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001B1 -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001B1
KR100775001B1 KR1020070020890A KR20070020890A KR100775001B1 KR 100775001 B1 KR100775001 B1 KR 100775001B1 KR 1020070020890 A KR1020070020890 A KR 1020070020890A KR 20070020890 A KR20070020890 A KR 20070020890A KR 100775001 B1 KR100775001 B1 KR 10077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ontroller
input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천우
Original Assignee
미래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표시기; 및 상기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및 표시기는 상기 제어기와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원 공급 및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전력선을 통해 전력 공급 및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여, 별도의 통신선을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주차, 론웍스, 전력선 통신

Description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통신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주차장에 감지기 및 제어기가 설치되고, 여분의 주차 공간에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한 감지기 및 제어기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개개의 주차 공간에 감지기가 설치되고, 주차 공간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이 감지기에 감지된다. 이어서, 감지기에 감지된 신호가 통신선을 통해 제어기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기에서 처리된 여분의 주차 공간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 수단에 의해 외부로 표시된다.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및 제어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선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했다. 이에 따라, 전력선과 통신선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공사비 및 자재비가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감지기와 제어기 간의 통신방식은 RS-485, 422 또는 TCP/IP 통신방식을 채용하므로,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구조의 한계로 인해, 하나의 제어기에 소량(32개 또는 최대 256개)의 감지기만 연결 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다량의 제어기가 필요하게 되어, 관리의 비효율성 및 비용 상승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선을 통해 전력 공급 및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여, 별도의 통신선을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통신선을 구비하지 않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 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표시기; 및 상기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및 표시기는 상기 제어기와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원 공급 및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은, 센서를 통해 주차장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전력선을 통해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에서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에서 출력된 신호가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어, 표시기에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은, 센서를 통해 주차장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 위치 입력기에 주차 위치 확인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및 위치 입력기에서 입력된 신호가 전력선을 통해 제어기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기에서 처리된 주차 관련 데이터를 통신 수단을 통해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전력선을 통해 전력 공급 및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여, 별도의 통신선을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별도의 통신선을 구비하지 않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제어기(110), 전원 공급부(120), 센서(130) 및 표시기(14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110)에 연결되는 중앙관리컴퓨터(150)를 더 포함한다.
센서(130)는 개개의 주차 공간에 설치되어, 주차 공간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며, 차량 감지 신호를 제어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센서(130)는 제어기(110)와 전력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원 공급 및 통신이 이루어진다.
센서(130)는 차량의 입고 또는 출고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포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110)는 센서(13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력선을 통해 입력받아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어기(110)는 전원 공급부(12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기(110)는 론워크(LonWorks) 전력선 통신 방식에 따라 입출력 포트(112), 트랜시버(114) 및 뉴런 칩(116)을 포 함한다.
입출력 포트(112)에는 전력선 또는 통신선의 단자가 결합한다. 입출력 포트(112)에 결합 가능한 통신선으로써, LAN CABLE, WAN CABLE 이 사용될 수 있다.
트랜시버(114)는 전송기(transmitter)와 수신기(receiver)를 하나로 패킷화한 장치로, 입출력 포트(112)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전력선을 통한 통신 신호의 전송을 위한 안정된 프로토콜로써, 론토크(LonTalk)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론토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하나의 제어기(110)에 더 많은 센서(130)의 접속이 가능하며, 자재원가를 절감하고, 통신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뉴런 칩(116)은 네트워크의 운용을 간단하게 구축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펌웨어로 구성되며, 고유의 응용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운용된다.
뉴런 칩(116)은 트랜시버(114)를 통해 입력된 통신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뉴런 칩(116)에 입력되는 신호는 센서(130)에서 감지된 신호, 후술할 중앙관리컴퓨터(150), 위치 입력기(210), 키오스크(220) 또는 비상 스위치(230)에서 전송된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중앙관리컴퓨터(150)는 제어기(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분석, 저장, 관리 및 통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의 제어기(110)에는 물리적 구조상, 접속 가능한 전력선 또는 통신선의 숫자가 제한된다. 따라서, 중앙관리컴퓨터(150)에 복수의 제어기(110)를 연결하여, 주차장의 규모가 확장되더라도 제어를 용이하게 수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중앙관리컴퓨터(150)와 제어기(110) 사이에는 대량의 데이터가 전송 및 처리되므로, LAN CABLE 또는 WAN CABLE 과 같은 통신선으로 연결하여, TCP/IP 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앙관리컴퓨터(150)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미도시)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표시기(140)는 제어기(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차량의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총 주차 공간의 수, 주차 중인 주차 공간의 수 또는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의 수 등에 관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기(140)는 표시램프(141), 구역 표시기(142), 통로유도 표시기(143), 층별 표시기(144) 또는 입구 표시기(145)로 구성된다.
표시램프(141)는 개개의 주차 공간에 설치되어, 제어기(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거나 소등하여, 주차 여부를 외부로 표시한다.
구역 표시기(142)는 주차장을 복수개로 구획한 경우, 각각의 구역에 설치되어, 제어기(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발광 수단을 사용하여, 각각의 구역에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의 수 등을 외부로 표시한다.
통로유도 표시기(143)는 주차장의 각 통로에 설치되어, 제어기(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의 위치를 세부적으로 표시한다.
층별 표시기(144)는 주차장이 복층으로 구성된 경우, 제어기(110)의 제어 신 호에 따라, 각 층별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의 수 등을 외부로 표시한다.
입구 표시기(145)는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제어기(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체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의 수 등의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한다.
표시기(140)는 제어기(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의 수 등을 표시하여, 운전자 및 주차장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기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치 위치 및 표시 방법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200)은 제어기(110), 전원 공급부(120), 센서(130), 표시기(140), 중앙관리컴퓨터(150), 위치 입력기(210), 키오스크(220) 및 비상 스위치(230)를 포함한다.
위치 입력기(210)는 전력선을 통해 제어기(110)에 연결되며, 주차 위치 확인에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된다. 상기 주차 위치 확인에 관련된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지문, 차량번호 또는 주차권 일련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위치 입력기(210)는 개개의 주차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30)가 차량의 주차 여부만을 감지하는데 비해, 위치 입력기(210)는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입력하여, 제어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가 위치 입력기(210)에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를 입력한 경우, 상기 번호에 관한 데이터는 전력선을 통해 제어기(110)로 전송되며, 제어기(110)는 PPP-Connection 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예를 들면, '귀하의 차량은 지하2층 주차장A33구역의 22번에 주차하였습니다.' 와 같은 SMS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키오스크(220)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으로, 위치 입력기(210)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기(11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 및 처리하여, 주차 관련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주차 관련 데이터는 주차장의 지도, 주차위치 정보, 주차된 차량에 이르는 최적 및 최단 거리 길안내, 요금정산 또는 최적의 출차길이 될 수 있다.
운전자는 위치 입력기(210)에서 입력한 주차 위치 확인에 관련된 데이터인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지문, 차량번호 또는 주차권 일련번호 등을 키오스크(220)에 입력하여, 상술한 주차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키오스크(220)와 제어기(110) 사이에는 대량의 데이터가 전송 및 처리되므로, LAN CABLE 또는 WAN CABLE 과 같은 통신선으로 연결하여, TCP/IP 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키오스크(220)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미도시)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비상 스위치(230)는 전력선을 통해 제어기(110)에 연결되며, 스위치 작동시 비상 신호를 제어기(110)에 전달한다.
비상 스위치(230)는 주차장 주행로 주변기둥이나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위급한 상황 발생시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작동 신호가 전력선을 통해 제어기(110)로 전송된다. 이어서, 제어기(110)는 비상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중앙관리컴퓨 터(150)로 전송하거나, 주차장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SMS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급한 상황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130)를 통해 주차장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이 감지된다(S310).
계속하여, 센서(130)에서 감지된 신호가 전력선을 통해 제어기(110)로 전송된다(S320). 여기서, 제어기(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포트(112), 트랜시버(114) 및 뉴런 칩(1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기(110)는 센서(1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바탕으로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330). 상기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총 주차 공간의 수, 주차 중인 주차 공간의 수 또는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의 수 등에 관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계속하여, 제어기(110)에서 출력된 신호가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어(S340), 표시기(140)에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된다(S35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130)는 주차장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한다(S410).
계속하여, 위치 입력기(210)에 주차 위치 확인과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된다(S420). 여기서, 상기 주차 위치 확인과 관련된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지문, 차량번호 또는 주차권 일련번호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센서(130) 및 위치 입력기(210)에서 입력된 신호가 전력선을 통해 제어기(110)로 전달되며, 제어기(110)에서 처리된 주차 관련 데이터를 통신 수단을 통해 확인한다(S430). 여기서, 제어기(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포트(112), 트랜시버(114) 및 뉴런 칩(1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수단은 키오스크(22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차 관련 데이터는 주차장의 지도, 주차위치 정보, 주차된 차량에 이르는 최적 및 최단거리 길안내, 요금정산 또는 최적의 출차길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수단이 키오스크(220)로 구성되는 경우, 운전자는 위치 입력기(210)에 입력한 데이터를 키오스크(220)에 동일하게 입력함으로써, 상기한 주차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 수단이 이동통신단말기로 구성되는 경우, 운전자는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를 위치 입력기(210)에 입력하여, 제어기(110)로부터 PPP-Connection 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예를 들면, '귀하의 차량은 지하2층 주차장A33구역의 22번에 주차하였습니다.' 와 같은 SMS 문자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전력선을 통해 전력 공급 및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여, 별도의 통신선을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별도의 통신선을 구비하지 않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주차 공간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표시기;
    상기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주차 위치 확인에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위치 입력기; 및
    상기 위치 입력기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하여, 주차 관련 데이터를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표시기 및 위치 입력기는 상기 제어기와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원 공급 및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표시램프, 구역 표시기, 통로유도 표시기, 층별 표시기 또는 입구 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위치 확인에 관련된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지문, 차량번호 또는 주차권 일련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련 데이터는 주차장의 지도, 주차위치 정보, 주차된 차량에 이르는 최적 및 최단거리 길안내, 요금정산 또는 최적의 출차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전력선을 통해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며, 비상 신호를 제어기에 전송하는 비상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전력선 또는 통신선의 단자가 결합하는 입출력 포트;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뉴런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센서를 통해 주차장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
    위치 입력기에 주차 위치 확인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및 위치 입력기에서 입력된 신호가 전력선을 통해 제어기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기에서 처리된 주차 관련 데이터를 통신 수단을 통해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전력선 또는 통신선의 단자가 결합하는 입출력 포트;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뉴런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위치 확인과 관련된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지문, 차량번호 또는 주차권 일련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키오스크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련 데이터는 주차장의 지도, 주차위치 정보, 주차된 차량에 이르는 최적 및 최단거리 길안내, 요금정산 또는 최적의 출차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KR1020070020890A 2007-03-02 2007-03-02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7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90A KR100775001B1 (ko) 2007-03-02 2007-03-02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90A KR100775001B1 (ko) 2007-03-02 2007-03-02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001B1 true KR100775001B1 (ko) 2007-11-21

Family

ID=3907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890A KR100775001B1 (ko) 2007-03-02 2007-03-02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29B1 (ko) * 2015-09-18 2016-07-22 김경숙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663A (ko) * 1995-12-28 1997-07-26 김태구 주차관리 시스템
KR20050050503A (ko) * 2003-11-25 2005-05-31 오토링스 주식회사 주차유도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663A (ko) * 1995-12-28 1997-07-26 김태구 주차관리 시스템
KR20050050503A (ko) * 2003-11-25 2005-05-31 오토링스 주식회사 주차유도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29B1 (ko) * 2015-09-18 2016-07-22 김경숙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7231A1 (en) Parking information sens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10121770A (ko) 자판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0302B1 (ko) 자기 진단 및 양방향 능동형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주차 유도시스템
KR20090018388A (ko) 주차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1500A (ko) 주차유도 시스템
KR100775001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63139B1 (ko) 효율적인 조명제어가 가능한 주차구역 안내시스템
KR20100030890A (ko)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차량 검지장치 및 주차 유도시스템
KR20100074747A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0923155B1 (ko) 조도센서를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95201B1 (ko)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주차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100719323B1 (ko) 전파식별태그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시스템
KR20150068680A (ko) 스마트 주차 안내 단말기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주차 안내 방법
KR100654847B1 (ko) 주차공간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공간안내 방법
KR200354169Y1 (ko) 주차관리시스템
KR200387501Y1 (ko) 빌딩이나 공영주차장의 주차 공간 알림 장치
KR20110064900A (ko) 차량의 주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162313B1 (ko) 주차된 차량 위치 알려주는 장치
KR100796920B1 (ko) 주차장에서의 차량유무 확인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차 관리시스템
KR101776865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잔여 주차량 안내 제어시스템
KR200349988Y1 (ko)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KR20070120681A (ko) 주차유도시스템
KR100791262B1 (ko) 캔 통신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820215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
KR100349267B1 (ko) 주차용 원격관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