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541B1 -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541B1
KR102444541B1 KR1020220090546A KR20220090546A KR102444541B1 KR 102444541 B1 KR102444541 B1 KR 102444541B1 KR 1020220090546 A KR1020220090546 A KR 1020220090546A KR 20220090546 A KR20220090546 A KR 20220090546A KR 102444541 B1 KR102444541 B1 KR 102444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ir knife
gear
vertical dir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기복
김윤자
강법성
백경철
허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to KR102022009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541B1/ko
Priority to PCT/KR2022/019295 priority patent/WO2024019237A1/ko
Priority to CN202211567126.8A priority patent/CN117431489A/zh
Priority to EP22211890.3A priority patent/EP430980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6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a blast of gas or vapou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된 기체 공급관(30)을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각도 조절유닛(110);을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유닛(110)은 에어나이프(20)의 양측을 지지하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몸체(111); 상기 몸체(1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나사축(112); 상기 나사축(112)과 나사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13); 상기 나사축(1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14); 상기 이동몸체(113)의 일측 또는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회동축(115); 상기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구(116); 상기 이동구(116)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레일(117); 상기 받침레일(117)과 연결하여 기체 공급관(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각도 조절부(118);를 포함하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각도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각도를 작업자 또는 운전실에서 정확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Air knife angle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나이프의 각도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나이프는 아연도금강판의 도금량(도금두께)을 제어하기 위해 고압기체를 분사하며 조업조건 및 공정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에어나이프의 설치위치가 협소하고 주변 설비와 간섭이 발생하여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에어나이프의 각도를 작업자 또는 운전실에서 정확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없으므로 조업과정에서 생산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2-0012105호(1992.07.2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31724호(2001.05.15.)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147호(2005.04.18.)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4970호(2013.05.03.)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66313호(2018.06.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각도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100)는,
에어나이프(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된 기체 공급관(30)을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각도 조절유닛(110);을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유닛(110)은 에어나이프(20)의 양측을 지지하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몸체(111); 상기 몸체(1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나사축(112); 상기 나사축(112)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11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13); 상기 나사축(1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14); 상기 이동몸체(113)의 일측 또는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회동축(115); 상기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구(116); 상기 이동구(116)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레일(117); 상기 받침레일(117)과 연결하고 타측에 기체 공급관(30)을 고정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각도 조절부(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114)은 구동모터(114a); 상기 구동모터(114a)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속기(114b); 상기 나사축(112)과 결합하여 상기 감속기(114b)와 연결하는 연결축(11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1각도 측정유닛(1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각도 측정유닛(120)은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21); 상기 각도 조절부(118)의 일측에 기체 공급관(30)과 동일한 회전반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제1기어(122); 상기 제1기어(12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제2기어(123); 상기 제2기어(123)의 상부에 형성하는 지시계(124);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지시계(124)의 상하 이동위치에 따라서 에어나이프(20) 및 기체 공급관(30)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눈금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2기어(123)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구(126); 상기 보조몸체(121)와 지지구(126)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구(126)를 밀어서 상기 제2기어(123)가 상기 제1기어(122)와 긴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탄성체(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측정하여 운전실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1)의 타측에 형성하는 제2각도 측정유닛(130)을 포함하되,
상기 제2각도 측정유닛(130)은 기체 공급관(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몸체(131); 상기 고정몸체(131)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1기어부(131a); 상기 제1기어부(131a)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기어부(132a)와 결합하는 각도 측정수단(132); 상기 고정몸체(132)의 일측에 형성하는 감지부(133); 상기 몸체(111)의 타측에 상기 감지부(133)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하는 에어나이프(20)의 상부 및 하부 정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센서(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도 측정수단(132)을 결합하는 회동몸체(135); 상기 고정몸체(131)의 상부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상기 회동몸체(135)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축(136)을 구비하는 장착몸체(137); 상기 회동몸체(135)와 장착몸체(137)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몸체(135)를 하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기어부(132a)가 상기 제1기어부(131a)와 긴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탄성체(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각도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각도를 작업자 또는 운전실에서 정확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D-D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된 기체 공급관(30)을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각도 조절유닛(110);을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유닛(110)은 에어나이프(20)의 양측을 지지하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몸체(111); 상기 몸체(1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나사축(112); 상기 나사축(112)과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13); 상기 나사축(1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14); 상기 이동몸체(113)의 일측 또는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회동축(115); 상기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구(116); 상기 이동구(116)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레일(117); 상기 받침레일(117)과 연결하여 기체 공급관(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각도 조절부(118);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10)는 에어나이프(2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규격을 갖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나이프(20) 및 기체 공급관(30)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하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한편, 각도 조절유닛(110)은 기체 공급관(3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기체 공급관(30)이 일측에 결합된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나사축(112)은 구동유닛(114)의 작동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나사 결합된 상기 이동몸체(11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114)은 구동모터(114a); 상기 구동모터(114a)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속기(114b); 상기 나사축(112)과 결합하여 상기 감속기(114b)와 장착하는 연결축(114c);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14a)와 감속기(114b)의 사이에 클러치 및 기어박스 등을 포함하여 정전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감속기(114b)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축(114c)은 유니버설 조인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14a)의 회전력을 상기 나사축(112)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115)은 상기 이동몸체(11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각도 조절부(118)의 회전반경에 따라서 상기 이동구(116)와 받침레일(117)이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13)는 상기 기체 공급관(30)의 중심과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나사축(112)의 회전으로 상기 이동몸체(113)가 상하방향으로 수직 운동하고, 상기 이동구(116) 및 받침레일(117)이 상기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각도 조절부(11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116)와 받침레일(117)은 상기 이동몸체(11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118)가 상기 기체 공급관(3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각도 조절부(118)의 회전 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구(116)와 받침레일(117)은 LM 블록 및 LM 가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부(118)는 기체 공급관(30)의 외측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이동몸체(113)의 상하방향 이동위치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동시에 기체 공급관(30)과 에어나이프(20)의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도 조절부(118)는 기체 공급관(30)의 외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내측에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탈착의 용이성을 위한 중간을 양분하고 그 사이를 볼트 등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118)의 내측면에는 고정돌기(118a)를 형성하여 기체 공급관(30)의 외측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1각도 측정유닛(1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각도 측정유닛(120)은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21); 상기 각도 조절부(118)의 일측에 기체 공급관(30)과 동일한 회전반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제1기어(122); 상기 제1기어(12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제2기어(123); 상기 제2기어(123)의 상부에 형성하는 지시계(124);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지시계(124)의 상하 이동위치에 따라서 에어나이프(20) 및 기체 공급관(30)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눈금부(125);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기어(122)는 상기 각도 조절부(118)의 일측에 기체 공급관(30)과 동일한 회전반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기어(123)는 상기 제1기어(122)와 맞물린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도 조절유닛(110)의 작동으로 기체 공급관(30)이 회전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1기어(122)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기어(12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기어(122)와 제2기어(123)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시계(124)와 눈금부(125)는 작업자가 에어나이프(20)의 회전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기체 공급관(30)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상기 제1기어(122)가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제2기어(12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시계(124)의 위치가 지시하는 상기 눈금부(125)를 작업자가 보고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기어(123)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구(126); 상기 보조몸체(121)와 지지구(126)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구(126)를 밀어서 상기 제2기어(123)가 상기 제1기어(122)와 긴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탄성체(12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27)는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구(126)를 밀어서 상기 제1기어(122)와 제2기어(123)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백래쉬(Backlash)를 방지하여 에어나이프(20)의 정확한 회전각도를 확인 및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기어(12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삽입홈(123a); 상기 지지구(126)의 일측에 상기 삽입홈(123a)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삽입돌기(126a);를 포함하여 상기 제1기어(122)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2기어(123)가 흔들리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측정하여 운전실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1)의 타측에 형성하는 제2각도 측정유닛(130)을 포함하되,
상기 제2각도 측정유닛(130)은 기체 공급관(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몸체(131); 상기 고정몸체(131)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1기어부(131a); 상기 제1기어부(131a)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기어부(132a)와 결합하는 각도 측정수단(132); 상기 고정몸체(132)의 일측에 형성하는 감지부(133); 상기 몸체(111)의 타측에 상기 감지부(133)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하는 에어나이프(20)의 상부 및 하부 정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센서(134);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고정몸체(131)는 기체 공급관(30)의 외측에 고정하되 기체 공급관(30)의 회전반경에 따라서 상기 제2기어부(132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31)는 기체 공급관(30)의 외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내측에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탈착의 용이성을 위한 중간을 양분하고 그 사이를 볼트 등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부(131a)는 상기 제2기어부(132a)와 맞물린 상태로 기체 공급관(3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각도를 상기 각도 측정수단(132)이 측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134)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형성하여 상기 감지부(133)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이를 감지하여 에어나이프(20)의 정지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34)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도 측정수단(132)을 결합하는 회동몸체(135); 상기 고정몸체(131)의 상부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상기 회동몸체(135)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축(136)을 구비하는 장착몸체(137); 상기 회동몸체(135)와 장착몸체(137)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몸체(135)를 하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기어부(132a)가 상기 제1기어부(131a)와 긴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탄성체(13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38)는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2기어부(132a)를 밀어서 상기 제1기어부(131a)와 제2기어부(132a)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백래쉬를 방지하여 상기 각도 측정수단(132)이 에어나이프(20)의 정확한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도 측정수단(132)은 엔코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측정된 각도를 운전실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114)의 작동으로 상기 나사축(112)을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축(11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이동몸체(11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구(116)와 받침레일(117)을 회전시키고 상기 각도 조절부(118)의 회전반경에 따라서 상기 이동구(116)와 받침레일(117)이 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각도 조절부(118)를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각도 조절부(118)와 결합된 기체 공급관(30) 및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본체 20: 에어나이프
30: 기체 공급관
100: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110: 각도 조절유닛 111: 몸체
112: 나사축 113: 이동몸체
114: 구동유닛 114a: 구동모터
114b: 감속기 114c: 연결축
115: 회동축 116: 이동구
117: 받침레일 118: 각도 조절부
120: 제1각도 측정유닛 121: 보조몸체
122: 제1기어 123: 제2기어
123a: 삽입홈 124: 지시계
125: 눈금부 126: 지지구
126a: 삽입돌기 127: 탄성체
130: 제2각도 측정유닛 131: 고정몸체
131a: 제1기어부 132: 각도 측정수단
132a: 제2기어부 133: 감지부
134: 감지센서 135: 회동몸체
136: 중심축 137: 장착몸체
138: 탄성체

Claims (6)

  1. 에어나이프(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된 기체 공급관(30)을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각도 조절유닛(110);을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유닛(110)은 에어나이프(20)의 양측을 지지하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몸체(111); 상기 몸체(1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나사축(112); 상기 나사축(112)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11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13); 상기 나사축(1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14); 상기 이동몸체(113)의 일측 또는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회동축(115); 상기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구(116); 상기 이동구(116)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레일(117); 상기 받침레일(117)과 연결하고 타측에 기체 공급관(30)을 고정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각도 조절부(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114)은 구동모터(114a); 상기 구동모터(114a)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속기(114b); 상기 나사축(112)과 결합하여 상기 감속기(114b)와 연결하는 연결축(11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1각도 측정유닛(1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각도 측정유닛(120)은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21); 상기 각도 조절부(118)의 일측에 기체 공급관(30)과 동일한 회전반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제1기어(122); 상기 제1기어(12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제2기어(123); 상기 제2기어(123)의 상부에 형성하는 지시계(124);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지시계(124)의 상하 이동위치에 따라서 에어나이프(20) 및 기체 공급관(30)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눈금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123)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구(126); 상기 보조몸체(121)와 지지구(126)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구(126)를 밀어서 상기 제2기어(123)가 상기 제1기어(122)와 긴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탄성체(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나이프(20)의 각도를 측정하여 운전실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1)의 타측에 형성하는 제2각도 측정유닛(130)을 포함하되,
    상기 제2각도 측정유닛(130)은 기체 공급관(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몸체(131); 상기 고정몸체(131)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1기어부(131a); 상기 제1기어부(131a)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기어부(132a)와 결합하는 각도 측정수단(132); 상기 고정몸체(131)의 일측에 형성하는 감지부(133); 상기 몸체(111)의 타측에 상기 감지부(133)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하는 에어나이프(20)의 상부 및 하부 정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센서(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도 측정수단(132)을 결합하는 회동몸체(135); 상기 고정몸체(131)의 상부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상기 회동몸체(135)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축(136)을 구비하는 장착몸체(137); 상기 회동몸체(135)와 장착몸체(137)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몸체(135)를 하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기어부(132a)가 상기 제1기어부(131a)와 긴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탄성체(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KR1020220090546A 2022-07-21 2022-07-21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KR102444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546A KR102444541B1 (ko) 2022-07-21 2022-07-21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PCT/KR2022/019295 WO2024019237A1 (ko) 2022-07-21 2022-11-30 각도 조절 장치를 가지는 에어 나이프 시스템
CN202211567126.8A CN117431489A (zh) 2022-07-21 2022-12-07 具有角度调节装置的气刀系统
EP22211890.3A EP4309803A1 (en) 2022-07-21 2022-12-07 Air knife system having angle adjus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546A KR102444541B1 (ko) 2022-07-21 2022-07-21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541B1 true KR102444541B1 (ko) 2022-09-21

Family

ID=8345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546A KR102444541B1 (ko) 2022-07-21 2022-07-21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09803A1 (ko)
KR (1) KR102444541B1 (ko)
CN (1) CN117431489A (ko)
WO (1) WO20240192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37A1 (ko) * 2022-07-21 2024-01-25 주식회사 삼우에코 각도 조절 장치를 가지는 에어 나이프 시스템
CN117821881A (zh) * 2024-01-11 2024-04-05 山东金富泰钢铁有限公司 一种镀锌板生产加工用可调式气刀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1724A (ja) 1999-11-04 2001-05-15 Hitachi Ltd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装置並びに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方法
KR20030093586A (ko) * 2002-06-03 2003-12-11 주식회사 포스코 취입능이 향상된 아연도금 강판의 에어나이프 장치
KR200382147Y1 (ko) 2005-01-31 2005-04-18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가능한 용융아연도금 시뮬레이터의 에어나이프
KR20130044970A (ko)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나이프 센터링 보정 장치
KR101866313B1 (ko) 2017-03-16 2018-06-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 노즐의 각도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2300A (zh) * 2015-07-29 2017-05-24 宝钢新日铁汽车板有限公司 一种气刀角度调整装置
CN111962000B (zh) * 2020-08-19 2022-05-24 唐山市佳冠实业有限公司 一种气流可调式热镀锌板生产用气刀刀体及使用方法
KR102444541B1 (ko) * 2022-07-21 2022-09-21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1724A (ja) 1999-11-04 2001-05-15 Hitachi Ltd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装置並びに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方法
KR20030093586A (ko) * 2002-06-03 2003-12-11 주식회사 포스코 취입능이 향상된 아연도금 강판의 에어나이프 장치
KR200382147Y1 (ko) 2005-01-31 2005-04-18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가능한 용융아연도금 시뮬레이터의 에어나이프
KR20130044970A (ko)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나이프 센터링 보정 장치
KR101866313B1 (ko) 2017-03-16 2018-06-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 노즐의 각도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37A1 (ko) * 2022-07-21 2024-01-25 주식회사 삼우에코 각도 조절 장치를 가지는 에어 나이프 시스템
CN117821881A (zh) * 2024-01-11 2024-04-05 山东金富泰钢铁有限公司 一种镀锌板生产加工用可调式气刀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9803A1 (en) 2024-01-24
WO2024019237A1 (ko) 2024-01-25
CN117431489A (zh)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541B1 (ko)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JP6033466B2 (ja) 無線通信によって切削ツールを自由自在に制御して円形または角形管材や棒材を所望の形状に加工することができる装置
KR101244179B1 (ko) 다축 구동 토치를 구비한 파이프 자동용접장치
CN109489964B (zh) 基于对拖加载的电主轴可靠性试验台自动对中装置
EP0238137B1 (en) Independent measuring apparatus for grinder machines for cylinders and the like having members for structural and superficial control
CN114516005B (zh) 基于agv的动车组短轴侧齿轮箱检修夹紧方法及系统
US7735233B2 (en) Measuring apparatus for heavy workpieces and workpiece receiver for such a measuring apparatus
CN201497494U (zh) 全管水浸式球墨铸铁管超声波自动检测装置
CN107339967B (zh) 一种圆度仪
CN101137887B (zh) 用于磨床的形测组件
CN114163108B (zh) 一种智能玻璃挡边装置
CN108268057B (zh) 一种三维位姿调整及测量装置
CN219757281U (zh) 热镀锌锅壁板检测装置
JP2011173209A (ja) 歯車加工機
KR102444918B1 (ko)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KR101811960B1 (ko) 구동기의 백래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백래쉬 측정 방법
CN201615751U (zh) 用于测量工件圆柱度的传感器调整测量装置
CN202894994U (zh) 一种数控轧辊磨床测量机构
KR102050719B1 (ko) 단조품 휘어짐 상태 검사 장치
JP5426151B2 (ja) 表面形状測定装置
CN202158139U (zh) 带可控装置的蜗轮蜗杆传动单元
KR101445861B1 (ko) 쿨링타워의 쿨링챔버 위치조절장치
JP2010132422A5 (ko)
CN106181446B (zh) 一种带外延保护装置的高精度传动工作台
CN114516349B (zh) 一种动车组长轴侧齿轮箱检修自动定位夹紧系统及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