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857B1 -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 클래드복합재 및 그것을 사용한 소형직류모터 - Google Patents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 클래드복합재 및 그것을 사용한 소형직류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857B1
KR100776857B1 KR1020060041448A KR20060041448A KR100776857B1 KR 100776857 B1 KR100776857 B1 KR 100776857B1 KR 1020060041448 A KR1020060041448 A KR 1020060041448A KR 20060041448 A KR20060041448 A KR 20060041448A KR 100776857 B1 KR100776857 B1 KR 10077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mmutator
small
brush
direc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209A (ko
Inventor
케이지 나카무라
마코토 다카바타케
마사히로 다카하시
슈이치 구보타
타카오 아사다
토시야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다나까 기낀조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마부치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까 기낀조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마부치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까 기낀조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4Commut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5/00Alloys based on noble metals
    • C22C5/06Alloys based on silver
    • C22C5/08Alloys based on silver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6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 B22F7/08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with one or more parts not made from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 noble metal or a noble metal allo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5/00Alloys based on noble metals
    • C22C5/04Alloys based on a platinum group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2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e.g. 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14Fastenings of commutators or slip-rings to shafts
    • H01R39/16Fastenings of commutators or slip-rings to shafts by means of moulded or cast material applied during or after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6Manufacture of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2Manufacture of brus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22F2998/1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sequence of their ste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10S428/9265Special properties
    • Y10S428/929Electrical contact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89Au-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96Ag-base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전류로 제어하는 타입의 DVD용 스핀들 모터의 장수명화를 가능하게 하는,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또는 브러시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는 6.0∼10.0중량%의 Cu와, 1.0∼5.0중량%의 ZnO과, 나머지 Ag과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AgCu합금 매트릭스 중에, Cu금속입자, ZnO입자를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브러시 재료는 0.1∼5.0 중량%의 MgO와, 나머지 Ag과의 조성으로 구성되고, Ag 매트릭스 중에, MgO입자를 분산시킨 것, 혹은 5.0∼15.0 중량%의 Ni와, 나머지 Pt과의 조성으로 구성되고, Pt 매트릭스에 Ni를 고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소형직류모터, DVD, DVD 플레이어, 스핀들 모터, 정류자, 브러시, 접촉저항, 장수명화

Description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 클래드 복합재 및 그것을 사용한 소형직류모터{COMMUTATOR AND BRUSH MATERIALS FOR SMALL ELECTRIC DC MOTOR, CLAD COMPOSITE MATERIAL, AND SMALL ELECTRIC DC MOTOR USING THE SAME}
도 1은 2층 클래드 복합재의 사시도.
도 2는 3층 클래드 복합재의 사시도.
도 3은 펄스제어의 파형 개략도.
본 발명은 기계적인 미끄럼 동작에 의해 전기적인 전환을 행하는 소형직류모터의 정류자(整流子) 및 브러시(Brush)에 관한 것으로, 특히, DVD 플레이어에 있어서 DVD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형직류모터에 사용되는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기한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CD에서 DVD로 사용 형태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소형직류모터용 재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행하여져 왔다. 초기의 음악을 연주하는 CD 플레이어는 디스크의 회전이 약 500rpm이며,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나 브러시 재료에 대한 부하도 그다지 큰 것이 아 니었다.
그 후, 오디오 기기로서 CD 플레이어가 자동차에 탑재되게 되면, -40℃에서 85℃까지의 온도범위에서의 소형직류모터의 사용 내구성이 요구되게 되어, 본 출원인은 이러한 내구성을 실현할 수 있는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개발하였다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일본특개평 8-291349호 공보
이 특허문헌1에 개시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는 CD 플레이어의 배속(倍速), 4배속 등의 고속 회전화(回轉化)나, 재생 전용의 DVD 플레이어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여, 현재에는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에 있어서 대표적인 정류자 재료로 되고 있다.
그러나, DVD용의 스핀들 모터의 제어방법이 더 복잡해져, 특허문헌1에 기재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에서는 그 요구 특성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새로운 성능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 실상이다. 또한, 새로운 성능의 향상을 위해,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뿐만 아니라, 상대편으로 되는 브러시 재료의 개발도 요망되고 있는 것이 현 실상이다.
최근, DVD용의 스핀들 모터의 제어방법에는 몇 개의 방식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고급의 오디오 기기에서는 펄스 전류로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1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에서는 요구 특성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펄스 전류로 제어하는 타이프의 DVD용 스핀들 모터의 장수명화를 가능하게 하는,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 등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본 발명을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소형직류모터에 사용되는 정류자 재료에 있어서, 6.0∼10.0중량%의 Cu와, 1.0∼5.0중량%의 ZnO과, 나머지 Ag과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AgCu합금의 매트릭스(Matrix) 중에, Cu금속입자, ZnO입자를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는 AgCu합금의 매트릭스 중에 Cu금속입자, ZnO입자가 분산한 합금인 것이 특징이다. 이 AgCu합금의 매트릭스 중에, 고용(固溶)하여 있는 Cu 및 분산한 Cu입자는 내마모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AgCu 매트릭스 중에 분산하여 있는 ZnO입자는 아크(Arc)에 의한 소모를 절감함과 아울러, 정류자로서 사용하였을 때의 미끄럼부분에서의 윤활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종래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예컨대 Ag-Pd-Cu-Ni합금은 소위, 용해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합금 매트릭스 중에 Cu금속입자와 Ni금속입자가 분산함으로써 마모를 억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에서는 AgCu합금 매트릭스 중에 Cu금속입자와 ZnO입자가 분산하여 있고, 이렇게 금속입자와 산화물입자와를 함께 분산시키면,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로서, 극히 양호한 내마모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와 같이, ZnO입자를 AgCu합금 매트릭스 중에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소위 분말야금법에 의해 정류자 재료를 제조함으로써 실현 가능하게 된다. 분말야금법에 의하면, Ag 매트릭스 중에 존재하는 산화물입자가 극히 균일하게 분산되게 되지만, 소위 용해법에 의해서는 본 발명과 같은 조직 구조를 갖는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제조할 수는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에서는, AgCu합금 매트릭스 중에 고용하여 있는 Cu 및 Cu금속입자는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주로 하고 있지만, 이 Cu의 함유량은 6.0∼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6.0중량% 미만이면, AgCu합금화에 의한 매트릭스의 강화 및 Cu금속입자에 의한 내마모성의 향상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으로 되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내마모성의 향상이 역영향을 미쳐, 정류자의 상대편이 되는 브러시를 마모하게 되어, 결과적으로서 소형직류모터의 내구수명을 저하시켜 버린다. 이 Cu의 함유량은 7.0∼9.0중량%의 조성 범위로 하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의 특성을 가장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어, 실용상 매우 적합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에서는 ZnO입자가 미끄럼부분, 즉 접점표면에 있어서 고상(固相)윤활제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이 ZnO의 함유량은 1.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ZnO의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에서는 윤활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되는 경향으로 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하여,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로서 가공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ZnO는 2.0∼4.0중량%의 조성 범위로 하는 것이 미끄럼 접점특성을 가장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어, 실용상 매우 적합한 것으로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모터의 정류자로서 사용한 경우, 더 적합한 정류자의 구성재료로 하기 위해, Cu또는 Cu합금에 의한 베이스(Base) 재료를 사용하고, 그 베이스 재료상의 일부에,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매설한 클래드 복합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정류자를 전기적으로 외부와 접속하는 경우, 예컨대 땜납성(Solderability)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정류자 형상에 요구되는 진원도(眞圓度)가 높은 형상으로 형성할 때의 가공성도 향상한다. 또한, 클래드 복합재로 하는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사용하는 소형직류모터에 대응하여, 베이스 재료에 매설하는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부분에만, 고가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사용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적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Cu 또는 Cu합금의 베이스 재료를 이용한 클래드 복합재는 매설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중 표면에 노출하는 부분은 대기중에 노출되므로 유화(硫化)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래서, Cu또는 Cu합금의 베이스 재료상의 일부에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매설한 클래드 복합재인 경우, 그 매설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상의 적어도 일부를 Au 또는 Au합금으로 피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u 또는 Au합금은 내식성이 뛰어나면서도 저(低)접촉저항을 실현할 수 있는 양호한 정류자 재료로서 알려져 있지만,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대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그 때문에, Au 또는 Au합금을 필요한 부 분의 일부분에만 피복함으로써 비용의 증가를 억제함과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의 유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클래드 복합재를 소형직류모터의 정류자에 사용하면, 사용 초기시에는 Au 또는 Au합금이 뛰어난 접촉저항 특성에 의해, 양호한 모터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가령 마모에 의해 Au 또는 Au합금이 파괴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내부측에는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 계속이 더 가능하게 된다.
상기하는 본 발명에 의한, 소위 2층 또는 3층 클래드 복합재를, DVD용 스핀들 모터의 정류자에 사용한 경우에는 그 소형직류모터 자체의 수명을 비약적으로 장기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소형직류모터에 사용되는 정류자 재료의 개발에 따라, 그 상대편이 되는 브러시 재료에 대하여도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이하에 설명하는, 소형직류모터용에 적합한 2 종류의 브러시 재료를 찾아냈다.
첫번째의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는 0.1∼5.0중량%의 MgO와, 나머지 Ag과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Ag 매트릭스 중에, MgO입자를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는 5.0∼15.0중량%의 Ni과, 나머지 Pt과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Pt 매트릭스에 Ni를 고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 중, Ag의 매트릭스 중에 MgO입자가 분산한 것에서는, Ag매트릭스 중에 분산하여 있는 MgO입자가 아크에 의한 소 모를 줄임과 아울러, 브러시로서 사용하였을 때의 미끄럼부분에서의 윤활제의 역할을 하여, 마찰저항을 줄이게 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 Ag의 매트릭스 중에 MgO입자가 분산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에서는 MgO입자가 미끄럼부분, 즉 접점표면에 있어서 고상윤활제로서 작용하는 것이지만, 이 MgO의 함유량은 0.1∼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MgO의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에서는 윤활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되는 경향으로 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하여,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로서 가공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MgO는 1.5∼4 .0중량%의 조성 범위로 하는 것이 미끄럼 접점성을 가장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어, 실용상 매우 적합한 것으로 된다.
또한, Ag의 매트릭스 중에 MgO입자가 분산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는 소위 분말야금법에 의해 브러시 재료를 제조함으로써 실현 가능하게 된다. 분말야금법에 의하면, Ag 매트릭스 중에 존재하는 산화물입자가 극히 균일하게 분산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입자분산형의 재료는 후술하는, 소위 용해법에 따라서는 같은 조직 구조를 갖는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를 제조할 수는 없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로, Pt 매트릭스에 Ni이 고용한 합금의 것은 Pt금속이 본래, 아크에 의한 소모에 대하여 뛰어나지만, Pt 매트릭스에 Ni를 고용시킴으로써, 브러시 표면이 매끈매끈해진다. 즉, 고용 Ni는 브러시로서 사용하였을 때의 미끄럼부분에서의 윤활제의 역할을 하여, 마찰저항을 줄이게 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Pt 매트릭스에 Ni이 고용한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에서는, 고용하여 있는 금속Ni이 Pt의 윤활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이 Ni의 함유량은 5.0∼1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Ni의 함유량이 5.0중량% 미만에서는 Ni의 윤활성향상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경향으로 되고, 15.0중량%를 초과하면 Ni가 산화하여 산화 니켈로 됨으로써, 접촉저항이 낮아진다. 이 Ni는 8.0∼12.0중량%의 조성 범위로 하는 것이 미끄럼 접점성을 가장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어, 실용상 매우 적합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Pt 매트릭스에 Ni가 고용한 합금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는 소위, 용해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는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 예컨대 Ag 50wt% - Pd 50wt% 합금은 소위 용해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AgPd의 고용합금으로 함으로써 마모를 억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Pt 매트릭스에 Ni가 고용한 합금으로 되는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에 대하여도, Ag 50wt% - Pd 50wt% 합금과 마찬가지로, 용해법에 의해 제조가능하고, Pt 매트릭스 중에 Ni금속을 고용시킴으로써, Pt의 아크에 대한 내소모성과, Ni를 고용시킨 것에 의한 윤활성의 공존이 가능하게 되어,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로서, 극히 양호한 내마모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를 모터의 브러시로서 사용하는 경우, 더 적합한 브러시의 구성 재료로 하기 위해, 용수철성을 갖는 Cu합금에 의한 베이스 재료를 사용하고, 그 베이스재료상의 일부에,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를 매설한 클래드 복합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베이스 재료의 용수철성을 이용하여, 브러시를 최적의 하중으로 정류자와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래드 복합재로 하는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사용하는 소형직류모터에 대응하여, 베이스 재료에 매설하는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부분에만, 고가의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를 사용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자 등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와 브러시 재료를 조합시켜, DVD 플레이어에게 사용되는 직류 소형 스핀들 모터에 적용하면, 저 접촉저항 특성이나, 저 전압시동 특성 등을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예 및 종래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에 관한 마모 특성평가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 1에는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에 관한 실시예 1의 조성 및 이 실시예 1과의 특성 대비를 행한 종래예 1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의 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32420382-pat00001
실시예 1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는 먼저, 8.0중량%의 Cu분말, 3.0중량%의 ZnO분말 및 나머지 Ag분말을, 볼 밀(Ball Mill)로 4시간 교반하여, 각 분말이 균일하게 분산한 분말혼합물로 하였다. 그리고, 그 분말혼합물을, 원통용기에 채워넣고, 원주 길이방향으로부터 압력 4.9×105N(50tf)을 가하여 압축가공처리하여, 지름 50mm의 원주 빌레트(Billet)를 형성하였다. 계속하여, 이 원주 빌레트를, 973K(700℃)의 온도 중에서, 4시간의 소결처리를 행하였다(5.OPa). 이 압축가공처리, 소결처리는 3회 반복하여 행하였다.
이 압축가공 및 진공소결처리를 실시한 원주 빌레트는 열간압출가공에 의해, 지름 6.Omm인 선재(線材)로 형성하였다. 계속하여, 선 인출가공에 의해, 지름1.6mm인 선재로 하였다.
종래예 1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는 용해법에 의한 것으로, 표 1에 기재한 조성으로 되도록 각 금속을 용해하고, 그 후 주조, 압출가공, 선 인출가공함으로써, 지름 1.6mm의 선재로 하였다. 한편, 이 종래예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특허문헌1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특개평 8-291349호 공보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된 각 선재는 압연기에 의해 테이프(Tape)모양으로 가공하고, 그것을 베이스 층으로 되는 Cu재료에 인레이드(Inlaid) 접합을 하여 클래드 복합재를 얻었다. 그리고, 이 클래드 복합재는 1023K(750℃)에서 열처리를 하고, 압연을 반복하여, 총 두께 0.3mm, 폭 19mm인 2층 클래드 복합재로 하였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클래드 복합재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사시도는 Cu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재료의 일부에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매설한, 소위, 2층 클래드 복합재라고 불리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의 사시도는 Cu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재료의 일부에 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매설하고, 또한 그 매설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의 일부를 Au 또는 Au합금에 의해 피복한, 소위, 3층 클래드 복합재라고 불리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2a, 2b은 한 개의 스트라이프(Stripe), 도 1b은 두 개의 스트라이프의 클래드 복합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부호 1은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도 2의 부호 1'는 매설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1)의 일부 노출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는 노출부, 부호 2는 Cu합금의 베이스 재료, 부호 3은 Au 또는 Au합금을 나타내는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종래예 1의 정류자 재료의 마모 특성평가를 행하였을 때에 사용한 정류자의 상대편으로 되는 브러시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 2에, 그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의 조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32420382-pat00002
표 2에 나타낸 각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에 의한 브러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 실시예 3에 대하여는 각 조성에 상당하는 MgO분말, 나머지 Ag분말을, 볼 밀로 4시간 교반하여, 각 분말이 균일하게 분산한 분말혼합물로 하였다. 그리고, 그 분말혼합물을, 원통용기에 채워넣고, 원주 길이방향으로 압력 4.9×105N(50tf)을 가하여 압축가공처리하여, 지름 50mm인 원주 빌레트를 형성하였다. 계속하여, 이 원주 빌레트를, 1123K(850℃)의 온도 중에서, 4시간의 소결처리를 행하였다(5.OPa). 이 압축가공처리, 소결처리는 3회 반복하여 행하였다.
이 압축가공 및 진공소결처리를 실시한 원주 빌레트는 열간압출가공에 의해, 지름 6.Omm인 선재로 형성하였다. 계속하여, 선 인출가공에 의해, 지름 1.Omm인 선재로 하였다.
다음에, 표 2에 나타내는 실시예 4 및 종래예 2의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에 의한 브러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 4 및 종래예 2의 브러시 재료에서는 용해법을 사용하여, 표 2에 기재한 각 조성으로 되도록 각 금속을 용해하고, 그 후 주조, 압출가공, 선 인출가공함으로써, 지름 1.Omm인 선재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된 브러시용의 각 선재는 압연기에 의해 테이프모양으로 가공하고, 그것을 베이스 층으로 되는 Cu재료에 인레이드 접합하여 클래드 복합재를 얻었다. 그리고, 이 클래드 복합재는 1073K(800℃)에서 열처리를 하고, 압연을 반복하여, 총 두께 70㎛, 폭 19mm인 2층 클래드 복합재로 하였다. 이 2층 클래드 복합재는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형태이며, Cu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료의 일부에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를 매설한 것이다. 이 브러시용의 2층 클래드 복합재의 경우, 도 1에서의 부호 1은 표 2에 나타내는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 도 2의 부호 1'는 매설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1)의 일부 노출한 부분을 나타내는 노출부, 부호 2는 Cu합금의 베이스 재료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2층 클래드 복합재로 한 정류자 및 브러시를 사용하여 실제로 소형직류모터를 조립하여, 모터를 소정시간 구동하였을 때의 정류자 및 브러시의 마모상태를 조사하였다. 소형직류모터의 조립은 표 1에 나타내는 각 조성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한 도 1a에 나타내는 2층 클래드 복합재를 제작하고, 이 클래드 복합재를, 외경 3.3mm, 길이 2.4mm의 3극(極) 콘뮤테이터(Commutator)로 가공하여, DVD 스핀들용 소형직류모터로 조립하였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각 조성의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에 대하여는 상기한 도 1a에 나타내는 2층 클래드 복합재를 제작하고, 이 클래드 복합재를, 세 개 포크(Fork)의 브러시 형상으로 가공하여, DVD 스핀들용 소형직류모터로 조립하였다. 비교 시험의 조건은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때의 펄스제어의 파형 개략을 도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32420382-pat00003
여기에서의 마모 특성평가는 표 4에 나타내는 정류자 재료와 브러시 재료와의 조합의 소형직류모터에 대하여 행하였다. 시험온도는 60℃에서, 각 조합의 소형직류모터 다섯 대에 대하여, 12cm의 DVD디스크를 부하로 하여 200시간 회전한 후에, 그 다섯 대의 모터의 정류자 및 브러시의 마모 깊이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32420382-pa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정류자 재료와 실시예 4의 브러시 재료를 조합한 모터에서는, 정류자의 마모 깊이 브러시의 마모 깊이와 함께, 종래예 1의 정류자 재료와 종래예 2의 브러시 재료를 조합한 모터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작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정류자 재료 혹은 브러시 재료 중 어느 한 쪽이 본원발명의 조성인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예 1의 정류자 재료와 종래예 2의 브러시 재료와의 조합 모터에 비교하여, 정류자의 마모 깊이 브러시의 마모 깊이가 작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통상, DVD 스핀들용 소형직류모터의 펄스제어에서는, 빈번하게 모터 회전제어전압이 걸리기 때문에, 정격의 10배 상당의 돌입(突入)전류가 변화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불꽃에 의해, 정류자에 있어서는 정류자편의 정류전환부분이 용손(溶損)마모하고, 그리고, 전환부분이 마모하면 브러시로의 이동부착량도 늘어나서, 응착(凝着)마모가 심하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응착마모현상은 종래예 1의 정류자 재료와 종래예 2의 브러시 재료와의 조합 모터에서 현저하게 볼 수 있었지만, 그 이외의 조합 모터에서는 이러한 마모현상이 억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표 1 및 표 2에서 제시한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를 채용한 소형직류모터로 관하여, 내구시험을 행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내구시험 조건은 시험시간 이외는 표 3에 나타내는 조건과 같고, 펄스제어의 파형도 도 3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또한, 이 내구시험은 표 5에 나타내는 정류자 재료와 브러시 재료와의 조합으로 조립한 소형직류모터 다섯 대에 대하여 행하였다. 이 내구시험은 모터가 고장난 시간을 측정한 것이지만, 내구수명이 1300시간을 넘은 것은 1300시간에서 내구시험을 중지하여, 1300시간의 내구시간이라고 하였다.
Figure 112006032420382-pat00005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정류 재료와, 실시예 2∼4의 브러시 재료와의 조합에 있어서는, 다섯 대의 모터의 모두가 1000시간 이상의 내구수명을 갖고 있다는 것이 판명되어, 시장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또는 브러시 재료, 혹은 이들 재료를 조합시켜, DVD 플레이어에게 사용되는 직류 소형 스핀들 모터에 적용하면, 낮은 접촉저항을 경시적으로 유지하고, 낮은 시동 전압으로 모터를 장시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정류자 재료 또는 브러시 재료에서는 실현 불가능하였던 소형직류모터의 장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6.0∼10.0중량%의 Cu와, 1.0∼5.0중량%의 ZnO과, 나머지 Ag과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AgCu합금 매트릭스 중에, Cu금속입자, ZnO입자를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2. Cu 또는 Cu합금의 베이스 재료상의 일부에, 제1항에 기재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를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복합재.
  3. 제2항에 있어서,
    매설한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상의 적어도 일부를 Au 또는 Au합금으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복합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한 클래드 복합재를 정류자로서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직류모터.
  5. 0.1∼5.0중량%의 MgO와, 나머지 Ag과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Ag 매트릭스 중에, MgO입자를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
  6. 5.0∼15.0중량%의 Ni와, 나머지 Pt과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Pt 매트릭스에 Ni를 고용(固溶)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
  7. 용수철성을 갖는 Cu합금의 베이스(Base) 재료상의 일부에,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한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를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복합재.
  8. 제7항에 기재한 클래드 복합재를 브러시로서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직류모터.
  9.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한 클래드 복합재를 정류자로서 채용함과 아울러, 0.1∼5.0중량%의 MgO와, 나머지 Ag과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Ag 매트릭스 중에, MgO입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진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를, 용수철성을 갖는 Cu합금의 베이스(Base) 재료상의 일부에 매설하여 구성된 클래드 복합재를 브러시로서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직류모터.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한 클래드 복합재를 정류자로서 채용함과 아울러, 5.0∼15.0중량%의 Ni와, 나머지 Pt과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Pt 매트릭스에 Ni를 고용(固溶)시켜 이루어진 소형직류모터용 브러시 재료를, 용수철성을 갖는 Cu합금의 베이스(Base) 재료상의 일부에 매설하여 구성된 클래드 복합재를 브러시로서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직류모터.
KR1020060041448A 2005-05-12 2006-05-09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 클래드복합재 및 그것을 사용한 소형직류모터 KR100776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9423 2005-05-12
JPJP-P-2005-00139423 2005-05-12
JP2006108533A JP4252582B2 (ja) 2005-05-12 2006-04-11 直流小型モータ用整流子材料及び刷子材料、クラッド複合材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直流小型モータ
JPJP-P-2006-00108533 2006-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209A KR20060117209A (ko) 2006-11-16
KR100776857B1 true KR100776857B1 (ko) 2007-11-16

Family

ID=3741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48A KR100776857B1 (ko) 2005-05-12 2006-05-09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 클래드복합재 및 그것을 사용한 소형직류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76017B2 (ko)
JP (1) JP4252582B2 (ko)
KR (1) KR100776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231B1 (ko) * 2010-07-08 2012-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7228B2 (en) * 2004-06-10 2013-03-05 Ati Properties, Inc. Clad alloy substrat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879794B1 (ko) * 2006-12-22 2009-0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용 정류자, 진동모터 및 이에 사용되는 도금액
JP5342931B2 (ja) * 2009-06-05 2013-11-13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摺動接点材料及びクラッド複合材並びにモーター
CN101892399B (zh) * 2010-05-14 2012-05-02 上海集强金属工业有限公司 银基合金层及银基合金层复合材料,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877A (ja) * 1995-03-13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摺動接点材料
JPH08260078A (ja) * 1995-03-20 1996-10-08 Tanaka Kikinzoku Kogyo Kk 摺動接点材料及びクラッド複合材ならびにそれを使用した直流小型モータ
US6245166B1 (en) 1997-07-02 2001-06-12 Mabuchi Motor Co., Ltd Material for sliding contact, composite clad material, and small-sized direct current motor using the same
KR20040023063A (ko)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류 모터의 브러시 마모 감지장치
KR20050009158A (ko) * 2003-07-11 2005-01-24 마부치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모터의 정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1727A (en) * 1976-12-03 1979-0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6021215B2 (ja) * 1978-02-22 1985-05-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接点材料
JPS5884951A (ja) * 1981-11-17 1983-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接点材料
JPS5916219A (ja) * 1982-07-16 1984-01-2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接点材料
JPS5959849A (ja) * 1982-09-28 1984-04-05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電気接点材料
JPS59116344A (ja) * 1982-11-30 1984-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接点材料
JPS59116345A (ja) * 1982-12-24 1984-07-05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電気接点材料
JPS6013038A (ja) * 1983-07-05 1985-01-23 Tokuyama Soda Co Ltd 低熱膨張性銀パラジウム合金
KR920000426A (ko) * 1990-06-28 1992-01-29 아끼라 시바따 은 또는 은-구리 합금 금속 산화물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US5972131A (en) * 1992-03-25 1999-10-26 Tanaka Kikinzoku Kogyo K.K. Ag-Cu alloy for a sliding contact
JP2895793B2 (ja) 1995-02-24 1999-05-24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摺動接点材料及びクラッド複合材ならびにそれらからなるコンミテータ及びそのコンミテータを使用した直流小型モータ
TW517095B (en) * 1999-04-23 2003-01-11 Tanaka Precious Metal Ind Co L Method for producing Ag-ZnO electric contact material and electric contact material produced thereby
JP3789291B2 (ja) * 2000-07-21 2006-06-21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Ni金属粒子分散型のAg−Ni系合金摺動接点素材及びクラッド複合材ならびにそれを使用した直流小型モータ
JP4111906B2 (ja) * 2003-11-26 2008-07-02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摺動接点材料及びクラッド複合材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直流小型モータ
JP5065603B2 (ja) * 2005-03-29 2012-11-07 京セラ株式会社 コイル内蔵基板および電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877A (ja) * 1995-03-13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摺動接点材料
JPH08260078A (ja) * 1995-03-20 1996-10-08 Tanaka Kikinzoku Kogyo Kk 摺動接点材料及びクラッド複合材ならびにそれを使用した直流小型モータ
US6245166B1 (en) 1997-07-02 2001-06-12 Mabuchi Motor Co., Ltd Material for sliding contact, composite clad material, and small-sized direct current motor using the same
KR20040023063A (ko)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류 모터의 브러시 마모 감지장치
KR20050009158A (ko) * 2003-07-11 2005-01-24 마부치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모터의 정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231B1 (ko) * 2010-07-08 2012-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209A (ko) 2006-11-16
US7876017B2 (en) 2011-01-25
US20060255680A1 (en) 2006-11-16
JP4252582B2 (ja) 2009-04-08
JP2006342424A (ja)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781B1 (ko) 슬라이드 접점재료 및 클래드복합재와 이를 사용한 직류소형모터
JP2895793B2 (ja) 摺動接点材料及びクラッド複合材ならびにそれらからなるコンミテータ及びそのコンミテータを使用した直流小型モータ
KR100776857B1 (ko) 소형직류모터용 정류자 재료 및 브러시 재료, 클래드복합재 및 그것을 사용한 소형직류모터
JP3507388B2 (ja) 銅系摺動材料
KR0147816B1 (ko) 전기접점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재료를 사용한 전기접점
US6638334B2 (en) Sliding contact material comprising Ag-Ni based alloy having Ni metal particles dispersed and clad composite material, and Dc compact motor using the same
US7160632B2 (en) Material for sliding contacts, clad composite material and small-sized DC motor using the same
JP4512318B2 (ja) 積層ブラシ
CN100457936C (zh) 整流子材料及电刷材料、包层复合材料及直流小型电动机
JP5342931B2 (ja) 摺動接点材料及びクラッド複合材並びにモーター
JPH08260078A (ja) 摺動接点材料及びクラッド複合材ならびにそれを使用した直流小型モータ
JP4019294B2 (ja) 摺動接点材料
JP3195995B2 (ja) 直流小型モータ用整流子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467635B1 (ja) 摺動接点材料
US20070042650A1 (en) Sliding electrical contact part
JP2006149144A (ja) マイクロモーター、マイクロモータ用摺動接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146945A (zh) 用于微电机整流子的自润滑电接触材料
JPH08283885A (ja) 摺動接点材料及びクラッド複合材ならびにそれを使用した直流小型モータ
JPS5935513B2 (ja) 直流小型モ−タの整流装置
JPS5931198B2 (ja) 直流小型モ−タの整流装置
JPH02280647A (ja) 電動機用コンミテータ
JPS6025173A (ja) 摺動接点装置
JPH05339661A (ja) ブラシ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