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461B1 -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461B1
KR100775461B1 KR1020010042909A KR20010042909A KR100775461B1 KR 100775461 B1 KR100775461 B1 KR 100775461B1 KR 1020010042909 A KR1020010042909 A KR 1020010042909A KR 20010042909 A KR20010042909 A KR 20010042909A KR 100775461 B1 KR100775461 B1 KR 10077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hole
mounting portion
alignment adjustment
guide ap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137A (ko
Inventor
차관준
김선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4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 일측이 핀(5)을 매개로 설비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의 위치를 변경시킴에 의해 가이드에이프런(1)의 배열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에이프런(1)의 상단 일측에 고정된 핀(8)에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공(13)과 설비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32)의 연결편(34)에 형성된 관통공(36)을 통해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이 끼워지며,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의 양단부에는 연결편 장착부(22),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 및 피니언 끼움구(26)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34)에 형성된 관통공(36)에 끼워지는 연결편 장착부(22)의 중심선(C1)과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에 형성된 관통공(13)에 끼워지는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의 중심선(C2)이 소정 간격(d)만큼 떨어지도록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가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끼움구(26)의 중심선은 상기 연결편 장착부(22)의 중심선(C1)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끼움구(26)에는 피니언(30)과 랙(40)을 매개로 구동모터(44)가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며,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위치감지센서(50)의 송출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4)를 구동시키도록 된 콘트롤러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가이드에이프런의 정렬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연속주조, 가이드에이프런, 얼라인먼트, 편심축, 소켓렌치

Description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Automatic alignment apparatus of guide apron in continuos casting utility}
도1은 일반적인 연주설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가 구비된 연주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상세하게 도시된 분해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에이프런 10 : 얼라인먼트 조정바
11 : 홈 13 : 관통공
20 : 얼라인먼트 조정축 22 : 연결편 장착부
24 :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 26 : 피니언끼움구
30 : 피니언 32 : 하우징
34 : 연결편 36 : 관통공
40 : 랙 42 : 감속기
44 : 구동모터 46 : 펄스제너레이터
50 : 위치감지센서 6 : 얼라인먼트 조정기
8 : 핀 C1, C2 : 중심선
본 발명은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가이드에이프런의 정렬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설비는 1,500℃ 이상의 쇳물을 제강공정에서 받아 주편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설비로써,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강공정에서 이동된 쇳물이 래들에 담겨지고, 상기 래들의 쇳물은 노즐장치를 통해 몰드(9)에 담겨진 후 가이드에이프런(1)을 거쳐 연속 주조된다.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내측에 주편(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인사이드 및 아웃사이드롤(3)(4)들이 장착되며, 이 가이드에이프런(1)의 하단부는 핀(5)을 매개로 설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그 가이드에이프런(1)의 상단부는 얼라인먼트조정기(6)에 연결된다.
즉,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를 상기 얼라인먼트조정기(6)를 이용하여 조정함으로써 가이드에이프런(1)의 입구로 상기 주편(2)이 정확하게 유입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얼라인먼트조정기(6)는 조정 두께를 갖는 두께조정편(미도시함)을 이용하여 가이드에이프런(1)의 정렬상태를 조정하였는바, 이는 상기 얼라인먼트조정기(6)를 이루는 좌, 우측 분할부(6A)(6B)를 볼트(7)에 의해 서로 연결하 고, 좌측 분할부(6A)가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상단부에 핀(8)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정렬상태를 조정하기 위하여는 상기 볼트(7)를 해체시킨 후 좌, 우측 분할부(6A)(6B) 사이에 두께조정편을 삽입하고 다시 상기 볼트(7)를 장착시키는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즉, 설비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우측 분할부(6B)에 대하여 좌측 분할부(6A)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정렬상태를 조정하는 것이었으나, 상기한 작업이 완료된 후 소정의 측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정렬 상태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이 소정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을 재차 수행하여야 하는 등 종래 방법에 의한 가이드에이프런(1)의 정렬상태 조정을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이드에이프런의 정렬상태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하단 일측이 핀을 매개로 설비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의 위치를 변경시킴에 의해 가이드에이프런의 배열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이프런의 상단 일측에 고정된 핀에 얼라인먼트 조정바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공과 설비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의 연결편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얼라인먼트 조정축이 끼워지며,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의 양단부에는 연결편 장착부,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 및 피니언 끼움구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연결편 장착부의 중심선과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의 중심선이 소정 간격만큼 떨어지도록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가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끼움구의 중심선은 상기 연결편 장착부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끼움구에는 피니언과 랙을 매개로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며, 상기 가이드에이프런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위치감지센서의 송출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도록 된 콘트롤러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가 구비된 연주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써, 전체적인 구성이 종래와 유사하고 도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에이프런(1)의 일측 상단에 고정 형성된 핀(8)의 양단에 길고 얇은 판재 형태로 된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일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일단에 상기 핀(8)이 삽입될 수 있는 일측이 개방된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홈(11)의 개방부는 볼트를 매개로 얼라인먼트 조정바(10)에 장착되는 스토퍼(12)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상기 핀(8)이 상기 홈(11)으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타단에는 각각 관통공(13)이 형성되 며, 이 관통공(13)을 통해 끼워지는 얼라인먼트 조정축(20)에 의해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와 하우징(32)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32)은 설비 프레임에 고정된다.
즉, 상기 하우징(32)의 일측에 한 쌍의 평행한 연결편(3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34)의 각각에는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이 끼워지는 관통공(3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관통공(13)과 상기 연결편(34)의 관통공(36)을 통해 끼워지는 얼라인먼트 조정축(20)에 의해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편(34)의 관통공(36)이 갖는 내경 크기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 연결편 장착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편 장착부(22)보다 더 끝부분에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관통공(13)이 갖는 내경 크기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의 연결편 장착부(22)에 대한 중심선(C1)과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에 대한 중심선(C2)이 서로 편심되게 형성한다. 즉, 상기 연결편 장착부(22)의 중심선(C1)과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의 중심선(C2)이 소정 간격(d) 떨어지고, 이 간격(d)은 가이드에이프런의 배열상태 조정량과 관련된다. 즉, 상기 간격(d)은 본 장치에 의해 가이드에이프런의 배열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량의 ½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의 일단에는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보다 더 끝부분에는 피니언(30)이 끼워지는 피니언끼움구(2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끼움구(26)의 중심선은 상기 연결편 장착부(22)의 중심선(C1)과 일치한다.
또한,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와 하우징(32)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간격유지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에 의한 가이드에이프런(1)의 얼라인먼트를 조정한 후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와 하우징(32) 사이에 간격유지수단을 고정시켜 가이드에이프런의 조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0)은 랙(40)에 맞물려 회전력을 제공받고, 상기 랙(40)은 감속기(42)를 매개로 구동모터(44)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며, 상기 랙(40)의 회전수가 펄스제너레이터(46)에서 측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상단 타측이 위치감지센서(50)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50)는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이 적정한 정렬상태에 있을 때, 도2의 좌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었을 때, 도2의 우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었을 때 각각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게 하거나, 그 이외의 필요한 위치정보를 송출하게 하여도 좋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44)에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펄스제너레이터(46)에서 송출된 랙(40)의 회전수와 위치감지센서(50)에서 송출된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콘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러에는 상기 위치감지센서(50)로부터 제공받은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4)를 구동시키고 또한 펄스제너레이터(46)로부터 제공받은 랙(40)의 회전수 정보에 의해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 조정량을 연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미리 내장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에이프런(1)의 얼라인먼트는 위치감지센서(50)에서 측정된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정보에 따라 피니언(30)을 회전시킴에 의해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는바, 상기 위치감지센서(50)에서 송출되는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정보가 콘트롤러에 제공되면, 콘트롤러는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가 설정된 범위에 있는지 판단하여 그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구동모터(44)를 구동시킨다.
물론,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정도로 벗어난 경우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도록 위치감지센서(50)가 설치된 경우, 상기 위치감지센서(50)에서 송출된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44)를 직접 구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구동모터(44)가 구동되면 이에 연결된 랙(40)이 회전되고, 동시에 상기 랙(40)에 연결된 피니언(30)이 회전되어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이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이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관통공(13)과 상기 연결편(34)의 관통공(36)에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은 연결편(34)의 관통공(36)에 끼워진 부분인 연결편 장착부(22)의 중심선(C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이에 의하여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가 상기 중심선(C1)에 대하여 소정 간격(d) 편심된 반경을 따라 회전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가 수용되어 있는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관통공(13)도 상기 중심선(C1)에 대하여 소정 간격(d) 편심된 반경을 따라 회전되고, 따라서 얼라인먼트 조정바(10)가 소정 간격(d)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도2의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4를 참조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편 장착부(22)에 대한 중심선(C1)과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에 대한 중심선(C2) 간의 간격(d)이 8mm라고 가정하면 구동모터(44)에 의해 랙(40) 및 피니언(30)을 매개로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이 회전될 때 얼라인먼트 장착부(24)의 편심된 부분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회전되면(도4의 상단 그림 참조) 조정바(10)가 8mm만큼 전진하게 되고, 반대로 얼라인먼트 장착부(24)의 편심된 부분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회전되면 조정바(10)가 8mm만큼 후진하게 되며, 얼라인먼트 장착부(24)의 편심된 부분이 상하 방향에 위치하도록 회전되면 편심 회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조정바(10)가 전후진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작동방식에 따라 전체적으로 16mm 간격만큼 가이드에이프런의 배열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펄스제너레이터(46)에서 측정되는 랙(40)의 회전수가 콘트롤러에 제공되며, 이렇게 제공된 랙(40)의 회전수 정보에 의해 콘트롤러는 가이드에이프런(1)의 이동량을 연산하여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정렬상태가 적절한 경우 상기 구동모터(44)를 정지시킨다.
물론,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정렬상태가 적절한지를 상기 위치감지센서(50)에서 감지할 수 있게 하여 상기 구동모터(44)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에 의하면,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가이드에이프런의 위치를 감지하여 필요한 경우 구동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랙과 피니언을 통해 가이드 에이프런의 배열상태를 자동으로 조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하단 일측이 핀(5)을 매개로 설비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의 위치를 변경시킴에 의해 가이드에이프런(1)의 배열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상단 일측에 고정된 핀(8)에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공(13)과 설비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32)의 연결편(34)에 형성된 관통공(36)을 통해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이 끼워지며,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축(20)의 양단부에는 연결편 장착부(22),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 및 피니언 끼움구(26)가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34)에 형성된 관통공(36)에 끼워지는 연결편 장착부(22)의 중심선(C1)과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10)에 형성된 관통공(13)에 끼워지는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의 중심선(C2)이 소정 간격(d)만큼 떨어지도록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바 장착부(24)가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끼움구(26)의 중심선은 상기 연결편 장착부(22)의 중심선(C1)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끼움구(26)에는 피니언(30)과 랙(40)을 매개로 구동모터(44)가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며, 상기 가이드에이프런(1)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위치감지센서(50)의 송출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4)를 구동시키도록 된 콘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
KR1020010042909A 2001-07-16 2001-07-16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 KR100775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09A KR100775461B1 (ko) 2001-07-16 2001-07-16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09A KR100775461B1 (ko) 2001-07-16 2001-07-16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137A KR20030008137A (ko) 2003-01-24
KR100775461B1 true KR100775461B1 (ko) 2007-11-12

Family

ID=2771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909A KR100775461B1 (ko) 2001-07-16 2001-07-16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7538B (zh) * 2016-08-19 2017-12-29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自动对中型倒角结晶器足辊装置
KR102239246B1 (ko) * 2019-10-14 2021-04-12 주식회사 포스코 세그먼트 장치 및 주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2830A (en) * 1976-01-30 1977-08-04 Hitachi Ltd Apparatus of supporting and guiding cast pieces in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JPS5841662A (ja) * 1981-09-04 1983-03-10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設備の鋳片案内装置
JPS6142459A (ja) * 1984-08-03 1986-02-28 Japan Eng Service:Kk 連続鋳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S61189855A (ja) * 1985-02-19 1986-08-23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トツプゾ−ン芯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2830A (en) * 1976-01-30 1977-08-04 Hitachi Ltd Apparatus of supporting and guiding cast pieces in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JPS5841662A (ja) * 1981-09-04 1983-03-10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設備の鋳片案内装置
JPS6142459A (ja) * 1984-08-03 1986-02-28 Japan Eng Service:Kk 連続鋳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S61189855A (ja) * 1985-02-19 1986-08-23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トツプゾ−ン芯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137A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461B1 (ko)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자동 조정장치
KR102444541B1 (ko)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KR101503015B1 (ko) 볼트 자동 조립 장치
CN109079330B (zh) 一种用于纽扣夹紧与翻转的装置
KR200202429Y1 (ko) 강판 도금용 에어나이프 장치
KR100805705B1 (ko) 연주설비의 가이드에이프런 배열상태 조정장치
CN210059746U (zh) 铸坯毛刺检测装置
CN113511506A (zh) 一种钢材加工机械用夹持装置
KR101435072B1 (ko) 토페도카용 스위치
KR200358106Y1 (ko) 타이어용 몰드의 홀 가공장치
KR20040039238A (ko) 타이어용 몰드의 홀 가공장치
KR20000006650U (ko) 더미바 헤드의 폭조정장치
JPH0481928B2 (ko)
CN215967824U (zh) 一种精密内圆磨床自动旋转送料装置
KR200289930Y1 (ko) 빌렛트 모울드 가이드롤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CN219767277U (zh) 一种汽车配件加工用自动焊接机
KR200189483Y1 (ko) 연속주조되는 슬라브 절단을 위한 비접촉식 길이 측정장치
US3945425A (en) Mold alignment device for horizontal casting
CN220497349U (zh) 一种拉丝机
KR100466498B1 (ko) 연속주조주편용 온도측정기의 렌즈 이송장치
JPH09329539A (ja) 毛細管式粘度計
CN220312513U (zh) 一种切割顶针的多功能夹具
JP3089985B2 (ja) ロータリノズルの駆動装置
CN213688187U (zh) 一种用于长轴校正设备的仪表调节组件
KR20040052644A (ko) 타이어 성형용 몰드의 홀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