신 단말기"란 용어는 차량에 설치되는 이동전화기 또는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에도 또한 PDA나 기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이동전화기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차량 이동전화기를 떼어내서 통상의 이동전화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개인 이동전화기와 차량 이동전화기는 각자 자신의 전화번호를 갖게 되고 이 들 전화번호는 전화회사 시스템에 함께 등록된다. 따라서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이들 두 개의 전화번호가 쌍을 이루어 하나는 개인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이고 다른 하나는 차량 이동전화기의 번호인 것을 인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차량 이동전화기는 외부 마이크와 외부 스피커에 연결된다. 외부 스피커는 차량의 스피커일 수 있다. 또한, 차량 이동전화기는 차량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꺼지도록 설계된다. 대부분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전화기가 전화회사 시스템과 계속해서 신호를 교환하고 있기 때문에, 전화회사 시스템은 차량 이동전화기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 차량 이동전화기가 꺼져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동전화기는 차량의 시동을 걸 때 자동으로 켜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이동전화기로부터 신호가 발신되지 않을 때에는 차량이 동작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차량 이동전화기가 켜지면, 전화회사 시스템으로 신호를 보내기 시작한다. 전화회사 시스템이 이 차량 이동전화기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이로써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중인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개인 이동전화기의 모든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로 중계(redirect)한다(영단어 redirection을 "재지정"이라고 번역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중계로 번역함). 즉, 차량 이동전화기가 켜져서 전화회사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기 시작할 때에,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개인 이동전화기에 지정되어 오는 모든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의 번호로 재지정하여 중계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전화기로의 중계는 이동전화기로 개인 이 동전화기에 지정되어 오는 모든 통신을 전송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후에 설명할 개인 이동전화기와 차량 이동전화기 모두에 신호를 보내는 중복전송도 중계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통신이란 함은 전화, 메시지 등의 모든 통신을 포함한다. 일부 통신은 특정단말기에만 적용됨으로 전화회사는 수신단말기가 취급할 수 있는 통신만을 중계한다. 이러한 통화 중계는, 전화회사 시스템에서 차량 이동전화기가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전화회사 시스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차량 이동전화기가 꺼져서 신호발신을 중단하게 되면, 전화회사 시스템은 통신중계를 종료하게 된다. 즉, 전화회사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개인 이동전화기를 통해 사용자의 통신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개인 이동전화기에 전화를 걸면, 전화회사 시스템은 차량 이동전화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는 개인 이동전화기로 지정되어 오는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로 중계한다. 차량 이동전화기는 이미 외부 마이크와 스피커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위치에 있을 것이고 운전자는 자신의 손을 쓰지 않고도 자유롭게 전화를 받아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차량 동승자가 있을 경우 개인 비밀 유지를 위하여 외부 스피커는 운전자만이 들을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향성 스피커(140)를 운전자 귀 근처의 차량내부벽 또는 머리받침부에 설치할 수 있고(도4 참조), 마이크(141)는 운전자의 입 근처에 설치할 수 있다. 차량 이동전화기가 자동차 자체의 음향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는, 차량 이동전화기의 신호와 자동차의 다른 음원신호(라디오나 CD플레이 어)를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해진다.
운전자가 운전 중에 다른 사람에게 전화를 걸 경우에도 차량 이동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을 쉽게 하기 위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는 통화버튼(142)을 운전 중에도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이나 계기패널에 설치할 수 있다. 통화를 종료시키는 온/오프 버튼도 또한 핸들이나(도23 참조) 계기패널에 설치할 수 있다.
등록사용자의 개인 이동전화기와 등록되어 있는 차량 이동전화기가 장착된 차량을 타인이 운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사용자의 가족들이 해당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화회사 시스템은 등록사용자에 대한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에 중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등록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개인 이동전화기에 문자메시지를 보내어 등록사용자의 모든 통신이 차량 이동전화기에서 처리될 것임을 등록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등록사용자가 통신중계를 취소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등록사용자가 중계취소를 선택하면,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통신중계를 취소하고 등록사용자의 모든 통신을 등록사용자의 개인 이동전화기로 처리한다. 이러한 경고 및 취소 기능은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이미 대부분의 이동전화 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이다. 도5는 이러한 문자메시지의 일례로서, 전화번호가 XXX-XXX-XXXX인 차량 이동전화기가 앞으로 등록사용자의 모든 통신을 처리할 것임을 등록사용자에게 경고 하는 메시지를 예시하고 있다. 등록사용자가 중계취소를 원하면 등록사용자는 특정 버튼(151)을 누른다. 그러면 개인 이동전화기는 취소요청 신호를 보내고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통신 중계를 취소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러한 취소 요청도 또한 문자메시지로서 전화회사 시스템으로 발신될 수 있다.
아울러, 전화회사 시스템은 등록사용자에게, 당일 하루 동안 또는 등록사용자가 통신중계를 요청할 때까지 또는 소정 기간 동안 통신 중계를 허용하지 않는 등의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유형의 통신은 이미 대부분의 이동전화 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7은 개인 이동전화기에서 발신된 이러한 취소 요청신호의 몇 가지 예를 들고 있다. 도7의 (d)는 간단한 취소요청 메시지를 나타낸다. 전화회사 시스템이 개인 이동전화기와 차량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취소 요청은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도7의 (a)에서는 문자메시지가 개인 이동전화기와 차량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지정하고 있다. 도7의 (b)는 개인 이동전화기와 차량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지정하면서 금일은 더 이상 차량 이동전화기(XXX-XXX-XXXX)로 중계를 하지 말 것을 요청하는 문자메시지를 나타낸다. 도7의 (c)의 문자메시지는 개인 이동전화기와 차량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지정하면서 사용자가 다시 요청할 때까지는 차량 이동전화기(XXX-XXX-XXXX)로 중계를 하지 말 것을 요청하고 있다.
원치 않는 통신 중계를 피하기 위한 다른 방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화회사 시스템이 차량 이동전화기와 개인 이동전화기에 모두 링 신호를 보낸다. 즉, 개인 이동전화기에 지정되어 오는 모든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에도 이중으로 중복해서 전송하는 것이다. 지정되어 오는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나 개인 이동전화기에서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받는 경우에는 전화회사 시스템은 통신중계를 취소한다. 즉,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받으면 전화회사 시스템은 차량 이동전화기에 링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사용자가 응답할 시간을 충분히 주기 위하여 전화회사 시스템은 우선 개인 이동전화기에 먼저 링 신호를 보내고 소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차량 이동전화기에 링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받으면, 전화회사 시스템은 차량 이동전화기로 중계를 취소한다.
차량 운행을 하지 않을 때에 차량 이동전화기를 끄기 위하여, 차량 이동전화기(180)는 전원선(183)을 통해 차량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을 받도록 설계한다(도8 참조). 자동차가 운행중이 아니면 전원이 차량 이동전화기에 공급되지 않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차량 이동전화기는 전화회사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중단한다. 이때,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통신 중계를 종료한다. 즉, 사용자의 모든 통신이 개인 이동전화기에서 처리된다.
최근에 소비자들은 작동되는 이동전화기라 하더라도 더 많은 기능이 있는 새로운 모델의 전화기로 교체하고 있다. 교체되는 구형 이동전화기를 차량 이동전화기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형모델의 대부분은(현재 시판되고 있는 모델들도 마찬가지로) 배터리로 동작하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로 전원공급을 하든 전원장치로 전원공급을 하든, 대부분의 구형 및 현시판 모델들이 자동으로 켜지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형 모델을 차량 이동전화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차에 탈 때마다 차량 이동전화기를 수동으로 직접 켜고 차에서 내릴 때에는 전화기를 수동으로 꺼야 한다. 비록 사용자가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는 없지만, 이 또한 불편한 일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이동전화기를 변경하여 전원선을 통해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전력이 공급될 때 자동으로 켜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드웨어를 약간 변경해야 하지만, 기술적 어려움은 없다. 본 발명과 호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전화기의 향후 모델 설계 시에는 전원선(183)이 이동전화기(180)에 연결되고 전력이 공급될 때 자동으로 켜져서 전화회사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도8 참조).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이동전화기는 또한 자동으로 꺼진다. 이 이동전화기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더라도 이 이동전화기에 전원선(183)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스스로 꺼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전원선(183)이 제거되면, 차량 이동전화기는 통상의 이동전화기로서 동작한다. 사용자는 이 차량 이동전화기를 비상시 및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이동전화기를 깜빡 잊고 가져오지 않았을 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이동전화기는 운전자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이동전화기에는 원격조작 장치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이동전화기에는 인터페이스수단이 이미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량에서 이 인터페이스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전화기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8에는 인터페이스 케이블(282)을 통한 차량 이동전화기(280)와 입력패널(281)의 연결방법과, 이 입력패널을 통한 동작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이 입력패널(281)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누를 수 있고, 그러면 입력패널(281)은 인터페이스 케이블(282)을 통해 이 다이얼 정보를 차량 이동전화기(280)로 보낸다. 또한, 인터페이스 케이블과 입력패널을 사용하여 차량 이동전화기의 대부분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 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타인에게 전화를 걸 수도 있다. 편의성을 추가하기 위하여, 차량 이동전화기는 운전 중에 운전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에 설치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사용되는 통화버튼(142)을 핸들 또는 계기패널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통화를 종료시키는데 쓰이는 온/오프 버튼을 핸들이나(도23 참조) 계기패널에 설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이동전화기에 있어서, 온/오프버튼은 전원버튼과 겸용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온/오프버튼을 누르면 이동전화기는 켜지게 된다.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주기 위하여,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하면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게 된다.
전화요금은 개인 이동전화기 또는 차량 이동전화기로 청구될 수 있다. 운전 자가 한 명뿐이라면 전화요금이 개인 이동전화기로 청구되든 차량 이동전화기로 청구되든 문제될 것이 없지만, 운전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는 전화요금을 각자의 개인 이동전화기로 청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문자메시지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통신내용도 차량 이동전화기로 중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에 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면 문자메시지를 이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화회사 시스템에 문자메시지를 보내어 차량 이동전화기에 중계를 원하는 통신내용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도25에 이러한 문자메시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25의 모든 문자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문자메시지는 일련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특수코드 체계가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2
차량 하나를 다수의 운전자가 운전하고 각자가 자신의 이동전화기를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차에 설치된 차량 이동전화기가 켜져 기지국에 신호를 발신하더라도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어느 운전자가 실제로 운전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동전화기에는, 운전자에 관한 정보를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하는 사용자식별전송 수단이 포함된다. 즉, 차량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다수의 개인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고 이들 중 하나가 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해당 운전자가 입력 패널(190)을 이용하여 차량 이동전화기에 자신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도9 참조). 입력패널(281)은 인터페이스 케이블(282)을 통해 차량 이동전화기(280)에 연결되어 있고 차량 이동전화기는 이 정보를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한다. 이와는 달리, 차량 이동전화기에 운전자의 개인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운전자가 차량 이동전화기의 버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차량 이동전화기를 설치한다. 이 경우에, 운전자가 차량 이동전화기에 전화번호를 저장하면 이 정보는 문자메시지로서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된다. 또한, 이 정보는 하나의 메모리버튼을 누름으로써 문자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다. 즉, 특정 버튼이나 일련의 버튼을 누를 때, 이미 저장되어 있는 문자메시지가 전화회사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현재 시판되는 이동전화기에는 이러한 기능이 없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좇아 향후 모델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메시지를 하나의 버튼이나 일련의 버튼을 눌러서 전송하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현존의 이동전화 기술과의 호환성을 위해 운전자 정보는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문자메시지(201)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이들 두 전화번호를 함께 임시로 등록하고, 차량 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현재 운전중인 사용자의 개인 이동전화기에 지정된 모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이동전화기(XXX-XXX-XXXX)가 "YYY-YYY-YYYY를 중계하시오"라는 문자메시지를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한다면,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차 량 이동전화기가 켜 있는 한 차량 이동전화기(XXX-XXX-XXXX)를 이용하여 YYY-YYY-YYYY의 모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문자메시지에는 차량 이동전화기의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만(도10 (a) 참조),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이미 차량 이동전화기 번호를 알고 있기 때문에 차량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전송할 필요는 없다.
등록사용자가 자동차에서 내린 후에 타인이 자동차를 계속해서 운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입력패널에는 통신 중계를 종료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종료버튼(195)을 누르면, 차량 이동전화기는 중계를 종료할 것을 요청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실, 이러한 종료요청 메시지는 취소메시지(도7)와 동일하다. 다른 방법으로서, 등록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이동전화기로부터 종료 메시지를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하여 중계를 종료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러한 문자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가 일련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걸거나 받으면 전화회사 시스템에서 중계를 종료할 수도 있다.
각 운전자가 자동차에 탈 때마다 자신의 전화번호를 입력해야 한다면 이 또한 불편한 일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운전자는 입력패널(190)에 자신의 전화번호를 저장해 두고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세 개의 저장버튼 A, B, C(191, 192, 193) 중 하나에 자신의 전화번호를 기억해 놓고 그 운전자가 차량에 탈 때에는 자신에 할당되어 있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번호는 숫자버튼과 콘트롤버튼 MEM(194), ENT(196)을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입력패널에는 또한 표시부(197)가 포함된다.
등록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무권한자에 의해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정당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개인 이동전화기에 이제부터 정당한 사용자에게 지정되어 오는 모든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에서 처리한다는 경고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도5, 6 참조). 또한,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정당한 사용자로 하여금 통신 중계를 취소할 수 있게 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정당한 사용자가 취소 옵션을 선택하면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통신 중계를 취소한다. 취소 요청도 역시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도7 참조). 또한,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정당한 사용자가 당일 종일토록(도7(b)) 또는 정당한 사용자가 다시 중계를 요청할 때까지(도7(c)) 통신 중계를 허용치 않도록 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무권한자가 전화를 받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링 신호를 차량 이동전화기와 개인 이동전화기 모두에 전송할 수 있다. 즉, 개인 이동전화기에 지정되어 오는 모든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에도 중복해서 이중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신은 차량 이동전화기나 개인 이동전화기 어디서나 받을 수 있다. 정당한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받게 되면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정당한 사용자가 자동차를 운전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이 콜을 차량 이동전화기에 중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종료한다. 정당한 사용자가 응답할 시간을 충분히 주기 위하여 전화회사 시스템은 우선 개인 이동전화기에 먼저 링 신호를 보내고 소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차량 이동전화기에 링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 소정의 시간 동안에 정당한 사용자가 운전을 하고 있지 않다면 그는 전화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개인 이동전화기에 메시지를 보내어 개인 이동전화기에 지정되어 온 통신이 차량 이동전화기에서 수신되었다는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도19 참조).
다른 유형의 통신내용(문자메시지 등)도 또한 차량 이동전화기에 중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화회사 시스템에 문자메시지를 보내어 차량 이동전화기에 중복하여 전송되는 통신내용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전화회사 시스템에 문자메시지를 보내어 자신의 개인 이동전화기로 지정된 통신내용을 차량 이동전화기로 중계할 것인지 아니면 중복하여 전송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26에는 이러한 문자메시지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도26의 모든 문자를 다 입력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문자메시지는 일련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특수코드 체계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운전자는 자신의 개인 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회사 시스템에 문자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자기의 개인 이동전화기에 지정되어 오는 모든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에 중계하도록 전화회사 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다. 도11은 이러한 문자메시지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요청신호는, 메시지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면 하나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송할 수 있다. 즉, 특정 동작을 요청하는 특수메시지 를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특정 버튼이나 일련의 버튼을 누를 때 이 메시지를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한다. 이러한 중계방식의 장점은 사용권한이 없는 자에 의한 중계가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신중계는 해당 차량 이동전화기가 신호를 발신하기 시작할 때에 일어나서, 차량 이동전화기가 꺼지거나 사용자가 종료 요청을 할 때에 종료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중계의 종료 조건이 몇 가지 있는데, 차량 이동전화기로부터 신호가 발신되지 않거나, 개인 이동전화기로부터 취소 메시지가 전송되거나, 개인 이동전화기에서 통신이 발생하거나 (즉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 등을 걸 때), 개인 이동전화기가 지정되어 오는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즉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받을 때)를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전화회사 시스템에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들 종료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도27에는 이러한 문자메시지가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27(a)의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차량 이동전화기가 전화회사 시스템으로 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멈추거나,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취소메시지를 보내거나,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받거나,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걸 때에 통신중계가 종료된다. 만일 도27(b)의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차량 이동전화기가 전화회사 시스템에 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멈추면, 통신중계가 종료된다. 사용자는 도27의 문자를 모두 입력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문자메시지들은 일련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특수코드 체계가 사 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많은 운전자들이 입력패널을 이용하여 동일한 차량 이동전화기를 공유할 수 있지만, 각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고자 할 때마다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메모리버튼을 누르는 것은 편리하지 못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전화번호를 자동차키에 저장해 놓는다.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 때, 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차량 이동전화기에 전달되고 차량 이동전화기에서는 이 정보를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키로부터 차량 이동전화기로의 정보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자동차를 시동하기 위하여 이그니션부에 키를 꽂을 때, 이 키에 저장된 정보는 유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정보가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입력패널로 전달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많은 차량에 원격으로 자동차 문을 열 수 있는 리모트키가 설치되어 있다. 즉, 운전자는 리모트키(220)를 사용하여 자동차를 잠그고 열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전화번호도 이러한 리모트키에 저장할 수 있다. 운전자가 리모트키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열 때, 리모트키는 개인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함께 자동차에 전송한다. 이때, 자동차의 제어시스템은 이 정보를 차량 이동전화기로 전송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시동할 때, 차량 이동전화기는 이 전화번호 정보를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한다. 이 방식의 장점은 사용권한이 없는 자가 정당한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점이다. 도20에는 차량 이동전화기(300)와 입력패널(301)과 자동차 제어시스템(302) 간의 내부 결선(303)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개인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운전자 정보를 리모트키에 입력하는 것은 어려울 수가 있다. 리모트키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리모트키에 입력버튼을 설치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자동차 생산회사 입장에서 잠재적 사용자를 위하여 이러한 리모트키를 생산한다는 것도 곤란하다. 또한, 사용자가 자동차를 팔 때 리모트키에 이미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는 것도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자동차용으로 일군의 리모트키(a set of remote control keys)를 생산할 때 각 리모트키에 고유코드를 할당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하나에 4개의 리모트키가 제공된다면, 각 리모트키에 고유 식별코드를 할당하려면 2비트가 필요하다(도13 참조). 4개의 리모트키는 동일한 잠금해제 신호(unlocking signal)를 가짐을 주목하여야 한다.
운전자가 자동차의 문을 원격으로 열기 위해 잠금해제(unlock) 버튼(221)을 누르면, 리모트키(220)에서는 고유 식별코드가 잠금해제 신호와 함께 송출된다. 여기서 잠금해제 신호는 동일한 자동차에 속한 모든 리모트키에 대해서 동일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때 자동차는 이 식별코드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엔진을 시동하면, 차량 이동전화기에 전력이 공급되어 차량 이동전화기가 켜지고 이 식별코 드가 차량 이동전화기로 전송된다.
각 운전자는 차량 이동전화기에 자신의 개인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이 식별코드를 저장해 놓아야 한다. 차량 이동전화기에는 이미 입력버튼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각 식별코드와 전화번호를 연계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할 것이다. 차량 이동전화기가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메모리를 검색하여 해당 운전자의 개인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찾는다. 그 후, 차량 이동전화기는 검색된 전화번호를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지정되어 오는 모든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로 중계할 것을 요청한다.
차량 이동전화기에 개인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각자의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는 차량 이동전화기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2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세 개의 필드, 즉 패스워드(310)와 행위(311)과 본문(312) 필드로 구성된다. 패스워드 필드(password field, PWD)는 무권한자의 접근을 막기 위한 것이고 보안이 필요 없으면 없어도 무방하며, 행위 필드(action field, ACT)는 실행되어야 할 행위를 지정한다. 이 경우에, 실행되어야 할 행위는 식별코드와 전화번호를 연계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 필드는 행위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갖고 경우에 따라서는 없어도 된다.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들 필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암호화할 수 있다. 즉, 메시지가 도24의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선행 문구 (340)는 그 후속 메시지(341)가 암호화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메시지를 해독하기 위하여, 이동전화기는 사전에 지정된 특정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메시지의 암호를 먼저 해독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이동전화기는 이러한 기능을 갖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향후 모델에는 이러한 기능을 추가시킬 수 있다.
운전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얼굴인식이나 지문인식 등의 생체인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패널(320)에 지문센서(321)를 설치할 수 있다(도22 참조). 이 때 운전자는 우선 자기의 개인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지문을 등록한다. 이 등록은 지문센서(321)와 입력패널(320)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할 때마다 운전자가 지문센서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입력패널에서 운전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차량 이동전화기로 전달한다. 운전자를 식별하기 위한 다른 생체정보로는 음성 및 손금 인식기술 등 다양한 것들이 있다.
실시예 4
때때로,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이동전화기를 휴대하는 것을 잊고 승차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는 사용자의 모든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경우 사용자는 운전을 하는 동안에는 차량 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차량 이동전화기를 휴대할 수 있다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차량 이동전화기는 탈착가능하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무권한자가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 해 차량 이동전화기를 분리할 경우에는 이 차량 이동전화기에서 전화회사 시스템으로 경고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이러면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사용이 허락된 자인 것을 확인하라고 요청한다. 예를 들어, 전화회사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패스워드를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통신은 대화형으로 또는 문자메시지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패스워드에 의한 보호방식은 차량 이동전화기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사용자가 차량 이동전화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5
차량 이동전화기가 차량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다른 유용한 기능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 열쇠를 내부에 놓고 자동차를 잠근 경우에, 운전자가 차량 이동전화기에 메시지를 보내어 자동차 문(door)를 열도록 요청할 수 있다. 자동차와 차량 이동전화기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상호간에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도14(a)는 자동차에 문을 열도록 요청하는 명령메시지를 예시하고 있다. 차량 이동전화기(XXX-XXX-XXXX)의 전화번호는 옵션이다. 도14(b)의 명령메시지는 세 개의 필드, 즉 패스워드(PWD), 행위(ACT), 본문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도15에 다른 형식의 메시지를 보여주고 있다.
패스워드는 무권한자의 차량 이동전화기 사용을 방지한다. 그리고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전에 등록된 전화번호에서 오는 명령만을 받아들이도록 차량 이동전화기를 프로그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이동전화기를 이러한 용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차량 이동전화기를 받지 않더라도, 차량 이동전화기는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이동전화기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전화기를 받지 않더라도 대기상태에서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다행히도, 대부분의 이동전화기 회사에서 이미 이러한 유형의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현존하는 이동전화기는 대기상태인 동안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전화기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형식을 조사하여 그 메시지가 이동전화기로 하여금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메시지인지 체크한다. 수신된 메시지가 도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명령메시지 형식으로 되어 있고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이동전화기는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매우 추운 날씨일 때에는 자동차를 웜업(warm up)하기 위하여 차량을 잠시 동안 공회전시켜야 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차량 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집안에서 차량 이동전화기에 명령메시지를 보내어 자동차로 하여금 미리 엔진을 시동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16에는 이와 같이 자동차가 엔진을 시동토록 요청하는 명령메시지를 예시하고 있다. 차량 이동전화기(XXX-XXX-XXXX)(262)의 전화번호는 옵션으로 삭제해도 된다. 운전자가 늦 게 나오거나 아예 나오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자동차가 스스로 시동을 끄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시간은 운전자가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5분(264) 후에도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하지 않으면, 자동차는 스스로 시동을 끈다.
이와 같이 차량 이동전화기가 다른 유용한 기능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차량 이동전화기는 계속해서 켜져 있어야 하고, 이 경우 차량 이동전화기는 계속해서 전화회사 시스템에 신호를 보낼 것이다. 이 경우,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운전중인 것으로 오인할 수가 있다. 따라서 차량 이동전화기가 다른 유용한 기능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차량 이동전화기는 계속해서 켜져 있어야 할 때에는, 비록 차량 이동전화기가 전화회사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있더라도 전화회사 시스템은 개인 이동전화기의 통신을 중계해서는 안 된다. 특히 전화회사 시스템이 사용자가 실제로 운전중인지 아닌지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실제 운전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한가지 방법을 들자면, 운전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운전석 시트에 센서를 설치하여 이 센서가 운전자의 존재를 감지한 경우에는 차량 이동전화기에 신호를 보낸다. 다른 방법으로서, 이그니션 슬롯(ignition slot)에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자동차키가 꽂혀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센서가 차량 이동전화기에 신호를 보낸다. 자동차가 실제로 운행중인지를 감지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변속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이 있다. 변속기어가 주차위치에 있을 때에는 자동차가 운행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운전 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어떠한 방법이라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운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자동차는 사용자가 운전중임을 차량 이동전화기에 알린다. 그러면, 차량 이동전화기는 전화회사 시스템에 메시지를 보내어 통신 중계를 요청한다. 차량 이동전화기가 상기 목적으로 사용될 때에는, 전화회사 시스템은 차량 이동전화기가 통신 중계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때에만 개인 이동전화기의 통신을 중계한다. 예를 들어, 도10의 문자메시지가 통신중계를 요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운전자가 운전을 중지하면 통신 중계는 종료된다. 운전자가 없는 것으로 센서가 감지한 경우에는 이 사실이 차량 이동전화기에 전달되고, 차량 이동전화기가 도7(a)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보내어 통신 중계를 요청할 때에 통신 중계가 종료된다.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한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의 차량 이동전화기의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 예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6
다수의 사용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하나의 차량 이동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각자의 사용량에 따라 개별적으로 전화요금을 청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다수의 사용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더라도 차량 이동전화기가 한 번에 한 대의 개인 이동전화기와 연계되기 때문에 요금 청구 문제는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차량 이동전화기의 사용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각자에게 요금청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7
본 발명의 사상은 유선전화 시스템에도 확장될 수 있다. 즉, 개인 이동전화기가 유선전화기와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많이 받는 사용자가 잠시동안 사무실에 머물 경우에, 이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에 지정되는 오는 모든 통신을 유선전화기(270)로 받기를 원한다면, 이 사용자는 전화회사 시스템에 중계 요청을 하면 된다. 이러한 요청은 개인 이동전화기나 유선전화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개인 이동전화기로 지정되어 오는 모든 통신을 유선전화기로 중계한다. 사용자가 중계 종료를 원한다면, 이 사용자는 유선전화기나 개인 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회사 시스템에 취소 요청 신호를 보낸다. 다른 종료 방안으로서, 사용자가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걸거나 개인 이동전화기로 전화를 받을 때에, 전화회사 시스템이 즉시 중계를 취소할 수도 있다.
차량 이동전화기에 대한 실시예의 대부분의 특징은 유선전화기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예 8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이동전화기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버튼들이 운전자가 운전중에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조작 버튼을 핸들이나 계기패널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거는 통화버튼(331)을 핸들(330)에 설치할 수 있다(도23 참조). 또한, 통화를 종료하는 온/오프 버튼(332)도 핸들(33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러한 버튼을 계기패널에 설치할 수도 있다. 입력패널도 또한 운전자가 운전중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계기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동승자가 승차하고 있을 때의 개인비밀 유지를 위하여 차량 이동전화기의 외장스피커 소리가 운전자에게만 들릴 수 있도록 스피커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향성의 외장스피커(140)를 운전자 귀 근처의 자동차 내부벽 또는 머리받침부에 설치할 수 있고(도4 참조), 마이크(141)는 운전자의 입 근처에 설치된다. 또한, 스피커에는 귀 위치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항상 운전자의 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에도 입 위치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항상 운전자의 입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9
운전자가 운전을 하고 차량 이동전화기가 운전자의 개인 이동전화기의 통신을 처리할 때에는, 차량 이동전화기에 운전자의 개인 이동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개인 전화번호부, 최근 통화기록, 다이어리 등)를 저장시키도록 하면 유 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회사 시스템이 운전자의 개인 이동전화기로 지정되어 오는 통신을 차량 이동전화기로 중계를 시작할 때, 전화회사 시스템은 운전자의 개인 이동전화기에 상기 정보를 전송토록 요청하고, 운전자의 개인 이동전화기는 이 정보를 전화회사 시스템에 전송한다. 그 후, 전화회사 시스템에서는 상기 정보를 차량 이동전화기에 전송한다.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거나 패스워드를 체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계가 종료된 때에 상기 정보를 삭제하도록 차량 이동전화기를 프로그램할 수 있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핸즈프리 장치와 달리 사용자가 추가 행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진정한 핸즈프리 장치라 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동전화기를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전화번호 또는 일정 입력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전화번호 입력 또는 일정 입력을 지시하는 행위를 수행하고 상기 전화번호 또는 일정 정보를 나타내는 본문필드를 포함하는 명령수단을 가지며, 임의의 장치에 부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임의의 장치를 동작시키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명령수단의 본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명령수단의 행위를 실행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부착된 임의의 장치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명령수단은 패스워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명령수단을 수신하고 패스워드가 정당할 때에 명령수단의 본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명령수단의 행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35. 삭제
KR1020040027913A 2003-04-22 2004-04-22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777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19.830 2003-04-22
US10/419,830 US20040214596A1 (en) 2003-04-22 2003-04-22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368A Division KR100797784B1 (ko) 2003-04-22 2007-01-24 자동차용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70007332A Division KR100797782B1 (ko) 2003-04-22 2007-01-24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70007353A Division KR100797783B1 (ko) 2003-04-22 2007-01-24 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413A KR20040093413A (ko) 2004-11-05
KR100777664B1 true KR100777664B1 (ko) 2007-11-21

Family

ID=332984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913A KR100777664B1 (ko) 2003-04-22 2004-04-22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0070007332A KR100797782B1 (ko) 2003-04-22 2007-01-24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70007368A KR100797784B1 (ko) 2003-04-22 2007-01-24 자동차용 이동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332A KR100797782B1 (ko) 2003-04-22 2007-01-24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70007368A KR100797784B1 (ko) 2003-04-22 2007-01-24 자동차용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040214596A1 (ko)
KR (3) KR100777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7081B1 (en) 2001-10-18 2006-09-12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4346969B2 (ja) * 2003-06-20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US8090402B1 (en) 2003-09-26 2012-01-03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121635B1 (en) 2003-11-22 2012-02-21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471929B2 (en) * 2004-01-20 2008-12-30 Omron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telephone countermeasure in using telephone during driving
US20060028176A1 (en) * 2004-07-22 2006-02-09 Qingfeng Tang Cellular telephone battery recharging apparatus
US20070015537A1 (en) * 2005-07-14 2007-01-18 Scosche Industries, Inc. Wireless Hands-Free Audio Kit for Vehicle
FR2889401B1 (fr) * 2005-07-26 2007-09-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et systeme de reponse automatique a un appel entrant vers un terminal mobile d'un utilisateur en situation de conduite
US8907770B2 (en) * 2008-02-05 2014-12-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US8340726B1 (en) 2008-06-30 2012-12-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51105B2 (en) * 2009-02-25 2013-05-28 James Holland McNay Security and driver identification system
US8531536B2 (en) 2011-02-17 2013-09-10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ng information delivery manner using facial recognition
US9386142B2 (en) * 2011-12-14 2016-07-05 Dean A Craine Driver electronic device automatic deactivation system and method
EP2936235B1 (en) 2012-12-21 2021-10-13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ystem for a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971A (ko) * 1999-03-03 1999-06-25 이영호 휴대폰통신신호의무선중계장치와그제어방법
KR20000014214U (ko)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원격시동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40016165A (ko) * 2002-08-16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개폐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35153A (ko) * 2002-10-18 2004-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동 전화를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8028B1 (en) * 1993-12-22 2004-03-16 Nokia Mobile Phones, Ltd. Multi-mode radio telephone
US5825864A (en) * 1994-12-08 1998-10-20 Scientific And Commercial Systems Corporation Personal automatic registration system with call forwarding
FI105872B (fi) * 1997-08-28 2000-10-13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järjestelmä sanomien välittämiseksi
US6484027B1 (en) * 1998-06-15 2002-11-19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Enhanced wireless handset, including direct handset-to-handset communication mode
GB2353666A (en) * 1999-08-23 2001-02-28 Mitel Corp Call control system
FI19992730A (fi) * 1999-12-20 2001-06-21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puhelujen hallitsemiseksi hybriditelekommunikaatiojärjestelmässä
GB2370451A (en) * 2000-12-19 2002-06-26 Nokia Mobile Phones Ltd Diverting calls between different telephones
US6738466B1 (en) * 2000-12-22 2004-05-18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number identification
DE10125284A1 (de) * 2001-05-23 2002-11-28 Alcatel Sa Verfahren zur Auswahl eines von mindestens zwei Endgeräten
US6701145B2 (en) * 2001-07-30 2004-03-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redirecting calls placed to a mobile phone to a second phone
US20030092451A1 (en) * 2001-11-15 2003-05-15 Ibm Corporation Method of mobile phone consolidation
IL148926A (en) * 2002-03-27 2007-07-24 Cellcom Israel Ltd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ellular communication services among mobile stations of different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214U (ko)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원격시동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19990045971A (ko) * 1999-03-03 1999-06-25 이영호 휴대폰통신신호의무선중계장치와그제어방법
KR20040016165A (ko) * 2002-08-16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개폐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35153A (ko) * 2002-10-18 2004-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동 전화를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14596A1 (en) 2004-10-28
KR20070020103A (ko) 2007-02-16
KR100797784B1 (ko) 2008-01-24
KR100797782B1 (ko) 2008-01-24
US20130137409A1 (en) 2013-05-30
KR20070020102A (ko) 2007-02-16
KR20040093413A (ko) 2004-11-05
US8897761B2 (en)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782B1 (ko) 이동통신 시스템
US9532160B2 (en) Method of determining user intent to use services based on proximity
US7437183B2 (en) Wireless user interface extension
US7548491B2 (en) Personalized key system for a mobile vehicle
EP2048626B1 (en) Apparatus for medium-range vehicle communications and control
US20070120948A1 (en) Device and method for telephone countermeasure in using telephone during driving
US20060224305A1 (en) Vehicle uni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vehicle and a wireless device
CN107031566A (zh) 用于启用车辆驶离的方法和系统
JP3003686B1 (ja) 携帯電話機及び自動車システム
JP3597143B2 (ja) 自動車錠管理システム
CN103296534A (zh) 插头锁闭装置
JP4814867B2 (ja) 電話機能一体型電子キー
KR101369777B1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시스템,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 장치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JP4314747B2 (ja) 車両のための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100797783B1 (ko) 이동통신 시스템
CN106790930A (zh) 通信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JPH10317748A (ja) 車載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JP3693823B2 (ja) 車載電話のダイヤルロック解除システム及びキーレスユニット
JP2003174674A (ja) 携帯端末通信規制装置
JP4656093B2 (ja) 車両用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接続の確立方法
JP4188862B2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522370A (ja) 車両通信装置、プロセッサを備えた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な記憶媒体
KR200339778Y1 (ko) 전화기로 자동차를 제어하는 장치
JPH10315876A (ja) 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061642U (ja) 無線電話の音声コントロ―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