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201B1 -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201B1
KR100774201B1 KR1020060037776A KR20060037776A KR100774201B1 KR 100774201 B1 KR100774201 B1 KR 100774201B1 KR 1020060037776 A KR1020060037776 A KR 1020060037776A KR 20060037776 A KR20060037776 A KR 20060037776A KR 100774201 B1 KR100774201 B1 KR 100774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section
value
rgb
hist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535A (ko
Inventor
이종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20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트라스트 개선시 발생하는 플리커를 제거하도록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RGB 영상 데이터를 밝기(Y) 및 색차신호(UV) 데이터 형태를 변환시키고; 상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변환 입력된 YUV 영상신호로부터 구간별 픽셀수를 카운트하고; 구간별 카운트된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으로 강제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된 픽셀수와 웨이트 팩터값을 이용하여 최종출력곡선을 계산하고 이값을 입력에 적용시킨다. 따라서,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플리커를 제거하도록 한다.
콘트라스트, 개선, 플리커, 제거, 히스토그램, RGB, YUV, 영상신호, 픽셀수

Description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ast enhancement with histogram}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화면의 휘도(luminance)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3은 종래의 화면의 실제 영상과 이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4d는 종래 히스토그램 및 웨이트 팩터에 따른 최종 출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콘트라스트 개선부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그래프.
도 8a 및 8b는 상기 도 6의 Y입력신호의 특정구간에서 카운트된 픽셀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RGB/YUV 변환부 20 : 콘트라스트 개선부
21 : 픽셀 카운트 모듈 22 : 픽셀수 변동 판단 모듈
23 : 픽셀수 고정 모듈 24 : 최종출력곡선 계산 모듈
30 : UV 처리부 40 : YUV/RGB 변환부
5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트라스트 개선시 발생하는 플리커를 제거하도록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을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기기로는 방송국의 전파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텔레비젼 시스템(Television system) 및 셋톱박스나 텔레비전 본체에 내장된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극선관 장치(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함 )와 평판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 이하 'FPD'라 함)로 분류된다. 현재 평판디스플레이 분야 중 액정디스플레이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에 놀라운 연구성과 결과 대부분을 형성하고 있으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 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은 대화면화의 용이함과 CRT 수준의 화질을 나타냄으로써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FPD는 CRT에 비해서 저전력 소비, 고해상도, 박형, 경량의 특징이 있으며 디 지털 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처리 방식의 장점은 잡음에 강하며, 비트 수를 증가시키면 표현 가능한 수치의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열화가 적은 연산처리나 축적이 가능하고 고화질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FPD에 표시된 영상에 대한 디지털 신호처리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 중 화질 향상을 위한 화상처리방식에는 콘트라스트 조정(Contrast Control),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에지 복원(Edge Restoration), 에지 강조(Edge Enhancement), 감마 보정(γ- correction) 등이 있다. 이 중 한 분야인 콘트라스트 조정을 이용하면 별도의 정보 증가량 없이 화질 향상이 가능하다.
종래의 콘트라스트 제어 알고리즘 방식으로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히스토그램 슬라이딩(Histogram sliding), 명암 대비 스트레칭(Stretching) 방식 등이 있다. 상기 방식들중 히스토그램에 의한 콘트라스트 조정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화면의 휘도(luminance)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히스토그램 방식을 사용한 콘트라스트 개선(Contrast Enhancement) 기능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을 설정하여 화면에서 각 구간에 속하는 픽셀(pixel)의 개수를 카운트(count)하여 최종 출력곡선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도 2는 종래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고, 도 3은 종래의 화면의 실제 영상과 이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을 살펴 보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제 영상을 입력하고, 이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한다(S101~S102).
이와 같이 실제 영상이 입력될 경우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하여 3부분의 영역(Low,Mid,High bin)에서 카운트되는 픽셀의 양을 결정하여 웨이트 팩터값을 결정한다(S103).
이때, 카운트되는 픽셀의 양은 상기 Low, Mid, High 각각의 영역의 퍼센트(Percentage)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값이 웨이트 팩터로 사용된다.
이후, 다음의 [수학식 1]의 공식에 의해 최종 출력(Output) 곡선을 구하게 된다(S104).
Figure 112006029349197-pat00001
이때, Y(x) : 출력(OUTPUT), TF1,2,3(x) : USER가 설정한 각 구간별 APL 전달함수, W : 입력 휘도(Input Luminance)신호의 히스토그램으로 계산한 웨이트 팩터이다.
도 4a 내지 4d는 종래 히스토그램 및 웨이트 팩터에 따른 최총 출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구해진 최종 출력곡선을 입력에 적용하여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05~S106).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은, 각 구간의 경계 영역에 있는 픽셀수가 많을 경우, 특히 정지화면에서 각 구간에 정확한 픽셀수를 카운트하지 못하여, 즉 히스토그램 방식을 사용한 콘트라스트 개선시 각 영역의 경계에서는 각 영역의 값을 번갈아가며 적용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출력 값이 계속적으로 변동되어 플리커(Flicker)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플리커를 제거하도록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는, RGB 영상 데이터를 밝기(Y) 및 색차신호(UV) 데이터 형태를 변환시키는 RGB/YUV 변환부; 상기 RGB/YUV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키는 콘트라스트 개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라스트 개선부는,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킨다.
상기 콘트라스트 개선부는, 상기 RGB/YUV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구간별 픽셀수를 카운트하는 픽셀 카운트 모듈; 구간별 카운트된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는가를 판단하는 픽셀수 변동 판단 모듈;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으로 강제 고정시키는 픽셀수 고정 모듈; 상기 고정된 픽셀수와 웨이트 팩터값을 이용하여 최종출력곡선을 계산하고 이값을 입력에 적용시키는 최종출력곡선 계산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픽셀수 변동을 판단하는 구간은, 인접한 2구간이 중복되는 경계 영역이고, 상기 특정값은 상기 변동되는 픽셀수중 최소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트라스트 개선부로부터 콘트라스트율이 향상된 밝기(Y) 신호와 색차신호(UV) 데이터를 RGB 영상 데이터 형태로 재변환하는 YUV/RGB 변환부 및 상기 YUV/RGB 변환부에서 변환된 RGB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은, a)RGB 영상 데이터를 밝기(Y) 및 색차신호(UV) 데이터 형태를 변환시키는 단계; b)상기 단계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는,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킨다.
상기 b)단계는, 상기 변환 입력된 YUV 영상신호로부터 구간별 픽셀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구간별 카운트된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으로 강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된 픽셀수와 웨이트팩터값을 이용하여 최종출력곡선을 계산하고 이값을 입력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픽셀수 변동을 판단하는 구간은, 인접한 2구간이 중복되는 경계 영역이고, 상기 특정값은 상기 변동되는 픽셀수중 최소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로부터 콘트라스트율이 향상된 밝기(Y) 신호와 색차신호(UV) 데이터를 RGB 영상 데이터 형태로 재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변환된 RGB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콘트라스트 개선부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RGB/YUV 변환부(10), 콘트라스트 개선부(20), 픽셀 카운트 모듈(21), 픽셀수 변동 판단 모듈(22), 픽셀수 고정 모듈(23), 최종출력곡선 계산 모듈(24), UV 처리부(30), YUV/RGB 변환부(40) 및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한다.
RGB/YUV 변환부(10)는 RGB 영상 데이터를 밝기(Y) 및 색차신호(UV) 데이터 형태를 변환시킨다.
콘트라스트 개선부(20)는 상기 RGB/YUV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킨다.
상기 콘트라스트 개선부(20)는,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콘트라스트 개선부(20)는, 상기 RGB/YUV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구간별 픽셀수를 카운트하는 픽셀 카운트 모듈(21); 구간별 카운트된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는가를 판단하는 픽셀수 변동 판단 모듈(22);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으로 강제 고정시키는 픽셀수 고정 모듈(23); 상기 고정된 픽셀수와 웨이트팩터값을 이용하여 최종출력곡선 을 계산하고 이값을 입력에 적용시키는 최종출력곡선 계산 모듈(24)을 포함한다.
UV 처리부(30)는 휘도 신호와 적색 성분의 차(U), 휘도 신호와 청색 성분의 차(V)의 신호를 처리한다.
YUV/RGB 변환부(40)는 상기 콘트라스트 개선부로부터 콘트라스트율이 향상된 밝기(Y) 신호와 색차신호(UV) 데이터를 RGB 영상 데이터 형태로 재변환한다.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YUV/RGB 변환부(10)에서 변환된 RGB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a 및 8b는 상기 도 6의 Y입력신호의 특정구간에서 카운트된 픽셀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픽셀수 변동을 판단하는 구간은, 인접한 2구간이 중복되는 경계 영역이고, 상기 특정값은 상기 변동되는 픽셀수중 최소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RGB 영상 데이터를 밝기(Y) 및 색차신호(UV) 데이터 형태를 변환시키는 단계(S200); b)상기 단계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키는 단계(S201~S2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는,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 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키고, 이를 위하여 상기 b)단계는, 상기 변환 입력된 YUV 영상신호로부터 구간별 픽셀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202); 구간별 카운트된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03);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으로 강제 고정시키는 단계(S204~S205); 상기 고정된 픽셀수와 웨이트팩터값을 이용하여 최종출력곡선을 계산하고 이값을 입력에 적용시키는 단계(S206~S20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픽셀수 변동을 판단하는 구간은, 인접한 2구간이 중복되는 경계 영역이고, 상기 특정값은 상기 변동되는 픽셀수중 최소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로부터 콘트라스트율이 향상된 밝기(Y) 신호와 색차신호(UV) 데이터를 RGB 영상 데이터 형태로 재변환하고 상기에서 변환된 RGB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208)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RGB 영상 데이터를 밝기(Y) 및 색차신호(UV) 데이터 형태를 변환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데 이때, RGB/YUV 변환부(10)는 RGB 영상 데이터를 밝기(Y) 및 색차신호(UV) 데이터 형태를 변환시킨다(S200).
본 발명에서 YUV방식이란 휘도 신호(Y), 휘도 신호와 적색 성분의 차(U), 휘도 신호와 청색 성분의 차(V)의 3가지 정보로 색을 나타내는 형식을 말한다. 텔레비전(TV)에 사용되는 색 표현 방식으로, Y 성분은 오차에 민감하므로 색상 성분인 U와 V보다 많은 비트를 코딩하며, Y:U:V의 비율은 보통 4:2:2이다. CD-I와 DVI(Digital Video Interactive)에서도 사용된다. RGB 값을 YUV로 변환식은 Y=0.3R+0.59G +0.11B, U=(B-Y)x0.493, V=(R-Y)x0.877이며, 반대로 YUV 값을 RGB로 변환식은 R=Y+0.956U+0.621V, G=Y+0.272U+0.647V, B=Y+1.1061U+1.703V이다. 즉 빛에 둔감한 컬러 정보라고 판단되어 YUV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후, 상기 단계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킨다(S201~S208).
즉, 콘트라스트 개선부(20)는 상기 RGB/YUV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w, Mid, High로 입력 신호를 구분하고, Y(휘도)입력신호에서 그 구간에 해당되는 pixel 수를 카운트하는데 있어서, 도 8a 및 도 8b와 같이 Mid 구간의 카운트값이 정지화면에서 195와 196을 왔다갔다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는 앞 페이지의 출력계산 공식 중에서 웨이트 팩터가 달라져서 출력이 달라지게 되고 휘도 값이 달라짐에 따라 정지화면에서 밝기가 달라지므로, 플리커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먼저 정지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한 후, 정지영상 일 때, 일정시간동안 구간별 픽셀 카운트(Pixel count)값이 변동이 있는지 확인하고 변동이 있다면, 강제적으로 최소값으로 고정하여 플리커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 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계에서 변환 입력된 영상이 정지영상인가를 판단하고(S201), 픽셀 카운트 모듈(21)은 상기 RGB/YUV 변환부로부터
변환 입력된 YUV 영상신호로부터 구간별 픽셀수를 카운트하고, 픽셀수 변동 판단 모듈(22)은 구간별 카운트된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02~S203).
이때, 상기 픽셀수 변동을 판단하는 구간은, 인접한 2구간, 예로서 Low와 Mid 구간 사이, Mid와 High구간 사이의 중복되는 경계 영역이고, 상기 특정값은 상기 변동되는 픽셀수중 최소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픽셀수 고정 모듈(23)은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으로 강제 고정시키고, 구간별 픽셀을 카운트한다(S204~S205).
최종출력곡선 계산 모듈(24)은 상기 고정된 픽셀수와 웨이트팩터값을 이용하여 최종출력곡선을 계산하고 이값을 입력에 적용시킨다(S206~S207).
이후, YUV/RGB 변환부(40)는 상기 콘트라스트 개선부로부터 콘트라스트율이 향상된 밝기(Y) 신호와 색차신호(UV) 데이터를 RGB 영상 데이터 형태로 재변환하고,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YUV/RGB 변환부(10)에서 변환된 RGB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208).
따라서, 본 발명은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플리커를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PDP 및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이고, 프로젝션 TV, 일반 TV, 모니터 및 기타 영상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및 위성 TV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NTSC, PAL, SECAM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플리커를 제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RGB 영상 데이터를 밝기(Y) 및 색차신호(UV) 데이터 형태로 변환시키는 RGB/YUV 변환부;
    상기 RGB/YUV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키는 콘트라스트 개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라스트 개선부는,
    상기 RGB/YUV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구간별 픽셀수를 카운트하는 픽셀 카운트 모듈;
    구간별 카운트된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는가를 판단하는 픽셀수 변동 판단 모듈;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또는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으로 강제 고정시키는 픽셀수 고정 모듈;
    상기 고정된 픽셀수와 웨이트팩터값을 이용하여 최종출력곡선을 계산하고 이값을 입력에 적용시키는 최종출력곡선 계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4. 제 1 내지 3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수 변동을 판단하는 구간은, 인접한 2구간이 중복되는 경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5. 제 1 내지 3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값은 상기 변동되는 픽셀수중 최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라스트 개선부로부터 콘트라스트율이 향상된 밝기(Y) 신호와 색차신호(UV) 데이터를 RGB 영상 데이터 형태로 재변환하는 YUV/RGB 변환부; 및
    상기 YUV/RGB 변환부에서 변환된 RGB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 트 개선 장치.
  7. a)RGB 영상 데이터를 밝기(Y) 및 색차신호(UV) 데이터 형태로 변환시키는 단계;
    b)상기 단계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될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강제적으로 특정값으로 고정시켜 안정된 영상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RGB/YUV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구간별 픽셀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구간별 카운트된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간별 픽셀수가 일정시간동안 일정값 이상 변동되었을 경우 상기 구간별 픽셀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으로 강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된 픽셀수와 웨이트팩터값을 이용하여 최종출력곡선을 계산하고 이값을 입력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10. 제 7 내지 9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수 변동을 판단하는 구간은, 인접한 2구간이 중복되는 경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11. 제 7 내지 9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값은 상기 변동되는 픽셀수중 최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로부터 콘트라스트율이 향상된 밝기(Y) 신호와 색차신호(UV) 데이터를 RGB 영상 데이터 형태로 재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RGB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KR1020060037776A 2006-04-26 2006-04-26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776A KR100774201B1 (ko) 2006-04-26 2006-04-26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776A KR100774201B1 (ko) 2006-04-26 2006-04-26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35A KR20070105535A (ko) 2007-10-31
KR100774201B1 true KR100774201B1 (ko) 2007-11-08

Family

ID=3881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776A KR100774201B1 (ko) 2006-04-26 2006-04-26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8425A (zh) * 2019-07-04 2019-09-24 潍坊学院 图像增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336A (ja) * 1996-02-20 1997-09-05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2125130A (ja) 2000-10-13 2002-04-26 Noritsu Koki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30034659A (ko) * 2001-10-26 2003-05-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페닐렌을 갖는 플로렌계 화합물, 그 중합체 및 이들을포함하는 el 소자
KR20030067959A (ko) * 2002-02-09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신호의 콘트라스트 처리 방법
JP2004274771A (ja) 2003-03-11 200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適応型輝度値補正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336A (ja) * 1996-02-20 1997-09-05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2125130A (ja) 2000-10-13 2002-04-26 Noritsu Koki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30034659A (ko) * 2001-10-26 2003-05-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페닐렌을 갖는 플로렌계 화합물, 그 중합체 및 이들을포함하는 el 소자
KR20030067959A (ko) * 2002-02-09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신호의 콘트라스트 처리 방법
JP2004274771A (ja) 2003-03-11 200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適応型輝度値補正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35A (ko)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1449B2 (ja) 電子ディスプレイの映像表示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CA242993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progressive video conversion
EP175837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201038B2 (ja) 映像信号処理方法及び映像信号処理装置
KR100691553B1 (ko) 영상 신호 처리 회로 및 텔레비전 수상기
US77196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050259185A1 (en) Gamma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noise boost-up
WO2006130564A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brightness and contrast adjustment of a video source
US8957845B2 (en) Display device
TW200308165A (en) Signal processing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1858253A1 (en) Image correction circuit, image correction method and image display
KR100882209B1 (ko) 액정 이미저에서 스파클 결함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3058098A (ja) ホールド型画像表示装置
KR100774201B1 (ko)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JPH07322179A (ja) 電子ディスプレイの映像表示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258925A (ja) ガンマ補正回路及びガンマ補正方法
JPH06350943A (ja) 画像処理回路
JP2005077950A (ja) ヒストグラム制御画質補正回路
JP200304680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EP1758370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8123472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938264B2 (ja) 液晶映像表示装置
JPH07322176A (ja) 電子ディスプレイの映像表示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224641A (ja) 映像表示装置
KR100826199B1 (ko) 대역별 영상 밝기 보정 방법 및 그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