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049B1 -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049B1
KR100775049B1 KR1020020001127A KR20020001127A KR100775049B1 KR 100775049 B1 KR100775049 B1 KR 100775049B1 KR 1020020001127 A KR1020020001127 A KR 1020020001127A KR 20020001127 A KR20020001127 A KR 20020001127A KR 100775049 B1 KR100775049 B1 KR 10077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rankshaft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bear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592A (ko
Inventor
사야마다케히코
오가미다카토시
야마모토요시오
사토히로미츠
이와타가즈유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60K6/485Motor-assis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4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0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15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reciprocating pist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2075/1804Number of cylinders
    • F02B2075/1812Number of cylinders thre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02B63/042Rotating electric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05Combustio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06Motor or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52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Magnetic Head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연기관(E)은 크랭크샤프트(5), 회전할 수 있도록 크랭크샤프트(5)를 지지하는 베어링캡(8)을 포함한다. 자기장 발생 부재로서 기능하는 영구자석(20)은 크랭크샤프트(5)의 웹(W1 내지 W6)과 일체 형성된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에 부착되어 있다. 코일(21)은 베어링캡(8)의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에 부착되어 있다. 영구자석(20)과 코일(21)은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를 구성한다. 내연기관의 대형화를 수반하지 않으면서, 신뢰성있게 영구자석(20)과 대응 코일(21) 사이에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유지될 수 있다. 전동기 또는 발전기로서 기능하도록 내연기관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는 제어된다.
내연기관, 자기장 발생 부재, 밸런스 웨이트, 코일, 베어링캡, 전기기계 변환기, 영구자석, 크랭크샤프트

Description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연기관에 있어서, 내연기관에 포함된 크랭크샤프트의 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라 취해진 주요부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상태에 있어서, 1쌍의 전기기계 변환기에 있어서의 영구자석과 코일 사이의 원주방향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코일 제어 시스템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내연기관의, 도 2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내연기관의, 도 2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내연기관의, 도 1에 상당하는 단면도.
본 발명은 전동기 및 발전기, 전동기 또는 발전기의 기능을 가진 전기기계 변환기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크랭크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전동기 및 발전기로서 작동할 수 있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구비한 엔진이 JP-A 182371/199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 의 전기기계 변환기는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에 부착된 영구자석과, 실린더 블록의 하부 및 실린더 블록에 부착된 오일팬에 의해 형성되는 크랭크케이스에 고정설치된 베이스 상에 위치하는 고정자 코일을 가지고 있다. 영구자석은 크랭크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자 코일에 대하여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영구자석과 고정자 코일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고정자 코일에 기전력이 발생되고, 전기기계 변환기는 발전기로서 기능한다. 배터리로부터 고정자 코일에 교류 전류가 공급될 때, 교류 전류와 영구자석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영구자석의 회전 경로에 접선방향으로 영구자석에 전자기력이 가해지고, 전기기계 변환기는 전동기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에서는, 영구자석을 유지하는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에 연결된 크랭크핀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교호적으로 선회한다. 그러므로, 영구자석과 고정자 코일 사이의 간극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고, 최소의 간극이 형성되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전기기계 변환기는 전동기 또는 발전기로서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전동기와 같은 자기 부재 및 코일, 비교적 소형으로 형성되고 자기 부재가 코일과 대향하고 있는 동안 자기 부재와 코일 사이의 작은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가지고 있는 전기 장치가 구비된 내연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전기 장치가 전동기인 경우에, 내연기관에 포함된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을 지원하는데 있어서의 전동기의 영향을 향상시키고, 전기 장치가 발전기인 경우에, 발전기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내연기관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연기관은 실린더 블록, 크랭크샤프트, 실린더 블록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크랭크샤프트를 유지하기 위해서 실린더 블록에 체결되는 베어링캡과, 크랭크 챔버를 형성하는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자기장 발생 부재는 크랭크샤프트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해서 상기 크랭크 챔버 내에서 크랭크샤프트의 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코일은 크랭크 챔버 내에서 베어링캡 상에 유지되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은 적어도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형성하는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은 크랭크 챔버에 배치되어 있는 베어링캡과 크랭크샤프트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내연기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한 내연기관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자기장 발생 부재는 크랭크샤프트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베어링캡 상에 유지되는 코일과 자기장 발생 부재 사이의 작은 간극은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선회하는 자기장 발생 부재가 코일과 대향하는 동안 용이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전동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을 지원하는 큰 지원력이 발생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발전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전력은 높은 발전 효율로 발생될 수 있다. 코일은 베어링캡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코일은 베어링캡과 함께 실린더 블록에 착탈될 수 있고, 코일을 크랭크 챔버 내에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내연기관의 메인 베어링을 윤활하는 다량의 오일에 의해 코일은 효과적으로 냉각되고, 따라서,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는 높은 효율로 작동한다.
베어링캡은 복수의 베어링캡 본체와 베어링캡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코일은 연결부재에 대하여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코일은 베어링캡에 강고하게 체결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코일은 연결부재에 대하여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측 상의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코일은 내연기관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베어링캡은 복수의 베어링캡 본체와 베어링캡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코일은 연결부재 상에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은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으로부터 각각 거리를 크게 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전동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을 지원하는 높은 지원 토크가 발생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 부재는 높은 원주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 일이 발전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전력이 높은 발전 효율로 발생될 수 있다. 코일은 복수의 베어링캡 본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연결부재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코일은 강성이 높은 연결부재에 강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 사이의 작은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연기관은 크랭크샤프트, 크랭크 챔버를 형성하는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자기장 발생 부재는 크랭크 챔버 내에서 크랭크샤프트의 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코일은 크랭크 챔버 내에서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 상에 유지되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은 적어도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내연기관에 형성하는 것에 의한 내연기관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자기장 발생 부재는 크랭크샤프트에 고정되기 때문에,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선회하는 자기장 발생 부재가 코일과 대향하는 동안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 상에 유지되는 코일과 자기장 발생 부재 사이의 작은 간극은 용이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전동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을 지원하는 큰 지원력이 발생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발전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전력이 전력 발전 효율로 발생될 수 있다.
코일은 크랭크 챔버 내에 배치되는 코일 홀더 상에 유지되어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 사이의 간극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선회하는 자기장 발생 부재가 코일과 대향하는 동안 코일 유지 챔버 상에 유지되는 코일과 자기장 발생 부재 사이의 작은 간극은 용이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전동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을 지원하는 큰 지원력이 발생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발전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전력이 높은 발전 효율로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기장 발생 부재는 크랭크샤프트에 포함된 밸런스 웨이트 상에 유지된다. 그래서, 자기장 발생 부재는 밸런스 웨이트로서 기능하고,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내연기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한 내연기관의 중량 증가가 억제될 수 있고, 밸런스 웨이트는 원래 크랭크 챔버 내에 배치된 부재이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대형화가 억제될 수 있다.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는 오일팬을 포함하고, 코일은 오일팬에 포함된 오일에 침지될 수 있다. 그래서, 코일은 오일팬에 포함된 다량의 오일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는 높은 효율로 작동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내연기관(E)을 도시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3실린더 4스트로크 사이클 직렬 내연기관인 내연기관(E)은 실린더 블록(1), 실린더 블록(1)의 상단에 결합된 실린더 헤드(2)와, 실린더 블록(1)의 하단에 결합된 오일팬(3)을 포함하는 기관 본체를 가진다. 실린더 블록(1)은 실린더 헤드(2)측 에 3개의 실린더(C1, C2 및 C3)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실린더 유닛(1a)과, 오일팬(3)측의 크랭크케이스 유닛(1b)을 가진다. 크랭크케이스 유닛(1b)과 오일팬(3)은 크랭크 챔버(4)를 형성한다. 크랭크샤프트(5)는 크랭크케이스 유닛(1b)과 오일팬(3) 사이의 구획면에서 뻗어 있는 회전축선(L)을 가지는 크랭크 챔버(4) 내에 배치된다. 제 1 실시예에서, 크랭크케이스 유닛(1b)과 오일팬(3)은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이다. 실린더(C1, C2 및 C3)에는 피스톤(P1, P2 및 P3)이 각각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피스톤(P1 내지 P3)과 실린더 헤드(2) 사이에 형성되는 연소챔버(6)에 발생되는 연소 압력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P1 내지 P3)이 커넥팅 로드(R1, R2 및 R3)를 통하여 크랭크샤프트(5)를 회전 구동한다.
크랭크샤프트(5)는 4개의 저널(J1, J2, J3 및 J4)을 가진다. 4개의 저널(J1 내지 J4)은 크랭크 챔버(4) 내에서 베어링 구조부(B1, B2, B3 및 B4) 상의 미끄럼 베어링을 가진 4개의 메인 베어링 내에 지지된다. 베어링 구조부(B1 내지 B4)는 실린더 블록(1)의 베어링부(D1, D2, D3 및 D4)와, 베어링부(D1 내지 D4)에 결합되는 베어링캡(8)으로 구성된다. 메인 베어링(7)은 베어링 구조부(D1 내지 D4)에 베어링캡(8)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베어링 구멍에 유지된다. 베어링캡(8)은 베어링부(D1 내지 D4)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베어링캡 본체(A1, A2, A3, 및 A4)와,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에 결합되는 판형상 연결부재(T)를 가지고 있어서 높은 강성의 베어링캡(8)을 제공한다. 외주부(A1a, A2a, A3a 및 A4a)에 결합되는 연결부재(T)는 4개의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와 함께 볼트(9)로 베어링부(D1 내지 D4)에 체결된다. 그래서, 베어링캡(8)은 실린더 블록(1)에 체결된다.
크랭크샤프트(5)에 있어서, 1쌍의 크랭크웹(W1 및 W2)이 2개의 베어링 구조부(B1 및 B2)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핀(N1)이 크랭크웹(W1 및 W2) 사이에 뻗어 있고, 실린더(C1)에 끼워맞춤되는 피스톤(P1)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R1)가 크랭크핀(N1)에 연결되어 있다. 유사하게, 1쌍의 크랭크웹(W3 및 W4)이 2개의 베어링 구조부(B2 및 B3)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핀(N2)이 크랭크웹(W3 및 W4) 사이에 뻗어 있고, 실린더(C2)에 끼워맞춤되는 피스톤(P2)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R2)가 크랭크핀(N2)에 연결되어 있고, 1쌍의 크랭크웹(W5 및 W6)이 2개의 베어링 구조부(B3 및 B4)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핀(N3)이 크랭크웹(W5 및 W6) 사이에 뻗어 있고, 실린더(C3)에 끼워맞춤되는 피스톤(P3)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R3)가 크랭크핀(N3)에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샤프트(5), 크랭크웹(W1 내지 W6)과 크랭크핀(N1 내지 N3)은 단일편으로 일체 형성된다. 3개의 크랭크핀(N1 내지 N3)은 120°의 위상으로 배열된다. 크랭크웹(W1 내지 W6)은 크랭크샤프트(5)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크랭크웹(W1 내지 W6)은 밸런스 웨이트가 구비되고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축선(L)에 대하여 크랭크핀(N1 내지 N3)에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W1a, W2a, W3a, W4a, W5a 및 W6a)를 가진다.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는 피스톤(P1 내지 P3), 피스톤링이나 피스톤핀과 같은 피스톤(P1 내지 P3)에 부착되는 부재와, 커넥팅 로드(R1 내지 R3)와 같은 피스톤(P1 내지 P3)의 왕복 운동에 따라서 왕복 운동하는 부분에 발생하는 1차 관성력을 감소시키는 밸런스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P1 내지 P3)에 대응하는 1쌍의 밸런스 웨이트(W1a 및 W2a), 1쌍의 밸런스 웨이트(W3a 및 W4a)와, 1쌍의 밸런스 웨이트(W5a 및 W6a) 각각은 동일 위상으로 되어 있다.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는 대응하는 베어링 구조부(B1 내지 B4)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구조부(B1)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크랭크샤프트(5)의 좌단부에는 구동 스프로켓(10)이 강고하게 장착된다. 구동 스프로켓(10)과, 실린더 헤드(2)에 배치된 밸브 기구에 포함된 흡기 밸브 캠샤프트와 배기 밸브 캠샤프트에 각각 강고하게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캠 스프로켓 사이에는 타이밍 체인(11)이 뻗어 있다. 각 실린더(C1 내지 C3)와 결합된 2개의 흡기 밸브와 2개의 배기 밸브는 타이밍 체인(11)을 통하여 전달되는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 구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캠샤프트와 일체 형성된 캠에 의해 소정의 시간에서 개폐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오일팬(3)에 포함된 오일의 양은 내연기관(E)이 정지시의 오일 레벨, 즉 제 1 오일 레벨(H1)은 피스톤(P1 내지 P3)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의 하단의 레벨보다도 약간 아래이고, 내연기관(E)의 운전시의 오일 레벨, 즉 제 2 오일 레벨(H2)은 제 1 오일 레벨(H1)보다도 아래가 되도록 결정된다. 크랭크샤프트(5)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12)는 오일 스트레이너(13)와 흡입관(14)을 거쳐 오일팬(3)으로부터 오일을 빨아 들이고, 실린더 블록(1)에 형성된 메인 갤러리로 오일을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오일은 메인 갤러리로부터, 크랭크샤프트(5)를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7), 크랭크핀(N1 내지 N3)과 커넥팅 로드(R1 내지 R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피스톤(P1 내지 P3)과 실린더(C1 내지 C3)의 미끄럼면을 포함하는 윤활을 필요로 하는 미끄럼부에 공급된다. 윤활을 위해 미끄럼부에 공급된 오일은 크랭크 챔버(4) 내로 낙하하고 윤활 후에 오일팬(3)에 고인다. 메인 베어링(7)을 윤활한 다량의 오일이 베어링캡(8)의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 주위에 흐르고, 미끄럼부를 윤활한 오일은 오일팬(3)의 바닥벽 부근에 위치하는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에 부착된 연결부재(T) 부근에 낙하한다. 메인 갤러리에 공급된 오일의 일부는 밸브 기구의 미끄럼부를 윤활한 후, 실린더 블록(1)에 형성된 복귀 통로와 타이밍 체인(11)이 유지된 체인 챔버(15)를 통하여 오일팬(3)으로 흐른다.
내연기관(E)에 형성되는 전기기계 변환기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크랭크웹(W1 내지 W6)의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는 약 120°의 중심각을 형성하는 면을 가진 부채꼴과 닮은 형상을 하고 있다. 4개의 영구자석(20), 즉 자기장 발생 부재는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 각각의 외주부에 대체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오목부에 압력끼워맞춤에 의해 강고하게 끼워맞춤되고, 외주부는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축선(L)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다. 또한, 영구자석(20)도 밸런스웨이트로서 기능한다. 영구자석(20)은 항상 제 1 오일 레벨(H1)의 상방에 위치한다.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의 외주부(A1a 내지 A4a)는 플랜지(A1b, A2b 및 A2c), 플랜지(A3b 및 A3c)와 플랜지(A4b)를 구비하고 있다. 6개의 코일(21)이 각각의 플랜지(A1b, A2b 및 A2c, A3b 및 A3c 및 A4b)에 고정설치된다. 코일(21)은 영구자석(20)에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약 120°의 각도 범위에서 원호를 따라서 영구자석(2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코일(21)은 고정된 반경방향의 작은 간극(G)이 코일(21)의 반경방향 내측면과 영구자석(20) 사이에 형성되도록 배열된다. 그러므로,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는 코일 홀더로서 기능하고 코일(21)은 연결부재(T)에 대하여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축선(L)측의 공간에 배치된다. 코일(21)의 일부는 제 1 오일 레벨(H1) 또는 제 2 오일 레벨(H2) 아래에 위치하고 오일에 침지된다. 코일(21)은 크랭크샤프트를 위한 베어링 구조부를 윤활하는 오일과 접촉하는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에, 코일(21)은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그래서, 각각의 크랭크웹(W1 내지 W6)은 복수의 영구자석(20)을 구비하고 있고, 영구자석(20)과 코일(21)은 6개의 전기기계 변환기(M1, M2, M3, M4, M5 및 M6)를 형성한다. 도 3a 및 도 3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20)과 코일(21)은 상기와 같이 배열되기 때문에, 동일 위상의 3쌍의 밸런스 웨이트(W1a 및 W2a), 밸런스 웨이트(W3a 및 W4a)와 밸런스 웨이트(W5a 및 W6a) 상에 유지되는 영구자석(20)을 각각 가지는 3쌍의 전기기계 변환기(M1 및 M2), 전기기계 변환기(M3 및 M4)와 전기기계 변환기(M5 및 M6) 중의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20)은 내연기관(E)의 크랭크샤프트(1)가 완전히 1선회하는 동안에 영구자석(20)과 대응 코일(2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을 통해서 대응 코일(21)에 대향한다. 그래서, 영구자석(20)과 3쌍의 전기기계 변환기(M1 및 M2), 전기기계 변환기(M3 및 M4)와, 전기기계 변환기(M5 및 M6) 중의 적어도 1쌍의 코일(21) 사이에서 전자기적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의 코일(21)은 전자 제어장치(40)에 의해 제어되는 PDU(Power Drive Unit:41)에 접속된다. PDU(41)는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를 교류 전동기(영구자석형 교류 동기 전동기)로서 기능하게 한다. 영구자석(20)과 코일(21) 사이의 전자기적 작용이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을 지원하는 지원력을 발생시키는 지원 작동 모드에서,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에 구동 전력이 공급된다. 영구자석(20)과 코일(21) 사이에서의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회생 동작 모드에서,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에 의해 발생된 전력은 전력 축적 장치(42)에 축적된다. 전력 축적 장치에 축적된 전력은 지원 작동 모드에서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의 구동 전력으로서 사용되고, 적당한 전압으로 전압을 조정한 후 배터리의 충전에도 사용된다.
실시예의 작용 효과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내연기관(E)이 작동되고, 크랭크샤프트(5)가 피스톤(P1 내지 P3)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나서,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 상에 유지된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의 영구자석(20)은 코일(21)의 반경방향 내면 상의 경로를 따라 베어링 캡 본체(A1 내지 A4) 상에 유지되고 작은 간극(G)만큼 코일(2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코일(21)을 통과한다. 내연기관(E)의 출력이 가속을 위해 증가할 필요가 있는 작동 모드에서, PDU(41)는 전자 제어 장치(4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구동 전력을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에 공급하고,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를 전동기로서 기능시키고,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을 지원한다. 내연기관(E)의 출력이 감속을 위해 감소할 필요가 있거나 축적 장치(42)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 작동 모드 에서, PDU(41)는 전자 제어 장치(4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코일(21)에 구동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를 발전기로서 기능시키고,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축적 장치(42)에 공급한다.
그래서,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의 코일(21) 및 영구자석(20)은 크랭크 챔버(4) 내에 있는 베어링 캡 본체(A1 내지 A4) 및 크랭크웹(W1 내지 W6) 상에 각각 유지된다. 그러므로,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내연기관(E)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코일(21)은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축선(L)측의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내연기관(E)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영구자석(20)을 유지하는 크랭크웹(W1 내지 W6)은 크랭크샤프트(5)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크랭크웹(W1 내지 W6)은 크랭크샤프트(5)와 함께 회전하고 영구자석(20)과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에 유지되는 코일(2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의 작은 크기는 용이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되고,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는 전동기로서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을 지원하는 큰 지원력을 발생할 수가 있고,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의 발전기로서의 발전효율이 향상된다.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는 복수의 영구자석(20) 및 코일(2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20)과 대응 코일(21) 사이의 작은 간극(G)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는 전동기로서 큰 지원력을 발생할 수가 있고 발전효율이 향상된 발전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코일(21)은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에 유지되기 때문에, 코일(21)을 유지하는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는 실린더 블록(1)의 실린더 블록 유닛(1b)에 착탈가능하다. 그래서, 코일(21)을 크랭크 챔버(4) 내에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 부근에는 메인 베어링(7)을 윤활한 다량의 오일이 흐르기 때문에, 오일에 의해 코일(21)이 효과적으로 냉각되어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의 효율이 향상된다.
크랭크샤프트(5)의 크랭크웹(W1 내지 W6)의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 상에 유지되는 영구자석(20)은 밸런스 웨이트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를 설치한 것에 의한 내연기관(E)의 중량 증가가 억제된다.
코일(21)은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의 외주부(A1a 내지 A4a)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A1b, A2b 및 A2c), 플랜지(A3b 및 A3c)와, 플랜지(A4b)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축선(L)과 코일(21) 사이의 거리는 매우 길고,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에 유지된 영구자석(20)도 코일(21)과 마찬가지로 회전축선(L)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열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는 전동기로서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을 지원하는 지원력에 의하여 높은 지원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고, 발전기로서 영구자석(20)의 원주속도를 크게 할 수 있어 발전효율이 향상된다.
코일(21)의 일부는 제 1 오일 레벨(H1) 또는 제 2 오일 레벨(H2)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오일팬(3)의 오일에 침지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21)은 오일팬(3)에 침지되어 있는 다량의 오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그래서, 코일(21)의 냉각이 촉진되고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의 효율이 향상된다.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 및 영구자석(20)은 제 1 오일 레벨(H1)의 상방에 위치하고 내연기관(E)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 오일에 침지되어 있지 않고, 밸런스 웨이트(W1a 내 지 W6a) 및 영구자석(20)은 내연기관(E)의 작동하고 있는 동안 오일을 교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오일이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이 되는 일은 없고 오일에의 공기의 혼입도 방지된다.
3쌍의 전기기계 변환기(M1 및 M2), 전기기계 변환기(M3 및 M4)와, 전기기계 변환기(M5 및 M6) 중의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20)은 내연기관(E)의 크랭크샤프트(5)가 완전히 1선회하는 동안에 영구자석(20)과 대응 코일(2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을 통해서 대응 코일(21)에 대향하기 때문에, 안정된 지원 작동 및 회생 작동이 행하여질 수 있고,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에 의해 지원되는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코일(21)은 베어링캡(8)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연소챔버(6)에서의 연소에 의한 폭발하중을 감소시키는 힘이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 상에 유지된 영구자석(20)과 코일(21) 사이에 작용한다. 그래서, 크랭크샤프트(5)에 의해 베어링부(B1 내지 B4)에 가해지는 폭발하중은 감소될 수 있어서 메인 베어링(7) 등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의 영구자석(20)과 코일(21)은 간극(G)의 대향측 상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축선(L)방향에서의 내연기관(E)의 폭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의 내연기관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재(T)에 상당하는 부재가 플랜지(A1b, A2b, A2c, A3b, A3c 및 A4b) 및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와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베어링캡(8)은 코일 부착 부재로서 기능한다. 코일(21)은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와 연결부재(T)가 일체적으로 구비된 베어링캡(8)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에서의 내연기관은 제 1 실시예에서의 내연기관보다 부품 점수가 삭감되고, 코일(21)의 위치의 차이가 감소하고 전 코일(21)에 걸쳐서 간극(G)을 용이하게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코일(21)은 연결부재(T) 근방의 위치에서 단일편으로 형성되는 강성의 베어링캡(8) 부분에 강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고, 영구자석(20)과 코일(21) 사이의 간극(G)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서의 내연기관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서의 내연기관에서, 각각의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에 강고하게 유지된 6개의 코일에 추가하여 각각의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 상의 영구자석(20)에 직경방향에서 대향하게 하기 위해서, 크랭크 챔버를 형성하는 크랭크케이스(1b)의 내면에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축선(L)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대하여 3개의 코일(21) 및 3개의 코일(21)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케이스(1b)의 내면에 유지된 코일(21)은 작은 간극(G)이 코일(21)의 내면과 영구자석(20) 사이에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이루어지는 것 외에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추가의 코일(21)이 크랭크케이스(1b)의 내면에 유지되기 때문에,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를 내연기관(E)에 설치하는 것에 의한 내연기관(E)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크랭크샤프트(5)가 완전히 1선회할 때 영구자석(20)과 상호작용하는 코일(21)의 수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영구자석(20)에 의해 경험되어지는 것보다 많기 때문에, 지원력이 증대하고, 발전량이 증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 4 실시예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실시예에서, 크랭크샤프트(5) 상의 크랭크웹(W6)에 인접한 저널(J4) 부근의 부분에 원판형상의 로터(30)가 강고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터(30)의 원주부에는 간격을 두고 영구자석(20)이 부착되어 있다. 6개의 코일(21)은, 로터(30)에 상당하게 하고 영구자석(20)과 코일(21) 사이의 반경방향의 간극(G)을 형성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실시예에서의 베어링부(A4) 상의 코일의 배열과 유사한 배열로 베어링 부재(A4)에 형성된 플랜지(A4b) 상에 배열된다.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이루어지는 것외에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내연기관(E)에는 단일의 전기기계 변환기(M7)가 구비된다. 영구자석(20)이 로터(30)의 전 원주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코일(21)이 원호 상에 설치되는데에도 불구하고, 전기기계 변환기(M7)에 의해 크랭크샤프트(5)에 가해지는 지원력에 의한 회전 변동을 적게 할 수가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의 일부의 구성을 변경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서,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T)는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의 외주부(A1a, A2a, A3a 및 A4a)에 부착된다. 연결부재(T)가 밸런스 웨이트(W1a 내지 W6a)를 포함하는 크랭크웹(W1 내지 W6)과 연결부재(T) 사이의 간섭을 피하도록 배치될 때, 연결부재(T)는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의 외주부(A1a, A2a, A3a 및 A4a)에 부착될 필요는 없다. 연결부재(T)가 그렇게 배치될 때에도,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축선(L)로부터 거리를 크게 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는 전동기로서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을 지원하는 지원력에 의해 높은 지원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에 플랜지(A1b, A2b, A2c, A3b, A3c 및 A4b)가 구비되어 있지만,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의 코일(21)은 연결부재(T)에 부착될 수도 있고 플랜지(A1b, A2b, A2c, A3b, A3c 및 A4b)가 생략될 수도 있다. 베어링부(A1 내지 A4)의 외주부(A1a 내지 A4a)를 연결하는 연결부재(T)에 코일(21)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축선(L)과 코일(21) 사이의 거리는 플랜지(A1b, A2b, A2c, A3b, A3c 및 A4b)의 두께와 동일한 값만큼 증가할 수 있고, 그러므로, 영구자석(20)은 회전축선(L)으로부터 증가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기계 변환기(M1 내지 M6)는 전동기로서 크랭크샤프트(5)의 회전을 지원하는 지원력에 의해 높은 지원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고, 발전기로서 영구자석(20)의 원주속도를 크게 할 수 있어 발전효율이 향상된다.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연결부재(T)에 코일(21) 이 부착되기 때문에, 코일(21)은 강성이 높은 연결부재(T)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어, 영구자석(20)과 코일(21) 사이의 간극(G)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부(A4)에 플랜지(A4b)를 설치하지 않고, 전기계 변환기(M7)의 코일(21)이 연결부재(T)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캡 본체(A1 내지 A4)에 코일(21)을 설치하지 않고, 크랭크케이스(1b)에만 코일(21)을 부착할 수도 있다.
코일은, 고정된 간극이 영구자석(20)과 코일(21) 사이에 형성된다면, 크랭크 챔버(4)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서, 로터(30)가 베어링 구조부(B4)에 인접하여 회전축선(L)방향으로 배치되지만, 로터(30)는 크랭크 챔버(4) 내에 있어서의 크랭크샤프트(5) 상의 임의의 적당한 부분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크랭크샤프트(5)에 추가의 저널이 형성될 수도 있고, 추가의 저널은 추가의 메인 베어링에 지지될 수도 있고, 로터(30)는 추가의 메인 베어링과, 크랭크샤프트(5) 상의 베어링 구조부(B1 또는 B4) 사이의 부분에서 지지될 수도 있다. 로터(30)를 지지하는 크랭크샤프트(50)의 부분은 대향 단부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크랭크샤프트(5)의 굽힘이 억제될 수 있다. 로터(30)를 크랭크샤프트(5)의 밸런스 웨이트(W6a)와 일체 성형된다면, 부품 점수가 삭감될 수 있다.
내연기관은 단일 실린더 또는 3실린더의 내연기관 외에도 다중 실린더의 내연기관일 수도 있다. 4실린더 이상의 내연기관에서는, 크랭크웹 상에 유지된 영구자석(20)과 몇몇 전기기계 변환기의 영구자석(20)과 관련된 코일(21)이 내연기관이 작동 중에 있는 동안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래서, 전동기로서의 지원 작동 및 발전기로서의 회생 작동이 안정되게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베어링캡(8)은 연결부재(T)가 구비되어 있지만, 연결부재(T)가 생략될 수도 있다. 하부 블록, 즉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가 실린더 블록(1)과 오일팬(3) 사이에 개재되면, 베어링캡(8)은 하부 블록과 일체 형성될 수도 있고, 코일(21)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 구조부의 강성을 강화하고 간극(G)이 용이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영구자석(20)은 코일(21)에 대향하게 되고, 영구자석(20)과 코일(21) 사이의 반경방향 간극(G)을 형성한다. 영구자석(20)은 크랭크웹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코일(21)은 베어링캡 본체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어서, 영구자석(20)과 코일(21)은 영구자석(20)과 코일(21)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선(L)방향의 간극을 통하여 서로 회전축선(L)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코일(21)은 밸런스 웨이트 또는 로터(30)와 대향하도록 베어링부의 전 원주 상에 유지될 수도 있다. 베어링캡(8) 상에 유지된 코일(21)의 일부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오일팬(3)에 포함된 오일에 침지되어 있지만, 모든 코일(21)은 오일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침지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20)과 코일(21)은 전동기 및 발전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각각의 전기기계 변환기를 형성하였지만, 영구자석(20)과 코일(21)은 발전 기능을 가지지 않는 전동기 또는 발전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또는 발전기는 교류 전동기 중의 임의의 타입 또는 직류 발전기 중의 임의 의 타입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형성하는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은 크랭크 챔버에 배치되어 있는 베어링캡과 크랭크샤프트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내연기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한 내연기관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자기장 발생 부재는 크랭크샤프트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베어링캡 상에 유지되는 코일과 자기장 발생 부재 사이의 작은 간극은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선회하는 자기장 발생 부재가 코일과 대향하는 동안 용이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전동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을 지원하는 큰 지원력이 발생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발전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전력은 높은 발전 효율로 발생될 수 있다. 코일은 베어링캡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코일은 베어링캡과 함께 실린더 블록에 착탈될 수 있고, 코일을 크랭크 챔버 내에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내연기관의 메인 베어링을 윤활하는 다량의 오일에 의해 코일은 효과적으로 냉각되고, 따라서,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는 높은 효율로 작동한다.
베어링캡은 복수의 베어링캡 본체와 베어링캡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코일은 연결부재에 대하여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코일은 베어링캡에 강고하게 체결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코일은 연결부재에 대 하여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측 상의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코일은 내연기관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베어링캡은 복수의 베어링캡 본체와 베어링캡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코일은 연결부재 상에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은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으로부터 각각 거리를 크게 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전동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을 지원하는 높은 지원 토크가 발생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 부재는 높은 원주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발전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전력이 높은 발전 효율로 발생될 수 있다. 코일은 복수의 베어링캡 본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연결부재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코일은 강성이 높은 연결부재에 강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 사이의 작은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내연기관에 형성하는 것에 의한 내연기관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자기장 발생 부재는 크랭크샤프트에 고정되기 때문에,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선회하는 자기장 발생 부재가 코일과 대향하는 동안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 상에 유지되는 코일과 자기장 발생 부재 사이의 작은 간극은 용이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전동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을 지원하는 큰 지원력이 발생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발전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전력이 전력 발전 효율로 발생될 수 있다.
코일은 크랭크 챔버 내에 배치되는 코일 홀더 상에 유지되어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 사이의 간극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선회하는 자기장 발생 부재가 코일과 대향하는 동안 코일 유지 챔버 상에 유지되는 코일과 자기장 발생 부재 사이의 작은 간극은 용이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전동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을 지원하는 큰 지원력이 발생될 수 있고, 자기장 발생 부재와 코일이 발전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전력이 높은 발전 효율로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기장 발생 부재는 크랭크샤프트에 포함된 밸런스 웨이트 상에 유지된다. 그래서, 자기장 발생 부재는 밸런스 웨이트로서 기능하고,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를 내연기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내연기관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밸런스 웨이트는 원래 크랭크 챔버 내에 배치된 부재이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대형화가 억제될 수 있다.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는 오일팬을 포함하고, 코일은 오일팬에 포함된 오일에 침지될 수 있다. 그래서, 코일은 오일팬에 포함된 다량의 오일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고, 따라서, 전동기, 발전기 또는 전기기계 변환기는 높은 효율로 작동한다.


Claims (13)

  1. 실린더 블록, 크랭크샤프트, 이 크랭크샤프트를 상기 실린더 블록 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해서 실린더 블록에 결합되어 있는 베어링캡과, 크랭크 챔버를 형성하는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상기 크랭크 챔버 내에 위치한 부분에는 자기장 발생 부재가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캡 상에는 상기 크랭크 챔버 내의 코일이 유지되어 있고,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와 상기 코일은 전동기와 발전기 중의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캡은 복수의 베어링캡 본체와, 이 베어링캡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은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캡은 복수의 베어링캡 본체와, 이 베어링캡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은 상기 연결부재 상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포함된 밸런스 웨이트 상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각각 부채꼴 형상이고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는 각각 상기 밸런스 웨이트 각각의 외주부 상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외주부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는 오일팬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오일팬에 포함된 오일에 침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7. 크랭크샤프트, 크랭크 챔버를 형성하는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상기 크랭크 챔버 내에 위치한 부분에는 자기장 발생 부재가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 상에는 상기 크랭크 챔버 내의 코일이 유지되어 있고,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와 상기 코일은 전동기와 발전기 중의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와 상기 코일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일은 상기 크랭크 챔버 내에 배치된 코일 홀더 상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포함된 밸런스 웨이트 상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각각 부채꼴 형상이고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는 각각 상기 밸런스 웨이트 각각의 외주부 상에 유지되고, 상기 외주부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축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챔버 형성 부재는 오일팬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오일팬에 포함된 오일에 침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베어링캡의 반경방향 외측의 외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호를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베어링캡의 반경방향 외측에 고정적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위한 베어링 구조부를 윤활하는 오일과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20020001127A 2001-01-10 2002-01-09 내연기관 KR100775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3093A JP4155714B2 (ja) 2001-01-10 2001-01-10 内燃機関
JPJP-P-2001-00003093 2001-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592A KR20020060592A (ko) 2002-07-18
KR100775049B1 true KR100775049B1 (ko) 2007-11-08

Family

ID=1887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127A KR100775049B1 (ko) 2001-01-10 2002-01-09 내연기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626138B2 (ko)
EP (1) EP1223316B1 (ko)
JP (1) JP4155714B2 (ko)
KR (1) KR100775049B1 (ko)
CN (1) CN1249893C (ko)
AT (1) ATE376619T1 (ko)
CA (1) CA2367279C (ko)
DE (1) DE60223093T2 (ko)
ES (1) ES2295243T3 (ko)
MY (1) MY131904A (ko)
TW (1) TW5508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5050B2 (en) * 2001-08-20 2007-07-1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1601C1 (de) * 2002-01-16 2003-06-05 Audi Hungaria Motor Kft Verbrennungsmotor mit in einem Kurbelgehäuse gelagerter Kurbelwelle, wobei der Starter/Generator auf der Kurbelwelle angeordnet ist
US7436091B2 (en) * 2005-06-29 2008-10-14 Detroit Dies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limiting arcing of rotating member
US7417331B2 (en) * 2006-05-08 2008-08-26 Towertech Research Group, Inc. Combustion engine driven electric generator apparatus
FR2933543B1 (fr) * 2008-07-07 2010-09-03 Exosun Transmission de puissance multi vilebrequins
EP2430735B1 (en) * 2009-05-15 2019-09-25 Douglas A. Pelmea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5185974B2 (ja) * 2010-04-16 2013-04-17 中特建機株式会社 4サイクルエンジン
JP5417249B2 (ja) * 2010-04-16 2014-02-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汎用エンジンの転倒検出装置
US8492914B2 (en) * 2010-08-05 2013-07-23 Hyundai Motor Company Crank-web mounted linearly segmented starter generator system
DE102010046474A1 (de) * 2010-09-24 2012-03-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Fahrzeugmotor mit Kurbeltrieb
KR20130061576A (ko) * 2011-12-01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밸런싱 장치
US8944024B2 (en) * 2012-07-25 2015-02-03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agnetic bearing for use in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9297318B2 (en) * 2013-03-21 2016-03-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rankshaft for variable displacement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4653286B (zh) * 2013-11-22 2017-09-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发动机及具有该发动机的车辆
CN104653287B (zh) * 2013-11-22 2018-05-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发动机和具有其的车辆
CN104653285A (zh) * 2013-11-22 2015-05-2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发动机和具有其的车辆
EP2886829A1 (de) * 2013-12-20 2015-06-24 Hvd Ag Hubkolbenmotor
JP6333197B2 (ja) * 2014-03-28 2018-05-30 勝臣 山野 回転動力生成装置および発電装置
JP6215751B2 (ja) * 2014-03-31 2017-10-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ンクシャフト
JP5858264B2 (ja) * 2014-05-13 2016-02-10 勝臣 山野 回転動力生成装置および発電装置
WO2015174303A1 (ja) * 2014-05-13 2015-11-19 勝臣 山野 回転動力生成装置および発電装置
JP6375500B2 (ja) * 2014-05-13 2018-08-22 勝臣 山野 回転動力生成装置および発電装置
KR101755496B1 (ko) * 2016-09-09 2017-07-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파워 트레인
US10612622B2 (en) * 2018-05-04 2020-04-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agnetic engine vibration isolator
EP3973155B1 (en) * 2019-05-22 2023-03-22 Calaggi S.A.S. Simplified endothermic engine
CN110608096A (zh) * 2019-09-06 2019-12-24 吉林大学 连杆曲轴电磁感应式发电系统
CN110469402A (zh) * 2019-09-06 2019-11-19 吉林大学 活塞曲轴电磁感应式发电系统
BE1030613B1 (nl) * 2022-06-09 2024-01-16 De Kromme Boom De modulaire elektrische aandrijving
CN115492676A (zh) * 2022-10-10 2022-12-20 北京工业大学 一种轻量静音发电机组装置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006A (ko) * 1994-01-18 1995-12-22 엘. 델리슬 길레스 피스톤의 옵셋이 가변적인 내연기관
KR19980044144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내연기관의 발전기 장착 구조
KR19990044295A (ko) * 1995-08-31 1999-06-25 호프만, 휘시텐부쉬 내연 기관, 특히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발전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7649A (en) * 1971-02-08 1973-07-24 Outboard Marine Corp Crankshaft magneto system
JPS56129742A (en) * 1980-03-13 1981-10-12 Mitsubishi Heavy Ind Ltd Crank cas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518342A (ja) * 1991-07-09 1993-01-26 Mitsubishi Heavy Ind Ltd 2点火式樹脂モールドマグネト点火装置
US5287518A (en) * 1992-06-12 1994-02-15 Ford Motor Company Engine crankshaft variable reluctance alternator
JPH09182371A (ja) 1995-12-25 1997-07-11 Toyota Motor Corp 発電機または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006A (ko) * 1994-01-18 1995-12-22 엘. 델리슬 길레스 피스톤의 옵셋이 가변적인 내연기관
KR19990044295A (ko) * 1995-08-31 1999-06-25 호프만, 휘시텐부쉬 내연 기관, 특히 자동차 내연 기관용 시동기/발전기
KR19980044144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내연기관의 발전기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31904A (en) 2007-09-28
CA2367279A1 (en) 2002-07-10
US20020088424A1 (en) 2002-07-11
DE60223093D1 (de) 2007-12-06
CN1249893C (zh) 2006-04-05
DE60223093T2 (de) 2008-08-14
EP1223316B1 (en) 2007-10-24
CA2367279C (en) 2008-01-22
EP1223316A2 (en) 2002-07-17
JP4155714B2 (ja) 2008-09-24
CN1365175A (zh) 2002-08-21
EP1223316A3 (en) 2003-05-02
JP2002205557A (ja) 2002-07-23
TW550874B (en) 2003-09-01
ATE376619T1 (de) 2007-11-15
KR20020060592A (ko) 2002-07-18
US6626138B2 (en) 2003-09-30
ES2295243T3 (es)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049B1 (ko) 내연기관
US10554098B2 (en) Reciprocating piston engine
US10184392B2 (en) Single chamber multiple independent contour rotary machine
US11168608B2 (en) Single chamber multiple independent contour rotary machine
KR100396994B1 (ko) 영구 자석식 회전 전기
US4932373A (en) Motion converting mechanism
US20060283186A1 (en) Stirling cycle machines
US6202600B1 (en) Oscillating two 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36434B1 (en) Engine unit of outboard motor
US20130220040A1 (en) Vibration-free opposed piston engine
JPH09182371A (ja) 発電機またはモータ
JP6199102B2 (ja) エンジン発電機
JP4041173B2 (ja) 低振動容積型機械
WO1995022683A1 (en) Rotary type internal combustion motor
JP2003054267A (ja) 内燃機関
US20130154273A1 (en) Engine Generator
JP2002369487A (ja) 発電装置
KR100270903B1 (ko) 차량의 엔진
WO2005008042A1 (en) Optimized linear engine
WO1995029323A1 (en) Reciprocating machine
JPH01164836A (ja) 三気筒エンジンのバランサ装置
JP2002242692A (ja) 水平対向型4気筒エンジン
KR19980035736U (ko) 엔진 발란스 샤프트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