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399B1 - 제지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제지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399B1
KR100775399B1 KR1020060036972A KR20060036972A KR100775399B1 KR 100775399 B1 KR100775399 B1 KR 100775399B1 KR 1020060036972 A KR1020060036972 A KR 1020060036972A KR 20060036972 A KR20060036972 A KR 20060036972A KR 100775399 B1 KR100775399 B1 KR 10077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onveyor
height
product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033A (ko
Inventor
최광호
윤상도
Original Assignee
한솔이엠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이엠이(주) filed Critical 한솔이엠이(주)
Priority to KR102006003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39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2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 B65G69/24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having platform level adju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ing Counted Batch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생산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도록, 재단공정에 연결되어 재단된 제품이 일정량씩 적층된 상태로 공급되는 공급컨베이어와, 선별이 완료된 정상 제품을 출고 및 포장공정으로 이송하는 출고컨베이어와, 공급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공급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재단된 제품이 이송되어 적치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별전 적치대와, 선별전 적치대와 이웃하여 출고컨베이어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적층되는 선별된 정상 제품을 정돈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별후 적치대를 포함하는 제지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제지 공정, 선별, 컨베이어, 불량, 적치대, 높이 조절, 스토퍼, 재단

Description

제지 선별장치 {Paper Sor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지 선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지 선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지 선별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지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지를 선별함에 따라 자동으로 선별전 적치대와 선별후 적치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지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지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각 공정에서 선별작업을 통하여 불량품이 제거된 다음, 최종 출고 및 포장 공정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시트지의 경우, 생산 및 가공 공정에서 발생된 결함이 미처 제거되거나 보완되지 못하고 재단이 완료된 제품은 선별 작업을 통하여 정상 제품과 파지를 선별하도록 공정이 이루어진다.
종래 재단된 제품의 선별 작업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수행하게 되며, 작업자는 재단된 제품이 1.4∼1.8m 정도의 높이로 적층된 상태에서 이 제품들을 사광, 측광을 통해 검사하면서 정상 제품과 불량 제품을 선별한 다음, 옆에 놓여진 파렛트에 정상제품을 다시 적층하는 과정으로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선별 작업은 처음에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 있는 제품에서 정상 제품과 불량 제품을 선별하여 낮은 곳에 있는 파렛트로 옮기게 되고, 나중에는 낮은 곳에 있는 제품에서 정상 제품과 불량 제품을 선별하여 파렛트에 높게 적층된 곳에 정상 제품을 적층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거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허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또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운반하게 되므로,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작업자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중량물의 운반과정에서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산업재해(요통이나 허리 디스크 등)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단된 제품을 공급받는 선별적 적치대와 선별된 정상 제품을 적층하는 선별후 적치대를 적층된 양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생산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킨 제지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지 선별장치는 재단공정에 연결되어 재단된 제품이 일정량씩 적층된 상태로 공급되는 공급컨베이어와, 선별이 완료된 정상 제품을 출고 및 포장공정으로 이송하는 출고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공급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재단된 제품이 이송되어 적치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별전 적치대와, 상기 선별전 적치대와 이웃하여 설치되고 상기 출고컨베이어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적층되는 선별된 정상 제품을 정돈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별후 적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출고컨베이어에는 재단된 제품 및 선별된 정상 제품의 이송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선별전 적치대와 선별후 적치대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압장치 또는 기어드모터(gearedmotor)를 이용한 체인장치 등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지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지 선별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단공정에 연결되어 재단된 제품이 일정량씩 적층된 상태로 공급되는 공급컨베이어(10)와, 선별이 완료된 정상 제품을 출고 및 포장공정으로 이송하는 출고컨베이어(2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10)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공급컨베이어(10)로부터 공급되는 재단된 제품이 이송되어 적치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별전 적치대(30)와, 상기 선별전 적치대(30)와 이웃하여 설치되고 상기 출고컨베이어(20)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적층되는 선별된 정상 제품을 정돈하기 위한 스토퍼(70)가 설치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별후 적치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재단된 제품 및 선별이 완료된 정상 제품은 파렛트(pallet)(P)에 적층된 상태로 상기 공급컨베이이어(10)와 출고컨베이어(20)를 통하여 이송된다.
상기 재단공정에서 재단된 제품은 파렛트(P)에 적층된 상태로 공급컨베이어(10)를 통하여 이송되어 상기 선별전 적치대(30)로 옮겨진다. 그리고, 선별이 완료된 정상 제품은 상기 선별후 적치대(50)에 놓여지는 파렛트(P)에 적층되고, 그 상태로 상기 선별후 적치대(50)로부터 상기 출고컨베이어(20)로 옮겨진 다음, 출고 및 포장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재단공정에 연결되는 이송 컨베이어가 연결 설치된다. 또,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출고컨베이어(20)에는 출고 및 포장공정에 연결되는 이송 컨베이어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와 출고컨베이어(20)에는 재단된 제품 및 선별된 정상 제품의 이송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18), (28)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는 입구쪽에 설치되는 감지센서(18)에서 이송되는 재단된 제품이 적층된 파렛트(P)를 감지하면 구동모터(12)가 작동하여 파렛트(P)를 선별전 적치대(30)쪽으로 이송시키고, 출구쪽(선별전 적치대(30)쪽)에 설치되는 감지센서(18)에서 파렛트(P)의 앞쪽부분을 감지하면 구동모터(12)가 정지하여 파렛트(P)를 선별전 적치대(30) 직전에 대기상태로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선별전 적치대(30)에 적치된 파렛트(P)에 적층된 제품에 대한 선별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모터(12)가 작동하여 공급컨베이어(10)에 대기상태로 있는 파렛트(P)를 상기 선별전 적치대(30)로 옮기고, 파렛트(P)의 뒤쪽부분이 출구쪽에 설치되는 감지센서(18)를 통과하게 되면 구동모터(12)가 정지한 다. 이 때 재단된 제품이 적층된 새로운 파렛트(P)가 입구쪽의 감지센서(18)에서 감지되면, 구동모터(12)는 정지하지 않고 새로운 파렛트(P)가 출구쪽의 감지센서(18)에 감지될 때까지 계속하여 작동하여 새로운 파렛트(P)를 대기상태로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출고컨베이어(20)는 입구쪽(선별후 적치대(50)쪽)에 설치되는 감지센서(28)에서 배출되는 선별된 제품이 적층된 파렛트(P)를 감지하면 구동모터(22)가 작동하여 파렛트(P)를 선별후 적치대(50)쪽으로부터 이송시키고, 출구쪽에 설치되는 감지센서(28)에서 파렛트(P)의 뒤쪽부분이 지나감을 감지하면 구동모터(22)가 정지하여 파렛트(P)를 출고 및 포장공정 쪽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선별전 적치대(30)와 선별후 적치대(50)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장치(40), (60)가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40), (60)는 유압잭 등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어드모터(gearedmotor)를 이용한 체인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높이조절장치(4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에는 선별전 적치대(30)가 설치되고 아래쪽은 바닥에 설치되며 다수의 링크가 "X"형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링크부재(42)와, 상기 링크부재(42) 중의 하나에 피스톤 로드(45)가 연결되고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부재(42)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 및 "X"형상의 중앙부 연결지점이 회전가능하게 힌지핀(43)으로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재(42)의 맨 위쪽에 있는 링크(선별전 적치대(30)에 연결되는 링크)는 적어도 하나가 선별전 적치대(3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링크부재(42)의 맨 아래쪽에 있는 링크(바닥에 설치되는 링크)는 적어도 하나가 바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링크부재(42)의 맨 위쪽과 맨 아래쪽에 있는 링크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링크부재(42)의 수축과 신장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선별전 적치대(3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4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선별후 적치대(5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60)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높이조절장치(40), (60)는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리프터 장치나 자동화장치 등에 널리 사용하는 리프팅 기구의 다양한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높이조절장치(40), (60)는 선별전 적치대(30)와 선별후 적치대(50)에 적재되는 제품(종이)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위치감지센서나 중량센서 등을 설치하여 선별전 적치대(30) 및 선별후 적치대(50)에 적재된 제품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장치(40), (60)가 높은 위치로 신장되어 작업자가 통상적인 작업자세에서 제품을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작동하고, 선별전 적치대(30) 및 선별후 적치대(50)에 적재된 제품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장치(40), (60)가 낮은 위치로 수축되어 작업자가 통상적인 작업자세에서 제품을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선별전 적치대(30)의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컨베이어(10)의 위치가 작업자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선별을 위한 파렛트(P)가 도착하면 상기 높이조절장치(40)가 낮은 위치로 수축되어 공급컨베이어(10)와 동일하거나 약간 낮은 위치로 선별전 적치대(30)를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선별하기 위한 제품이 적재된 파렛트(P)가 선별전 적치대(30)에 옮겨져 적재되면, 상기 높이조절장치(40)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선별전 적치대(30)를 약간 상승시켜 맨 위에 적재된 제품을 작업자가 선별하기 용이한 위치로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품의 선별을 진행함에 따라 선별전 적치대(30)에 적재된 제품의 양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40)는 센서의 측정신호에 대응하여 선별전 적치대(30)의 높이를 감소되는 제품의 양에 따라 조금씩 높이도록 신장되고, 선별전 적치대(30)에 적재된 제품의 맨 위 위치가 항상 일정한 작업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제품의 선별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다시 다음의 파렛트(P)를 받기 위하여 공급컨베이어(1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높이조절장치(40)가 수축되는 과정으로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선별후 적치대(50)의 경우에는 선별된 제품을 적재하기 위한 파렛트(P)가 올려진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높이로 위치하도록 높이조절장치(60)가 높게 신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품의 선별이 진행됨에 따라 선별후 적치대(50)에 적재되는 제품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높이조절장 치(60)는 조금씩 수축하여 선별후 적치대(50)에 적재되는 맨 위의 제품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하나의 파렛트(P)에 대한 제품의 선별이 완료되면, 높이조절장치(60)는 더 수축되어 선별후 적치대(50)의 높이를 출고컨베이어(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높은 위치로 위치시켜, 선별된 제품이 적재된 파렛트(P)가 출고 컨베이어(20))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작동한다. 선별된 제품이 적재된 파렛트(P)가 배출된 다음에는 높이조절장치(60)가 신장되도록 작동하여 선별후 적치대(50)의 높이를 작업자의 작업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새로운 파렛트(P)가 선별후 적치대(50)에 적재되고 앞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선별전 적치대(3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40)와 선별후 적치대(5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6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70)는 제품의 직각 모서리가 걸리도록 대략 "L"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별후 적치대(50)의 바깥쪽 모서리 양쪽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작업자가 제품을 선별하여 이동시킬 때에 자연스럽게 모서리가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지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지 선별장치에 의하면, 재단된 제품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선별전 적치대의 높이가 상승하고 정상 제품의 적층량이 증가함에 따라 선별후 적치대의 높이가 하강하므로, 작업자는 항상 자신이 작업하기에 편하고 피로도가 가장 작은 자세로 선별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요통이나 허리 디스크 등)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생산성이 효율적으로 향상된다.
그리고 선별 작업의 효율 상승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공정으로 적체현상을 보이는 공정의 물류 부하를 감소시키고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품의 정체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재단공정에 연결되어 재단된 제품이 일정량씩 적층된 상태로 공급되는 공급컨베이어와,
    선별이 완료된 정상 제품을 출고 및 포장공정으로 이송하는 출고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공급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재단된 제품이 이송되어 적치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별전 적치대와,
    상기 선별전 적치대와 이웃하여 설치되고 상기 출고컨베이어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적층되는 선별된 정상 제품을 정돈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별후 적치대를 포함하는 제지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출고컨베이어에는 재단된 제품 및 선별된 정상 제품의 이송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제지 선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전 적치대와 선별후 적치대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압장치 또는 기어드모터(gearedmotor)를 이용한 체인장치로 구성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되는 제지 선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위쪽에는 선별전 적치대 또는 선별후 적치대가 설치되고 아래쪽은 바닥에 설치되며 다수의 링크가 "X"형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 중의 하나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고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제지 선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 및 "X"형상의 중앙부 연결지점이 회전가능하게 힌지핀으로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맨 위쪽에 있는 링크는 하나가 선별전 적치대 또는 선별후 적치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맨 아래쪽에 있는 링크는 하나가 바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지 선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제품의 직각 모서리가 걸리도록 "L"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별후 적치대의 바깥쪽 모서리 양쪽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작업자가 제품을 선별하여 이동시킬 때에 자연스럽게 모서리가 정렬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지 선별장치.
KR1020060036972A 2006-04-25 2006-04-25 제지 선별장치 KR100775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972A KR100775399B1 (ko) 2006-04-25 2006-04-25 제지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972A KR100775399B1 (ko) 2006-04-25 2006-04-25 제지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033A KR20070105033A (ko) 2007-10-30
KR100775399B1 true KR100775399B1 (ko) 2007-11-12

Family

ID=3881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972A KR100775399B1 (ko) 2006-04-25 2006-04-25 제지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1181B (zh) * 2019-09-26 2023-05-30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物品存储装置和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339A (ja) * 1982-09-07 1984-03-19 Canon Inc シ−ト給送装置
JPS6324149U (ko) * 1986-07-29 1988-02-17
JPH06255863A (ja) * 1992-04-21 1994-09-13 Hankyu Zoki Kogyo Kk 厚紙分別収納方法とその装置
JPH08217246A (ja) * 1995-02-16 1996-08-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パレット段積み装置
KR970008275U (ko) * 1996-12-24 1997-03-27 동일제지주식회사 폐지 자동선별장치
KR970042104A (ko) * 1995-12-30 1997-07-24 배순훈 냉장고를 박스로 포장하기 위한 작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339A (ja) * 1982-09-07 1984-03-19 Canon Inc シ−ト給送装置
JPS6324149U (ko) * 1986-07-29 1988-02-17
JPH06255863A (ja) * 1992-04-21 1994-09-13 Hankyu Zoki Kogyo Kk 厚紙分別収納方法とその装置
JPH08217246A (ja) * 1995-02-16 1996-08-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パレット段積み装置
KR970042104A (ko) * 1995-12-30 1997-07-24 배순훈 냉장고를 박스로 포장하기 위한 작업장치
KR970008275U (ko) * 1996-12-24 1997-03-27 동일제지주식회사 폐지 자동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033A (ko) 200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7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articles and an apparatus for doing the same
US90618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tires and an apparatus for doing the same
US110662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articles and an apparatus for doing the same
US84069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mixed palletizing of products
CN110498243A (zh) 一种混合箱体机器人智能拆码垛系统及控制方法
CN106697699B (zh) 一种带配方输送线的辅料自动配盘入库物流系统
US20230364822A1 (en) Automated lumber cutting and delivery system
KR101026198B1 (ko) 완성타이어 출하 작업용 디스태커
CN110217605B (zh) 一种自动码垛设备及码垛方法
JP2750980B2 (ja) 自動倉庫入庫設備
KR100775399B1 (ko) 제지 선별장치
KR102540354B1 (ko) 팔레타이저 시스템
WO2021173996A1 (en) Package handling and sorting system
KR102008149B1 (ko) 물품 포장 장치용 완충재 정돈 장치
DE10021802B4 (de) Verfahren zur Hochleistungssortierung von Paletten
US20060272296A1 (en) Delivery point packager takeaway system and method
JPH06247515A (ja) 板状材のソーティングシステム
KR100614208B1 (ko) 컨베이어 시스템
JP2933104B2 (ja) 荷積方法
KR101772294B1 (ko) 배송박스 적재 자동화 장치
JP3590417B2 (ja) 長尺物箱詰め装置
JP2004292060A (ja) 長尺物箱詰め装置
CA2595819A1 (en) Palletizing uni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palletizing unit
JP2750979B2 (ja) 荷姿修正方法及び荷姿修正機
JPH08268537A (ja) 型材搬出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