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686B1 -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686B1
KR100773686B1 KR1020060082602A KR20060082602A KR100773686B1 KR 100773686 B1 KR100773686 B1 KR 100773686B1 KR 1020060082602 A KR1020060082602 A KR 1020060082602A KR 20060082602 A KR20060082602 A KR 20060082602A KR 100773686 B1 KR100773686 B1 KR 100773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id card
station
card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동
남덕영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8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지하철 교통요금을 지불할 경우에 있어 일정시간 내에 동일 역에서의 승차 및 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될 경우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다음 게이트의 통과시에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저장된 승차 또는 하차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역과 상호 비교하여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되었을 경우 선불카드로부터 제공된 승차 또는 하차시각에 대한 정보와 현재 시각과 상호 비교하여 일정시간 이내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되었을 경우 카드단말기는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를 전송하여 기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카드단말기는 하차시 선불카드로부터 전송된 승차역 코드와 현재 역을 비교하여 교통요금을 산정하되, 오탑승 정보가 저장된 선불카드에 있어서는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LLECTING A TRAFFIC SERVICE FEE ON MISTAKEN BOARDING USING PRE-PAYMENT CARD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오탑승시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불카드 및 카드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오탑승에 따른 교통요금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절차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오탑승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역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오하차에 따른 교통요금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절차도이다.
도 6은 도 5의 오하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역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선불카드 11: 메모리
13: RF안테나 15: 제어부
50: 게이트 100,200,300: 카드단말기
111: 메모리 112: 타이머
113: RF안테나 114: 표시부
115: 게이트구동부 116: 통신부
117: 단말제어부
본 발명은 지하철 오탑승에 따른 과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지하철 교통요금을 지불할 경우에 있어 일정시간 내에 동일 역에서의 승차 및 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될 경우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다음 게이트의 통과시에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하철의 승차권으로는, RF방식의 충전형 선불카드와 후불형 신용카드로 나누어지는 카드 승차권과, 보통권과 정액권 및 우대권 등으로 나누어지는 자성(MS) 승차권이 있다.
교통요금을 지불하는 수단으로 후불형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RF카드의 IC칩에 신용카드번호가 저장되어 있어서, 교통수단의 출입구에 설치된 RF카드단말기가 RF카드에 저장된 신용카드번호를 독출한 후 신용카드사로부터 승인 및 정산을 실시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한편, 교통요금을 지불하는 수단으로 충전형 선불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RF카드의 IC칩에 구비된 충전형 메모리에 화폐가치를 저장하고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교통수단의 출입구에 설치된 RF카드단말기를 이용하여 충전된 화폐가치를 차감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선불카드는 전자화폐 기능이 탑재되어 주로 오프라인 환경하의 교통수단에서 교통요금지불 결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고객의 교통서비스의 이용에 따라 선불카드 내에 충전된 금액 중 해당 교통요금을 차감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카드 승차권과 자성 승차권을 이용하여 지하철 출입구에 설치된 게이트를 통과하게 되는 데, 만약 고객이 지하철 출입구에 설치된 게이트를 통과하여 오탑승할 경우에도 여전히 일정 교통요금을 지불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고객이 지하철역의 게이트를 통과하였으나 방향 착오로 잘못 진입하여 게이트를 다시 나올 때나, 또는 하차역을 경과하거나 위치 착오로 잘못 하차하여 게이트를 나와 다시 게이트를 통과할 경우에도 교통요금을 여전히 지불함에 따라 고객이 부당하게 교통요금을 부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고객이 이러한 요금의 부과를 피하기 위하여 게이트의 불법 통과를 시도하게 되며, 이러한 시도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적지않은 불편함과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지하철 교통요금을 지불할 경우에 있어 동일 역에서 일정시간 내에 승차 및 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될 경우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다음 게이트의 통과시에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음으로써, 오 탑승으로 인한 부당한 요금 징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 역에서 일정시간 내에 승차 및 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될 경우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다음 게이트의 통과시에 교통요금을 기본적으로 부과하지 않되, 최초 승차역을 기준으로 기본요금을 초과한 추가요금에 대해서만 부과함에 따라 합리적이면서도 정확한 요금징수가 가능한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지하철 교통요금을 징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승/하차역 코드와 승/하차 시각을 메모리에 각각 저장함과 아울러 동일 역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승차 및 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를 반복할 경우 입구측 또는 출구측의 카드단말기로부터 오탑승 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의 일정영역에 저장 기록하는 선불카드; 및 상기 선불카드에 저장된 승차 또는 하차역 코드와 승차 또는 하차시각을 제공받아 현재 역과 시각을 상호 비교하여 일정시간 이내에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될 경우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를 전송하여 기록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 오탑승으로 인한 승/하차시에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카드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 우에 하차시에 상기 선불카드에 기록된 오탑승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 하차시에 상기 오탑승으로 인해 선불한 금액을 제외한 추가금액에 대해서만 선불카드로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된 시각으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오탑승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방법은, 지하철 교통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저장된 승차 또는 하차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역과 상호 비교하여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제 1단계; 상기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되었을 경우 선불카드로부터 제공된 승차 또는 하차 시각과 현재 시각을 상호 비교하여 일정시간 이내인지를 체크하는 제 2단계;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되었을 경우 카드단말기는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를 전송하여 기록시키는 제 3단계; 및 상기 카드단말기는 하차시 선불카드로부터 전송된 승차역과 현재 역을 비교하여 교통요금을 산정하되, 오탑승 정보가 저장된 선불카드에 있어서는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제 4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단계에서 카드단말기는 오탑승 정보가 저장된 선불카드에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되, 선불카드에 저장된 오탑승 정보를 삭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3단계에서 하차시에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를 기록할 때,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의 교통요금을 선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단계에서 오탑승 정보가 저장된 선불카드의 접근시에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저장된 승차역과 현재 역을 상호 비교하여 선 차감 금액과의 차액이 있을 경우 차액에 대해서만 선불카드로 청구하여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4단계에서 선불카드의 오탑승 정보가 기록된 시각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 카드단말기는 오탑승 정보를 무시하고 교통요금을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오탑승시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불카드 및 카드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고객이 소지한 선불카드(10)와, 역사별로 복수의 카드단말기(100, 200, 300), 및 상기 다수의 카드단말기(100, 200, 3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카드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승/하차관련 히스토리를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카드단말기의 처리프로그램을 지원 관리하는 승차관리서버(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불카드(10)는 소정의 카드정보와 충전금액 외에 승/하차시에 승/하차역 코드와 승/하차 시각을 메모리(11)에 각각 저장함과 아울러 동일 역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승차 및 하차를 위해 게이트의 통과를 반복할 경우 카드단말기(100)로부 터 오탑승 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11)의 일정영역에 저장 기록하는 RF방식의 스마트카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선불카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1)와, 지하철역에 설치된 카드단말기(100)로부터 발생된 RF신호에 유기되어 소정의 유도기전력을 발생하여 선불카드(10)의 내부회로를 동작시키게 됨과 아울러 카드단말기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RF안테나(13)와, 상기 RF안테나(13)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메모리(11)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리드하여 카드단말기(100)로 전송 제어함과 카드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각종 정보를 메모리(11)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는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카드정보가 저장된 영역(11-1)과, 충전금액이 저장된 영역(11-2)과, 승/하차역의 코드 정보가 저장된 영역(11-3)과, 승/하차시의 시각 정보가 저장된 영역(11-4), 및 오탑승(이하, 잘못된 승차 또는 하차를 의미함)시의 오탑승 정보 및 시각 정보가 저장된 영역(11-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드단말기(100)는 지하철역의 입구 또는 출구측의 게이트(50)에 설치되어 상기 선불카드(10)에 저장된 승차역 또는 하차역 코드와 승차 또는 하차 시각을 제공받아 현재 역과 시각 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일정시간 이내에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50)의 통과가 반복될 경우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선불카드(10)에 오탑승 정보를 전송하여 기록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불카드(10)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 오탑승으로 인한 승/하차시에 선불카드(10)의 교통요금 을 부과하지 않도록 하는 RF방식의 카드단말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드단말기(100, 200 또는 300)는 역별로 입구측과 출구측에 복수의 카드단말기(110, 120, ..., 150)로 이루어져 있는 데, 각 카드단말기(110∼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11), 타이머(112), RF안테나(113), 표시부(114), 게이트구동부(115), 통신부(116) 및 단말제어부(117)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모리(111)는 해당 역의 코드와 게이트 정보 및 승차역에 따른 교통요금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타이머(112)는 시간을 카운트하며, RF안테나(113)는 상기 선불카드(10)로 소정의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선불카드(10)의 내부회로를 동작시키게 됨과 아울러 선불카드(10)와 상호 RF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114)는 선불카드(10)에 충전된 잔액이나 이용 교통요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게이트구동부(115)는 단말제어부(117)의 제어신호에 따라 출입구의 게이트(50)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통신부(116)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승차관리서버(4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말제어부(117)는 해당 역과 소정의 승차 또는 하차시각에 대한 정보가 RF안테나(113)를 통해 선불카드(10)로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선불카드(10)로부터 전송된 승/하차역 코드와 승/하차시각 정보를 제공받아 오탑승 여부를 판단한 후 오탑승으로 간주될 경우 오탑승 정보를 생성하여 선불카드(10)에 기록하게 되며, 상기 선불카드(10)로부터 오탑승 정보가 리드될 경우 해당 선불카드(10)에 대해서는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선불카드(10)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 하차시에 카드단말기(100)는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금액을 차감하지 않아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게 되는 데, 이때 카드단말기(100)는 상기 선불카드(10)에 기록된 오탑승 정보를 삭제하여 오탑승 정보가 중복 사용되거나 오탑승 정보로 인한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현재 지하철 교통요금은 수도권 전철의 전구간이 일원화되어 거리비례제로 책정(최단거리 기준임)되어 있는 데, 예컨대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기본요금은 12km까지 800원이고, 12km를 초과할 경우 거리별 추가요금이 발생된다.
상기 거리별 추가요금은, 예컨데 12km 내지 42km 구간에서는 6km마다 100원의 추가요금이 발생되고, 42km초과시에는 12km마다 100원의 추가요금이 발생된다.
이하에서 상기 카드단말기는 설명의 편의상 A역, B역, C역의 입구측 및 출구측 카드단말기(100, 200 또는 300)로 구분하였으나, 동일한 구성을 갖는 단말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오탑승에 따른 교통요금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절차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의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열차의 진행방향에 따라 승차 게이트가 별도로 마련된 역(A역)에서, 고객의 착오로 인해 원래 가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 진행방향의 카드단말기(110)로 들어갔다가 다른 카드단말기(150)를 통해 다시 나와 원래 방향의 카드단말기(120)를 통해 다시 승차하였을 경우(승차역 오탑승의 경우임)에 과 금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승차역(A역)의 입구측 카드단말기(110)는 근접된 선불카드(10)로부터 카드정보가 전송되면(S1), 카드단말기(110)의 단말제어부(117)는 메모리(111)에 저장된 승차역 코드와 게이트 정보 및 타이머(112)를 통해 카운트된 승차시각 정보를 RF안테나(113)를 통해 선불카드(10)로 전송하게 된다(S2).
상기 선불카드(10)의 제어부(15)는 카드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승차역 코드와 게이트 및 시각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역과 시각 정보를 메모리(111)의 해당 영역에 각각 저장하게 된다(S3).
여기에서 고객은 원래 가고자 하는 방향이 아니라 다른 방향의 카드단말기(110)를 통해 플랫폼으로 진입하였을 경우 출구측 카드단말기(150)를 통해 나온 후 다시 입구측 카드단말기(120)를 통해 플랫폼으로 들어가게 된다.
즉, 승차역(A역)의 출구측 카드단말기(150)는 근접된 선불카드(10)로부터 카드정보와 승차역 코드, 승차시각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S4), 단말제어부(117)는 선불카드(10)로부터 전송된 승차역 코드와 자신의 역 코드를 상호 비교하여 동일 역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5).
상기에서 단말제어부(117)는 승차역과 출구역이 동일 역일 경우에는 선불카드(10)로부터 전송된 승차시각과 현재 시각을 상호 비교하여 일정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에서 승차역과 출구역이 동일 역이고 일정시간 이내일 경우에는 출구측 카드단말기(150)의 단말제어부(117)는 고객이 오탑승한 경우라고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제어부(117)는 요금체계에 따른 교통요금을 산정(S6)하여 선불카드(10)로 요금을 청구함과 아울러 오탑승 정보와 오탑승 시각을 함께 생성하여 선불카드(10)로 전송하게 된다(S7).
상기 선불카드(10)는 카드단말기(100)로부터 교통요금 청구와 오탑승 정보가 전송되면, 제어부(15)는 메모리(11)에 충전된 금액 중 해당 교통요금을 차감하여 갱신함과 아울러 메모리(11)의 일정 영역(11-5)에 오탑승 정보와 오탑승 시간을 기록하게 된다(S8, S9).
물론, 여기에서 단말제어부(117)는 출구역 코드와 하차시각도 선불카드(10)로 전송하여 선불카드(10)의 메모리(11)에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10).
상기에서 카드단말기(150)는 오탑승시에도 교통요금을 차감하게 되는 데, 이는 오탑승의 최종 판단은 이후에 고객이 동일 역의 다른 입구로 들어갈 경우 완전히 성립되는 것이므로, 고객이 동일 역의 다른 입구로 승차하기 전까지는 다양한 변수가 여전히 잔존하게 되므로 미리 교통요금을 차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승차역(A역)의 다른 입구측 카드단말기(120)는 근접된 선불카드(10)로부터 카드정보와 오탑승 정보가 전송되면(S11), 단말제어부(117)는 메모리(111)에 저장된 승차역 코드와 게이트 정보 및 타이머(112)를 통해 카운트된 승차시각 정보를 RF안테나(113)를 통해 선불카드(10)로 전송하게 된다(S13).
또한, 상기에서 입구측 카드단말기(120)는 선불카드(10)로부터 오탑승 정보가 전송될 경우 선불카드(10)로부터 이전 출구역과 하차시각 정보를 제공받아 자신의 역과 현재 시각을 상호 비교하여 동일 역이고 일정시간 이내일 경우에만 오탑승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12). 만약, 상기에서 하차시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였을 경우 카드단말기(120)는 오탑승 정보가 선불카드(10)에 기록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별개의 승차행위로 인식하고 선불카드(10)에 기록된 오탑승 정보를 삭제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불카드(10)의 제어부(15)는 카드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승차역 코드와 게이트 및 시각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역과 시각 정보를 메모리(11)의 일정 영역에 각각 저장하게 된다(S14).
이어, 하차역(B역)의 출구측 카드단말기(250)는 근접된 선불카드(10)로부터 카드정보와 승차역 코드, 승차시각 및 오탑승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S15), 단말제어부(117)는 선불카드(10)로부터 전송된 승차역과 자신의 역을 상호 비교하여 요금체계에 따른 교통요금을 산정(S16)한 후 기본요금에 해당할 경우에는 오탑승 고객에게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으나, 기본요금을 초과하여 차액이 발생할 경우 단말제어부는 선불카드로 교통요금 중 차액의 차감과 오탑승 정보를 삭제하는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17, S18).
즉, 단말제어부(117)는 선불카드(10)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 선불카드(10)의 충전금액의 차감을 수행하지 않고 게이트구동부(115)를 제어하여 게이트(50)를 개방(Unlock)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에서 단말제어부(117)는 승차역과 하차역을 기준으로 요금체계에 따른 교통요금을 산정하게 되는 데, 만약 교통요금이 오탑승시에 미리 차감한 금액을 초과할 경우 단말제어부(117)는 미리 차감한 선불금액을 뺀 나머지 요금만 을 선불카드(10)로 청구하고, 이에 따라 선불카드(10)는 충전된 금액 중 나머지 차액을 차감시키게 된다(S19). 이때 카드단말기(250)는 상기 선불카드(10)에 기록된 오탑승 정보를 삭제(S20)하여 오탑승 정보가 중복 사용되거나 오탑승 정보로 인한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오하차에 따른 교통요금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절차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5의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열차의 진행방향에 따라 승차 게이트가 독립적으로 마련된 역(B역)에서, 고객의 착오로 인해 원래 하차하고자 하는 역(C역)이 아니라 다른 역(B역)에서 하차하였을 경우 해당 역(B역)의 카드단말기(250)를 통과하여 나와 원래 역 방향의 카드단말기(210)를 통해 다시 승차하였을 경우(오하차의 경우임- 이하 용어통일을 위해 오탑승이라고 칭함)에 과금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승차역(A역)의 입구측 카드단말기(110)는 근접된 선불카드(10)로부터 카드정보가 전송되면(S31), 카드단말기(110)의 단말제어부(117)는 메모리(111)에 저장된 승차역 코드와 게이트 정보 및 타이머(112)를 통해 카운트된 승차시각 정보를 RF안테나(113)를 통해 선불카드(10)로 전송하게 된다(S32).
상기 선불카드(10)의 제어부(15)는 카드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승차역 코드와 게이트 및 시각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역과 시각 정보를 메모리(11)의 일정 영역에 각각 저장하게 된다(S33).
여기에서 고객은 원래 하차하고자 하는 역을 지나쳤을 경우, 오탑승역(오하차역; B역)의 출구측 카드단말기(250)를 통해 나온 후 다시 가야할 역 방향인 입구측 카드단말기(210)를 통해 플랫폼으로 들어가야 한다.
즉, 하차역(B역)의 출구측 카드단말기(250)는 근접된 선불카드(10)로부터 카드정보와 승차역 코드, 승차시각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S34), 단말제어부(117)는 선불카드(10)로부터 전송된 승차역 코드와 자신의 역 코드를 상호 비교하여 동일 역인지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에서 승차역과 하차역이 동일 역이 아닐 경우에는 단말제어부(117)는 요금체계에 따라 거리별 교통요금을 산정(S35, S36)하여 선불카드(10)로 요금을 청구함과 아울러 하차역 코드와 하차시각도 선불카드(10)로 전송하게 된다(S37).
상기 선불카드(10)는 카드단말기(100)로부터 교통요금 청구와 하차역 및 하차시각 정보가 전송되면 제어부(15)는 메모리(11)에 충전된 금액 중 해당 교통요금을 차감하여 갱신함과 아울러 메모리(11)의 일정 영역에 하차역과 하차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S38, S39).
이어, 하차역(B역)의 다른 입구측 카드단말기(210)는 근접된 선불카드(10)로부터 카드정보와 하차역 코드, 하차시각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S40), 단말제어부(117)는 선불카드(10)로부터 전송된 하차역 코드와 자신의 역 코드를 상호 비교하여 동일 역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에서 단말제어부(117)는 하차역과 입구역이 동일 역일 경우에는 선불카드(10)로부터 전송된 하차시각과 현재 시각을 상호 비교하여 일정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에서 하차역과 입구역이 동일 역이고 일정시간 이내일 경우에는 입구측 카드단말기(210)의 단말제어부(117)는 고객이 오탑승(오하차)한 경우라고 판단하게 된다(S41).
이에 따라 단말제어부(117)는 오탑승 정보도 생성하여 선불카드(10)로 전송하게 되며(S42), 상기 선불카드(10)는 카드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된 오탑승 정보를 메모리(11)의 일정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S43).
또한, 상기에서 오탑승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카드단말기(210)는 선불카드(10)에 저장된 최초 승차역과 승차시각에 대한 정보를 갱신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최초 승차역과 승차시각에 대한 정보를 이후의 교통요금 산정시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어, 하차역(C역)의 출구측 카드단말기(350)는 근접된 선불카드(10)로부터 오탑승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S44), 카드단말기(350)는 오탑승 고객에게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아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금액을 차감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에서 고객이 지하철 이용요금을 절감하기 위하여 교통서비스를 이용하던 도중에 의도적으로 저렴한 요금구간에서 하차한 후 곧바로 동일 역에서 재승차하여 장거리 목적지까지 이용함에 따라 오탑승을 이용한 교통요금을 절감하고자 하는 악용의 소지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카드단말기(350)의 단말제어부(117)는 선불카드(10)로부터 오탑승 정보뿐만 아니라 최초 승차역(A역)과 승차시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자신의 역과 현재시각 정보와 상호 비교한 후 거리별 또는 시간별 기준의 요금체계에 따라 교통요금을 산정(S45)하게 된다. 만약, 최초 승차역과 최종 하차역간의 교통요금이 오탑승시에 미리 차감한 금액을 초과할 경우 단말제어부(117)는 상기 오탑승역(B역)에서 미리 차감한 선불금액을 뺀 나머지 요금(추가요금)만을 선불카드(10)로 청구하고(S47), 이에 따라 선불카드(10)는 충전된 금액 중 나머지 차액을 차감시키게 된다(S48).
즉, 상기에서 최초 승차역(A역)을 기준으로 최종 하차역(C역)이 오탑승역(B역)보다 멀 경우에는 교통요금이 오탑승시에 미리 차감한 금액을 초과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단말제어부(117)는 총 교통요금에서 오탑승시에 미리 차감한 선불금액을 뺀 나머지 요금만을 선불카드(10)에서 차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불카드(10)는 최종 하차시에 일정 교통요금을 차감한 후 메모리에 기록된 오탑승 정보를 삭제(S49)하여 오탑승 정보가 중복 사용되거나 오탑승 정보로 인한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오탑승의 상황에 따라 과금 절차가 다소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 역에서 일정시간 내에 승차 및 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될 경우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다음 게이트의 통과시에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음으로써, 오탑승으로 인한 부당한 요금 징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고객에 대한 교통서비스의 품질과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일 역에서 일정시간 내에 승차 및 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될 경우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다음 게이트의 통과시에 교통요금을 기본적으로 부과하지 않되, 최초 승차역을 기준으로 기본요금을 초과한 추가요금에 대해서만 부과함에 따라 합리적이면서도 정확한 요금징수가 가능하여 오탑승에 따른 과금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지하철 교통요금을 징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승/하차역 코드와 승/하차 시각을 메모리에 각각 저장함과 아울러 동일 역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승차 및 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를 반복할 경우 입구측 또는 출구측의 카드단말기로부터 오탑승 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의 일정영역에 저장 기록하는 선불카드; 및
    상기 선불카드에 저장된 승차 또는 하차역 코드와 승차 또는 하차시각을 제공받아 현재 역과 시각을 상호 비교하여 일정시간 이내에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될 경우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를 전송하여 기록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 오탑승으로 인한 승/하차시에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카드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 하차시에 상기 선불카드에 기록된 오탑승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단말기는 고객 하차시에 선불카드로부터 오탑승 정보와 최초 승차역 및 승차시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자신의 역 또는 현재시각과 상호 비교하여 교통요금을 산정한 후, 상기 산정된 교통요금에서 오탑승으로 인해 선불한 금액을 제외한 추가금액을 계산하여 선불카드로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 오탑승 정보가 기록된 시각으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오탑승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시스템.
  5. 지하철 교통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저장된 승차 또는 하차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역과 상호 비교하여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제 1단계;
    상기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되었을 경우 선불카드로부터 제공된 승차 또는 하차 시각과 현재 시각을 상호 비교하여 일정시간 이내인지를 체크하는 제 2단계;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동일 역에서 승/하차를 위한 게이트의 통과가 반복되었을 경우 카드단말기는 오탑승으로 간주하여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를 전송하여 기록시키는 제 3단계; 및
    상기 카드단말기는 하차시 선불카드로부터 전송된 승차역과 현재 역을 비교하여 교통요금을 산정하되, 오탑승 정보가 저장된 선불카드에 있어서는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제 4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카드단말기는 오탑승 정보가 저장된 선불카드에 교통요금을 부과하지 않되, 선불카드에 저장된 오탑승 정보를 삭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하차시에 선불카드에 오탑승 정보를 기록할 때,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의 교통요금을 선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오탑승 정보가 저장된 선불카드의 접근시에 카드단말기는 선불카드에 저장된 최초 승차역과 현재 역을 상호 비교하여 선 차감 금액과의 차액 이 있을 경우 차액에 대해서만 선불카드로 청구하여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방법.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선불카드의 오탑승 정보가 기록된 시각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 카드단말기는 오탑승 정보를 무시하고 교통요금을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 방법.
KR1020060082602A 2006-08-30 2006-08-30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602A KR100773686B1 (ko) 2006-08-30 2006-08-30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602A KR100773686B1 (ko) 2006-08-30 2006-08-30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686B1 true KR100773686B1 (ko) 2007-11-05

Family

ID=3906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602A KR100773686B1 (ko) 2006-08-30 2006-08-30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6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93A (ko) * 2000-10-09 2001-04-06 조용채 지하철 교통카드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93A (ko) * 2000-10-09 2001-04-06 조용채 지하철 교통카드 결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2519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4651B2 (en) Method for control of parked vehicles
KR20020020230A (ko) 교통요금 자동 정산 시스템 및 교통기관용 기억 장치
US20040006512A1 (en) Method of paying for a service
JP3989227B2 (ja) 非接触自動改札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645232B1 (ko) 교통 및 통신 요금 통합 청구시스템
JP5208614B2 (ja) 駐輪場課金システム
KR100773686B1 (ko)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하철 오탑승시의 교통요금 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22844A (ko) 선불카드의 잔액 부족시 교통서비스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7264782A (ja) 振替輸送返金システム
KR20070037143A (ko) 거리 비례제 교통 요금 처리 단말기 및 방법
JP2017182335A (ja) 乗継券、料金収受機、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11650B2 (ja) 電子決済システム
JP3709337B2 (ja) 有料道路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対応型の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
JPH09212794A (ja) 車両の通過経路判定システム
JPH117558A (ja) 無線送受信システム
JP3499423B2 (ja) 駐車料金割引機能を備えた駐車場管理装置
KR100828561B1 (ko) 거리 비례용 정기 승차권의 교통 요금 징수 단말기 및 방법
JP5776462B2 (ja) 券売機、および駅務システム
KR20110071471A (ko) 포인트를 이용한 교통 요금 자동 할인 또는 자동 충전 시스템
KR101003215B1 (ko) 근거리 단방향 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선택적 톨 콜렉팅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KR20080020849A (ko) 차량번호인식과 바코드를 이용한 주차요금 자동정산 시스템및 그 방법.
JP4103464B2 (ja) 駐車場入庫管理機
JPS6351312B2 (ko)
KR20070037139A (ko) 환승요금 징수 단말기 및 방법
JP3868094B2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