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603B1 -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 Google Patents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603B1
KR100773603B1 KR1020000085017A KR20000085017A KR100773603B1 KR 100773603 B1 KR100773603 B1 KR 100773603B1 KR 1020000085017 A KR1020000085017 A KR 1020000085017A KR 20000085017 A KR20000085017 A KR 20000085017A KR 100773603 B1 KR100773603 B1 KR 100773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ating
coating
weight
epoxy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795A (ko
Inventor
채수겸
정치욱
신진철
신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0008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60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05D7/146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to metallic pip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54/00Tubes
    • B05D2254/02Applying the material on the exterior of the tub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도가 특정 조성의 에폭시 분체도료로 피복되고, 또 상도가 특정 조성의 폴리에스터 분체도료로 피복된 복층 피복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존 강관피복 도장물과 비교시 도막의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을 탁월하게 증진시키면서도 우수한 도막의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도막의 소지 부착성 증진 및 내부식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종래의 에폭시나 폴리올레핀에 비해 내자외선성이 우수한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에 관한 것이다.
강관피복, 복층 분체도료 조성물, 복층도장

Description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Double layer powder coating system for pipe coating}
본 발명은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도가 특정 조성의 에폭시 분체도료로 피복되고, 또 상도가 특정 조성의 폴리에스터 분체도료로 피복된 복층 피복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존 강관피복 도장물과 비교시 도막의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을 탁월하게 증진시키면서도 우수한 도막의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도막의 소지 부착성 증진 및 내부식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종래의 에폭시나 폴리올레핀에 비해 내자외선성이 우수한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에 관한 것이다.
원유, 가스, 상수 또는 오폐수 등의 수송용 관은 매설후 여러 요인에 의해 부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는 상기 물질의 수송용 각종 강관류의 부식 방지 및 보호코팅재로서 열경화성 에폭시 분체도료 도장하거나, 또는 에폭시 분체도료를 하도로 하고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를 중·상도로 하는 복층도장 타입이 개발되어 널리 적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층도장 타입은 첫 번째 층으로 적용되는 에폭시 타입의 높은 내식성 및 접착력과 상도의 폴리올레핀의 우수한 기계물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강관의 부식방지 시스템으로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의 피복없이 에폭시 층만을 적당한 두께로 코팅하여 강관을 피복하는 소위, `퓨전본디드 에폭시 코팅법'은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다중 도장시스템에 비해 기계적 물성을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나 폴리올레핀의 압출기기 등이 필요없고 도장 작업성이 우수하여 범용의 강관 피복 방지 시스템으로서 역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다중 피복방법은 폴리올레핀의 압출시스템 설비의 필요, 피복작업의 복잡성 및 폴리올레핀의 내자외선에 대한 취약성 등으로 인한 도장강관의 사용환경 제한 등의 단점이 있다. 게다가, 퓨전본디드 에폭시 1겹 코팅방법은 폴리올레핀계 다중 피복방법에 비해 작업성은 우수하지만 1종의 에폭시 도막층만이 피복재로 형성되어 있어 기계적 물성 저하 및 에폭시 고유의 내후성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해 역시 도장강관의 사용환경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도장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복재는 모두 내후성에 대한 취약하여 특히 피복강관이 외부에 노출되는 환경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저비용의 코팅시스템 및 고기능적 물성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강관용 도장방법 및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강관피복시 하도로 적용가능한 에폭시 분체도료와 상도로 적용 가능한 폴리에스터 분체도료를 제조하고,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조성의 분체도료로 구성된 복층 분체도막을 형성하게 되면 기존 강관피복 도장물과 비교시 도막의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을 탁월이 증진시키면서도 우수한 도막의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도막의 소지 부착성 증진 및 내부식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수한 내자외선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게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강관 도장시 폴리올레핀 다중코팅시스템의 고비용성과 작업난해성 등의 문제 및 퓨전본디드 에폭시 1겹 코팅시스템의 제한적인 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새로운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에폭시 분체도료가 하도로 피복되고,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가 상도로 피복된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강관피복시 요구되는 용도 특성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복층구조의 분체도막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복층 분체도막은 하도에는 내마모성, 내충격성, 굴곡성, 내방식성 등이 우수한 에폭시 분체도료가 도장되어 있고, 상도에는 내자외선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분체도료가 도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폭시 분체도료 1 종을 1 겹으로 피막처리하였을 때의 물성적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고, 상도 및 하도에 적용되는 에폭시 분체도료의 적절한 선정으로 여러가지 특정적 요구물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복층 분체도막은 각 층의 분체도료 조성물이 연속적으로 용융 및 중첩되어 도막이 형성되므로 각 층간의 계면은 성분 및 물리적으로 균일화되어 있고 계면간의 안정적인 접착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로써, 종래 폴리올레핀 다중도장시에서의 에폭시 상도층과 폴리머 접착제층의 혼용성 불량으로 인한 작업성, 접착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에 적용되는 각 분체도료의 조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층 분체도막의 하도로 사용되는 에폭시 분체도료로는 다음에 나타낸 (A)조성 또는 (B)조성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분체도료(A)는 에폭시 당량 400 ∼ 3000의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 20 ∼ 50 중량%; 실란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0.1 ∼ 20% 블렌딩된 에폭시 당량 400 ∼ 1100인 노볼락 또는 크레졸 변성 에폭시수지 5 ∼ 20 중량%; 경화제 0.5 ∼ 7 중량%; 무기충진제 40 ∼ 50 중량%; 경화보조제 0.01 ∼ 1.0 중량%가 함유된다.
에폭시 분체도료(B)는 에폭시당량 400 ∼ 3000의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 10 ∼ 40 중량%; 실란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0.1 ∼ 20% 블렌딩된 에폭시 당량 400 ∼ 1100인 노볼락 또는 크레졸 변성 에폭시수지 20 ∼ 40 중량%; 경화제 5 ∼ 11 중량%; 무기충진제 20 ∼ 30 중량%; 경화보조제 0.01 ∼ 1.0 중량%가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 분체도막 구성에서 하도로 이용되는 에폭시 분체도료의 조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에폭시수지로는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와,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블렌딩된 변성 에폭시수지를 혼합 사용한다.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로는 에폭시 당량범위가 400 ∼ 3000인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바, 그 이유는 유연성과 내식성 확보를 위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당량범위가 800 ~ 1500인 것을 사용한다. 변성 에폭시수지는 에폭시 당량 400 ∼ 1100인 노볼락 또는 크레졸으로 변성된 것으로서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과의 블렌딩물이다. 변성 에폭시 수지에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을 블렌딩하면 소지와의 부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분체 도료(A)를 얻기 위해 무기충진제로 실리카와 장석을 적용하였으며, 유연성, 내식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분체 도료(B)를 얻기 위해 비교적 당량이 높은 비스페놀에이 에폭시수지와 실란을 블렌딩한 에폭시 수지를 적용 하였다.
경화제로는 폴리하이드릭 페놀경화제류, 디시안디아마이드, 하이드라이즈드계 경화제, 무수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무수물, 피로멜리트 산무수물 및 벤조페논 테트라 카르복실릭산 무수물 중에서 선택된 방향족 산무수물 및 지방족 산무수물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충진제로는 장석분말, 바륨설페이트,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나, 티타늄다 이옥사이드,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알루미나, 운모, 울라스토나이트 및 탈크 중에서 선택된 것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에폭시 분체도료 A 중에는 무기충전제로서 상기한 성분이외에도 장석분말이 필수성분으로 함유되어야 하는 바, 그 이유는 장석분말은 자체의 하드니스가 높으며 침상구조로 도막의 치밀성을 높여주어 도막의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경화보조제로는 이미다졸류, 이미다졸 변성에폭시, 디비유 및 디비유염, 트리페닐포스핀 및 금속킬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경화보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분체도막의 상도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 조성물은 산가 24 ∼ 36, 분자량 5,000 ∼ 20000인 카르복실말단의 폴리에스터 수지 50 ∼ 70 중량%,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 3 ∼ 5 중량%,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경화제 0.1 ∼ 2 중량%, 경화촉진제 0.01 ∼ 0.1 중량%, 이산화티탄 5 ∼ 10 중량%, 무기충진제 5 ∼ 30 중량%가 함유된다.
경화촉진제로는 부틸트리포스포늄클로라이드, 부틸트리포스포늄브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성분 이외에도 분체도료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첨가제 즉, 아크릴계 첨가제, 올레핀계 왁스, 착색안료 등이 소량 첨가될 수 있 으며, 도료 용융시의 흐름방지, 도료분말의 유동성 개선 등을 위하여 친수성 및 소수성계의 흄드 실리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에폭시 분체도료와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를 이용한 복층 분체도막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수지, 경화제, 경화보조제, 무기충진제, 첨가제 및 착색안료를 각각 평량하여 건식혼합한다. 그리고, 가열혼련기를 통하여 용융혼련시킨 뒤 냉각하여 조분쇄화하고, 조분쇄화된 혼합물을 에이씨엠 분쇄기, 햄머밀, 제트밀 등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미분말화한 후 망체로 분급하여 최종 분체도료 제품을 얻는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복층 도장시스템에 의해서 강관을 도장한다.
먼저, 소지의 전처리 및 예열조건은 통상적인 강관도장 전처리 방법에 따라 진행된다. 즉, 소지의 표면처리는 그리트나 쇼트볼로 스웨덴규격 SA2 이상으로 블라스트 처리하며, 소지 프로파일의 앵커패턴은 40 ∼ 100 ㎛로 한다. 또한, 크로메이트, 인산 등의 화학물로 소지 표면처리하거나, 공기, 수증기 세척 등으로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다음 과정으로, 소지파이프를 가스 연소오븐이나 보다 우수한 인덕션 코일을 사용하여 예열시킨다. 이때, 금속의 온도가 270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분체도료의 도장온도는 140 ∼ 2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 230 ℃를 유지해야하며, 실제 적용온도는 라인스피드, 도장후 냉각조건 등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그 다음 과정은, 복층 분체도료 조성물을 도장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상기의 방법으로 예열된 강관 등의 소지에 일차적 으로 본 발명의 분체도료 조성물 하도를 도장한 직후 연속하여 본 발명의 복층 분체도료 조성물을 도장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140 ∼ 270 ℃로 예열된 소지에 일차로 본 발명의 분체도료 하도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20 ∼ 100 kv의 전압과 0.5 ∼ 5 bar의 공기압으로 정전스프레이 등에 의해 도장하여 50 ∼ 600 ㎛의 두께의 용융 도막층을 형성시킨 후, 0 ∼ 5분 사이에 본 발명의 상도용 분체도료 조성물을 상기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정전스프레이 등에 의해 도장하여 50 ∼ 200 ㎛의 두께로 연속도장 및 경화함으로써, 복층 분체도료 도막을 형성시킨다.
이때, 2종 이상의 분체도료를 도장하여 복층 분체도막을 형성시키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적인 강관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도장 설비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표적인 폴리올레핀 복층 도장시스템의 경우에는 강관소지의 전처리, 가스직화방식 또는 인덕션코일방식으로 강관소지의 예열, 예열된 강관의 스프레이도장, 폴리올레핀계접착제 압출 및 중도도장, 폴리올레핀 압출 및 상도도장, 피복된 강관의 냉각의 순서로 진행되며, 1겹 에폭시 분체도료 도장시스템 소위 퓨전 본디드 에폭시의 도장방법의 경우는 강관소지의 전처리, 가스직화방식 또는 인덕션 코일 방식으로 강관소지의 예열, 예열된 강관의 스프레이도장, 피복된 강관의 냉각의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의 두 경우 모두 도장부스에는 도료 스프레이건이 라인의 특성에 따라 여러개 배열되어 있어 이동하는 강관소지에 일정양의 도료가 토출되어 도장되는 방법이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인 복층 분체도료도장의 방법은 하도와 상도 등의 목적하는 도막을 배열된 스프레이건의 전배 열과 후배열로 나누어 도장하는 것이다. 즉, 스프레이건 전배열에는 본 발명의 분체도료하도가 토출되도록 하고, 스프레이건의 후배열에는 하도의 분체도료의 공급장치와 분리된 이종의 분체도료 공급장치를 통하여 상도등 의 다층용 분체도료가 토출되도록하여 진행되는 강관에 동시 도장하는 것이며, 이것이 본 발명의 특징인 복층 분체도료 도막형성 원리 및 방법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강관의 진행방향에 따른 예열 스프레이건 군의 전배열부위와 후배열부위 또는 중간배열부위 등으로 스프레이 군을 나누면 여러 층의 분체도료가 다층의 도장된 피복강관 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유의 특성을 갖는 각각의 분체도료 도막층을 여러 겹으로 도장하여 도막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용도에 따른 강관 피복재를 얻을 수 있는 점이 본 발명 중의 도장방법에 관한 특징이다. 또한, 각 층의 도막두께 및 도장조건 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스프레이건 군의 전배열부위와 후배열부위의 스프레이건 갯수 및 토출양을 조절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게 조정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다음으로는 예열스프레이 도장방법 외에도 유동침적 도장법 등 여러 도장방식에서도 본 발명의 복층 분체도막의 형성되는 원리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유동침적 도장법의 경우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설정된 분체도료 하도와 상도 등을 각각 다른 유동침적조에 유동시킨 후 예열된 소지를 하도의 유동침적조에서 먼저 침적도장한 후 특성에 따라 일정시간 경과후 상도 등의 유동침적조에 연속적으로 침적하여 복층 분체도막을 형성시킬수 있으며, 침적의 시간 및 회수에 따라 하도와 상도의 분체도료 도막두께 및 그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원리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예시한 조성물에 대한 약호, 성분 및 상품명등은 다음과 같다.
에폭시 A: 노볼락 변성형 에폭시수지, 에폭시 당량 800,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2.6% 혼합분(고려화학)
에폭시 B :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수지, 에폭시 당량 1150 (고려화학)
폴리에스터수지 A : 카르복실기말단 폴리에스터수지, 산가 30 (고려화학)
폴리에스터수지 B : 카르복실기말단 폴리에스터수지, 산가 33, 경화촉진제로서 TPBC 5% 혼합분 (고려화학)
경화제 : 폴리하이드릭 페놀수지, 수산기 당량 250(고려화학)
TEPIC-G :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네이트(TGIC) (닛산케미칼)
CASAMID 783 : 이미다졸악셀러레이티드 디시안디아마이드(토마스스완)
펠드스파 A: 장석분말 (엠에스소재)
CR-80 : 티타늄다이옥사이드
Min-u-sil 15 : 실리카분말(유에스실리카)
바라이트분말 : 한국반도체소재
MA 100: 카본블랙
본 발명에서의 시험시편 제작방법 및 물성 평가방법은 강관코팅재분야에서 널리 통용되고있는 캐나다규격(CAN/CSA-Z245.20) 및 ASTM 규격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도장방법 및 물성에 대한 범주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편제작]
1) 시편조건: 100 × 100 × 6.4 mmT, 220 × 22 × 6.4 mmT 또는 100 × 100 × 강관두께, 220 × 22 × 강관두께의 냉연강판에 그리트 및 쇼트 등으로 연마하여, 소지 표면의 블라스트 앵커 프로파일을 40 ∼ 100 ㎛이 되도록 하며, SA2 1/2의 청소상태로 표면 전처리한다.
2) 도장방법 : 상기의 시편을 오븐에서 210 ∼ 230 ℃로 예열한 후, 통상의 정전스프레이법, 유동침적법 등의 도장방법을 적용하여 도막두께가 300 ∼ 800 ㎛이 되도록 도장후 상혼까지 냉각한다. 이때 단일 도막 도장시에는 상기의 통상의 방법으로 도장하며, 본 발명의 특징인 다층분체도료조성물 도장시에는 일차로 상기의 도장방법으로 본 발명의 분체도료 하도를 300 ∼ 400 ㎛의 도막두께로 도장하고, 5 ∼ 10초후 본 발명의 분체도료상도를 400 ∼ 500 ㎛으로 연속하여 도장한다. 도장된 시편은 공기중에서 상온으로 방냉한다.
[물성시험]
1. 내비등수시험
상기 시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시편을 사용하여 캐나다규격(CAN/CSA- Z245.20)의 방법인 95 ℃의 물에서 24시간 침적하는 조건으로 시험하며, 내비등수 시험후 만능칼을 이용하여 시편도막을 소지로부터 떼어내기 할때의 저항력정도를 평가하며, 그 평가평가 방법을 다음의 단계로 구분하여,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1) 등급(이하 레이팅) 1 : 도막이 잘 박리되지 않는다.
2) 레이팅 2 : 도막의 50% 이하만 박리된다.
3) 레이팅 3 : 도막의 50% 이상 박리되지만, 떼어내기할 때 도막의 저항력이 확실히 있다.
4) 레이팅 4 : 도막이 큰 면적으로 쉽게 박리된다.
5) 레이팅 5 : 도막이 한 장으로 완전히 박리된다.
2. 내음극박리시험
상기 시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시편을 사용하여 캐나다규격(CAN/CSA-Z245.20)의 방법인 65 ℃ * 48시간 * 1.5V 전압 및 3% NaCl 수용액의 조건으로 시험하며, 구멍 중심에서 박리 되지않은 도막의 경계선까지의 평균거리를 측정하여 ㎜로 나타낸다.
3. 내굴곡성시험
상기 시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시편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캐나다규격(CAN/CSA-Z245.20)의 방법에서의 만드렐 시험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R=57.3T/S-T/2 (R=만드렐반경, T=시편두께, S=굴곡각도。)의 식으로 계산된 반경을 갖는 만드렐들을 이용하여 3。에서 18。의 굴곡각도로 측정시 도막의 결함이 발생하지않는 최소의 굴곡각도를 내굴곡성의 시험결과로 나타낸다.
4. 내충격성시험
상기 시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시편을 사용하여 ASTM-G14의 방법에 따라 상온에서 내충격성을 측정여 도막의 깨짐 및 박리등의 결함이 없는 최소의 결과치를 주울(J)로서 나타낸다.
5. 내자외선시험
상기 시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시편을 ASTM-G58의 방법에 따라 UVB 램프를 사용하여 도막의 광택변화를 측정한다.
Figure 112007029236081-pat00001
본 발명은 강관피복시 하도로 특정의 에폭시 분체도료로 피복하고 상도로는 내자외선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분체도료로 피복된 복층 피복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존 강관피복 도장물과 비교시 도막의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을 탁월하게 증진시키면서도 우수한 도막의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도막의 소지 부착성 증진 및 내부식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피복강관의 매설전 상당기간 옥외에 폭로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조건 또는 도장강관 매설라인이 국부적으로 지하매설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 등의 자외선에 노출되는 환경이 많아 일정의 내자외선성을 요구하는 강관피복에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1층의 에폭시 분체도료 도막이나 폴리올레핀 도막에 비해 내자외선성이 우수한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에 관한 것이다.

Claims (4)

  1. 에폭시 당량 400 ∼ 3000의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와, 에폭시 당량 400 ∼ 1100이고 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블렌딩된 변성 에폭시수지가 포함된 에폭시 분체도료가 하도에 피복되고,
    산가 24 ∼ 36이고, 분자량 5,000 ∼ 20000인 카르복실말단의 폴리에스터 수지가 포함된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가 상도에 피복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에 피복되는 에폭시 분체도료는 에폭시 당량 400 ∼ 3000의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 20 ∼ 50 중량%; 실란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0.1 ∼ 20% 블렌딩된 에폭시 당량 400 ∼ 1100인 노볼락 또는 크레졸 변성 에폭시수지 5 ∼ 20 중량%; 경화제 0.5 ∼ 7 중량%; 무기충진제 40 ∼ 50 중량%; 경화보조제 0.01 ∼ 1.0 중량%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에 피복되는 에폭시 분체도료는 에폭시당량 400 ∼ 3000의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 10 ∼ 40 중량%; 실란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이 0.1 ∼ 20% 블렌딩된 에폭시 당량 400 ∼ 1100인 노볼락 또는 크레졸 변성 에폭시수지 20 ∼ 40 중량%; 경화제 5 ∼ 11 중량%; 무기충진제 20 ∼ 30 중량%; 경화보조제 0.01 ∼ 1.0 중량%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에 피복되는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는 산가 24 ∼ 36, 분자량 5,000 ∼ 20000인 카르복실말단의 폴리에스터 수지 50 ∼ 70 중량%,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경화제 3 ∼ 5 중량%,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경화제 0.1 ∼ 2 중량%, 경화촉진제 0.01 ∼ 0.1 중량%, 이산화티탄 5 ∼ 10 중량%, 무기충진제 5 ∼ 30 중량%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KR1020000085017A 2000-12-29 2000-12-29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KR10077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17A KR100773603B1 (ko) 2000-12-29 2000-12-29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17A KR100773603B1 (ko) 2000-12-29 2000-12-29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795A KR20020055795A (ko) 2002-07-10
KR100773603B1 true KR100773603B1 (ko) 2007-11-08

Family

ID=2768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017A KR100773603B1 (ko) 2000-12-29 2000-12-29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6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980B1 (ko) * 2009-10-27 2010-06-08 듀라케미 (주) 관체의 실리콘 폴리우레아수지 도장방법과 그 관체 및 도장장치
KR101732912B1 (ko) 2010-04-08 2017-05-24 주식회사 케이씨씨 아연 프라이머 분체도료가 적용된 복층 분체도막
CN110698896A (zh) * 2019-10-30 2020-01-17 广州擎天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粉末涂料及其应用
KR102167693B1 (ko) * 2020-05-21 2020-10-19 주식회사 대연건설 함침 시트를 이용한 노후관 보강 시공방법 및 노후관 보강용 함침 시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84B1 (ko) * 2000-12-29 2007-10-17 주식회사 케이씨씨 복층 분체도막
KR100566603B1 (ko) * 2004-11-25 2006-03-31 최재현 비굴착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530A (ko) * 1986-06-12 1988-03-26 스즈끼 마사오 피복분말
KR930021824A (ko) * 1992-04-15 1993-11-23 정명식 도장밀착성,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KR940014904A (ko) * 1992-12-28 1994-07-19 박득표 도장밀착성,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JPH10130540A (ja) * 1996-10-28 1998-05-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粉体塗料及び塗膜及び塗装方法
KR19980052985A (ko) * 1996-12-26 1998-09-25 김기협 콘덴서 하도 코팅용 수지조성물
JP2000144019A (ja) * 1998-11-06 2000-05-26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耐チッピング性に優れた高硬度、高耐食性塗装鋼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530A (ko) * 1986-06-12 1988-03-26 스즈끼 마사오 피복분말
KR930021824A (ko) * 1992-04-15 1993-11-23 정명식 도장밀착성,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KR940014904A (ko) * 1992-12-28 1994-07-19 박득표 도장밀착성,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JPH10130540A (ja) * 1996-10-28 1998-05-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粉体塗料及び塗膜及び塗装方法
KR19980052985A (ko) * 1996-12-26 1998-09-25 김기협 콘덴서 하도 코팅용 수지조성물
JP2000144019A (ja) * 1998-11-06 2000-05-26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耐チッピング性に優れた高硬度、高耐食性塗装鋼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980B1 (ko) * 2009-10-27 2010-06-08 듀라케미 (주) 관체의 실리콘 폴리우레아수지 도장방법과 그 관체 및 도장장치
KR101732912B1 (ko) 2010-04-08 2017-05-24 주식회사 케이씨씨 아연 프라이머 분체도료가 적용된 복층 분체도막
CN110698896A (zh) * 2019-10-30 2020-01-17 广州擎天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粉末涂料及其应用
CN110698896B (zh) * 2019-10-30 2021-06-22 擎天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粉末涂料及其应用
KR102167693B1 (ko) * 2020-05-21 2020-10-19 주식회사 대연건설 함침 시트를 이용한 노후관 보강 시공방법 및 노후관 보강용 함침 시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795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6481C (en) Cathodic disbondment resistant epoxy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reinforcing steel bar coated therewith
EP0927229B1 (en) Powder coating compositions and coated substrates with multilayered coatings
JP3380247B2 (ja) 三層金属管被覆剤及び三層法で金属管を外部被覆する方法
WO2007026919A1 (en) Method of forming brilliant multi-layered coating film
CA2470942A1 (en) Method of powder coating weldable substrates
WO2006132437A2 (en) Method of forming a brilliant multi-layered coating film
JPH06293867A (ja) 艶消粉体塗料組成物、塗装方法および塗膜
KR100773603B1 (ko) 강관피복용 복층 분체도막
US6011100A (en) Self-Adhesive compositions for coating metal substrates with improved resistance to creep
KR20190053403A (ko) 분체도료 조성물
CA2091274A1 (en) Thermosetting powder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poxides and elastomer-modified phenolics
KR100767784B1 (ko) 복층 분체도막
JP3283445B2 (ja) 塗膜形成方法
JP2005162929A (ja) 粉体プライマ組成物、粉体プライマ塗膜、塗膜の形成方法及び金属塗装製品の製造方法
KR20040071489A (ko) 분말 융착식 다층 강관 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다층 강관 피복방법
JP4733874B2 (ja) ポリオレフィン被覆鋼材
KR101732912B1 (ko) 아연 프라이머 분체도료가 적용된 복층 분체도막
JP4272668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ホイールの塗装方法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ホイール
KR100617591B1 (ko) 복층 강관용 열경화성 상도용 분체도료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복층 강관의 도장방법
EP0803297B1 (en) Anticorrosive multilayer coating system for metal surfaces
KR100360049B1 (ko) 금속기판피복에유용한,향상된내크리이프성을갖는자착조성물
KR20010072433A (ko) 차체의 하부 보호제 또는 밀봉제용 분무성 분말 조성물
JP2005054074A (ja) ステンレス防食用亜鉛含有塗料組成物
WO1998020984A9 (en) Method of forming multiple-layered coating film
JP2009057640A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ホイールの塗装方法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2